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복 대여업체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임경화(Lim kyoung-hwa),강순제(Kang soon-che) 한복문화학회 2001 韓服文化 Vol.4 No.3

        Korea in t998 was in circumstances of the IMF. In addition, Korean economy was rapidly gone down. At that time, most of companies that product the Han-Bok started to rent the Han-Bok to people, and they have continually been growing t 998 to the present. In a purpose of this study We will, first. analyze companies to rent the Han-Bok and, second, totally understand a situation of these companies, and then, finally, make many people wear the Han-Bok. our data were gained through 32 the Han-Bok companies in region of Seoul and Kyoung-ki. Through our data we achieved a result that most of the Han-Bok companies had 100 to 700 pairs of the Han-Bok. They product women's, men's and children's clothing, but a main item is women's clothing. They have different sizes of the Han-Bok b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y are not systematized. Many customers wear the Han-Bok when they have a special day: the 60th birthday anniversary, the 70th birthday anniversary and the marriage, etc. These companies have used advertisement for recruiting many customers. They use Internet and local newspapers, etc for advertisement. When they rent the Han-Bok, they have some big problems: productions of various Han-Bok styles, damage of the Han-Bok and marketing for recruiting customers. A device for increasing renting companies is employers positively endeavor strategy of marketing and set up a new unity between different sizes of companies. Moreover, customers should need to break a stereotype of rent.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help the Han-Bok companies and many people to use the renting Han-Bok.,

      • KCI등재후보

        침적 모형에 의한 습성침적 플럭스 수치모의

        이화운,문난경,임주연 한국환경과학회 200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1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wet deposition flux and to investigate wet deposition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ADOM model. Wet deposition flux of high reactive SO_2 is estimated by applying observed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concentrations of chemical species to the ADOM model. Wet deposition is largely dependent on large scale precipitation and cloud thickness. Wet deposition flux of sulfate increases, but wet deposition flux of SO_2 is small. On the whole, the pattern of sulfate flux agrees with the typical pattern of sulfate wet deposition that is high in the summer(July) and low in the winter(Janu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계급연대론"의 기원 -고토쿠 슈스이의 직접행동론과 민족문제-

        임경화 ( Kyoung Hwa L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人文論叢 Vol.66 No.-

        Shusui Kotoku was a Japanese socialist of the 1900s. He was influenced by the 1905 Russian Revolution and also experienced oppression by the national authority. He became disillusioned with a socialist movement based on parliamentary politics and came to embrace direct action, recreating himself as an anarchist by discarding the frameworks of state and nation. Through this ideological transformation, he embraced the proletariat class as an agent of revolution and Asia as a whole. Projecting the revolutionary conditions of Russia upon Asia, including China, Kotoku became convinced that the class solidarity of Asia would strengthen the revolutionary movement. However, his strategy failed without much support. But its importance cannot be ignored. This article analyses how Kotoku recognized the national problem after he came to embrace direct action as the basis of revolutionary ideology in his contemporary context and explains his class solidarity strategy and his relevance today.

      • KCI등재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임경화 ( Kyoung Hwa L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2

        러시아와 일본은 모두 비서구 후발자본주의국가로서 강력한 군국주의에 기반한 대외팽창정책을 추진하여 사회 모순을 극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서구 문명을 비판하고 군국주의에 저항했던 톨스토이의 사상은 특히 러일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양국의 혁명가들에게 다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중에는 톨스토이 사상에 심각한 모순을 느끼고 대치하면서 그것을 디딤돌로 삼아 무정부주의로 향한 고토쿠 슈스이 등과, 톨스토이를 발판으로 삼아 레닌주의를 심화시켜 갔던 레닌이 있다. 고토쿠 등은 일본의 초창기 사회주의운동을 대표했고, 레닌은 소련사회에 톨스토이를 기념하는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양국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전유 방식의 전형을 읽어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동시대에 전개된 레닌의 톨스토이 비판을 염두에 두면서, 일본 초기 사회주의자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사회주의운동 초기 일본에서 톨스토이의 절대평화주의에 기초한 친사회주의적 주장은 합법 정당을 추구했던 사회당 이미지 구축에 유효했다. 이들은 비전론을 주장하면서 톨스토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하지만, 러일전쟁에 대한 톨스토이의 비판이 일본에 소개되자, 그들은 개인적인 종교성의 회복에 기초한 사회의 근본 개조를 주장하는 톨스토이의 주장이 사회체제의 변혁에 기초한 정의의 실현에는 심각한 한계를 지녔다고 보았다. 이 인식은 레닌에게도 보였다. 또한 러시아혁명을 거친 후로는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에 대해서도 비판이 가해졌다. 이것은 고토쿠 그룹이 혁명을 경험하면서 무정부공산주의와 직접행동으로 사상적 전환을 이루는 흐름과 연동되어 있었다. 레닌도 러시아혁명패배의 최대 원인을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에서 찾았다. 그러면서도,톨스토이의 사상에는 전형적인 농민혁명가로서의 부정적인 면과 함께, 착취 없는 사회주의적 사회를 창조하려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보고,후자에서 톨스토이의 역사적 의의를 찾으려 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대역사건으로 혁명가들에 대한 혹독한 탄압이 가해져 톨스토이주의의 급진적인 부분의 수용도 종언을 고했다. In this article, I will shed light on the reception of Tolstoy by Japan``s early socialists while having in my mind the chronologically overlapping criticisms against Tolstoy made by Lenin. At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Japan, Tolstoy``s seemingly pro-socialist stance based on absolute pacifism was instrumental in making the image of a socialist party striving to obtain the opportunities for legal activity. The socialist anti-war position was also seen as "Tolstoyist". However, as soon as Tolstoy``s criticisms of the Russo-Japanese War became known in Japan, the local socialists could not help sensing serious limitations in the possibilities for the realization of basic societal reforms and social justice inside the Tolstoyist framework of society``s rebuilding based on the revival of personal religiosity. The same skeptical attitude can be seen in Lenin``s criticism of Tolstoy. Following the course of Russia``s 1905-07 revolution, Tolstoy``s "non-resistance" became a target of criticisms as well. Concomitantly, Kotoku``s group evolved into anarchists following the Russian revolutionary events, and embraced anarchic communism and the method of direct actions. Lenin, at the same historical moment, found a reason for the 1905-07 Revolution’s defeat in the peasant “non-resistance” articulated by Tolstoy. However, Lenin also found that “Tolstoyism”, together with negative features typical for peasant dissenters, exhibited such a positive quality as willingness to build a socialist society free from exploitation. The latter was to be considered to be Tolstoy’s historical contribution. In Japan, however, as revolutionaries were cruelly suppressed during and after the “High Treason” trials of 1911, Tolstoy’s radicalism was now to be hidden away from the public’s eyes.

      • KCI등재

        북한 노래의 탄생 -사회주의체제 형성기 인민가요 성립 고찰-

        임경화 ( Kyoung Hwa Lim ) 북한연구학회 2011 北韓硏究學會報 Vol.15 No.2

        본고에서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이 발발하는 1950년까지의 사회주의 체제 형성기에 북한에서 전개된 가창을 중심으로 하는 음악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에트의 영향과 민족주의 전통, 일제하에 구축된 음악 기반이 각각 어떻게 충돌하거나 보완해 가면서 독특한 친체제적 음악정책을 급진적으로 성립시켜 갔는가를 검토하였다. 해방기 북한 음악정책에서 추구된 민주주의적 민족문화란, 과거의 진보적 민족문화를 계승하고 선진 소비에트문화를 수용하여 전자와 후자를 결합시킴으로써 미래에 달성되는 것이었다. 미래지향적 민족문화 창출의 전범이 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기존의 식민지 지배문화의 권위를 부정하고 민중문화의 기반 위에 새로운 인민문화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배타적 민족문화와는 구별되는 것이었다. 북한 인민가요의 탄생은 미래지향적 민족문화를 향한, 위로부터 주도된 기획이었고, 새로운 정치체제에 동원된 인민들에 의해 가창됨으로써 급속히 군중문화로 전환되어 갔다. 하지만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민족문화의 현실적 가치가 긍정되고 안정화 경향이 가속화되면서 주체음악이 성립되는 기반이 갖추어졌다. The article examines the radical establishment of a unique national musical policy of North Korea, focusing mainly on the making of the people`s songs during the formative years of the socialist system until the 1950-53 Korean War from the 1945 liberation. This undertaking required the matching of the Soviet influence with the folk tradition on the musical infrastructure built in colonial Korea. The democratic national culture pursued in this musical policy was what would be accomplished in the future by inheriting progressive folk culture, accepting advanced Soviet culture and collaborating with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 socialist realism which has become a model of the reform-minded national culture was distinguished from an exclusive national culture by denying the authority of the conventional colonial culture and making a new people`s culture. The making of the people`s songs was the project that the government led for the progressive national culture. This top-down plan was switched rapidly into the people`s culture through being performed by the North Korean people.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the base of the Juche music ideology was integrated, as the present value of the newborn national culture was accepted affirmatively and stabilized.

      • KCI등재

        향가의 근대: 향가가 ‘국문학’으로 탄생하기까지

        임경화 ( Lim Kyoung-hwa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2

        본고는 신라의 가요인 향가가 근대 식민지기의 해독작업을 거쳐 ‘국문’으로 된 텍스트로서 발견되고 이윽고 ‘국문학’의 최초의 開花로 간주되기에 이른 경위에 대해서 상세히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향가의 書記방식인 借字표기법은 전통적으로 한문의 규범성을 일탈한 비한문적 표기로서 어디까지나 정격한문의 보조수단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그것을 ‘국문’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향가의 문자열 너머에 음성언어로서의 ‘국어’를 상상하여 한자 자체는 그 ‘국어’를 단순히 반영한 표기수단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소외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근대조선어에서도 정격한문을 정점으로 한 기존의 표기법들의 위계질서가 심각한 동요를 맞이하여, 한자·한문에 대한 타자화가 진전되었다. 그런데 그 재배치가 완료되기도 전에 일본인학자들에 의하여 향가가 ‘조선문’으로 발견되고 그 가치가 논구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것은 그들이 일찍이 한자·한문에 대한 타자화의 경험을 갖고 借字표기로부터 고유 일본어를 복원한 전통을 그대로 향가에 대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조선의 식민지화라는 정치적인 동향을 계기로 조선어에 대한 비교언어적인 관심을 가졌으며, 그들의 고대조선어에 대한 관심이 향가라는 텍스트 자체의 발견과 그 가치의 발견을 견인하였다. 이러한 유산은 언어학자 小倉進平에게 계승되어 향가 전편에 걸친 ‘신라어’로의 복원을 가능케 했다. 한편, 같은 시기에 土田杏村도 향가의 형식을 문제 삼아 그 문학적인 가치를 논하였다. 이렇게 향가를 둘러싼 다양한 가치의 발견과 풍요로운 논의의 전개는 이윽고 조선인 연구자들에게 계승되어 더욱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한다. 예를 들면 양주동은 향가의 어학적 해석을 더욱더 철저히 추구했으며, 조윤제는 향가를 ‘국문학’ 속에 자리매김하고 거기에 ‘국문의 문학’으로서의 가치와 ‘국민의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동시에 부여하였다. 이로써 ‘국어’와 ‘국문학’의 기원으로서의 향가의 근대지향적인 가치의 발견이 일단 완성되었다. 이것은 일본의 연구자들의 발견과 대비하여 ‘진정한’ 발견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발견과 진정한 발견 사이에 절대적인 단절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국어학사’나 ‘국문학사’의 기술 속에서 종종 발견에 관여한 모든 사정들은 축소 혹은 은폐되었다. 본 논문은 그 일단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향가의 발견을 둘러싸고 보다 본질적으로 문제시해야 하는 것은 발견의 전 과정에서 향가는 정말로 ‘국문’인가라는 의문이 전혀 개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향가가 ‘국문’이라는 관점은 애초에 일본의 국어표기사의 문맥을 그대로 대입함으로써 도출된 것이었다. 그러나 借字표기와는 전혀 다른 표음문자체계를 출현시킨 조선이 일본의 표기사의 전통과 다르다는 것은 명확하다. 우리는 향가의 借字표기를 한글의 표기체계와는 전혀 이질적인 한문이라는 書記언어의 응용으로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것은 한자·한문과의 대비 속에서 자기동일성을 확립한 국어사의 범주를 뛰어넘는 일임에 틀림없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osely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Shilla's songs, or hyangga, came to be discovered as vernacular texts written in the “national script.” The discovery followed the work of active deciphering that went 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gave rise, in turn, to the establishment in Korean literary histories of hyangga as the first accomplished examples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Hyangga was transcribed using an orthography which borrows Chinese ideographs for their phonetic value. Traditionally, this system of transcription was considered strictly auxiliary since it deviated from the proper norms guiding writing in literary Chinese. This meant that in order to accept this orthography as an example of the “national script,” a phonographic “national language” had to be imagined beyond the actual Chinese ideographs through which hyangga was transmitted. Such an imagination excluded the existing orthography itself as no more than the transparent medium that simply reflected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existing hierarchy in Korean was greatly disturbed, and the process of othering Chinese script and writing had the effect of dethroning formal literary Chinese from its privileged position at the top. Before this process of rearrangement was concluded autonomously, however, hyangga was discovered by Japanese scholars as a form of “Korean writing,” and its value began to be discussed. With an early experience in othering Chinese script and writing, Japanese scholars applied wholesale their own tradition of rescuing the vernacular from borrowed orthography to the study of hyangga. With the political context of Korea's colonization serving as the occasion, these Japanese scholars took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comparative linguistics, and their interest in ancient Korean led to the discovery hyangga both as text and as expression of national language. Within such a legacy, the linguist Ogura Shinpei sought to reconstruct Shilla’s language from the entire corpus of hyangga. At around the same time, Tsuchida Kyoson also focused on the form of hyangga and discussed its literary merit. The attribution of various values to hyangga and the ensuing abundance of discussion drew Korean scholars into the field as well, and their studies introduced a greater degree of scientificity and systematicity to the discussion. For example, Yang Judong attempted a more thorough interpretation of hyangga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while Jo Yunje placed hyangga within the rubric of “national literature,” endowing it with value both as “literature written in the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people of the nation.” The two scholars’ endeavors completed the initial discovery of hyangga as the origin of “national language” and “national literature,” with a particularly modernistic twist. In Korean scholarship, this discovery has been considered “genuine,” as opposed to mere discovery by Japanese scholars. Between discovery and genuine discovery, however, there is no absolute break. This may be the reason why matters relating to the phenomenon of discovery often underwent diminution or active concealment within histories of Korean national language or Korean national literature. This paper has exposed one aspect of that concealment. What really needs to be addressed regarding the discovery of hyangga, however, is the lack of skepticism regarding the applicability of the question of “national language” to hyangga.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quation of hyangga with national script was a result of substitut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national orthography as developed in Japan with Korea's, thereby eliding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situation. Korea, which invented a phonography entirely different from borrowed transcription system, lies within a tradition different from Japan’s history of orthography. We must therefore begin our inquiry by understanding transcription of hyangga as an application of written language that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system of phonography. Such an approach transcends the parameters of the history of national language, a history which consolidates the self-identity of national language by differentiating it from Chinese script and writing.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문학` 제도화를 둘러싼 접촉지대로서의 `민요` 연구 : 고정옥 졸업논문을 통해 본 경성제대 조선문학 강좌의 성격

        임경화 ( Lim Kyoung-hwa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7 No.-

        본고에서는 식민지기 경성제대 `조선문학` 강좌 학생이었던 고정옥이 조선민요를 테마로 1939년에 제출한 졸업논문을 분석했다. 해당 논문은 1920~30년대에 다양하게 전개되었던 조선민요수집 및 연구 성과를 계승하여 종합적으로 완성한 식민지기 조선민요 연구에 관한 가장 충실한 보고서이다. `조선문학` 강좌에서 전개된 교수와 학생들의 조선민요 연구의 현장은, 식민자 교수와 피식민자 학생들 사이의 현저히 비대칭적인 권력 배치속에서 이문화가 충돌하고 경합하는 사회공간으로서의 접촉지대의 의미를 띠었다. 물론 지도교수인 다카하시 도루에게 조선민요라는 연구대상은 식민지 통치학의 하나였고, 이러한 인식은 피식민자인 고정옥에게 수용되었다. 고정옥의 졸업논문의 목표도, 민중들 사이에서 고유한 발달을 거친 민요를 근대의 국민문화로 재구축한 서구와 일본을 이상으로 삼고 전근대 중국문화와의 종속적 관계를 한편에 두면서 일본제국의 질서 속에서 조선민요를 배치하여 그 특성을 규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한편으로 고정옥은 조선민요의 주체로서 민중 중심의 민족을 내세우고 민족문학의 전통을 아래로부터 재구축하려고도 했다. 이것은 고정옥의 조선민요 연구가, 압도적인 권력관계 속에서도 식민자의 담론이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변형되어 창조된 접촉지대의 산물임을 말해준다. 서구와 중국의 민요연구에 주목하여 그 비교를 통해 조선민요의 고유성을 규정하고 조선민족이라는 역사적 집단의 전통적 정신이 연면히 계승된 것으로서 조선민요를 상상했던 졸업논문의 틀은 해방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Ko Chong`ok`s graduation thesis, which was submitted to Keijo Imperial University`s Korean Literature Lecture Course in 1939. Ko Chong`ok`s thesis was the most comprehensive report referring to all pre-existing Korean folk song collections and research both within and outside Korea, and particularly those of his thesis advisor, in 20s-30s colonial Korea. Japanese professors` and Korean students` study of Korean folk songs on Keijo Imperial University`s Korean Literature Lecture course formed a contact zone in which cultures met and clashed with one another in the context of highly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While Professor Takahashi Toru considered this research subject to fall under Japan`s governance policies of Korea, Ko, who was taught by him, regarded it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n ethno-national literature from below on the basis of “masses” songs, with an eye on precedents in the national cultural movements of Western Europe and Japan. This suggests that Ko`s Korean folk song research is a product of the contact zone in which colonizer`s discourses were selectively accommodated and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Ko`s graduation thesis - in which he attempted to define the essence of the Korean folk songs through the comparisons with the Western and Chinese folk song research - has been maintained even in his book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