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산 맵시벌과(벌목(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뭉툭맵시벌족의 재검토(뭉툭맵시벌아과(亞科))/Introduction/Materials & Methods Review of Tribe Tryphonini (Tryphoninae)

        이종욱,차진열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3 昆蟲硏究誌 Vol.19 No.1

        한국산 맵시벌科(벌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5. 뭉툭맵시벌족의 재검토(뭉툭맵시벌亞科) 이종욱 · 차진열(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昆蟲硏究誌. 19 : 10-34, 1993. 한국산 뭉툭맵시벌족은 4속 11종이 기록되었으나 연구 결과 4미기록 속(**), 1미기록 아속(**), 11미기록 종 (*), 7신종 (??)이 추가되어 총 9속 29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 목록은 다음과 같다; Genus Cosmoconus Foerster 뿔뭉툭맵시벌속; C. elongator Fabricius 뿔뭉툭맵시벌; **Genus Ctenochira Fo¨rster 가시발톱뭉툭맵시벌속; ?? C.ruficoxalis sp. nov. 붉은밑마디뭉툭맵시벌 (신칭), ?? C. nigroventralis sp. nov. 배검은 뭉툭맵시벌 (신칭); ?? C. basipectinata sp. nov. 가시발톱뭉툭맵시벌(신칭); **Genus Dyspetes Fo¨rster 경포뭉툭맵시벌속(신칭); *D. arrogator Heinrich 경포뭉툭맵시벌(신칭), *D. nigricans He & Wan 흑색경포뭉툭맵시벌(신칭),?? D. nogodanus sp. nov. 노고경포뭉툭 맵시벌(신칭); **Genus Erromenus Holmgren 얼굴뭉툭맵시벌속 (신칭); *E. melanotus Gravenhorst 수검은뭉툭맵시벌(신칭), *E. alpinator Aubert 알프스뭉툭맵시벌(신칭), *E. zonarius Gravenhorst 수염가두리뭉툭맵시벌(신칭), ??E. rufifemur sp. nov. 홍다리뭉툭맵시벌(신칭), *E. analis Brischke 얼굴뭉툭맵시벌(신칭), *E. pelbejus Woldstedt 검은발톱뭉툭맵시벌(신칭); **Genus Lagoleptus Townes 라고스뭉툭맵시벌속 (신칭); * L. rugipetus Townes 라고스뭉툭맵시벌(신칭); Genus Monoblastus Gartig 잎벌살이뭉툭맵시벌속(신칭); M. erythrurus Townes, Momoi et Townes 반빨간뭉툭맵시벌, M. clauseni Uchida 잎벌살이뭉툭맵시벌, ??M. jinjuensis sp. nov. 진주뭉툭맵시벌(신칭), ??M. nigriventus sp. nov. 청계뭉툭맵시벌(신칭); Genus Otoblastus Forster 오토뭉툭맵시벌속(신칭); O. marginator Kasparyan 오토뭉툭맵시벌(신칭); Genus Polyblastus Hartig 배작은뭉툭맵시벌속; P.(P.) wahlbergi Holmgren 배작은뭉툭맵시벌; Genus Tryphon Fallen 신라뭉툭맵시벌속; Subgenus Stenocrotaphon Kasparyan 배끝마디검은뭉툭맵시벌아속; T.(S.)kazachstanicus Kasparyan 참검은뭉툭맵시벌, T.(S.) nagahamensis Uchida 진빨간뭉툭맵시벌, T.(S.) obtustator Thunberg 배끝마디검은뭉툭맵시벌; Subgenus Symboethus Forster 신라뭉툭맵시벌아속; T.(S.) brevipetiolaris Uchida 신라뭉툭맵시벌, T.(S.) hinzi Heinrich 검은뭉툭맵시벌, T.(S.) punctatus Kasparyan 흑점뭉툭맵시벌, *T.(S.) incestus Holmgren 흑가슴뭉툭맵시벌(신칭), *T.(S.) brunniventris Gravenhorst 갈색뭉툭맵시벌(신칭); **Subgenus Tryphon Fallen 뭉툭맵시벌아속(신칭); *T.(T.) abditus Kasparyan 뭉툭맵시벌(신칭) The authors revised the Korean species of tribe Tryphonini.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29 species, 9 genera including 7 new species, 11 newly recorded species and 4 newly recorded genera.

      • 한국산 잎벌 과(벌 목(目) : 잎벌 아목(亞目)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 잎벌 과 13 미기록 종에 대하여 Thirteen unrecorded species of the Tenthredinidae

        이종욱,류성만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5 昆蟲硏究誌 Vol.21 No.1

        韓國産 잎벌 科(벌 目: 잎벌 亞目)에 대한 系統分類學的 硏究 1. 잎벌 科 13 未記錄 種에 대하여 이종욱 류성만 (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잎벌 科의 13種[Phyllocolpa puella (Thomson), Dineura virididorsata (Retzius), Phymatoceropsis japonica (Malaise), Monophadnus nigritarsis Togashi, Monophadnus nigriceps (Smith), Athalia kashmirensis Bensen, Hemibeleses nigriceps Takeuchi, Beleses satonis (Takeuchi), Eriocampa albipes Matsumura, Eriocampopsis subtruncata Takeuchi, Rhogogaster convergens Malaise, Conaspidia guttata (Matsumura), Tenthredo babai Takeuchi]이 韓國産 未記錄 種으로 報告되며, 이들중 6屬[Phyllocolpa Benson, Phymatoceropsis Rohwer, Beleses Cameron, Eriocampa Hartig, Eriocampopsis Takeuchi, Conaspidia Konow]은 韓國産 未記錄 屬이다. Thirteen species of Tenthredinidae [Phyllocolpa puella (Thomson), Dineura virididorsata (Retzius), Phymatoceropsis japonica (Malaise), Monophadnus nigritarsis Togashi, Monophadnus nigriceps (Smith), Athalia kashmirensis Bensen, Hemibeleses nigriceps Takeuchi, Beleses satonis (Takeuchi), Eriocampa albipes Matsumura, Erioeampopsis subtruncata Takeuchi, Rhogogaster convergens Malaise, Conaspidia guttata (Matsumura), Tenthredo babai Takeuchi]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mong them, six genera [Phyllocolpa Benson, Phymatoceropsis Rohwer, Beleses Cameron, Eriocampa Hartig, Eriocampopsis Takeuchi, Conaspidia Konow] are also newly recorded from Korea.

      • 한국산 맵시벌과(벌목(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넓적수염맵시벌속(屬)(넓적수염맵시벌 아과(亞科) Genus Euceros (Eucerotinae)

        이종욱,차진열,서경인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2 昆蟲硏究誌 Vol.18 No.1

        한국산 맵시벌科 (벌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4. 넓적수염맵시벌屬(넓적수염맵시벌 亞科), 이종욱 · 차진열 · 서경인(영남대학교 이과대학교 생물학과), 昆蟲硏究誌. 18 : 25~30, 1992. 한국산 넓적수염맵시벌 亞科의 넓적수염맵시벌 屬을 연구한 결과 4종을 정리하였다. 이중 3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들이다. Subfamily Eucerotnae 넓적수염맵시벌 亞科 (신칭) Genus Euceros Gravenhorst 넓적수염맵시벌屬(신칭) E. rufocinctus (Ashmead) 넓적수염맵시벌 (신칭) *E. serricornis (Haliday) 가시넓적수염맵시벌(신칭) *E. kiuskuensis Uchida 민 가시 넓적수염맵시벌 (신칭) *E. sensibus Uchida 의가시넓적수염맵시벌 (신칭) The study on the subfamily Eucerotinae unrecorded in Korea was conducted. As the result, four species of genus Euceros including three unrecorded species E. kiushuensis Uchida, E. sensibus Uchida, E. serricornis(Haliday) were identified.

      • 댐시설물 지진가속도 계측기 운영 및 댐내진안전성 관련 연구사례

        이종욱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0 No.-

        일본 고베지진(1995), 타이완 지지(Chichi)지진(2000),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 및 대도시지역에서 지반 흔들림이 감지된 일본 후쿠오카지진(2005), 중국 쓰촨성대지진(2008), 일본 이와떼·미야기지진(2008), 최근의 일본 동북지방대지진(2011)과 같은 한반도 주변지역에서의 지진발생 사례와 함께 한반도내에서 최근 발생된 강원도 월정사지진(2007년) 등은 한반도의 지진발생 빈도 증가와 더불어 지진에 대한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경각심과 함께 지진 피해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있다. 최근 일본 동북지방대지진(M9.0)과 중국에서 발생한 쓰촨성대지진(M8.0), 일본 이와떼·미야기지진(M7.2)은 진앙지 주변지역에 위치한 많은 댐들에 크고 작은 지진 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중국 쓰촨성 대지진은 쓰촨성 일대 약 400개의 중·대형댐에 크고 작은 손상을 입힘으로써 지진대비 댐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댐 시설물은 국민생황과 안전에 밀접한 공공성이 강한 국가 주요시설물이므로 댐 관리주체는 지진대비 댐의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서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의무가 있다. 일본 고베지진 이후 국내 내진설계기준(건설교통부, 1997)이 개정되었으며 2011년 개정된 댐설계기준·해설(건설교통부)에는 내진특등급 댐의 경우에는 의무적으로 지진계를 설치하고 정상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 대부분의 중요한 대댐을 관리하고 있는 한국수자원공사는 31개의 신규댐 및 설계당시 지진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기존댐에 총 99대의 지진가속도계 설치를 2008년 완료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4대강살리기사업 16개 보에 총 30대의 지진가속도계 설치를 완료하였다. 현재 31개 댐에 설치된 99대의 지진가속도계는 실시간으로 각 댐에서 감지되는 지진파형을 모니터링하고 최대 가속도를 분석하여 댐의 내진안전성을 신속히 파악하기 위해 댐 실시간지진감시시스템(Dam Earthquake Monitoring System)에 연계되어 통합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4대강 16개 보 지진가속도계의 추가연계와 소방방재청 등 국가지진관측망과의 자료공유를 위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댐의 내진안전성에 대한 연구사례는 다음과 같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01년에서 2003년까지 고베지진이후 강화된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동적해석기법으로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결과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은 현재의 강화된 내진설계기준에 대해 모두 내진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지진발생시 댐의 안전성 평가는 댐재료의 동적물성 및 해석결과의 적정성을 평가하여야만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진계측기록을 활용하여 댐의 실제 고유주기(Fundamental period)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하익수, 2008)가 수행되었고 수치해석에 의한 고유주기를 계측에 의한 고유주기와 일치시켜 동적물성을 검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하익수와 오병현, 2011)와 기존댐 실대규모 발파진동실험을 실시하여 댐의 발파진동가속도 응답특성 및 동적물성 역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이종욱 등, 2011).

      • KCI등재

        상부 180도 및 하부 180도 선택적 레이저 섬유주성형술의 효과 및 안정성 비교

        이종욱,김은주,이태윤,이규원,Jong Wook Lee,MD,Eun Joo Kim,MD,Tae Yoon Lee,MD,Kyoo Won Lee,MD 대한안과학회 2012 대한안과학회지 Vol.53 No.11

        Purpose: To compare the intraocular pressure (IOP)-lowering effect and safety between superior 180 degree and inferior 180 degree selective laser trabeculoplasty (SLT). Methods: Forty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normal tension glaucoma were treated with superior 180-degree SLT, and 28 patients with the same diagnosis were treated with inferior 180-degree SLT. IOP was checked at 1 day, and 1, 2, 3, and 6 months after SLT. Anterior chamber reaction and ocular pain was evaluated at postoperative 1 day. Peripheral anterior synechia was examined at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At the postoperative 6-month follow-up, the superior treatment group had a mean IOP of 15.53 ± 3.49 mm Hg with a mean reduction of 24.6%, while the inferior treatment group had a mean IOP of 17.18 ± 3.29 mm Hg with a mean reduction of 21.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OP reduction between the 2 groups. There was a slightly higher anterior chamber reaction rate in the inferior treatment group. Conclusions: The site of SLT application is not important for IOP reduction. Both superior 180 degree and inferior 180 degree SLT are safe and effective procedures for glaucoma treatment because of successful IOP reduction and low complication risks.

      • KCI등재

        Co-authorship Credit Allocation Methods in the Assessment of Citation Impact of Chemistry Faculty

        이종욱,Yang, Kiduk 한국문헌정보학회 201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9 No.3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citation index scores and rankings of thirty-five chemistry faculty member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using different co-authorship credit allocation models. Using 1,436 Web of Science paper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3, we applied the inflated, fractional, harmonic, network-based allocation, and harmonic+ models to calculate faculty’s h-, R-, and normalization of h- and R- index scores and rankings. The harmonic+ model, which is based on our belief that contribution of primary authors should be the same regardless of collaboration, is designed to minimize the penalty for research collaboration imposed by harmonic and NBA models by boosting the contribution of collaborating primary authors to be on the equal footing with single authors. Although citation rankings by different model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within the same type of citation indicator, rankings of many faculty members changed across model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an accurate and relevant authorship credit allocation model in the citation assessment of researchers. The study also found that authorship patterns in conjunction with citation counts are important factors for robust authorship models such as harmonic and NBA, and harmonic+ model may be beneficial for collaborating primary authors. Future research that reexamines the models with updated empirical data would provide further insights into the robustness of the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