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특성 탐색: 수도권 소재 D종합대학 사례 연구 중심으로

        이영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g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two step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2016 at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37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37 students by both of groups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as the first step of research in order to compare and contrast their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of students. The second step of qualitative research wa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 for the 6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order to analyze their concret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ed. Overall,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are similar in the two groups of students from both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college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are relative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are influenced by their academic interest and needs when they applied for the university and deciding their majors. And they were active to participate in many kinds of activities in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fields in colleges. Second,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ink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try to be involved in the groups activities while they are in college. Third, the students also think that having a lot of experiences in the college life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competency which is critical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career. Thus, they want to be involved in many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college. These findings are aligned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was conducted previously by the researchers.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학업, 정서, 그리고 진로 영역에 대한 특성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6학년도에 입학한 대학 3학년 재학생들 대상으로총 2단계 걸친 분석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3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및 정시전형으로입학한 학생들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전형에 따른 학생들의 응답 특성 및 차이를분석하였다. 2단계 분석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이 보이는 구체적인 특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과 정시전형 입학생들은 학업 관련 부분의 특징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정서, 진로 영역에서 보이는특징들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의 대학생활에서의 주요 특징은 자신의적성을 바탕으로 학문적 호기심과 전공에 대한 관심을 갖고 대학 진학 및 전공 선택을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활에서의가장 큰 만족도 또한 자신들의 학문적 욕구에 대한 충족감이라는 점이었다. 둘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은 정서영역에 대한 주요 특징으로 대학생활 전반에서 다양하고 적극적인 교류와 활동 참여를 통하여 타인과 공감 및 소통하는인간관계를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이 보이는 진로 영역에 대한 특징은 전문 분야로 진출하고자하는 확고한 의지와 이를 위하여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통한 적극적 진로 준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양적 연구 방식으로 수행되었던 선행 기초 연구(임현정, 이영희, 2017)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로써, 질적분석을 통하여 결과에 대한 배경 및 이유, 그리고 변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 등의 맥락적 해석을 할 수 있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궁극적 취지를 살리고 전형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종단 연구를 통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의 성장과 잠재력 발현에 대한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통한 학생부종합전형의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관계

        이영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6 연구보고 Vol.- No.-

        지금까지 우리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들과,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논의에 기초해서 발전하고 있는 기술영향 평가의 대표적 두 흐름을 살펴보았다. 먼저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들을 과학의 ‘사회적 제도’ 연구, 과학기술의 ‘사회적 구성’ 연구, 그리고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고,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 세가지의 연구 흐름이 하나의 이론적 틀로 통합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논의가 ‘기술영향평가’라는 구체적인 과학기술정책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미국의 OTA와 네덜란드의 NOTA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미국의 OTA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의 전통 하에 있는 것으로, 그리고 네덜란드의 NOTA는 ‘사회적 구성’ 연구와 ‘사회적 영향’ 연구를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앞에서 보았듯이 미국의 OTA로 대표되는 전통적 기술영향평가에서는 기술 자체는 “암흑상자”로 치부하고 오로지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만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후적·결과지향적이고 그에 대한 대응 역시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네덜란드의 NOTA로 대표되는 구성적 기술영향평가에서는 기술변화는 일종의 사회적 과정이기 때문에 기술발전의 경로는 다양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하여 기술변화의 초기단계부터 관련 사회집단 혹은 행위자들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킴으로써 기술변화의 방향이나 내용 자체까지도 사회적으로 통제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그 속성상 사전적, 과정지향적이기 때문에 기술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개입의 여지는 훨씬 넓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다면 OTA의 전통적 기술영향평가 보다는 NOTA의 구성적 기술영향평가가 훨씬 바람직하다는 것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자신들의 일상적인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공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참여욕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사회적으로 논쟁적일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전문과학기술자들만이 기술개발을 독점하는 것 보다는, 그것에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모든 사회집단이나 행위자틀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의사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공공적 논쟁을 유발시킴으로써 (Cambrosio & Limoges,1991) 기술변화의 방향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획득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고 효율적 일 수도 있다(Bechrnann, 1993).그러나 이러한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현실적으로 실행에 옮겨지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이해관련자들의 민주적 참여에 의한 사회적 합의의 창출이라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고 유용한 대안적 기술이나 상품이 시장이라는 선택환경 속에서 생존하지 못하는 경우도 흔히 일어나는 일들이라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구성적 기술영향평가의 장래가 결코 낙관적이지만은 않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기술발전이 근본적으로는 인류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진보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평범한 명제가 우리의 일상적 삶 속에서 현실화될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책을 수립하고자 할 때, 유럽에서 발전되고 있는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우리에게 유용한 이론적, 정책적 도구들을 풍부하게 제공해줄 수 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한마디로, 이러한 구성적 기술영향평가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과학기술의 개발을 지향하는 사회통합적 과학기술정책의 한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통합적 과학기술정책이 강력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과학기술과 사회의 유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철저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그럼 이상과 같은 논의들이 우리나라의 향후 과학기술정책의 방향에 대해서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 기존의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효율지상주의’ 에 입각한 성장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과학기술정책 입안과 실행은 과학기술을 오로지 경제성장의 도구로서만 파악하는 경향이 강했던 것이 현실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평가와 같은 사회통합적 과학기술정책을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과학기술의 형성을 위한 노력을 층분히 기울였다고 보기는 어렵다(이영희, 1994). 그런데 과학기술의 개발과 확산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 구성원들의 복지와 편안함을 증진시키는 데에 있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상식이지만, 이러한 상식이 목적의식적인 정책적 개입없이 자동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맹목적인 과학기술경쟁으로 인해 어떤 과학기술들은 오히려 사회구성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이는 결국 장기적인 과학기술정책의 수립에 필요한 국민적 합의도출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특히 최근에 광범위하게 개발·확산되고 있는 신기술(예컨대 정보기술 생명공학기술, 환경기술 등)은 복합적이고 대규모적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그만큼 심대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기술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함에 있어서 이러한 신기술들이 가져오게 될 결과에 대한 폭넓은 평가가 점점 더 필요해지고 있다. 즉, 이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측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사회통합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의예과 학생의 성격특성과 의사소통 능력 및 수업태도의 관계

        이영희,김병수,이영미 한국의학교육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of premedical students and their self-assessed communication skills and attitudes toward a communication skills cours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9 second-year premedical students from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which was validated in Korea, was used for evaluating personality types. Self-reported competency in communication and attitudes toward a communication skills course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Results: Sensing(S) and thinking(T) personality types were predominant in this study group(7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indicator ‘Extraversion(E)-Introversion(I)’ and the self- reported communication skil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four items of communication skills. Also, the personality indicator ‘Thinking(T)-Feeling(F)’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item: ask if the person has any further suggestions. Personality ‘I’ students showed more concern with regard to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an ‘E’ types. ‘Sensing(S)’-type students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mmunication skills course than “iNtuition(N)” types. Conclusion: Students’ self-assessed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communication skills course varied between personality typ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sonality types of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 communication skills course.

      • KCI등재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 學習 辭典』의 漢字 빈도 연구

        이영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4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2006) and to provide Sino-Korean vocabulary list according to frequency. On the basis of this result a suitable method for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is suggested. This research produces the simple and positional frequency of 1,412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taken from 3,297 Sino-Korean words listed in the dictionary. According to the simple frequency, the following were most common: 人> 學> 生> 大> 的> 國> 日> 用> 一/理> 中/不/外 (above frequency 30). According to the cumulative frequency and cumulative rate, it is revealed that in order to learn 50% of Sino-Korean vocabulary in the dictionary only 205 characters are neede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in producing 1 syllabic words, or in the first/middle/end of the word are presented in order. The result will not only help both teachers and learners to understand Sino-Korean vocabulary formation principles concretely but encourage learners to build up their cognitive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memory of Sino-Korean vocabulary. The Chinese characters with high frequency shouldn't be considered as the only criterion for selecting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but this paper shows that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is very useful for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이 論文은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 學習 辭典의 漢字 頻度를 算出하여, 頻度 順 한자와 한자어 目錄을 마련하고, 이를 활용한 漢字語 語彙 敎育 方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3,297개의 漢字語 標題語에서 추출된 1,412개 한자의 單純 頻度와 位置別 頻度를 산출하였다. 단순 빈도 산출 결과, 빈도 30以上을 보인 한자는 人> 學> 生> 大> 的> 國> 日> 用> 一/理> 中/不/外 등이었다. 累積頻度와 累積比率을 산출한 결과, 辭典의 한자어 50%를 學習 목표로 할 경우, 205字만 학습하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치별 빈도는 1音節語, 語頭, 語末, 語中 순으로 산출하였는데, 이는 敎師와 學習者 모두에게 한자어의 形成 原理를 구체적으로 理解할 수 있게 하며, 학습자들의 한자어 記憶 强化를 위한 認知 戰略을 키우는 데 유용하다. 그리고 高頻度 漢字가 곧 敎育用 基礎 漢字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교육용 한자 선정의 基準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방의회의 의정활동 평가 : 성남시, 광주시, 하남시를 중심으로

        이영희,이영균 한국정책과학학회 201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4 No.2

        본 연구는 현재 지방의회 의원의 의정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의정활동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을 통해, 지방의회의 바람직한 의정활동기능 정립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특히 본 연구는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관한 실태분석에 있어, 지방의원, 공무원, 지역주민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인식평가와 더불어 지방의회 의정활동과 관련된 정량적 지표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핵심적인 기능인 입법 · 의결기능, 주민대표기능, 견제 · 감시 기능에 대한 인지정도가 곧 지방의회의 총체적인 의정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를 통해 수행했다. 첫째, 본 연구에 있어, 지방의회 의정활동과 관련된 정량적 지표분석결과, 사례시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별 차이에 따라 시의원들은 자신들의 의정활동에 대해 최선을 다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공무원과 시민들은 시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의회가 수행하는 의정활동의 총체적인 평가인식에 있어 시의회의 입법 및 의결기능, 주민대표기능, 견제 및 감시기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에 있어, 지방의회의 총체적인 의정활동에 견제 및 감시기능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이었고, 다음의 영향요인은 입법 및 의결기능이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