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珍島의 方言

        李敦柱 全南大學校 湖南文化硏究所 1979 호남학 Vol.10-11 No.-

        본고는 전남대학교 부설 호남문화연구소에서 연차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전남 도서 지역 종합 학술조사의 일환으로 1977년 하기 방학 중 (7.17~7.25) 진도 지방을 현지 답사하여 얻은 방언에 관한 짤막한 보고이다.

      • KCI등재
      • 韓·中 兩國의 漢字音 比較 試論 : "效"·"流" 攝字를 對象으로

        李敦柱 全北大學校 語學硏究所 1975 어학 Vol.2 No.-

        한국 한자음운의 변천과정을 추구하려면 중국, 일본, 월남에서의 한자음 변천의 실태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한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한 개인의 단기간의 연구에서 완성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필자는 고대 한국한자음의 연구를 위한 시도의 일단으로 우선 "효ㆍ유" 양섭에 속한 한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ㆍ중 양국의 한자음 변천실태가 하였는가를 비교하려는데 본고의 목적을 둔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邵雍의 「皇極經世聲音唱和圖」와 宋代漢字音

        李敦柱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北宋의 哲學者 겸 象數學者로 유명한 邵雍(1011~1077)의 『皇極經世書』는 『性理大全』에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聲音唱和圖』라는 일종의 韻圖(字母表)가 들어 있다. 그는 漢字音의 성모를 地音, 운모를 天聲이라 규정하고 天地의 배합에 의하여 생성 가능한 음절의 한자를 도표 안에 예시하였다. 『황극경세서』는 『동국정운』의 서문과 『훈민정음해례』의 내용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거니와 그가 30세 이후 洛陽에 거주했던 까닭으로 특히 宋代의 開封·洛陽 방언음과 漢語音韻史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동시에 『창화도』에 반영된 漢音은 高麗語의 한 자료인 『계림유사』(1103)의 해독에도 반드시 참고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창화도』에 반영된 字音을 中古漢音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聲類에서 ① 파열·마찰·파찰음의 全濁音(유성음)이 淸音(무성음)으로 변한 점, ② 설상음의 「知」[t]계 성모가 구개음화하거나 혹은 정치음의 「照」[??]계 성모에 병입된 점, ③ 「非·敷·奉」모가 [f]음으로, 「泥·娘」모가 [n]음으로 합류하여 성모 수가 감소한 점. 둘째, 韻類에서 ① 중고한음에 존재하였던 1·2등과 3·4등의 변별성이 소멸된 점, ② 開合이 4呼(開·齊·合·撮)의 틀을 갖추어 간 점, ③ 중고한음에서 4등에 속한 「止」섭 치두음자가 1등운 자리에 배치된 사실로 미루어 i(즉 ??, ??)음이 새로 탄생한 점, ④ -p를 제외한 -t, -k의 입성운미가 음성운에 상배한 점으로 보아 邵雍의 방언음에서 후자는 합류하여 -? 단계에 있었거나 혹은 소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셋째, 사성(평·상·거·입성)이 각각 陰陽으로 분화하여 8개 調類가 이루어진 점 등이다. 물론 『창화도』는 일정한 數理에 맞도록 구성된 점에서 인위적인 음운 구별의 여지가 있을지라도 ■(無音無字)와 ●(無聲無字)를 표시한 점등을 고려하면 당시의 현실음을 완전히 무시한 것은 아니며, 그 안에는 내재적 질서가 역연함을 부정할 수 없다. As we know, Shao Yong(1011~1077) was a peculiar philosopher of Song time of China, and he is often called the originator of sang-su(象數) school. He specially asserted that all the natural world including the sounds of the language can be explained by mathematical principles. And he also established the unique terms in the Chinese historical phonetics. For example, he defined the initial(聲母) as the sound of earth, and the final(韻母) as the sound of heaven. And he assumed by chorus of initials and finals, infinite number of sounds of human can be made. And finally he made a kind of sound table of initials and finals by selecting the actually used Chinese characters in Song period, i.e. 11th century. If we observe the phonetic aspect represented in the sound table, and compare them with the phonetic system of ancient Chinese, we can assume the following differences. 1. First in the Initial classes, ① voiced sounds of explosives, affricates and fricatives were changed by voiceless feature(ex. b, d, g>p, t, k). ② supradental sound of [t] classes were palatilzed. ③ labio-dentals of [f, f, v] were emerged into [f], and [n, n] also changed into a phoneme [n]. 2. Second in the Final classes, ① the phonetic distinctive features of division of I (ex. back low vowel α), II (front low vowel a) and III (which has medial j), IV(medial i) were obviously disappeared. 3. Third in the entering tone(入聲) system, the ending of -p maintained at that time, but -t, -k were disappeared. Therefore observing the above sound tables, we expect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oral sound system of the Luoyang(洛陽) dialect of 11th century would be possible.

      • 한국 한자음의 특성

        이돈주 국립국어연구원 2001 새국어생활 Vol.11 No.2

        한자는 우리나라가 중국으로부터 차용한 외국 문자이다. 한자가 유입된 정확한 시기는 단정하기 어려우므로 논외로 하고라도 최초의 시기에는 필경 한음(중국음)이 지닌 제 특성을 충실히 반영하려 했겠지만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착화하면서 점차 국어의 음운 체계에 동화되거나, 또는 이에 알맞게 변용되어 마침내 한국의 한자음 체계가 형성되었을 것임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이 점은 일본ㆍ월남 한자음도 예외가 아니다. 이 소론은 일단 중국 한음을 비교의 기반으로 삼을 때 한국 한자음은 어떻게 다르며 그 차이의 동인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려는 데 뜻을 두고 작성한 것이다.

      • 땅이름(지명)의 자료와 우리말 연구

        이돈주 한국지명학회 1998 지명학 Vol.1 No.-

        국어사의 연구는 회고적 방법과 전망적 방법이 다 가능하다. 다만 자료면에 있어서 고대국어 시기 이래의 문헌어의 예증이 중요한 것임은 두말할 여지가 없지만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현재 우리말의 화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각 지방의 방언은 물론 보수성이 강한 지명 자료를 철저하게 조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방언과 지명 자료는 언어의 이동은 물론 대외적 비교 연구에도 긴요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