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持續可能한 都市再生 推進方案에 關한 硏究 : 全州市를 中心으로

        李容直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지속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인 도시화율은 91.04%로 나타났다. 도시화는 단순히 도시인구 증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주민의 의식구조, 생활양태와 아울러 지역의 경제사회구조, 문화, 기반시설 등 다양한 측면에 걸친 복합적이고 다양한 변화 현상을 포괄하고 있다. 지속적인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환경 악화와 도시기능의 상실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됨으로서 도시재생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구도심 지역에 쇠퇴가 심각한 상황임을 인지하고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환경정비 및 주거환경정비사업,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등의 실태분석과 지금까지 전주시가 추진했던 도시재생사업의 내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실현 가능한 도시재생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전주시에서 추진했던 도시재생사업과 2011년 4월부터 실시된 전주도시재생테스트베드 연구 사업의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전문가, 대학교수, 전주 도시재생테스트베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방안 모델 제시를 위한 설문조사 및 AHP분석을 실시하여 분석결과에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 방안의 중요도에 있어서 대분류 항목들 간 상대적 중요도에서 도시재생 재원확보가 0.32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항목 별로는 도시재생 추진체계 항목에서 산․학․관 협력 네트워크가 0.3583으로, 도시재생 개발 주체 항목에서는 마을기업 및 사회적 기업이 0.3319로, 도시재생 선도 사업 항목에서는 한옥마을이 0.3544로, 도시재생 인력확보 항목에서는 코디네이터 육성이 0.5184로, 도시재생 재원확보 항목에서는 국․도비 확보 0.3969로 높게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 방안 모델의 19개 세부항복별 중요도 순위를 나타내는 복합가중치를 살펴보면 국․도비 확보가 0.016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코디네이터 육성이 0.00710, 민간자본 유치가 0.00592, 도시재생채권이 0.00524, 산․학․관 협력 네트워크가 0.00404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차원의 도시재생기금 신규 조성 및 도시재생 채권 발행을 위한 TIF제도 도입 방안 모색, 정부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국비를 투자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 후 민간자본유치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 매칭펀드 제도 도입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가 AHP분석 결과, 많은 전문가들은 아직까지 지역주민들의 역량부족으로 자력재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간지원조직 육성이 필요하다.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조직하여 센터 중심으로 주민들과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 추진과정에서 행정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서 지역의 전문가들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이 도시재생사업의 추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에 도시재생 전담부서 설치가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이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실시될 것이며 국토교통부에서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전문가 AHP분석을 결과를 토대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반흔의 형성과정 중 섬유아세포와 근섬유아세포에 대한 표피각질세포의 영향

        이용직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Purpose: During wound healing, myofibroblasts play a central role in matrix formation and wound contraction. At the end of healing, there is evidence that myofibroblasts disappear via apoptosis. Hypertrophic scarring is a pathologic condition that myofibroblasts persist in the tissue.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abnormalities in epidermal-dermal crosstalk explain this pathology.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how myofibroblasts worked in monolayer co-culture with keratinocytes. Materials & Methods: For initial assessment, human myofibroblasts from hypertrophic scar tissue (Hmyo) and TGF-β induced myofibroblasts from normal dermal fibroblasts (Imyo) were characterized by microarray. And then human keratinocytes co-culture was applied into several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was analyzed by immunohistochemistry, RT-PCR, and Real-time PCR. Results: On microarray, numerous extracellular matrix- and smooth muscle cell associated gene were up-regulated in Imyo and Hmyo respectively, suggesting Hmyo are fully differentiated. Decreased collagen type 1 (COL1A1) gene expression was shown in keratinocytes co-cultured Imyo. Smooth muscle acin(SMA) gene expression in Imyo also decreased by keratinocytes co-culture. SMA gene expression decreased in keratinocytes co-cultured Hmyo.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strongly suggest that keratinocytes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pathological fibrosis in hypertrophic scar by influencing the behavior of dermal fibroblasts or myofibroblasts. It is expected that this analysis would provide the basis of hypertrophic scar pathophysiology and new therapeutic approaches.

      •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웹사이트에 적용되는 학습유형 비교 및 분석

        이용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는 현재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다. 이러한 환경을 바탕으로 현재 웹기반의 교육웹사이트는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넘어서 학습자에게 흥미롭고 다양한 시청각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므로 학습자의 학습 흥미와 동기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기능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현재 다양한 학습자들로부터 교육웹사이트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제공되고 있는 많은 교육웹사이트들이 그 필요성과 중요성, 만큼이나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있는지 의문점을 갖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현재 초등학생에게 제공되고 있는 교육웹사이트들을 분석해 볼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웹사이트에 적용되는 학습영역을 분석하여 보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일정한 패턴과 특징점, 차이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문제점이 있다면 일부 대안을 제시하고 일부 대안을 직접 구현하여 적용해 보고자 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분석영역을 정하고 분석항목을 추출하여 분석항목에 맞는 분석과제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분석과제를 바탕으로 분석지를 만들며,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정하고 분석주제를 정한다. 그런 후, 분석주제별로 분석작업을 진행하여 분석결과를 작성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논의해 보고 분석대상으로부터 일정한 패턴과 특징점, 차이점을 찾아보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문제점이 있다면 일부 대안을 제시하여 보고 제시된 대안을 바탕으로 일부 기능이 개선된 대안프로그램을 구상하여 개발하여 본다. 그러므로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웹사이트가 조금더 다양한 학습기회를 제공 할 수 있도록 제언을 하고자 한다. We are currently living in a rapidly developing informational society. In such context, an educational web site can motivate and heighten a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by offering a variety of interesting audio-visual materials beyond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It also contains great potential in its functional aspects, which is why so many are now emphasizing the need and importance of installing educational web sites into their teaching programs. However, this lead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many kinds of educational web sites presently available, especially those designed for elementary students, are indeed offering a multitude of learning opportunities that are expected and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o find certain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analyze the scope of learning that is applied to educational web sit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if problems are found, suggest some alternative methods and apply those alternative methods in real situations. For analysis method, define the scope for analysis first, deduce analytical categories, and construct analytical programs accordingly. This is followed by designing analytical sheets and designation of subject for analysis. The result is drawn according to subject matter of analysis. Then, through discussion, deduce certain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from the subject. Finally, if problems are found, suggest some alternative methods and develop an alternative program based on suggested methods with some of its functions improved. As conclusion, offer some suggestions that will allow the educational web sit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vide a greater variety of learning opportunities.

      • 용접흄이 조선업 근로자의 폐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직 울산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1839

        목적: 본 연구는 조선소 용접공을 대상으로 용접흄의 노출 정도에 따라 폐기능이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 지를 연령, 흡연, 근무 기간 등을 고려하여 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조선소 근로자 중 용접흄에 노출 정도에 따라 고노출 용접공 373명과 저노출 용접공 175명, 그리고 용접흄 비노출 작업자 1083명을 대상으로2009년부터 2014년까지 6년간의 폐기능 검사 측정치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연령과 근무 연수, 흡연의 기간 등이 이들 용접공들의 폐기능 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 고노출 용접공과 저노출 용접공은 비노출군에 비해 1초율(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forced vital capacity; FEV1/FVC) 측정치가 모든 연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은 용접공들의 폐기능 검사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근무 기간으로 층화하였을 때 초기 노출시 노력성 폐활량(FVC) 측정치가 고노출 용접공에서만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흡연을 하는 근로자들의 경우 1초간 노력성 폐활량이 흡연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근로자군에서 지속적으로 낮았다. 연구 기간동안 용접흄의 노출 수준과 시간에 따른 폐기능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 근무 연수, 흡연도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용접 작업자들에게서 초기 노출 기간 동안의 노력성 폐활량 측정치의 가역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흡연을 하는 용접 작업자의 경우 1초간 노력성 폐활량 측정치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STAD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컴퓨터관련 단원 실습을 중심으로

        이용직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교과 컴퓨터관련 단원의 실습수업’에서 STAD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와 정의적 영역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문헌과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고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수업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필요한 사후 학업성취도 평가지등 실험도구를 제작하고 사용하여 나온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집단은 전통적 학습을 적용한 집단보다 학업 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STAD 협동학습을 적용한 컴퓨터 실습수업은 학습능력 수준이 중위와 하위수준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셋째, STAD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태도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기술교과 컴퓨터관련 단원의 실습수업에서 STAD 협동학습은 전통적 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TAD 협동학습을 통한 실습수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어서, 이러한 학습태도의 변화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본 연구의 여러 가지 제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과 함께 앞으로 기술교과 내에 다른 영역에서도 본 연구 결과가 기본 자료가 되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effects of STAD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in 'practice classes for a computer-related unit of technology education at the middle school level.' For this purpos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es and literature review; experimental classes were provided to two classes―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in the eighth grade; such tools necessary for this study as post-test for academic achievement were manufactured, the results of which went through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group employ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showed more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than that employing conventional learning. Second, computer practice classes employ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had greater effects on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learners at the mid- or lower-level of academic capabilities. Third, STAD cooperative learning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changes of learners'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From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STAD cooperative learning was found to make more contributions to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than conventional learning in practice classes for a computer-related unit of technology education, probably because those practice classes through STAD cooperative learning brought positive changes into learners' learning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Along with efforts to overcome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se results in other areas within the subject of technology education.

      • 한국 사람의 얼굴뼈에 있는 눈확위구멍, 눈확아래구멍, 턱끝구멍, 턱뼈구멍에 관한 인체계측학적 연구

        李勇直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저자들은 한국사람 성인 두개골 8개를 재료로 16개 얼굴뼈 구멍들에 대한 얼굴뼈 여러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눈확위구멍은 코뿌리점에서의 거리(SF-Na)가 평균 26.5 mm, 코뿌리점을 통과하는 시상절개선에서의 평균 거리(SF-M)가 23.56 mm이며, 눈확위모서리에서부터의 거리(SF-SR)는 평균 3.20 mm에 위치하고 반수 이상인 68.7%에서 눈확위구멍의 형태보다는 눈확위패임의 형태로 관찰된다. 2. 눈확아래구멍은 코뿌리점에서의 거리(IF-Na)가 평균 42.94 mm이며, 눈확아래모서리(IF-IR)에서는 평균 8.66 mm이다. 3. 턱끝구멍의 위치는 75%에서 제1 작은 어금니 아래에, 25%에서 제1 작은 어금니와 제2 작은 어금니 사이에 위치하고, 아래이틀모서리에서의 거리(mF-AB)가 평균 12.88 mm, 턱뼈융기(mF-MS)에서는 평균 32.25 mm, 아래턱뼈 아래모서리 (mF-MIB)로부터는 16.19 mm이다. 4. 턱뼈구멍의 경우, 아래턱뼈 패임에서의 거리(MF-MN)는 평균 20.13 mm이며, 아래턱뼈각에서의 거리(MF-Go)는 평균 22.63 mm이며, 아래턱뼈가지의 뒤모서리로부터의 거리(MF-P)는 평균 19.53 mm, 앞모서리각의 중간점으로부터의 직선거리 (MF-A')는 평균 16.53 mm, 아래턱뼈 아래모서리로부터의 거리(MF-I)는 평균 8.78mm, 아래턱뼈 제일 안쪽 치아에서의 아래이틀모서리 연장선으로부터의 턱뼈구멍까지의 거리(ⓑ)는 평균 10.25 mm 이며, 이 연장선을 기준으로 하고 제일 안쪽 치아의 제일 뒤끝점을 꼭지점으로 할 경우 턱뼈구멍의 각도(ⓐ)는 5~30도 범위로서 평균 13.63 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측정된 인체계측학적 수치는 실제 임상 수술에서 합병증을 최소화하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Nowadays, facial bone surgery case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For successful results, more detailed anatomic informations are needed. Four major facial bone foramina which are supraorbital, infraorbital, mental and mandibular foramina, are most important anatomical landmarks in facial bone surgery to get a satisfied result and preve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owever, there could not be found 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natomical relationships of the foramina, especially for Korean facial bones, in most literatures. So, we examed several anthropometrical values of relationship for these foramina in eight(16-half headed) Korean fixed cadaver specimens. The range of distance between supraorbital foramen and supraorbital rim is zero to five millimeters.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supraorbital foramen and nasion is 26.5 mm.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supraorbital foramen and midpoint is 23.56 mm.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infraorbital foramen and nasion is 42.94 mm.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infraorbital foramen and inferior orbital rim is 8.66 mm. Six out of eight mandibles were located below the first premolar tooth, one of eight mandibles are below the site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and the others are below the secon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mental foramen and alveolar base is 12.88 mm.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mental foramen and mandibular symphysis is 32.25 mm.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mental foramen and mandibular inferior border is 16.19 mm. The average of distance between mandibular foramen and mandibular notch is 20.13 mm.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mandibular foramen and gonion is 22.63 mm.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st of anthropometrical values in our Korean cadavers stud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study. We expect that these values from this study are useful in many practise.

      • 논 灌漑用水量 算定을 위한 實證的 硏究

        이용직 建國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1839

        영문초록: It is an established fact that water demand would increase continuously in 21st century by the increase of population,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nd the increase of upland irrigation and river maintenance. Competition to get available water will be more sever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area and among each industry, while the condition for developing new water resources become wors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gricultural water use, especially paddy irrigation is urged to raise the efficiency. To use the paddy irrigation water efficiently, we must investigate and analyse the actual water management on site. Through such analysis, we can estimate paddy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more precisely and realistically and control the water supply to reduce the loss.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modified method to estimate the paddy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on-site water management. Actual water supply measured in 3 agricultural test reservoirs and 57 pumping stations in the Han river basin showed more than 1.5 times of estimated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by the present estimation criteria. Such discrepancy was appeared in the period of April and May. Through site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estimation criteri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quite different situations from the on-site conditions in various factors such as rice transplanting period, ponding period for transplanting, preparation of paddy, mid-summer drainage period, water loss ratio in irrigation canal, and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It is recommended that water supply starts on April 15 for the preparation of seedbeds and paddy soils and transplanting period is from May 11 to May 25 in the paddy area of Gyeonggi Province. Mid-summer drainage period was to be for 20 days from June 25 to July 15. The field investigation results on water loss ratio in several irrigation canals, including conveyance loss and delivery water loss, were found to be 34% in concrete canal and 45% in earth canal. Evapotranspiration by Penman method showed 120~150% higher than those by Penman-Monteith method recommended by FAO.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present estimation criteria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should be modified to reflect the actual on-site situation. The modified estimation model showed better results from the simulation experiments for 3 test reservoirs and 57 pumping stations than existing model comparing with measured water supply. This modified model can be used for various aspects of water management such as irrigation water supply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