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시민적 덕성과 통치자의 덕성 -이명박 정부 전반기의 한국 정치에 대한 평가-

        이국 ( Kuk Woon Lee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0 법과 사회 Vol.0 No.39

        This article tries to evaluate on the Korean politics under the President Lee Myung-Bak`s government during 2008-2010. In comparison with the legalistic approaches of other scholars in the field of Korean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the author develops a more political and dynamic understanding upon Liberal Democracy under the catch phrase of the normalization paradigm, which is indispensable for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onstitutional politic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uthor summarizes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politics since 1948 as an accumulation of the legacy of the regime of 1952 as well as an repeated attempts to overcome and replace that regime. He thinks that the regime of 1952 has not been overcome and replaced yet in spite of many political changes after the last constitutional revision in 1987. In this context, he regards that the President Lee Myung-Bak`s government shares very similar constitutional mission with its predecessors such as the President Kim Dae-Jung and Roh Moo-Hyun`s governments to overcome and replace the regime of 1952, even if it started from the support of more conservative wingers in Korean constitutional politics. However, the author evaluates that the President Lee Myung-Bak`s government was not so much successful in proving that its goal was also to overcome and replace the regime of 1952 to the Korean public at least in the constitutional politics during 2008-2010. This article finishes with some theoretical specul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civic virtue and the ruler` virtue in constitutional politics, because it is very clear that to make an sound relationship between virtue and vice will be the most crucial matter in Korean constitutional politics in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법은 왜 독립해야 하는가?

        이국(Kuk-Woon LEE)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20 世界憲法硏究 Vol.26 No.3

        This is an attempt to reveal the reason of judicial independence, one of the deepest themes in Liberal Democracy, from the viewpoint of constitutional theory. I want to reason that judicial independence shall include a kind of legal immunity from responsibility for the last judge(or jury) and connect it to the problem of uncertainty management, which is a key issue in Liberal Democracy. For this purpose, it is inevitable to hir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 start with a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judicial irresponsibility and make a rationale in the view of Emmanuel Levinas that judicial independence must demand for the last judge(jury) to reveal himself/herself publicly as a target in front of the Other’s watch especially his/her foes. In order not to harm the last judge(jury)’s body and make judicial process working, Liberal Democracy establishes judicial independence as a constitutional dogma, which is a kind of political myth. To identify the last judge(jury) to the sacrificial lamb, I intentionally depend upon the Rene Girard’ theory on the same origins of violence and the sacred. In conclusion, I insist that judicial independence is one of the pillars supporting Liberal Democracy with an unique system of the dynamics of law-making and law-finding. This is about how Liberal Democracy manages the problem of uncertainty. Interestingly, it is already revealed in the article 103 of Korean Constitution, which focuses on the relation of conscience and democracy. So, in the very last part, this paper arrives at a kind of deep interpretation on the article 103 of Korean Constitution. 이 글은 자유민주주의의 핵심 원리이자 자유민주주의 헌법이론에서 가장 심오한 주제 중 하나인 사법의 독립에 대하여 최종적인 정당화 논변을 제출해 보려는 시도이다. 나는 이 문제가 최후의 법관(배심)에 대한 법적 면책의 정당화로 귀결됨을 논증한 뒤, 그 면책에 대한 헌법이론적 정당화를 자유민주주의의 핵심에 존재하는 불확정성(uncertainty) 문제와 연결해 보려고 한다. 사법의 독립에 대하여 최종적인 정당화 논변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론적 자원들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 글은 우선 사법의 불가피성에 대한 논증에서 출발하여 사법 권력의 독립이 법관(배심)의 법적 면책에 대한 정당화 문제로 귀결되는 맥락을 헌법이론적으로 규명한다. 그리고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경청하면서, 사법과정의 자기 환원성에 착안하여 사법의 독립이 근본적으로 법관(배심)의 몸의 문제일 수밖에 없음을 확인한다. 나아가 법관(배심)의 법적 면책과 주관적 양심을 연결하여 법의 지배의 정치적 순환과정을 정초하는 대목에서는 사법제도의 기원에 관하여 르네 지라르가 제시한 폭력과 성스러움의 동근원성(同根源性) 논의, 그중에서도 희생 제의의 폭력성에 관한 폭로 메커니즘에 주목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법의 지배’의 정치적 순환구조를 통해 자유민주주의가 ‘불확정성의 확정성’을 관리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사법의 독립이 이를 지탱하는 하나의 기둥임을 주장한다. 흥미롭게도 이와 같은 논증은 양심과 민주정치의 관계에 주목하는 대한민국 헌법 제103조의 문장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이 글은 마지막 대목에서 헌법 제103조의 ‘깊은 해석’에 도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변호사집단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이란 무엇인가?

        이국 ( Kuk Woon Lee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2 법과 사회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professionalism has meant to the Korean legal profession until 2012. After the first group of new attorneys came out from the Korean professional law school system this year, the need and pressure for more judicial professionalism in Korean society is now being increased so rapidly. It is so evident that the judicial bureaucratism which has governed Korean judicial system from its beginning will not be able to stand in a few years. In support of judicial professionalism for future direction of Korean judicial reform,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concrete and specific meaning of professionalism for Korean legal profession for the past 6 decades. The research has four steps. The first is to identify a concept of judicial professionalism in comparison with judicial state-ism, judicial maket-ism, and judicial bureaucratism. Second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Lawyer`s Act i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lawyer`s politics. Third is to justify that this analysis concludes with the idea of "decorative professionalism". Final step is to present a prospective on the future of Korean judicial system with an assertion that the legal education in the law schools should be more inclusive to the public aspect of lawyering in order to escape from decorative professionalism as soon as possible. I think that Korean legal profession is now faced with an urgent need of ethical lawyering movement, which should be based upon judicial professionalism.

      • KCI등재

        한국 법조인양성제도의 역사 – 로스쿨 제도 이전

        李國運(Kuk-Woon LEE) 한국법학원 2015 저스티스 Vol.- No.146_2

        이 글은 구한말의 재판소구성법의 공포(1895)에서 로스쿨제도의 제안(1995)에 이르는 기간 동안 식민지 조선과 대한민국에서 전개되어 온 법조인양성제도의 역사를 조감하기 위한 것이다. ‘법조인’이란 국가의 사법제도 운영에 전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격자들(판검사, 변호사)을 말하지만, 시대 상황에 따라 그 범위가 변동한다. 이 글은 사법 근대화의 다섯 전선을 ‘인치 대 법치’, ‘관 대 민’, ‘행정 대 사법’, ‘시험 대 교육’, ‘비상 대 일상’의 다섯 전선을 제시한 뒤, 그 각각에서 벌어지는 전환이자 이행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 법조인양성제도의 역사를 살펴본다. 구한말의 사법 근대화 노력이 수포로 돌아간 것에서 출발하여, 식민지 시대의 왜곡된 법조인양성제도와 해방공간의 혼란을 거쳐 고등고시체제가 형성되는 것을 살핀 뒤, 1960년대 초에 시작된 사법시험체제의 변화가 결국 로스쿨체제로 이어지게 되는 맥락을 분석해보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환과 이행의 과정에서 법조사회의 구성원들이 언제나 지지하고 성원하는 태도를 보였던 것은 아니다. 구한말 대한제국기의 권신(權臣)들이 만연히 복고주의에 빠졌던 것이나, 해방공간의 조선인 법조인들이 난데없는 출세를 법률가수호주의로 방어했던 것이나, 군사정권기 이후 대한민국 법조인들이 엄선주의의 혜택에 탐닉했던 것은 대표적인 예이다. 그렇다면 법조인들의 이와 같은 안주와 외면에도 불구하고 한국 법조인양성제도의 역사에서 전환과 이행이 꾸준히 진행될 수 있었던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이 글은 사법 근대화를 추진하는 주체에 있어서 외세로부터 자주에로, 또한 국가로부터 시민에로, 근본적인 전환과 이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legal education and lawyer licensing system from 1895-1995. The author analyses this 100 years long history with the concept of judicial modernization, which implies a kind of multiple transitions in between five overlapping political and institutional frontiers in Korean society; “rule of man vs. rule of law”, “state vs. people”, “administration vs. judiciary”, “examination vs. education”, “emergency situation vs. normal situation”. The periodization is very much like the one of ordinary Korean modern history; pre-colonization(1895-1910), colonization (1910-1945), initial formation(1945-1962), institutionalization(1962-1995), reformation(1995-present). Even though some Korean lawyers had been against those transitions in some historical periods, generally speaking, it is very true that great transitions have happened in those five frontiers.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most impressive transition is surely the change of the subject of judicial reform from the state to the people, who are sometimes represented by certain sub-groups of Korean lawyers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