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법은 왜 독립해야 하는가?

        이국운(Kuk-Woon LEE)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20 世界憲法硏究 Vol.26 No.3

        This is an attempt to reveal the reason of judicial independence, one of the deepest themes in Liberal Democracy, from the viewpoint of constitutional theory. I want to reason that judicial independence shall include a kind of legal immunity from responsibility for the last judge(or jury) and connect it to the problem of uncertainty management, which is a key issue in Liberal Democracy. For this purpose, it is inevitable to hir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 start with a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judicial irresponsibility and make a rationale in the view of Emmanuel Levinas that judicial independence must demand for the last judge(jury) to reveal himself/herself publicly as a target in front of the Other’s watch especially his/her foes. In order not to harm the last judge(jury)’s body and make judicial process working, Liberal Democracy establishes judicial independence as a constitutional dogma, which is a kind of political myth. To identify the last judge(jury) to the sacrificial lamb, I intentionally depend upon the Rene Girard’ theory on the same origins of violence and the sacred. In conclusion, I insist that judicial independence is one of the pillars supporting Liberal Democracy with an unique system of the dynamics of law-making and law-finding. This is about how Liberal Democracy manages the problem of uncertainty. Interestingly, it is already revealed in the article 103 of Korean Constitution, which focuses on the relation of conscience and democracy. So, in the very last part, this paper arrives at a kind of deep interpretation on the article 103 of Korean Constitution. 이 글은 자유민주주의의 핵심 원리이자 자유민주주의 헌법이론에서 가장 심오한 주제 중 하나인 사법의 독립에 대하여 최종적인 정당화 논변을 제출해 보려는 시도이다. 나는 이 문제가 최후의 법관(배심)에 대한 법적 면책의 정당화로 귀결됨을 논증한 뒤, 그 면책에 대한 헌법이론적 정당화를 자유민주주의의 핵심에 존재하는 불확정성(uncertainty) 문제와 연결해 보려고 한다. 사법의 독립에 대하여 최종적인 정당화 논변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론적 자원들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 글은 우선 사법의 불가피성에 대한 논증에서 출발하여 사법 권력의 독립이 법관(배심)의 법적 면책에 대한 정당화 문제로 귀결되는 맥락을 헌법이론적으로 규명한다. 그리고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타자윤리를 경청하면서, 사법과정의 자기 환원성에 착안하여 사법의 독립이 근본적으로 법관(배심)의 몸의 문제일 수밖에 없음을 확인한다. 나아가 법관(배심)의 법적 면책과 주관적 양심을 연결하여 법의 지배의 정치적 순환과정을 정초하는 대목에서는 사법제도의 기원에 관하여 르네 지라르가 제시한 폭력과 성스러움의 동근원성(同根源性) 논의, 그중에서도 희생 제의의 폭력성에 관한 폭로 메커니즘에 주목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법의 지배’의 정치적 순환구조를 통해 자유민주주의가 ‘불확정성의 확정성’을 관리하고 있음을 밝히면서, 사법의 독립이 이를 지탱하는 하나의 기둥임을 주장한다. 흥미롭게도 이와 같은 논증은 양심과 민주정치의 관계에 주목하는 대한민국 헌법 제103조의 문장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이 글은 마지막 대목에서 헌법 제103조의 ‘깊은 해석’에 도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직접행동민주주의와 헌정수호 - 최근의 정치상황에 관한 이론적 성찰 : 직접행동민주주의와 헌정수호

        李國運(Kuk-Woon Lee) 한국헌법학회 2008 憲法學硏究 Vol.14 No.3

        이 글은 2008년 7월 10일 현재 계속되고 있는 촛불집회를 헌법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다. 촛불집회에 관하여 극단적으로 엇갈리는 긍정과 부정의 두 입장을 넘어서기 위하여 초점으로 삼은 것은 직접행동민주주의와 헌정수호의 문제다. 2008년 여름의 한국 사회에서 직접행동민주주의가 발현될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몇 차례의 선거과정에서 축적된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때문이다. 역대 최저의 투표율, 정당정치의 현저한 약화, 공적 정치과정이 아니라 사적 거래과정으로 전락한 선거, 선출된 대표들의 능력 바깥에서 삶의 영역을 직접적으로 진공해 들어오는 글로벌 이슈들, 무능할 뿐 아니라 권력 독점에 여념이 없는 선출된 대표들, 거기다가 지리멸렬한 야당, 다음 번 선거까지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을지 모른다는 무력감 등을 극복하기 위하여 헌법의 주어인 대한국민은 직접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드러내고 있다. 이 점에서 촛불집회는 직접적인 헌정참여의 형태로 대한국민의 헌정권력이 발현되는 헌법적 현장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헌정수호는 반드시 이와 같은 헌정권력을 대의민주주의의 갱신을 위한 동력으로 이끄는 방향에서 기획되어야 한다. 이를 부인하고 대의민주주의 체제 그 자체를 수호하는 것을 헌정수호라고 강변하다가는 자칫 거짓 헌정수호 또는 헌법침해를 정당화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또한 신자유주의적인 사회 자체의 재구성이 심화되는 현실 속에서 직접행동민주주의와 대의민주주의의 관계설정에도 많은 고민과 토론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theoretical understanding about the political struggles which had overwhelmed the main streets and squares of Seoul under the title of “Candle Demonstration” from May to July of 2008 in Korea. Being apart from the polemics on the candle demonstration in real political arena, the author starts with a kind of investigation upon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Korean politics. There were many signs that showed the political representation system was getting weaker and wrong-headed, for example low late of vote in election and the malfunction of party politics. The author wants to theorize the candle demonstration as a kind of direct action democrac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risi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because there were many interesting and moving features in the streets and squares showing that the Korean Nation, the subject of Korean Constitution, were revealing their “Constituent Power.” Hence, the author tries to grasp this direct action democracy as a kind of fountain of energy which can reform and renew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It is very unreasonable for him to regard the direct action democracy as an enem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 KCI등재

        한국의 변호사집단에게 프로페셔널리즘이란 무엇인가?

        이국운 ( Kuk Woon Lee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2 법과 사회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professionalism has meant to the Korean legal profession until 2012. After the first group of new attorneys came out from the Korean professional law school system this year, the need and pressure for more judicial professionalism in Korean society is now being increased so rapidly. It is so evident that the judicial bureaucratism which has governed Korean judicial system from its beginning will not be able to stand in a few years. In support of judicial professionalism for future direction of Korean judicial reform,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concrete and specific meaning of professionalism for Korean legal profession for the past 6 decades. The research has four steps. The first is to identify a concept of judicial professionalism in comparison with judicial state-ism, judicial maket-ism, and judicial bureaucratism. Second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Lawyer`s Act i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lawyer`s politics. Third is to justify that this analysis concludes with the idea of "decorative professionalism". Final step is to present a prospective on the future of Korean judicial system with an assertion that the legal education in the law schools should be more inclusive to the public aspect of lawyering in order to escape from decorative professionalism as soon as possible. I think that Korean legal profession is now faced with an urgent need of ethical lawyering movement, which should be based upon judicial professional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