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담보신탁계약에 의한 공매 등 매각절차에서 골프장시설을 취득한 자의 입회보증금반환채무 승계 여부-대법원 2018.10.18. 선고 2016다220143 판결-

        양형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1

        Since security trust is used a lot as a means of security for credit, various legal problems occur accordingly. The one which became an issue from the earlier times among these problems was whether th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private laws between sports facilities operator and members as well as th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public laws established in relation to sports facilities business were succeeded to and by a business assignee or a sports-required facilities undertaker, if sports facilities business or sports-required facilities were assigned to another person by a public auction sale or a private contract due to a real property security trust. In this regard, the Supreme Court 2016da220143 decision rendered on October 18, 2018 expressly stated that the public auction sale due to security trust fell under Article 27 Paragraph 2 No. 4 of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admitting the undertaker’s succession to the member agreement. The conclusion of targeted decision is reasonable in that there are no substantial differences to distinguish the cases of a public auction sale or a private contract based on the security trust agreement under the Trust Act from the auction procedures for the execution of security rights as provided in Article 27 Paragraph 2 No. 1-3 of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of rehabilitation procedure is intended to regulate the legal relations of stakeholders including creditors, shareholders against debtor on the verge of bankruptcy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promote the efficient rehabilitation of debtor or business thereof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Article 1). However, in the event of assignment of a golf course, the sports-required facilities as described in the case of rehabilitation of a membership golf course, if the rights and obligations due to the register or report of sports facilities business pursuant to Article 27 Paragraph 2 of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as well as th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private law-based agreement between sports facilities operator and members are succeeded to and by an assignee, it may result in depriving the debtor of opportunities for rehabilitation. Most of the membership golf courses in Korea are operated as an admission fee membership, which refers to the right which entitles the member to use golf course facilities preferentially (the right to use golf course facilities), and receive the return of the already-paid admission fee if any causes of contractual expiration for membership occur including withdrawal or termination of agreement (the right to claim for return of admission fee). The provision in Article 27 Paragraph 2 No. 1-3 of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admitting the succession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private law-based agreement between sports facilities operator and members does not conform to the system of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in case of property realization under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Therefore, in case of property realization under the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it is required to legislatively stipulate a provision not to admit the succession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private law-based agreement between sports facilities operator and members. 채권담보의 수단으로 담보신탁이 많이 활용되면서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법률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 중에서 일찍부터 문제되었던 것은, 부동산담보신탁에 따른 공매나 수의계약에 의하여 체육시설의 영업이나 체육필수시설이 타인에게 이전된 경우, 영업양수인 또는 체육필수시설의 인수인이 체육시설업과 관련하여 형성된 공법상의 권리․의무뿐만 아니라 체육시설업자와 회원 사이의 사법상 약정에 따른 권리․의무도 승계되는지 여부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상판결은 담보신탁에 따른 공매는 체육시설법 제27조 제2항 제4호에 해당한다고 명시적으로 판시함으로써 인수인에게 회원계약의 승계를 인정하고 있다. 신탁법상의 담보신탁계약에 따른 공매나 수의계약의 경우를 체육시설법 제27조 제2항 제1호 내지 제3호의 담보권실행 등을 위한 경매절차 등과 구분하여야 할 실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한편 회생절차는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파탄에 직면해 있는 채무자에 대하여 채권자․주주 등 이해관계인의 법률관계를 조정하여 채무자 또는 그 사업의 효율적인 회생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채무자회생법 제1조). 그런데 회원제 골프장 회생사건에서 체육필수시설인 골프장을 양수한 경우, 양수인이 체육시설법 제27조 제2항에 따라 체육시설업의 등록 또는 신고에 따른 권리․의무뿐만 아니라 체육시설업자와 회원 사이의 사법상 약정에 따른 권리․의무도 승계하도록 하면, 채무자가 회생할 수 있는데도 회생의 기회를 박탈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 회원제 골프장 대부분은 입회금회원제로 운영되고 있는데, 입회금회원권은 회원이 골프장 시설을 우선적으로 이용하고(골프장시설이용권), 이미 납입한 입회금은 탈퇴, 계약해지 등 회원권 계약 만료사유가 발생한 경우 반환받을 수 있는 권리(입회금반환청구권)이다. 이러한 골프장시설이용권과 입회금반환청구권은 재산상의 청구권으로서 회생절차 내에서 회생채권에 지나지 않으므로, 채무자회생법에 의한 환가의 경우에 체육시설업자와 회원 사이의 사법상 약정에 따른 권리․의무를 승계하도록 한 체육시설법 제27조는 채무자회생법의 체계와 정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채무자회생법에 의한 환가의 경우에는 입법적으로 체육시설업자와 회원 사이의 사법상 약정에 따른 권리․의무를 승계하지 않는다는 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채권자취소권에 관한 민법개정안의 검토

        양형우 한국민사법학회 2014 民事法學 Vol.69 No.-

        An obligee’s right for revocation of fraudulent act and the right of denial in bankruptcy proceedings have the same purpose in the sense that an obligee seeks to secure the responsible properties by revoking or denying an obligor’s fraudulent act. Therefore, the draft of the Civil Code amendment regarding an obligee’s right for revocation of fraudulent act is assessed as stipulating the right of denial in the Obligor Rehabilitation Act in an integrated and unified way. Also it is assessed as intending to seek a balanced regulation between an obligee and an beneficiary, and also among the obligees.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belonging, etc. of the surplus remaining after getting a dividend through the enforcement of forcible execution by an obligee against the real properties recovered in the name of an obligor based on a judgment of obligee’s revocation of fraudulent ac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legal foundation for a beneficiary to accept (admit) the forcible execution based on forcible title against an obligor within the extent of joint security. That is to say, the main text of Article 407-2, Paragraph 1 in the amendment draft shall be revised as “An obligee may enforce a force execution against the properties of a beneficiary acquired on the basis of legal acts specified in Article 406 in the name of an obligee within the extent of joint security in accordance with the Civil Execution Act.” In addition, the amendment draft has an academic value in that it is an outcome presenting a solution through the attempt of critical approach from various points of view with regard to the system of an obligee’s right for revocation of fraudulent act under operation depending on two articles in the abov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have further discussions in legal comparison together with practical review a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유치권부존재확인 확정판결과 후행 경매절차에서 유치권의 효력 - 대법원 2022.7.14. 선고 2019다271685 판결 -

        양형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1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9Da271685 decided July 14, 2022 states that if a defendant’s lien has become valid after the ruling on commencing an auction and before the ruling on commencing a double auction, when there is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confirming that the defendant did not have the lien during the previous auction, claiming that the defendant has the lien during the follow-up auction requested by the collateral mortgagee after withdrawing the previous auction does not go against the res judicata of the previous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confirming the nonexistence of the lien. Also, the decision states that the defendant can oppose the successful bidder using the lien during the follow-up auction taking place in succession of the withdrawn auction. That is, this decision is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to state that when the lien became valid after the ruling on commencing an auction and before the ruling on commencing a double auction, the lien has opposing power during the follow-up auction that took place due to the withdrawal of the previous auc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lien of the defendant falls under mercantile liens; therefore, it is unfortunate that the legal principles of a court ruling regarding a civil lien was applied to confirm the opposing power of the lien without stating the reason. In addition, due to the principle of takeover, the lien is not extinguished by sale. If a report is filed on the lien, the selling price of the immovable subject for auction drops. There have been criticisms that this violates the rights of both the successful bidder and the first priority security holder. The legal principles of court rulings reflect such criticisms and interpret the effect of the lien restrictively. However, in a legislative sense, like other collaterals, it is necessary to add a provision to recognize that a lien has preferential payment right, as well as abolish Article 91 (5) of the Civil Execution Act that defines the principle of takeover, and revise Article 91 (2) to state “All mortgages and lien on the sold immovables shall be extinguished by such sale.” 대상판결은 경매개시결정 후 이중경매개시결정 전에 피고의 유치권이 성립한 경우, 선행 경매절차에서 피고의 유치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유치권부존재확인 확정판결 이후에 피고가 선행 경매절차를 취하하고 근저당권자가 신청한 후행 경매절차에서 유치권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전소 유치권부존재확정판결의 기판력에 반하지 않는지 여부를 다루고 있다. 또한 취하된 선행 경매절차를 승계하여 속행된 후행 경매절차에서 유치권으로 피고가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되는데, 선행 경매절차에서는 유치권으로 대항할 수 없지만 선행 경매절차의 취하로 속행된 후행 경매절차에서는 유치권으로 대항할 수 있다고 밝힌 최초의 판결로서 의미가 있다. 다만 대상사건에서 피고의 유치권은 상사유치권에 해당하는데, 민사유치권에 관한 판례의 법리를 적용하여 유치권의 대항력을 인정하면서 그 이유를 밝히지 않는 점이 아쉽다. 한편 인수주의로 인해 매각으로 유치권이 소멸하지 않으며, 유치권의 신고가 있으면 경매부동산의 매각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매수인뿐만 아니라 선순위 담보권자의 권리가 침해된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판례의 법리는 이러한 비판을 반영하여 유치권의 효력을 제한적으로 해석하고 있지만, 입법적으로 다른 담보물권과 같이 유치권에 우선변제적 효력을 인정하는 규정을 신설하고, 인수주의를 규정한 민사집행법 제91조 제5항을 폐지하고 제2항을 “매각부동산 위의 모든 저당권과 유치권은 매각으로 소멸한다”고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파산관재인과 통정허위표시에서의 제3자- 대상판결 : 대법원 2005. 5. 12. 선고, 2004다68366 판결 -

        양형우 대한변호사협회 200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83

        Der Insolvenzverwalter ist die zentrale Figur des Insolvenzverfahrens. Mit der Eröffnung des Verfahrens geht das Recht des Schuldners, sein zur Insolvenzmasse gehörendes Vermögen zu verwalten und darüber zu verfügen, auf den Insolvenzverwalter über(§ 384 KInsO). In seinen Händen liegen jetzt die Verwertung des Schuldnervermögens, die Feststellung der zu befriedigenden Ansprüche und die Erlösverteilung. In dieser Arbeit ist in Bezug auf einen Darlehensvertrag der Bank mit einem Strohmann eine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Obersten Gerichthofs(KOGH 2005. 5. 12, 2004da68366) kritisiert. Nach dem KOGH soll der Insolvenzverwalter Dritter in dem Scheingeschäft sein, denn die Geltendmachung der Insolvenzforderungen ist nur in den Formen des Insolvenzverfahrens, also durch Anmeldung zur Insolvenzmasse, zulässig und er hat für Interesse der Insolvenzgläubigern mit gleicher Sorgfalt eines guter Verwalter sein Amt zu erfüllen. Aber der KOGH überzeugt nicht. Der Insolvenzverwalter ist für die Erfüllung der ihm obliegenden Pflichten Beteiligten verantwortlich(§ 361 II KInsO). ‘Beteiligte’ sind nicht nur der Schuldner und die Insolvenzgläubiger, sondern auch die Aus- und Absonderungsberechtigten, die Massegläubiger. Nach § 108 II KBGB kann die Nichtigkeit der simulierten Erklärung dem gutgläubigen Dritten nicht entgegengesetzt werden. Der Insolvenzverwalter ist kein Dritter in dem Scheingeschäft, weil er kein Interesse an Rechtsgeschäft eines Strohmannes hat und er sein Handeln nach seinen Aufgaben und nicht nach dem Interesse oder den Zielsetzungen des Insolvenzgläubigers, sondern nach Interesse aller Beteiligten auszurichten hat. 대상판결은 차명대출이 통정허위표시로서 무효임을 전제로 파산관재인은 민법 제108조 제2항 의 선의의 제3자에 해당한다고 한다. 여기서 차명대출은 통정허위표시로 무효인지, 통정허위표시를 한 일방당사자가 파산하여 파산관재인이 선임된 경우 그 파산관재인은 민법 제108조 제2항의 제3자에 해 당하는지가 문제이다. 통정허위표시에서 통정은 표의자의 의도에 대한 단순한 인식이 아니라 양해, 즉 가장행위에 대한 사실상의 합의를 의미한다. 따라서 명의차용자가 대출제한규정의 적용을 회피하기 위 하여 상대방인 금융기관의 양해 내지 합의하에 제3자의 명의를 빌려 대출약정을 체결한 경우, 명의대 여자와 금융기관 사이의 대출약정을 연대보증계약으로 해석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대상판 결과 같이 통정허위표시로서 무효라고 할 것이다. 다만 채무자와 통정허위표시에 의하여 거래한 상대 방이 채무자의 파산 여부에 따라 그 무효를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면 법적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는 점, 채무자의 실체적 권리관계를 왜곡하면서까지 파산재단을 두텁게 보호할 필요는 없 다는 점, 민법 제108조 제2항의 제3자는 허위표시에 의하여 외형상 형성된 법률관계를 토대로 새로운 법률원인으로 이해관계를 가지게 된 자를 의미하고, 새로운 법률원인은 법률행위 내지 거래를 전제로 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파산선고는 새로운 법률원인으로 볼 수 없다는 점, 파산선고 당시 채무자에 속 하는 적극재산만이 파산재단을 구성하는데, 가장채권은 적극재산이 아니라는 점, 가장채권자가 파산선 고를 받으면 가장채무자의 채권자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될 염려가 있다는 점, 통정허위표시, 착오․ 사기․강박에 의한 의사표시, 계약해제의 효과에서와 같이 채무자와 거래한 상대방이 환취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거래의 당사자보다 파산채권자를 보호해야 할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 사건에서 파산관재인의 제3자성은 부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보증인의 회생절차에서의 출자전환과 주채무자의 일부 변제 – 대법원 2023.5.18. 선고 2019다227190 판결 –

        양형우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4

        대상판결은 “보증인에 대한 회생계획인가로 보증채무가 감면되면 보증인이 주채무자의 채무를 일정한 한도에서 보증하기로 하는 이른바 일부보증과 유사한 법률관계가 성립한다. 일부보증의 경우 주채무자가 일부 변제를 하면 보증인은 남은 주채무자의 채무 중 보증한 범위 내의 것에 대하여 보증책임을 부담한다. 따라서 보증인에 대한 회생계획인가 후 주채무자의 변제 등으로 주채무가 일부 소멸하는 경우 보증인은 회생계획에 따른 변제금액 중 주채무자의 변제 등으로 소멸하고 남은 주채무를 한도로 한 금액을 변제할 의무가 있다”고 한다. 이는 회생계획의 내용에 따라 회생채무자인 보증인의 보증채무가 일부 감면된 경우, 일부보증의 법리가 적용된다고 선언한 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이 사건 회생계획에 의하면, 회생채권자의 회생채권인 구상금채권은 회생채무자인 보증인이 주채무자를 위하여 채무를 대위변제하여 확정된 금액 전체를 기준으로 출자전환액(63%)과 현금변제액(37%)이 산정되었고, 회생채무자인 보증인이 회생계획에 따라 감면받은 바가 없으므로, 일부보증의 법리를 적용한 대상판결의 태도는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 여럿이 각각 전부 이행을 해야 하는 의무를 지는 경우, 그중 1인의 변제는 다른 전부 이행을 할 의무를 지는 자에 대해서도 절대적 효력이 있으므로, 회생채권자는 자신의 채권 중 변제 등으로 소멸된 나머지 채권에 대해서만 보증인에게 청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보증인에 대한 회생계획인가 후 주채무자의 변제 등으로 주채무가 일부 소멸한 경우, 주채무자의 변제금액만큼 보증인의 보증채무는 최초 성립한 구상금채무를 기준으로 산정된 회생채무자인 보증인의 출자전환액(63%)과 현금변제액(37%)의 비율로 소멸한다고 볼 것이다. Supreme Court Decision 2019Da227190 decided on May 18, 2023 states that “When the guarantor’s guarantee obligation is reduced due to the approval of a rehabilitation plan, a legal relationship similar to a so-called partial guarantee is established, in which the guarantor guarantees the debt of the principal obligor to a certain limit. In the case of a partial guarantee, if the principal obligor makes a partial repayment, the guarantor is liable for the remaining principal obligor’s debt within the scope of the guarantee. Therefore, if the principal debt is partially extinguished due to the repayment of the principal obligor after the approval of the rehabilitation plan for the guarantor, the guarantor is obligated to repay the amount of the remaining principal debt after the repayment of the principal obligor under the rehabilitation plan.” This is significant because the court declared that the law of partial guarantee applies when the guarantee obligation of a guarantor, that is a rehabilitated obligor, is parti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plan. However,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plan in this case, for the indemnity bond, which is the rehabilitation bond of the rehabilitated creditor, the conversion of investment (63%) and cash repayment (37%)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entire amount confirmed after payment by subrogation done by the guarantor, that is the rehabilitated obligor, for the principal obligor. And, there was no reduction of the guarantor’s obligation under the rehabilitation plan. Therefore, the attitude of the court in applying the doctrine of partial guarantee cannot be considered valid. In the case of multiple obligors, each of whom is obligated to perform in full, the repayment of one of them is absolutely effective against the other obligors. Thus, the rehabilitated creditor can only claim against the guarantor for the remaining portion of his or her obligation that has been extinguished by repayment. Therefore, if the primary obligation is partially extinguished by the principal obligor’s repayment after the approval of the rehabilitation plan for the guarantor, the guarantor’s obligation to the extent of the principal obligor’s repayment will be deemed extinguished in the ratio of the conversion of investment (63%) and the cash repayment (37%) of the guarantor, that is the rehabilitated obligor,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initially established indemnity debt.

      • KCI등재후보

        회생절차에서의 구상권과 변제자대위 - 대법원ᅠ2015. 11. 12.ᅠ선고ᅠ2013다214970ᅠ판결 -

        양형우 한국채무자회생법학회 2016 회생법학 Vol.13 No.-

        대상판결은 채무자에 대한 회생절차에서 회생채권자가 자신의 구상권을 회생 채권으로 신고하지 아니하여 채무자가 구상권에 관하여 책임을 면하는 경우, 회 생채권자가 변제자대위에 의하여 채권자를 대위하여 채권자의 채권 및 그 담보 에 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구상권과 변제자대위에 의하여 행사할 수 있는 채권자의 채권(원채권)은 주종관계에 있다는 점, 회생계획인가 결정으로 회생채무자의 채권자에 대한 구상채무는 면책되므로 회생채권자의 구 상권은 소구력과 집행력을 상실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현가능성이 없는 구상권의 확보를 위하여 변제자대위를 인정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 반면에 건설공제조합(피고)의 보증은 타인을 위한 보험계약의 형식을 취하고 있 으나 그 실질은 민법상 보증과 동일하므로, 원고는 공동보증인 사이의 구상권에 관한 민법 제448조에 의하여 피고에 대하여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2013-Da-214970ᅠ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made on November 12, 2015 indicates that a rehabilitation creditor has failed to report his/her right of reimbursement as the rehabilitation claim in a rehabilitation procedure against a debtor so that the debtor is exempted from the right of reimbursement, the rehabilitation creditor can subrogate the creditor and exercise the right for the creditor's claim and security.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ight of reimbursement and the claim (original claim) of the creditor which can be exercised due to subrogation by a person who has performed obligation stand in the relation of master and servant and the creditor and the rehabilitation creditor's right of reimbursement loses it's right of recourse and power of execution since the rehabilitation debtor is exempted from the claim for recourse to the creditor, it is not reasonable to acknowledge the subrogation by a person who has performed obligation for securing the right of reimbursement which is not feasible. On the other hand, the guarantee of the Construction Guarantee (defendant) takes the form of insurance contract for others but its substantiality is same as guarantee under the Civil Act, so the plaintiff can exercise the right of reimbursement against the defendant according to Article 448 of the Civil Act regarding the right of reimbursement among co-sur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