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과 이익배당청구권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2. 8. 19. 선고 2020다263574 판결 -

        황현영 한국경제법학회 2023 경제법연구 Vol.22 No.1

        Shareholders right to receive dividends is an important right enjoyed in the position of shareholders, but shareholders right to claim dividends is nothing more than an abstract right to mean that it is possible to receive dividends in the future. That is because the Korean Supreme Court’s firm legal principle is that shareholders will not be recognized the right to claim specific and definitive dividends until the profit dividend is approved by the Financial Statements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other words, if in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or in the board of directors it is decided not to pay dividends, shareholders have no right to claim for dividends. However,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were introduced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Act in 2011, and legal principles on how to view the right to claim dividends for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were not established. About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revised Commercial Act took effect, and an important legal principle on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was laid down in the Supreme Court ruling sentenced on August 19, 2022. In the first and second trials, adhering to the existing Supreme Court law it was judged that shareholders could not claim dividends unless the company made a decision on dividends. However,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in the case of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there is a specific right to claim profit dividends as prescribed by the articles of association without the company's decision on dividen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Supreme Court ruling was reviewed by issue along with the facts of the case and the progress of the lawsuit.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converting common shares into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and reviews the basis for recognizing the specific right to claim profit dividends for different classes of shares concerning profit dividends. 주주의 배당권은 주주의 지위에서 누리는 중요한 권리이지만, 주주의 이익배당청구권은 장차 이익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의 추상적 권리에 지나지 않는다. 배당결정기관인 주주총회나 이사회에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가 승인됨으로써 이익배당이 확정될 때까지는 주주에게 구체적이고 확정적인 배당금지급청구권이 인정되지 아니한다는 것이 우리 대법원의 확고한 법리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에서 배당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경우 주주 입장에서 배당을 요구할 권리는 없다. 그런데 2011년 개정상법으로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이 도입되었고, 종류주식에 대한 이익배당청구권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법리가 확립되지 않았다. 개정 상법이 시행된지 약 10년의 시간이 지났고, 2022년 8월 19일에 선고된 대법원 판결에서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에 대한 중요한 법리가 설시되었다. 1심과 2심에서는 기존의 대법원 법리를 고수하며, 회사가 배당에 대한 결정을 하지 않으면 주주들은 배당을 요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대법원에서는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의 경우 회사의 배당 결의 없이도 정관에서 정한 내용대로 구체적 이익배당청구권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당 사건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와 함께 대법원 판결의 의미를 쟁점별로 검토하였다. 먼저 보통주식을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으로 변경한 행위의 효력을 살펴보고 종류주식에 구체적 이익배당청구권이 인정된 근거를 검토한다.

      • KCI등재

        2015년 M&A 관련 개정 상법의 주요내용과 과제

        황현영 한국경영법률학회 2016 經營法律 Vol.26 No.3

        The amendment of Company Part in Korean Commercial Act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on 12 November 2015 and came into force on 2 March 2016. The amendment was placed after a year from amendment in 2014 which abolished equity holdings and a large-scale revision of Company Part in Commercial Act in 2011. This amendment in Company Part is distinctive in the follow up of 「M&A Activation Plan」 jointly announced by seven government agencies for government policy package; economy activation. The Activation Plan provided 25 improvements and those plans are in motion under each government agencies. Ministry of Justice legislated the amendment of Commercial Act for a improvement of M&A system and procedure as it already announced to introduce triangle share swaps, a triangle merger after division, and a simplified business transfer. 24 articles were amended, one article was newly inserted, and 2 articles were deleted in amended Commercial Act. In criterion related contents, amendments can divided into two. one is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s like triangle share swaps, the other is a improvement of system related to merger and division. 24 articles were amended, one article was newly inserted, and 2 articles were deleted in amended Commercial Act. In criterion related contents, amendments can divided into two. one is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s like triangle share swaps, the other is a improvement of system related to merger and division. As M&A relevant systems; triangle share swaps, triangle merger after division, and simplified business transfer system are introduced. Next, for the improvement of system related to merger and division, a relationship of rights and duties of shareholders without voting rights was made clear and newly inserted period of request for appraisal rights regard to appraisal rights of opposing shareholders. Also, a reorganization related system was modified. Company’s own share shall be aggregated in case of small scale merger and regulations about small scale share swap were relaxed. Reflected flexibility of swaps and a division allowing transfer of company’s own share instead of issuance of new shares and following non-capital increasing swaps and division. Lastly, a regulation of a division was improved by defining name of division related company as abbreviation and inserted division date. Penal provision on acquirement of shares of parent company was also inserted. Insert of a new article allowing direct issuance of shares by parent company in case of triangle reorganization, unification of standards for small scale reorganization, issue of concern to find balance between procedural efficiency in exercising appraisal rights of opposing shareholders and protection of shareholders, benefits in taxation from triangle reorganization are suggested as future tasks induced by amended Commercial Act related to M&A. 지난 2015년 11월 12일 상법 회사편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고, 2016년 3월 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2011년 상법 회사편의 대대적인 개정이 있었고, 그 후 2014년 무기명주식을 폐지하는 개정이 있은 후 1년만에 이루어진 상법 회사편의 개정이다. 이번 상법 회사편 개정은 경제 활성화라는 정부 정책기조에 맞추어 2014년 3월 7개 부처가 공동으로 발표한 「M&A 활성화 방안」의 후속조치라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M&A 활성화를 위한 25개의 개선과제를 제시하였고, 각 부처에서 진행 중에 있다. 법무부는 M&A 제도 및 절차 개선을 위한 상법 개정사항으로 삼각분할합병, 삼각주식교환, 간이영업양수도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하였는 바, 이를 입법화한 것이다. 개정 상법은 구체적으로 24개 조문을 개정하고, 1개 조문을 신설하며, 2개 조문을 삭제하였는데, 내용을 기준으로 크게 분류하면 삼각주식교환 등 새로운 제도의 도입과 합병과 분할 관련 제도의 정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M&A 관련 새로운 제도로 삼각주식교환, 삼각분할합병, 간이영업양수도 제도를 도입하였다. 다음으로 합병·분할 관련 제도 정비로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과 관련하여 무의결권 주주의 권리관계를 명확하게 하였고 매수청구기간을 신설하였다. 또한 소규모 합병 기준 관련 자기주식 합산을 명문화 하고 소규모 주식교환 요건을 완화하는 등 소규모 조직재편 관련 제도를 정비하였고, 신주발행에 갈음하여 자기주식을 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정비하고 교환·분할 대가의 유연화를 반영하였으며 이에 따른 무증자 교환·합병 규정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분할 관련 회사의 명칭을 약칭으로 정의하고, 분할기일을 신설하는 등 분할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모회사 주식의 취득에 대한 벌칙 규정을 두었다. 이러한 M&A 관련 개정 상법에 대한 향후 입법 과제로 삼각조직재편시 모회사에 의한 신주의 직접 발행을 허용하도록 하는 규정의 신설, 소규모 조직재편의 기준을 일원화하는 정비, 합병유지청구권 등 주주보호방안 마련, 삼각 조직재편에 대한 과세혜택 인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실질적인 주주권 강화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황현영 한국증권법학회 2019 증권법연구 Vol.20 No.1

        International assessment of Korea’s corporate governance is in conflict. The World Bank, which evaluates corporate governance focused on objective indexes such as legal system, ranked South Korea’s small investor protection 13th among 190 countries. On the other hand, World Economic Forum where additionally reflects subjective indexes such as survey on interested parties in addition to objective indicators, ranked South Korea’s small investor protection 97th out of 137 countries. Analysts from ACGA, an institutional investor group in Asia and CLSA, based in Hong Kong, both ranked South Korea’s corporate governance as the lowest among all Asian countries. I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asons for the different results, South Korea’s legal system in relation to corporate governance is assessed to be relatively good, but in reality, it seems that the legal system is not operating effectively. Therefore, proposing alternative by finding out the parts regarding stockholder’s right that are guaranteed in the actual law but do not function in reality, is a necessary assignment to strengthen the substantive stockholder’s right. In the name of policy and legal assignment to enhance substantive stockholder’s right, this dissertation examined 3 issues regarding stockholders’ right. Firstly, This dissertation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 Commercial Law protects stockholder’s right restricting the assignment of new shares to the third party in order to guarantee proportional position of stockholders, but in reality, the disposition of treasury stocks has the same effect as a third party allocation of new shares without informing existing shareholders of the allocation of new shares to third parties. Also,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removing the mandatory disclosure exceptions from the Capital Markets Act and preparing a plan to secure fairness in disposition of treasury stock are proposed. Secondly, the Commercial Law allowed dividends from shareholders and prescribed the dividend to be made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shareholders. However, in reality, Dividend related shareholder proposals are becoming ineffective, and dividend in the holding company is paid differently because of the brand royal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stitutional countermeasures to encourage the dividend – related shareholder proposals and preparing ways to regulate the difference dividends of holding companies are suggested. Finally, with respect to shareholder voting rights, the Commercial Law prescribed various methods for exercising voting rights, but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attend physical meetings because of the concentration of shareholders general meetings. Also, only a few companies adopted written and electronic voting system. This restricts the exercise of shareholders’ voting rights. To solve this issue, this dissertation proposed some ways to disperse shareholders’ meeting concentration and suggested more alternatives to complement shareholders’ method of exercising shareholder voting rights.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국제적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법 제도 등 객관적 지표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세계은행은 우리나라의 소액투자자 보호 순위를 190개국 중 13위로 높이 평가한 반면, 객관적 지표 외에도 이해관계자에 대한 설문조사 등 주관적 지표를 추가적으로 반영하는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액투자자 보호 순위를 137개국 중 97위로 낮게 평가하고 있다. 아시아에 투자하는 기관투자자들의 모임인 ACGA와 홍콩계 증권회사인 CLSA의 애널리스트들은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 순위를 아시아 국가들 중 최하위로 평가하고 있다. 이렇게 상이한 결과가 나오는 이유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한 법․제도는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 해당 제도들이 실효성 있게 운영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주권과 관련하여 실제 법에서는 보장하고 있으나 현실에서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실질적인 주주권 강화를 위해 필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주권과 관련하여 3가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상법에서는 주주의 비례적 지위를 보장하기 위해 신주의 제3자 배정을 제한하여 주주권을 보호하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신주 제3자 배정 사실을 사전에 주주들에게 알리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 있고 자기주식의 처분을 통해 신주의 제3자 배정과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행위가 제한없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자본시장법상 공고 예외의무 규정을 삭제하고, 자기주식 처분시 신주의 제3자 배정과 유사한 규제를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상법에서는 주주의 배당권을 인정하고 주주평등원칙에 의한 이익배당이 이루어지도록 정하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배당 관련 주주제안이 무력화되고 있고 지주회사에서는 브랜드 로열티 등 수수료라는 이름으로 차등배당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당 관련 주주제안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책을 제시하고, 지주회사의 차등배당에 대한 규제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주의 의결권과 관련하여 상법에서는 다양한 의결권 행사방법을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 현실에서는 주주총회 개최일이 집중되어 있어 주주들이 주주총회 현장에 참석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힘들고 서면투표·전자투표를 채택한 회사가 저조하여 주주의 편리한 의결권 행사가 제한받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주총회 집중도를 분산하기 위한 방안과 주주의 의결권 행사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상장회사 특례조항의 법체계적‧내용적 문제점과 개선과제

        황현영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2

        Although listed companies account for only 0.28% of the total number of companies in South Korea, they hav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increasing GDP and creation of jobs. Considering this important roles of listed companies in the modern economy, the legislation on listed companies should not only provide the basis of rules necessary for their operation, but also provide a legal basis for improving the company’s global competitiveness. However, in South Korea, the articles on listed companies were dualized into the 「Commercial Act」 and the 「Capital Market Development Ac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nd developing legislation for promoting their listing by policy, and were transferred to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after the abolition of the 「Capital Market Development Act」. As the special articles on the listed companies in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was still stipulated in the 「Commercial Ac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without legal consistency checks, it causes problems of legal inconsistency between each of provisions. Hereupon, in this paper, the legal problems about listed companies were examined, dividing them into legal systematic problems and content problems. In the current law, there have been conflicts in the application of priority between general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Act」 and the special laws of the listed companies, and it has caused confusions among the men with convictions. Also, the regulation on governance related to listed companies is the same as the U.S. system since the crisis of IMF, and there is an issue that the system of appointing outside directors and auditing committees does not conform to the reality of Korean compan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insisted on unifying the legal system related to listed companies, and for the concrete legislative method it proposed 3 ways. This paper also suggested raising the asset size standard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reality by reviewing the mandatory provision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of the listed companies and to improve the mandatory provisions of the current law concerning the formation of outside directors and audit committees. 상장회사는 국가 경제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상장회사의 성장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법제를 잘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상장회사 관련 규정들은 입법 연혁적으로 도입되고 발전되는 과정에서 법체계적으로 정합성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국가가 정책적으로 상장 촉진을 위한 입법을 단행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상장회사 관련 법제가 상법과 자본시장육성법으로 이원화되었다. 이후 자본시장육성법의 상장회사 특례조항은 증권거래법으로 잉관되었고, 증권거래법 폐지 이후 해당 조항들이 법적 정합성 검토없이 그대로 상법과 자본시장법에 나뉘어 규정되면서, 각 조항들 사이에 법적으로 정합성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IMF 이후 감사위원회 의무구성 등의 규정이 도입되면서, 자산규모에 따라 획일화된 기업지배구조가 도입당시로부터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동일하게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장회사 특례조항 관련 법체계와 내용으로 나누어, 입법 연혁을 통한 문제점과 사례를 통한 문제점을 각각 살펴보았다. 먼저 법체계적으로 살펴볼 때 상법의 일반조항과 자본시장법의 상장회사 특례조항 사이에서 정합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상법의 주식회사 관련 일반조항과 상장회사 특례조항 사이의 적용 우선순위에서 충돌하여 수범자에게 혼란을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내용과 관련하여 상장회사 관련 지배구조 규정은 IMF 이후 미국식 제도를 그대로 도입한 것으로 사외이사 의무 선임과 감사위원회 의무 구성제도가 우리 기업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상장회사 관련 법 체계를 일원화 할 것을 주장하며 구체적인 입법 방식으로 3가지를 제안하였다. 또한 상장회사의 기업지배구조 관련 의무 규정을 재검토하여 경제현실에 부합하게 자산규모 기준을 상향할 것과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구성과 관련한 현행법상의 의무규정을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상법 개정안의 쟁점별 검토―제20대 국회 논의를 중심으로―

        황현영 한국증권법학회 2017 증권법연구 Vol.18 No.3

        Lately in the National Assembly, the legislative body, the commercial law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At the 17th National Assembly amendment of commercial law ended up proposing 10 cases, but at the 18th National Assembly 27 cases were proposed, and at the 19th National Assembly 53 cases, which show the gradual increase. And currently on 30th of November, when 1 and a half years passed since the 20th National Assembly, 43 cases of amendment of commercial law are proposed. In this thesis the main details about the amendment of commercial law on companies proposed at the 20th National Assembly were examined, and found out how much progress in discussion has been made on this, and some main issues were inspected. The main content of the amendment of commercial law discussed presently is about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and this content was announced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pledge in 2012. This was discussed several times in the subcommittee of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which is the jurisdiction committee for commercial law, but it hasn’t been able to come to an agreement yet. Several measures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re being proposed, but in this thesis it restricted to audit committee, mandatory cumulative voting, electronic voting compulsory and multiple derivative suits. For each issue differences in bills proposed are compared, introduced amendment proposed during the discussion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suggested opinions on examination. 최근 입법기관인 국회에서는 상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17대 국회에서는 상법개정안이 10건 발의되는데 그쳤으나 제18대 국회에서는 27건이 발의되었고, 제19대 국회에서는 53건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그리고 제20대 국회가 시작된지 1년 반의 시간이 지난해 11월 30일 현재, 43건의 상법개정안이 발의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20대 국회에 발의된 상법 회사편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논의 경과와 쟁점을 살펴보았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상법 회사편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것으로, 이는 2012년 제18대 대선 당시 공약으로 발표된 내용들이다. 상법의 소관 위원회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소위에서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쳤으나,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여러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감사위원 분리선출, 집중투표 의무화, 전자투표 의무화, 다중대표소송에 한정하여 검토하였다. 각 쟁점별로 발의된 법안들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국회 논의 과정에서 제안된 수정안을 소개하며, 해외 입법례와 우리나라 기업현실을 토대로 하여 검토의견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개정상법상 자기주식 관련 해석상ㆍ실무상 쟁점 검토

        황현영 법무부 2012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60

        The revised commercial law enacted since April 2012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relating to a finance structure of a corporation. From those changes, the new regulations on corporation's own stock, have been gaining the most attention in the field. With the current commercial law, they basically banned the corporations from acquiring the corporation's own stock, unless the purposes of the acquisition would be specific ones as merger and stock retirement. However, now, the law has announced that they will accept the corporation's own stock, of a business because they have learned that the corporation’s acquisition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will make the financial management greatly reflexible which could be also used to protect the management rights of the concerned corporation. Meanwhile, the revised law has been still controling a source of revenue and ways of acquisition. Not only did the new law relax the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but it also brought changes to other rules related to disposal and retirement. For that reason, various issues are now being proposed in terms of how the changes w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in the field. There are already so many advanced researche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nd, in this thesis, other theoretical issues which have been never discussed before were analyzed while as many as questions which have been asked several times by people using the corporation's own stock, policy were proposed. To begin with, regarding the acquisition, the regulations on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y the commercial law. When the acquisition is gained in purpose of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law would control a resource of revenue (Article 341). When the corporation acquires the corporation's own stock, in purpose of capital transaction not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law would control a purpose of the acquisition (Article 341, Section 1). First of all, regarding the former matter of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s, the thesis conducted a thorough investigation on a source of acquired revenue, decision-making of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board of directors, acquisition by shareholder's equality principle, expecting results and prices of the acquisition and procedures and a range of acquisition. In addition, regarding the latter matter, the thesis discussed specific purposes enumerated by the law including issues relating to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sition gained under disguised ownership or by intentions of the corporation. For the corporation's own stock, acquired by the corporation, a legal status whether the corporation could take public interest rights and private interest rights was discussed. The thesis also explained how the concerned stock could be utilized by the commercial law in terms of security, dividends and substitution for new shares issue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The revised commercial law brought huge changes concerning the acquisition of corporation's own stock, but they still have not been clear enough on disposal. Regarding the problem, the thesis proposed what the commercial law would need to work on relating to the disposal of the corporation's own stock, that the corporation has acquired for a special purpose while it still secured the fairness of corporation's own stock, disposal. Last but not least, the corporation's own stock, disposal regulations by the revised commercial law were discussed while ways to improve regulations on no-value stock disposal were proposed. 2012년 4월 시행된 개정상법은 회사의 재무구조와 관련하여 많은 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에서도 실무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 자기주식 관련 규제의 변화이다. 구 상법에서는 회사의 자기주식 취득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합병, 주식소각 등 특정한 목적에 의한 취득만을 예외적으로 허용하였다. 그러나 개정상법은 자기주식의 취득에 관한 규제를 완화하였을 뿐 아니라 처분․소각과 관련한 규제도 대폭 수정하였다. 이로 인하여 해석상․실무상 여러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껏 논의된 이론적 쟁점들을 정리하는 동시에 실무에서 자기주식제도를 활용하며 궁금해 하고 있는 쟁점을 최대한 모두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취득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상법상 자기주식취득에 관한 규제는 2가지로 나뉜다. 배당가능이익으로 취득하는 경우에는 재원규제를 하고(341조), 배당가능이익이 아닌 회사의 자본거래로 자기주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목적규제를 하고 있다(341조의2). 먼저 전자의 경우 배당가능이익이라는 취득 재원,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라는 의사결정 방법, 주주평등원칙에 의한 취득 방법, 취득의 대가 및 가격, 구체적인 취득 절차와 범위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후자의 경우 법이 열거하고 있는 특정목적을 설명하고, 그 외 위법한 자기주식의 취득, 타인명의․회사계산에 의한 자기주식 취득과 같은 쟁점들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회사가 취득한 자기 주식은 공익권과 자익권을 가질 수 있는지 법적 지위에 대해 논하였고, 해당 주식을 상법상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자기주식의 담보, 배당, 신주발행의 대용 등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개정상법은 자기주식의 취득에 대하여 큰 변화를 가져왔으면서도, 처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해 자기주식처분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특정목적으로 취득한 자기주식의 처분과 관련하여 입법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상법상 자기주식의 소각 규정을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금융리스계약에서의 중대한 사정변경에 의한 해지와 손해배상에 대한 연구 - 대법원 2022. 2. 10. 선고 2021다259299 판결 -

        황현영 한국기업법학회 2022 企業法硏究 Vol.36 No.2

        In 1995 at the time of amendment of the commercial law lease, franchise, and factoring were newly established as new types of commercial activities, but lease legal relations were dependent on agreement in contractual terms and conditions because specific legal relations were not stipulated. However, in the 2010 revised Commercial Act, Chapter 12 was added to Part II to create four new provisions related to financial leases, and in particular, unlike the conventional financial lease terms and conditions, a new regulation was established that allows Financial Lessees to terminate financial lease contracts if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circumstances (Article 168-5(3)). If a financial lessee is unable to continue to use an article under financial lease due to significant changes in circumstances, he/she may terminate the financial lease contract by notifying it three months in advance. In such cases, the financial lessee shall compensate the financial lease holder for damages suffered by the financial lease business entity due to cancellation of such agreement. However, despite the revision of the law, a meaningful ru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arget judgment") was sentenced by the Supreme Court on February 10, 2022 regarding the right to terminate financial leases, while the terms and conditions prohibiting termination are still used in practice. In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168-5 (3) of the Commercial Act, the target judgment contains the court's judgment on whether damages should be paid in advance to exercise the right to terminat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upreme Court's judgment on the target judgment was examined after explaining the facts of the target judgment and the progress of the lawsuit, as well as the general theory of the termination of the financial lease contract. 1995년 상법 개정시 새로운 유형의 상행위로 리스(Lease), 프랜차이즈(franchise), 팩토링(factoring)을 신설하였으나, 구체적인 법률관계에 관해서는 규정하지 않아서 리스의 법률관계는 당사자 간의 약정 또는 약관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런데 2010년 개정 상법에서는 제2편(상행위)에 제12장을 추가하여 금융리스 관련 4개의 조문을 신설하였고, 특히 종래의 금융리스약관과 달리 리스이용자도 중대한 사정변경이 있는 경우 금융리스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개정 상법 제168조의5 제3항에서는 리스계약 당시 예견할 수 없었던 중대한 사정변경이 발생한 경우 예외적으로 리스이용자가 3개월 전에 예고하고 금융리스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되, 그로 인해 발생하는 손해를 배상하도록 하였다. 다만 이러한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무에서는 중도해지를 금지하는 약관이 통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2022년 2월 10일 대법원에서 금융리스의 해지권과 관련하여 의미있는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이 선고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상 판결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와 함께 금융리스계약의 중도해지에 대한 일반론을 설명한 후 대상판결에 나타난 금융리스계약에서의 중대한 사정변경에 의한 해지의 요건을 살펴보았다. 대상판결에는 상법 제168조의5 제3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중대한 사정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손해배상금 지급이 해지권 행사의 요건인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포함되어 있다. 대상판결에서는 공급자의 폐업으로 인해 리스물건의 관리가 불가능하고 그로 인해 물건을 정상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중대한 사정변경에 해당한다고 보아 상법 제168조의5 제3항에 의한 해지를 인정하였다. 이는 상법상 금융리스의 중대한 사정변경은 민법상 사정변경 보다는 넓게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중도해지 금지 약관에도 불구하고 상법 제168조의5 제3항의 요건을 갖출 경우 리스이용자가 해지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해지권 행사를 위해 손해배상금을 사전에 지급할 필요가 없음을 분명히 하였다는 점도 대상판결의 의의라 하겠다. 상법 제168조의5 제3항이 신설되어 리스이용자도 중대한 사정변경이 있는 경우 금융리스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음에도 여전히 실무에서는 중도해지를 금지하는 특약을 사용하고 있었던 거래현실에서, 이러한 특약은 무효라고 판단한 법원의 판결은 의미가 있다. 또한 3개월의 예고기간이 도과한 이후 손해배상없이 즉시 계약의 해지된 것으로 보아 신속하게 법률관계를 정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해지 이후에 손해배상의 문제가 남아있고, 이때 구체적인 손해배상액을 어떻게 산정할 것인지에 대한 법원의 구체적 판단은 없으므로 향후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최근 ‘공정경제’ 관련 입법에 따른 기업지배구조 제도 변화에 관한 검토

        황현영 법제처 2021 법제 Vol.694 No.-

        2020년 연말, 경제계의 화두는 ‘공정경제 3법’이었다. 정부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이 공정경제의 근간임을 강조하며, 「상법」 개정·공정거래법 개정·금융복합기업집단감독법 제정을 ‘공정경제 3법’으로 추진하였다. ‘공정경제 3법’ 뿐만 아니라 최근 몇 년간 시행령‧고시 등 행정입법을 통하여 기업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제도 변화가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추진된 법률·시행령·고시 등 법령의 제·개정의 내용 가운데 주주총회·이사회·감사 등 기업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친 제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주주총회 등 주주권 관련 제도 변화 및 과제로 주주총회 의안 관련 정보 제공, 전자투표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 소수주주권 관련 규정 정비를 통한 주주권 강화, 배당기준일 관련 규정 정비를 통한 주주총회 개최일 분산,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사회 등 경영권 관련 제도 변화 및 과제로 임원 후보자의 정보 공개, 사외이사의 독립성 제고, 이사회 구성의 다양화, 다중대표소송제도 도입, 이사의 취업 제한 강화, 기업집단의 경영 관련 규제 강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사 관련 제도 변화 및 과제로, 외부감사 및 내부감사 기능 강화, 감사위원 분리선출, 감사선임시 주주총회 결의요건 완화, 감사위원회 자격 명확화를 살펴보았다. 다만 다양한 제도 변화가 있어서 이를 심도있게 다루기에는 지면과 연구의 깊이에 한계가 있어, 이를 쟁점별로 정리하고 소개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각 제도에 대한 평가 및 과제를 간단히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법 제542조의9 제1항을 위반한 신용공여행위의 효력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17다261943 판결 -

        황현영 한국상사법학회 2021 商事法硏究 Vol.40 No.1

        In the Commercial Act Article 542-9 (1) provides for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to major shareholders of listed companies. Furthermore, it sought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redit prohibition (Article 624-2, Article 634-3), by setting Criminal Punishment for when it is violated. Laws have not been established on how the private effect of the act would be viewed if major shareholders, etc. violated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rules. However,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the distribution of dividends sentenced on 29 April 2021 established an important law relat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made four important decision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ct of violating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First of all, if you look at the legislative purposes and content of Article 542-9 (1) of the Act, and the fact that criminal punishment is made for violations, credit granting made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s above is unacceptable and it is invalid, as it constitutes a mandatory provision. In addition, the act of credit granting is prohibited with or without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so it cannot be valid even with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approval. Anyone can claim the nullification of such a breach of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However, even if a credit granting violates Article 542-9 (1) of the Commercial Act, a third party cannot claim invalidity unless there is a gross negligence in which a third party does not know about it and does not know it.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the judicial effectiveness of the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f credit granting, along with the facts of the case and the progress of the lawsuit, was reviewed by issue. 우리 상법은 제542조의9 제1항에서는 상장회사의 주요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 금지를 규정하고 있다. 나아가 이를 위반할 경우 형사처벌도 두어서, 신용공여금지의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제624조의2, 제634조의3). 만약 주요주주 등이 이러한 신용공여금지 규정을 위반한 경우, 해당 행위의 사법적 효력을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법리가 확립되지 않았다. 그런데 2021년 4월 29일에 선고된 배당이의에 대한 대법원 판례에서 신용공여금지 위반행위의 효력과 관련하여 중요한 법리가 설시되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신용공여금지를 위반한 행위의 효력과 관련하여 4가지 중요한 판단을 내렸다. 먼저 법 제542조의9 제1항의 입법 목적과 내용, 위반행위에 대해 형사처벌이 이루어지는 점 등을 살펴보면, 위 조항은 강행규정에 해당하므로 위 조항에 위반하여 이루어진 신용공여는 허용될 수 없는 것으로서 무효이다. 또한 신용공여행위는 이사회의 승인 유무와 관계없이 금지되는 것이므로, 이사회의 승인이 있어도 유효로 될 수 없다. 이러한 신용공여금지를 위반한 행위의 무효는 누구나 주장할 수 있다. 다만 상법 제542조의9 제1항을 위반한 신용공여라고 하더라도 제3자가 그에 대해 알지 못하였고 알지 못한 데에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에는 그 제3자에 대하여는 무효를 주장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당 사건의 사실관계 및 소송의 경과와 함께 신용공여금지위반의 사법적 효력과 관련한 대법원 판결의 의미를 쟁점별로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