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요구

        황해익(Hwang HaeIk),송연숙(Song YeonSook),조영기(Cho YoungG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과학교수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전 연구로 현직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수감한 유아과학교육 강좌에 대한 제반적인 인식과 만족도 및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수업의 내용에서는 최근 교사교육의 경향을 반영하듯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능력과 실천적 지식을 강화하는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수방안을 다루고 있지만 강좌의 수업진행은 여전히 이론 위주의 강의형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교육과정의 과학교육강좌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은 연형 학력, 소지자격,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대개 연령과 소지자격, 경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전문대학을 졸업한 교사일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그러나 과학 및 과학교수에 대한 흥미 및 자신감과 현재의 효용도 측면에서는 3-5년) 6년이상)1-2년의 경력을 지닌 교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직전교육과정의 유아과학교육강좌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요구는 크게 예비교사들의 직접적인 참여와 흥미를 형성하게 하는 탐구중심의 과학 실험ㆍ실습활동 교수방법에 관련된 수업 기술적 측면 수업의 기초를 형성하는 과학적 지식, 다양한 교수매체의 활용능력 등을 배양해주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demand on scientific education cours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in Ulsan, Pusans, Kung-Nam. As the results, First, there was t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n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degree, educational career, possession qualification of in-service teacher. Second, in-service teacher wanted hand on experimentalㆍpractical activity, scientific informationㆍknowledge, ability to using instructional materials in the content of scientific education course. Fur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황해익(Haeik Hwang),신현정(Hyunjeong Shin),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함으로써 행복한 상태를 알게 되는 메타인지의 원리를 반영한 교사용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의 강점리터러시와 관련된 문헌 고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예비검사용 척도 44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최종 도출된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예비시안을 수정 및 보완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420명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04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의 2가지 하위 요인으로 10문항씩 총 20문항이 도출되었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의 문항반응분포, 문항변별도, 문항내적합치도, 구성타당도, 모형적합도는 적절하였다. 결론: 유아강점리터러시척도는 개발 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강점리터러시를 일관되게 평가하는 안정된 도구였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도출된 2개의 영역 중 강점인식이 강점활용보다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활용적 측면에서는 본 척도의 개발이 유아의 일상생활과 놀이에서 관찰 가능한 유아의 강점리터러시를 확인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유아가 자신의 대표강점을 인식하고 강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reflecting the metacognitive principle in which children know happiness by recognizing and using their strengths. Methods: The scale was developed 44 items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lated to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e final preliminary draft of scale was correct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420 children aged 5.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wo elements were strengths-recognition and strength-utilization, with a total of 20 items. Item response distribution, item discrimination, item internal consistency, construct validity, and model fit were satisfactory. Conclusions: The Early Childhood Strengths-Literacy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tool for consistently evaluating children’s strengths-literacy. This study will help children recognize and actively utilize their representative strengths.

      • KCI등재

        유아 자아존중감 발현에 대한 교육신경학적 해석

        황해익(Haeik Hwang),신현정(Hyunjeong Shin)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현장의 사례를 통해 유아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인을 교육신경학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만 5세 유아 5명의 사례연구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기술하고 교육신경학의 입장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 흐름 속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나의 놀이에서 시작하는 자기가치 인식하기, 우리의 놀이에서 관계 인식하기, 우리의 놀이에서 성취하기, 우리의 놀이에서 자기책임지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아의 놀이에 나타난 자아존중감은 교육신경학적 관점으로 긍정적 정서를 통한 자기가치 인식하기, 거울뉴런을 통한 관계 인식하기, 성취를 통한 도파민의 분비 촉진하기, 가소성을 통한 자기책임지기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결론: 첫째, 유아의 놀이에 나타난 자아존중감은 하위 요인인 자기가치, 관계, 성취, 자기책임으로 발현되었다. 둘째, 유아의 놀이에 나타난 자아존중감은 뇌의 신경세포가 긍정적 정서의 자극, 거울뉴런의 작용, 도파민의 분비, 가소성의 영향으로 안정화되고 강화됨으로써 잘 발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발현되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관련한 사례를 교육신경학적 접근을 통해 해석하려고 시도를 했다는 점과 다학문간의 연결을 통해 이론과 실제에 대한 융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components of young children’s self-esteem in an educational neurological manner through the case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present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accordingly. Methods: Self-esteem was described through a case study of five children aged 5 years. young children’s self-esteem wa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neurology. Results: In the flow of play, young children s self-esteem emerges as recognizing self-worth starting from my pla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s and achievement in our play, taking responsibility in our play. The self-esteem that emerged in young children s play could be interpreted as a sense of self-worth achieved through positive emotions, recognizing relationships through mirror neurons, promoting the secretion of dopamine through achievement, and promoting self-responsibility through plasticity. Conclusions: First, the self-esteem in young children s play was expressed as self-worth, relationship, achievement, and self-responsibility. Second, the self-esteem shown in young children s play can emerge when the neurons in the brain are stabilized and strengthened under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stimulation, the action of mirror neurons, the secretion of dopamine, and the effects of plastici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attempted to interpret the cas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self-estee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n educational neurological approach.

      • KCI등재후보

        유아용 발달선별검사도구 개발 연구

        황해익(Hwang HaeIk),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3세부터 5세 11개월까지의 유아를 대상으로 발달상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발달선별검사인 ESI-R(Early Screening Inventory-Revised)에 나타난 유아의 발달경향과 적절한 기준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3세에서 5세 11개월까지의 유아 240명을 대상으로 ESI-R을 실시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민감도, 정확도, 과다의뢰율과 과소의뢰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기준점을 탐색한 결과 1집단에서는 -1sd, 2집단에서는 -1.5sd, 그리고 3, 4, 5, 6집단에서는 -2sd가 ‘의뢰’판정을 내리기에 적절한 기준점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endendies and validation of the Early Screening Inventory-Revised(ESI-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 children ranged from 3 years old to 5 years old and selected from 4 kindergartens and 3 day care centers in Pusan. Tes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ESI-R and DDST. The ESI-R is developmental screening instrument which is consisted of ESI-P for younger children and ESI-K for older children covering three sub-areas such as visual-motor/adaptive, language & cognition, and gross mo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in the total and sub-total score of ESI-R. Second, the Cronbach Q were .87(ESI-P) and .71(ESI-K). Inter-scorer reliability were .98(ESI-P) and .97(ESI-K). The correlations between total score and subarea were .54-9l(ESI-P) and .73-.82(ESI-K). Third, the optimal cut-off score, which were determined by sensitivity, specificity, over-referral, and under-referral, were 9(for group 1), 13(for group 2), 19(for group 3), 11(for group 4), and 17(for group 5 & 6). It is concluded that the ESI-R, with minor modifications,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developmental screening instrument.

      • KCI등재

        유아수학능력검사 개발연구

        최혜진(Choi HyeJi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수학의 포괄적인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유아수학능력검사 도구의 개발을 통해, 수학의 하위영역들에 대한 사전지식과 수학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하여 현재 유아의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수학능력검사의 시인을 제작하고 2차에 걸친 예비검사를 거쳐 3세-6세 유아 320명에게 실시하여 검사의 문항 양호도(문항 통과을, 문항 변별도)를 비롯한 검사의 양호도(문항내적합치도. 공인타당도, 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test instrument of mathematical ability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d the test instruments from home and abroad to measur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age of 3 to 6, as well as the study on literature of mathematical thinking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of mathematics education of infants and preschoolers. The subjects of this test were 320 kindergartners and the elementary students who attended their schools for less than 1 month in Busan. Stanford Early School Achievement Test was carried out to 16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to examine concurrent validity of the test. After 2 weeks of the test, test-retest was carried to 80 children who didn't participated in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final draft of the Test of Mathematical Ability for Young Children consists of 91 questions in 4 areas.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adequacy shows that passing rate by age increases according to the age difference. Variation Verification between the top 27% and the bottom 27% to look into the item discrimination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means that the item discrimination is high. Third, as the result of adequacy of the tes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is from .86 to .95 in the subordinate area and .97 in the total test. Test-retest reliability to the stability of the test is .96 in correlation, which means the stability is comparatively high. Concurrent validity to Stanford Early School Achievement Test indicates .56 for the age of 3, .80 for the age of 4, .73 for the age of 5, and .70 for the age of 6.

      • KCI등재후보

        유아수학능력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최혜진(Choi HyeJin),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개념발달과 수학교육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유아수학관련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들을 수학의 각 하위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여러 하위영역을 포함하는 검사, 표준화 검사 및 기타 수학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검사로 나누어 각 검사들의 측정영역 및 내용,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발달수준 등의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수학능력검사도구에서 고려해야 할 변인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향후 제작될 유아용 수학능력검사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종합적 검사 및 통합검사의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둘째, 아동의 발달수준을 고려한 검사여야 한다. 셋째, 타당화가 검증된 검사여야 하겠다. This study divides that the tests have been used in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mathematics of early childhood into the tests to measure each subordinate position of mathematics, a test includes several subordinate positions, standardization test and tests related to mathematics, from the literature inquiry of mathematical concept and mathematics education of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analyses the measurement area and content, and progress level found from the research result. On the basis of this, the study also examined the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the test instrument of mathematical ability for young children. Suggestions for constructing a new mathematics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w tests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assembly test or a package test. Second, new tests should consider developmental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Third, new tests should be verified with valid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긍정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박현주(Hyunju Park),황해익(Haeik Hw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긍정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을 구 단위로 나눈 후 10곳으로 추려 만 5세반을 운영하고 있는 기관 중 본 연구에 동의하는 만 5세반 교사 200명을 임의표집 한 후 그 반에 재원중인 유아를 1대 1로 매칭하여 총 200명의 연구대상으로 선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v3.4를 이용해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긍정정서표현성,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아존중감 세변인은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긍정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긍정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긍정정서표현성의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young children’s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young children’s self-esteem. Methods: After divid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into 10 districts, 200 teachers in the 5-year-old clas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and their class’s young children matched one to one. Thus 200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and surveyed. For the collected data, the mediation effect was examin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v3.4.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control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self-control of young childre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Conclusions: Sinc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children’s self-esteem,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ultivate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young children’s self-esteem.

      • KCI등재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 개발을 위한 탐색

        김남희(Kim NamHee),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이 무엇인지, 그 구성요소와 발달과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기초학습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들의 하위영역과 각 영역별 측정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기초학습능력검사 개발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se several basic learning skills tests for children from home and abroad and to suggest several issues concerning to develop new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children. First, we reviewed the concept, composition, and process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s for children. Second, we analysed the subarea and contents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s for children based on the pre researches. Third, we suggested that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children should include reading, writing, calculating, and information processes abilities.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children should be appropriate for developmental levels and offer the information abo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asic learning skills test for children.

      • KCI등재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

        신현정(Hyunjeong Shin),이은정(Eunjung Lee),황해익(Haeik Hwang)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가 병렬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여 유아기 행복플로리시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281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 자아존중감척도, 유아 행복플로리시척도, 유아 정서지능척도, 유아 강점리터러시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PROCESS macro 4.1 model 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병렬다중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강점리터러시, 행복플로리시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를 매개로 하여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두 매개변인의 매개효과 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정서지능과 강점리터러시를 동시에 투입할 경우,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대등한 수준의 간접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various ways to improve young children's flourish by verifying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parallel mediator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flourish. A total of 281 5-year-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parallel multiple mediator analysis using SPSS 23.0 and the PROCESS macro 4.1 model 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young children’s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ce, strengths literacy, and flourish. Next, the research showed that young children’s self-esteem influenc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which affected their flourish.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two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wh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ngths literacy were simultaneously introduced alongside young children’s self-esteem, they had an equal indirect mediation effect.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평가에 대한 이야기: 놀이에서 배움을 발견하는 평가를 위하여

        황해익 ( Hwang¸ Hae Ik ),제희선 ( Je¸ Hui Seon ),이은정 ( Lee¸ Eun 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5

        본 연구는 현장에서 2019 개정 누리과정 평가영역의 안착을 돕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학계 전문가 3인과 현장의 교직원 3인에게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과정에서 녹음된 내용을 전사하였으며, Creswell(2013/2015)이 제안한 나선형 방식을 활용하여 코드를 부여하고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는 참여자들은 첫째, 변화된 평가의 방향성으로 발달과 성취에서 유아의 놀이와 삶을 평가하는 방향으로의 전환과 위에서 주어지는 획일화된 평가가 아닌 교사가 현장에서 만들어 가는 평가로 변화해야 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평가의 실제에 있어서 유아의 특성과 시간에 따른 변화 정도를 파악하는 것과 놀이를 위한 교사의 놀이 지원 과정을 평가의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의 방법으로는 교사에게 숙제와 같고 구조화된 양식에서 벗어나 쉽고 간소화 한 방법을 교사가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셋째, 지원방안으로는 원 구성원 간의 평가결과를 공유하는 환경 마련과 기관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기관평가 체계 구축, 평가를 돕는 전문적 교사학습공동체의 마련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ree academic experts and three faculty members in the field to prepare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the 2019 revised Nuri program at education site. During the interview, the recorded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codes were given and categorized using the spiral method proposed by Creswell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irection of the renovated evaluation should change its focus from development and achievement, to the direction of evaluating children’s play and life. Moreover, it should preclude the unilateral evaluation directed from above, and progress into the evaluation made by the teacher in the field. Second, in the practice of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 degree of change over time, and the teacher's play support process for play were recognized as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In addition, as for the method of evaluation, it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teachers to voluntarily select an easy and simplified method. Third, as a support pla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a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ared among members. There was also a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that respects the institution's autonomy, and a professional teacher-learning community that would assist th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