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의 임상적 고찰

        정성운(Seong Un Jeong),조성중(Sung Joong Cho),김장환(Jang Hwan Kim),이남우(Nam Woo Lee),김경진(Kyung Jin Kim),박미혜(Mi Hae Park),황인택(In Tak Hwang),정지학(Ji Hak J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자궁경부암환자의 임상적 고찰을 통해 수술 후 치료 성적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1983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을지 대학병원에서 광범위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 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6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나이 분포는 40대와 50대, 30대순이었고 환자의 임상 병기 분포는 Ia기가 12예(7.4%), Ib기가 84예(51.9%), IIa기가 39예(24.1%) 그리고 IIb기가 27예(16.7%)였다. 조직 병리학적 형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91.9%, 선암이 4.9%, 선편평암이 3.1%이고 골반 임파절 전이 빈도는 I기가 22.9%, II기가 31.8%였으며 전체 임파절 전이 빈도는 26.4%였다. 광범위 근치적 자궁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의 빈도는 I기가 63.5%, II기가 75.8%였다. 재발율은 7.4%였고 가장 흔히 재발되는 부위는 질교합부였다. 우리는 또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을 평가했는데 그 결과는 Ia기는 100%, Ib기는 95.2%(4예), IIa는 87.2%(5예), IIb는 77.8%(6예)였다. 결론: 연령별 환자의 분포는 40대와 50대가 30.9%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고 임상 병기별 분포는 Ib기가 51.9%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으며 병리 조직학적 분포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91.9%로 대다수를 보였고 전체 임파절 전이빈도는 26.4%였으며 가장 흔한 재발부위는 질교합부였다. 5년 생존율은 Ia기가 100%, Ib기가 95.2%, IIa기가 87.2%, IIb기가 77.8%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study for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ho had undergone radical hysterectomy.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ne hundred and sixty two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ho had undergone radical hysterectomy at Eulji Medical College Hospital, Taejon, Korea, from January 1983 to December 1992.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 retrospectively and analyzed the data. Result: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by age was found in the order of 50 decade and 60 decade, 40 decade. Those by the clinical stages were as follows: Stage Ia, 12 cases(7.4%); Stage Ib, 84 cases(51.9%); Stage IIa, 39 cases(24.1%); Stage IIb 27 cases(16.7%). The results of histopathologic type were distributed as follows: squamous cell carcinoma was 91.9%, adenocarcinoma was 4.9% and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was 3.1%. The histologic subtypes of squamous cell carcinoma(149 cases) were as follows: Large cell non-keratinizing type was 75.9%, large cell keratinizing type was 14.8% and small cell type was 1.2%. The frequancy of lymph node metastasis was 22.9% in stage I and 31.8% in stage II. The overall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was 26.4%. The frequency of external radiation therapy done after radical hysterectomy was 63.5% in stage I and 75.8% in stage II. The 5-year survival rate was as follows: The Ia was 100%; Stage Ib, 95.2%(4cases); Stage IIa, 87.2%(5cases); Stage IIb, 77.8%(6cases). The incidence of recurrence was 7.4% and recurrent sites were vaginal stump , rectum and pelvic wall. Conclusion: The highest incidence of cervix cancer in age distribution was 50 decade(30.9%) and 60 decade(30.9%). The most common clinical stage was Ib(51.9%) and most frequent pathologic 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91.9%). The overall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was 26.4% and The most common site of recurrence was vaginal stump. The 5-year survival rate was 100% in the stage Ia, 95.2% in the stage Ib, 87.2% in the stage IIa, 77.8% in the stage IIb.

      • KCI등재

        만기임신에 있어서 초음파적 태아체중 예측법들에 대한 평가

        박미혜(Mi Hae Park),김경진(Kyung Jin Kim),양윤석(Yun Seok Yang),황인택(In Tak Hwang),정지학(Ji Hak Jung),박준숙(Jun Soo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목적: 임상적으로 임신만기에 있어서 분만전 태아체중예측은 분만방법등을 결정하는데 매우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임신만기 한국인 태아에 적합한 태아체중예측공식을 산출하고, 이를 외국의 태아예측공식들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임신 37-42주에 선택적 제왕절개술을 위하여 입원한 산모중 수술당일 초음파를 이용하여 아두대횡경, 두위, 복위, 대퇴골길이를 측정한 150예를 대상으로 하여 임신만기 한국인 태아에 적합한 태아체중예측공식을 산출하였고, 이를 외국의 태아예측공식들, 즉 Campbell등(태아복위), Shepard등(아두대횡경 및 복위), Hadlock 1(복위 및 대퇴골), Hadlock II(두위, 복위 및 대퇴골), Hadlock III(아두대횡경, 복위 및 대퇴골) 그리고 Hadlock IV(아두대횡경, 두위, 복위 및 대퇴골)와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본 연구에서 산출된 임신만기 태아체중예측공식은 다음과 같다. 공식 1 (AC) logeBWT=6.105936+0.005957X(AC) (R=0.876) 공식 2 (BPD,AC) logeBWT=6.53614548+0.00004963X(ACXBPD) (R=0.929) 공식 3 (AC,FL) logeBWT=6.25336442+0.00751602X(FL)+0.00005155X(ACXFL) (R=0.950) 공식 4 (HC,AC,FL) logeBWT=6.39631346+0.00004823X(ACXFL)+0.00002023X(FLXHC) (R=0.953) 공식 5 (BPD,AC,FL) logeBWT=5.99934074+0.00871394X(BPD)+0.00005132X(ACXFL) (R=0.960) 2. 임신만기 태아체중예측공식을 산출하는데 있어 태아 아두대횡경, 복위 및 대퇴골길이의 조합이 있을 때 두위의 첨가가 태아체중예측공식의 예측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해서 태아두위첨가가 의의가 없었다. 3. 본 논문의 공식과 외국저자들의 공식을 우리나라 임신만기태아에 적용시켜 비교한결과 아두대횡경 복위, 그리고 대퇴골을 조합하여 만든 본 논문의 공식 5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외국공식중에서는 아두대횡경, 복위, 그리고 대퇴골을 조합한 Hadlock III공식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4. 측정인자 두개를 조합했을때는 태아의 복위와 대퇴골길이를 조합한 공식이(공식 3, Hadlock I) 태아의 아두대횡경과 복위를 조합한 공식에(공식 2, Shepard) 비하여 절대오차의 평균치가 적으며 태아체중의 예측이 비교적 정확하여 임신 만기및 진통중 태아의 머리측정이 곤란한 경우에 임상적으로 이용도가 높을것으로 사료된다. 5. 각 공식별 예측체중이 실제체중의 5% 및 200gm이내로 예측되는 율은 본 논문의 공식 5에서 82%, 89%로 가장 높았으며 외국공식들중에서는 Hadlock IV에서 79%, 88%로 가장 높았다. 6. 본 논문공식들에 의한 예측체중은 실제체중과 비교하여 과대측정과 과소측정의 균형이 잘 맞는 반면, 반면 외국 저자들의 공식들을 한국인 태아에 적용한 결과, 특히 Campbell등 공식과 Hadlock II공식에서 실제체중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7. 각 체중분포별로 본 논문의 태아체중예측공식들을 분석한 결과 3000-3499gm군에서 각공식들의 정확도가 가장 컸고, 3500gm이상인 군에서 각 공식들의 정확도가 가장 낮았으며, 3500gm이상인 군에서는 대퇴골길이에 의존하는 공식들이 대퇴골길이에 의존하지 않는 공식들에 비하여 현저하게 절대오차의 평균치가 적었다. 결론: 저자들의 임신만기 한국인 태아체중예측공식들은 다른외국공식들과 비교연구한 결과 예측측정과 실제체중과의 오차의 평균이 적고 과대측정과 과소측정의 균형이 잘맞아 태아발육지연아 및 거대아의 진단 및 산과적 처치를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어서 분만후 신생아의 사망률 및 이환율등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A total of 150women with singleton pregnancies who were delivered between 37 and 42weeks gestation had ultrasound scans on elective cesarean section day. The biparietal diameter(BPD), head circumference(HC), abdominal circumference(AC) and femur length(FL) were measured in all cases. Equations of estimated fetal body weight(BWT) for Korean term fetuses using AC alone, BPD/AC, AC/FL, HC/AC/FL, BPD/AC/FL, BPD/HC/AC/FL were made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were compared with foreign equations such as Campbell(AC), Shepard(BPD/AC), Hadlock I(AC/FL), Hadlock II(HC/AC/FL), Hadlock III(BPD/AC/FL), and Hadlock IV(BPD/HC/AC/F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quations of BWT by sonographic measurement were Equation1 (AC) logeBWT=6.105936+0.005957X(AC) (R=0.876) Equation2 (BPD,AC) logeBWT=6.53614548+0.00004963X(ACXBPD) (R=0.929) Equation3 (AC,FL) logeBWT=6.25336442+0.00751602X(FL)+0.00005155X(ACXFL) (R=0.950) Equation4 (HC,AC,FL) logeBWT=6.39631346+0.00004823X(ACXFL)+0.00002023X(FLXHC) (R=0.953) Equation5 (BPD,AC,FL) logeBWT=5.99934074+0.00871394X(BPD)+0.00005132X(ACXFL) (R=0.960) 2. When BPD, AC and FL were measured, the addition of HC didn,t affected to accuracy of EFW 3. The best results of all equations were obtained with our equation 5(Mean error=2.36gm, Mean absolute error=96.39gm, Mean deviation + SD(%)=0.07+0.37) and among foreign equations, the best results were with Hadlock III equation(Mean error=18.35gm, Mean absolute error=107.82gm, Mean deviation + SD(%)=-0.46+0.42) 4. The equations using AC/FL (our equation 3, Hadlock I)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using BPD/AC (our equatione 2, Shepard) when utilizing two parameters. Therefore, equation using AC/FL is recommended when the BPD is unobtainable at term or labor 5. The percentage of cases in which the EFW was within +5% and +200gm of the actual birth weight was highest at our equation 5 for 82% and 89%, Hadlock IV equation for 79%, 88%. 6. Our equations had relatively an equal tendency to under- and overestimate fetal weight, but foreign equations, especially Campbell and Hadlock II equations tended to underestimate. 7. Analysing according to actual birth weight , our all equations gave the most accurate estimates of fetal weigh for birth weight group between 3000-3499gm, but for birth weight group above 3500gm, that was not. At birthweight group above 3500gm, the equations depend on femur length are more accurate than the equations independ on fumr length.

      • KCI등재

        비교통성 흔적자궁 임신의 진단 및 복강경적 처치

        라우석 ( Woo Suk Ra ),김기환 ( Ki Hwan Kim ),손창업 ( Chang Up Son ),정민 ( Min Choung ),노정훈 ( Jeong Hoon Rho ),황인택 ( In Tak Hwang ),박준숙 ( Joon Suk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A non-communicating rudimentary uterine horn is a rare Mllerian duct anomaly. We experienced a case of unruptured rudimentary uterine horn pregnancy. The patient was diagnosed by laparoscopy and removed by laparoscopic resection of the pregnant rudimentary uterine horn was performed. We report our case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