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기술 기반 공간 담론 형성에 따른 공간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기술 기반 공간 담론에 의한 전일적 공간 현상의 규정을 중심으로-

        황용섭 ( Yong Seup Hwang ),김주연 ( Joo Yun Kim ),김일석 ( Il Suk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4

        도구에서 기술로, 그리고 과학이라는 보다 복잡한 융합 체계로의 발전은 곧 인류의 문면이 기술에 전적으로 기반함을 의미한다. 더욱이 유비쿼터스와 같은 기술의 편재(遍在)현상은 기술과 공간의 밀접한 관계를 표면화 한다. 현대의 복잡한 공간 현상을 몇 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거기에는 항상 기술이 바탕이 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공간디자인의 중요 현상이 기술기반의 공간 담론으로부터 비롯됨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을 통하여 지식적 토대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간디자인의 방향을 포착하고 발전적으로 제시하는 데에 주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에서는 주로 기술 기반 공간 담론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 규정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후속 연구를 통해 본격적인 공간디자인 방향을 기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공간 현상은 전일적인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그러한 전체에서 인간의 위치가 중요한 부분이 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는 기술기반의 공간 담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초가 된다. Development from simple tools to more advanced technology to complicated fusion system called science indicates that human civilization is entirely based on technology. Moreover, phenomenon of ubiquity of technology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space. It is difficult to define complex modern spatial phenomena with a few words but it is very clear that it is based on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foundation of knowledge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suggest a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patial design on the basis of recognition that important phenomena of modern spatial design derives from the discourse on technology-based space.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discourse on technology-based space and definition of its meaning because basic theoretical understanding is required for further research to describe the direction of practical space design. Through this study, it is understood that phenomenon of modern space is holistic and humans are integral part of the whole, and such understanding is an important basis for formation of discourse on technology-based spa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공간관의 변화에 따른 사건과 장소의 관계 유형에 관한 연구

        황용섭(Hwang, Yong-Seup),김주연(Kim, Joo-Yu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2

        To the human being, the space as the objective for fundamental thought called ‘Being’, and the space as the place for actual experience containing ‘Life and Experience’, have coexisted. Such dual characteristics owned by the space have come to the present creating various spatial viewpoints. As for the space as the objective for various thoughts and interpretations, its emphasis is nowadays being moved to the existence from such being. There is the event in the core of such change. Human"s recognition for the space is originated from the observed events, which appears as an immense meaning, as it is accumulated as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event in another viewpoint thinking the space is becoming bigger. This research has tried to grasp the tendency for the place-orientation by grasping the meaning owned by the event through the course that the viewpoint for such space has been changed. This research put its focus o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and event that are brought into relief by tracking dow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viewpoint of space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philosophy. Through this process, this research came to have a grip on the relationship in which a sense of place obviously stands out in bold relief as a result of an event, an emblem of an event, condition of an event, and as an event itself. Such four patterns are not mutually individual phenomenon, but form a discourse on modern space by traversing each other crisscro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시간지리학적 관점의 가로 환경 조명 계획에 관한 연구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를 중심으로-

        하선덕 ( Sun Duck Ha ),황용섭 ( Yong Seup Hwang ),정진우 ( Jin Woo 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1

        (연구배경 및 목적)현대사회의 도시 경관은 전지적 시점의 조감적 계획 하에 조성된 도시 스케일의 경관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가로 공간들 중심으로 문화의 집약적 행위나 인구 집중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인간적인 차원에서 감각하는 체험적 도시 가로 경관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휴먼스케일의 체험적 가로 환경을 계획하는데 있어 시간 지리학적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시간의 흐름과 개인통행 자료의 일반화를 통하여 새로운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적 디자인 제안으로 국내외의 문화와 인구 집중의 유명 도시 가로 사례를 조사 하여 국내 사례 중 맥락적 장소성 위에 경관의 환경적 시간 흐름에 따른 시점적 공간의 가변성과 공간의 활동꾸러미가 크고, 시공간적 범위가 분명한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를 선정하였다. (결과)하드웨어적 공사 사업이 아닌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로 빛 환경 계획을 중심으로 사람이 감각하는 체험적 가로 환경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공간 제시가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urban landscape of modern society is based upon bird`s-eye design from an omniscient viewpoint. But the intensive action of culture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are more recently focused on street spaces. It means to be changing from the humane dimensions into the urban street view in experience of sense. (Method)The main study introduces, through the generalization of the passage of time and the data of the individual passage, a view of time-geography for designing an urban street environment within the human scale of experience. The pedestrian-friendly street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which has a flexible space perspective and has a large bundle of space activity over environmental time on the contextual sense of place of domestic cases, is selected by examining the cases of famous urban streets in domestic and foreign cultures,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as a proposal for the empirical design. (Result)A space that can maximize the street environment in terms of human experience―focused on a street light landscape plan, not involving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hardware―will be offered.

      • KCI등재

        컬처노믹스 전략에 따른 고가로 하부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선주 ( Seon Ju Yoon ),황용섭(교신저자) ( Yong Seup Hwang ),박성룡 ( Sung Ryoung Park ),이유진 ( Yu Ji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산업화한 도시는 급격한 성장에 따라 도시화를 초래했고, 과밀화된 도시는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고가로를 건설하였다. 도시의 흐름을 위해 만들어진 고가 구조물은 노후화되고 그 아래 하부공간은 무분별한 공간 활용으로 지역의 슬럼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문화를 통해 도시는 경쟁력을 갖추게 되고 경제적인 면에서도 많은 부가가치를 내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컬처노믹스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여 문화 전략을 활용한 도시의 컬처노믹스 디자인 전략을 통하여 고가로 하부공간의 미적,기능적 가치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각종 문헌 및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하여 컬처노믹스의 개념과 전략적 가치를 고찰하고 도시 공간에서의 고가로 하부공간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또한 고가로 하부공간에 맞는 컬처노믹스 전략을 세우고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전략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도시재생에서의 컬처노믹스는 인간주의적 감성도시라는 이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컬처노믹스 전략으로는 ①공공성 확보 전략, ②접근성 확보 전략, ③표식성 확보 전략, ④공동체 형성 전략, ⑤장소성 형성 전략으로 도출되었다. 나아가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전략을 제시하여 고가로 하부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어야 하며, 앞에 도출된 5 가지 전략의 성격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서로 적절한 관계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하여야 한다. Industrialized cities brought about urbanization due to rapid growth, and overpasses were constructed in overpopulated cities to ease traffic. Elevated structures constructed for smooth city flow are deteriorating, and indiscreet space use underneath overpasses is causing slumism in cities. Culture is being strategically utilized to solve such problems. Cities increase competitiveness through culture. In such aspect, a concept called ‘Culturenomics’ began to emerge. With such background, the study is planning to have research on utilizable space design underneath overpass with Culturenomics strategy by making use of potentiality of space underneath overpass. The research method was to establish a concept of space underneath overpass in city space by considering Culturenomics concept and strategic values through various literatures and materials from previous studies. Besides, Culturenomics strategies suitable for space underneath overpass were developed and detailed strategy to carry out the strategies were suggested. In conclusion, Culturenomics in urban regeneration is based on the theory of Humanistic Emotional City, and as Culturenomics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are drawn as 1) Publicity Enhancement Strategy, 2) Accessibility Enhancement Strategy, 3) Image Symbolization Strategy , 4) Community Formation Strategy, and 5) Placeness Formation Strategy. Furthermore, detailed strategies need to be suggested in order to design space underneath overpass, and as the mentioned strategies all have different features, the space needs to be designed considering proper relationship.

      • KCI등재

        현대 명상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주아 ( Kim Ju A ),황용섭 ( Hwang Yong Seup ),이돈일 ( Lee Don L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명상은 오랫동안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져 왔고, 그와 관련하여 육체와 정신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안정을 가져다주는 효과에 대한 논문이나 실험결과가 꾸준하게 이어져 오고 있다. 최근 명상이 단순히 종교적, 치유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건강과 생활의 안정을 위해 일반인들이 많이 찾게 되면서, 명상과 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명상공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인식과 함께 기존 명상공간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용목적에 따른 명상공간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이용목적에 따라 공간을 종교적 관점, 의료적 관점, 문화적 관점으로 분류하여 선행연구에서 공간별 특성 및 명상공간디자인 요소를 재정리하고 그에따른 세부평가항목을 도출, 분석틀을 활용하여 국내(외에서 대표되는 명상공간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교적 공간은 쾌적성, 활용성, 계획성 기능성 요소가 높게 평가되며 현재 종교적 공간에서 요구하는 사용 환경에 대한 다양성과 개방성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의료적 공간에서는 쾌적성, 활용성, 기능성, 지속성 요소가 높게 평가되며 공간이 주는 가치보다 치유효과에 집중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공간에서는 조형성, 계획성, 지속성이 높게 평가되었는데 경험적 가치를 위한 공간에서 명상공간이 가지는 쾌적성, 기능성, 활용성 부문이 미비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추후 명상공간계획에 있어 인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고, 개개인의 성향과 목적에 따른 경험의 만족도를 높여 줄 것이라 기대해본다. For many years, meditation has been practiced in many cultures and through various methods. In this connection, the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releasing physical and emotional tensions has consistently continued. Recently, as meditation has been used for not only religious and healing but also the mental health and the stability of lif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tation and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meditation space, to analyze problems of existing meditation space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meditation space planning according to purpose of use. As a research method, there are precedent studies, dividing space into religious, therapeutic and cultural perspectives according to purpose of use, drawing spatial analysis elements through respectiv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meditation and each perspectives and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 of meditation space by us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induce a positive effect on human in meditation space planning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of experience according to individual tendency and comf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Religious space is highly evaluated for comfortable, utility, planning, functionalit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versity and openness of the use environment that is required in the present religious space. In the therapeutic spa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focusing on the therapy effect rather than the value given by the space, because the purposefulness, utility, functionality, and Sustainability are highly evaluated. Finally, cultural space is evaluated highly for formativeness, planning and Sustainability and is required to improve the comfortable, functionality and utility for experiential value of meditation spa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