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안전관리사 자격의 검정기준 및 검정과목 개발 연구

        황영아 ( Young Ah Hwang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for qualification structure and develop the subjects for examination of the school safety manager qualifications. For the study purpose, job analysis and meetings with experts were performed for extract contents such as task range, criteria of examination, subjects of examination and examination methods, etc. The first step, duties and tasks of the school safety manager were figured out through revised job analysis data of the school safety manager developed before. On the second step, job model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job specification including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On the third step, task specification was developed, and Knowledge-Skill Matrix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on examination were completed. The fourth step was the selection of examination subject using task-subject matrix and 6 subjects such as The Principles of Safety,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afety Manual, Law Related on the School Safety, Introduction to Education, Understanding and Dealing with Type of the School Safety, Establishment of the School Safety Plan were derived from previous procedure. The fifth step was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design examination of each subject. The last step was development for skills education program.

      • 학교안전 실태 분석

        황영아(Hwang Young Ah) 한국사회안전학회 2016 한국사회안전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안전 진단 영역을 구분하고 영역별 지표를 개발하여 학교의 안전 실태를 체계적으로 진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분석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학교안전 실태 분석을 위한 학교안전 영역을 4개(안전교육, 생활안전, 재난안전, 시설안전)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 진단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학교에서 제출한 자료 및 학교 공시자료, 현장방문을 통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졌다. 실태조사는 경기도 소재 31개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6개월(2015년 7월~2015년 12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종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학교안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the areas and develop reasonable dimensions of the school safety for diagnosing the school safety systematically. First, the category of the school safety was divided into 4 areas(education, school life, disaster, facility) and develop reasonable dimensions for each area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ference with the experts. Second,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1 schools in Gyeonggi-do for 6 months through school visits, using official data from school info site and data submitted by each school. Final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effectively improvement methods of the school safety at a conclusion considering the overall analysis result.

      • KCI등재

        재직자를 위한 4년제 대학 비즈니스컨설팅학과 교육과정 개발: 서울소재 H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황영아(Hwang, Young-Ah),임욱빈(Leem, Wook-Bi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4년제 대학 비즈니스컨설팅학과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재직자 대상 직업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관한 고찰을 통해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도출하고, 산업체 인사를 포함하는 교육과정개발위원회를 6차례 개최하여 환경 분석, 교육목표 선정 및 인재양성유형 설정, 직무모형 설정 및 직무 검증, 교과목 선정, 교육과정로드맵 도출 등의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 개발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상의 절차에 따라 학과의 주요 양성 인력 유형은 경영컨설턴트, 전략경영컨설턴트, 기술경영컨설턴트로 도출되었으며, 직무 설정 및 검증 절차를 통해 현장에서의 수행직무 20개와 과업 80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직무별 지식 · 기술 · 태도를 고려하여 30개의 교과목 선정을 완료하였으며, 컨설턴트로서 종합적 역량 배양을 위한 세미나 과목 2개를 포함하여 32개 교과목을 포함하는 비즈니스컨설팅학과의 교육과정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컨설턴트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컨설턴트의 역량을 규명하거나 컨설턴트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초점을 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교육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재직자 대상 직업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반하여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의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urriculum of a four- year college business consulting department for employees. [Methodology] The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of this study was derived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which includes industry personnel, was held six times to develop curriculum according to procedure such as environmental analysis, setting educational goal, job model setting, job verification, subjects selection, drawn the curriculum roadmap. [Findings] Through the job setting and verification procedures, 20 job performances and 80 tasks in the field were drawn. Based on this, 30 subject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each job. Lastly, H University’s Business consulting department curriculums designed consists of a 32 subjects. Among subjects, two capstone design subjects were established to develop expert competencies. [Implications] This study provided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nsultants by developing a curriculum according to a systematic procedure based on the vo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for incumbents.

      • KCI등재
      • KCI등재

        대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HRD)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에 대한 탐색

        송영수(Young Soo Song),황영아(Young Ah Hwang) 한국경영학회 2010 Korea Business Review Vol.14 No.1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중심의 전략적 인적자원개발(SHRD) 주요영역 및 핵심과제를 바탕으로 SHRD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을 분석하고 향후 SHRD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요 대기업 HRD 담당자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SHRD 주요영역 및 핵심과제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을 업종별, 직급별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SHRD의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기·전자·자동차, 서비스·금융보험, 석유·화학·제철, IT·웹·통신 등 4개 업종 모두 조직문화 공유 및 확산 영역이 중요도 및 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와 수행수준 간의 인식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차세대 리더 및 핵심인재 양성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HRD 주요영역별 핵심과제 중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CEO(최고경영자)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형성, 후계자 양성 지원(succession plan), 조직 개발(OD) 및 활성화, 교육효과 및 성과측정(ROI)은 4개 업종 모두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에 있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낸 과제들로 분석되었다. 넷째, 업종별 SHRD의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기?전자?자동차 등 글로벌 비즈니스에 대한 노출이 심하고 경쟁이 치열한 기업일수록, 그리고 경쟁우위를 갖춘 선진형 대기업일수록 SHRD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수준 인식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직급이 높을수록 SHRD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HRD 부문 종사자에게는 해당 업종의 현 좌표를 제시해줄 뿐만 아니라 대기업의 SHRD 수행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HRD 부서의 현위치 파악(수준 분석) 및 업종별 벤치마킹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SHRD) based on SHRD major domains and its critical tasks in large Korean enterpris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70 HRD practitioners working in domestic businesses so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SHRD about its major domains and critical tasks were analyzed through the type of industries and staff leve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haring and spreading organization culture is the highest one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in four industries (electrical·electronics·automobile,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energy·chemical·steel, IT·Web·Telecommunications). Secondly, talent management is the big gap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Thirdly, the lowest SHRD’s critical tasks are building partnership with CEO (Chief Executive Officer), supporting succession plan, spreading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training effectiveness and ROI (Return on Investment) in four industries.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through the type of industries, the more the enterprises exposure to global business environmen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are shown in conglomerate. Lastly, the importance recognition level is high depending on the staff level. This research results for HRD practitioners show where they are and check the recognition of performance levels of SHR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ill be used for understating current situation of HRD (analyzing the levels of performance) and benchmarking through the type of industries.

      • KCI등재
      • KCI등재

        직무역량을 기반으로 한 성인학습자 대상 디자인 전공 교육과정 개발 -H 대학 ICT융합디자인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원철 ( Park¸ Won Cheol ),황영아 ( Hwang¸ Young Ah ),전신종 ( Jeon¸ Sin J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재직자 중심의 성인학습자를 위한 4년제 대학 디자인 전공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직무역량에 기반 한 교육과정 개발 절차를 수립하고, 6차례의 교육과정개발위원회를 개최하여 내외부 환경 분석, 학과 인재양성 유형 설정, 직무 모형 도출, 직무 검증, 교과목 도출, 교육과정 로드맵 도출 과정에 따라 교육과정 개발을 실시하였다. 내외부 환경 분석을 위해서는 디자인 분야 산업동향을 파악하고 H대 성인학습자 단과대학 및 학과의 교육목표와 성인학습자의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학과의 주요 인력양성 유형을 디자인 비즈니스 전문가, 커뮤니케이션 디자이너, UX/UI 디자이너로 설정하였다. 직무 모형 도출을 위해서는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24개 직무 및 82개 과업을 도출하였고, 현장 경력 5년 이상의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직무 검증 절차를 거쳐 직무별 난이도, 빈도,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교과목은 과업별 지식·기술·태도를 고려하고, 위원회 논의 결과 실무 역량 함양을 위한 종합 프로젝트 성격의 교과목 개설이 요구됨에 따라 미디어 융합 프로젝트 교과목Ⅰ,Ⅱ를 포함하여 총 30개의 교과목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교과목은 직무 특성, 직무의 난이도 및 빈도, 수행 수준 등을 고려하여 전공기초, 전공지정, 전공선택 과목으로 구분하고 교육 수준을 기초, 핵심, 심화, 활용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교과목을 기준으로 학과의 교육과정 로드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 모형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재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 디자이너 양성교육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CT convergence design college curriculum of for the adult learner, especially composed of workers at an University. According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dure based on job competency was established,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was held 6 times to analyz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o set the target occupational field, to derive and verify the job model. And then the subjects and curriculum roadmap were derived based on the job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industry trends in the ICT design field were identified, and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H University college of adult learner and ICT convergence design department were analyzed.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target occupational field of the department were set which and they were Business experts, communication designers, and UX/UI designers. To derive the job model, 24 jobs and 82 tasks were derived using the DACUM technique, and the difficulty, frequency, and importance of each job were checked through job verification procedures. As for subjects, a total of 32 subjects were derived. and those were divided into basic majors, designated majors, and elective courses in consideration of job characteristics, job difficulty and frequency, and performance level, and education levels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basic, core, intensive, and utilization stages. Finally, the curriculum roadmap of the department was derived based on the derived subjec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nurturing professional designers targeting incumbents by developing a curriculum according to a systematic procedure centered on the job model.

      • KCI등재

        경영컨설팅 분야 캡스톤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H 대학 재직자 중심 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임욱빈(Leem, Wook-Bin),황영아(Hwang, Young-Ah)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경영컨설팅 분야 캡스톤디자인 수업 운영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의 개념, 운영체계 및 절차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산업체 멘토를 선정하여 15주로 구성된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준비, 수업, 종료 단계에 따른 학습자, 교수자, 산업체 멘토의 역할을 포함한 수업운영 세부 절차를 마련하였다. 이후 설계된 수업운영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성과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설계된 수업모형에 따라 학습자들은 3팀으로 나누어 팀별 주제 설정, 과제계획서 제출, 프로젝트 수행, 프로젝트 평가 등을 수행하였으며, 교수자와 산업체 멘토의 프로젝트 진행 지원과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수업 운영 결과 기존 습득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요구하는 실제적인 역량 함양, 선행학습 내용의 종합적 적용 측면에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있어 학습자, 교수자, 멘토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수업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경영컨설팅 분야 수업설계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e field of management consulting using capstone design,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Methodology] In this study, a 15-week capstone design class was designed by selecting industrial mento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n capstone design. After that, the clas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designed class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as verified through the clas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indings] According to the designed class model, the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ree teams to select a topic, submit a task plan, perform a project, and evaluate the project. Support and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industry mentor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class operation, the effectiveness was confirmed in terms of developing the competency required in practice and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prior learning based on the previously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ystematically presented a teaching model for the capstone design class in the field of management consulting.

      • KCI등재
      • KCI등재

        특성화고 예비신입생 및 학부모의 고교 진학 준비과정 분석: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장명희(Myung-Hee Jang),김종우(Jong-Woo Kim),장영란(Yeoung Ran Jang),정동열(Dong Yul Jung),황영아(Young ah Hw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6

        본 연구는 특성화고 입학생의 고교 진학 준비 과정에서의 경험을 분석하여 특성화고 입학전형 지원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에 특성화고 입학이 확정된 예비신입생 및 예비신입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진학 결정 단계에서는 진로와 적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응답자는 특성화고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선을 우려하고 있었다. 둘째, 특성화고 후진학 진학 지원 정책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그 밖에 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 입학 동기는 특성화고 설립 취지와 부합하는 학생이 많았으나 성적이나 대학 진학에 따라 입학을 결정하는 학생도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고 진학·진로지도의 경우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의 도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교에서의 진학·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섯째, 특성화고 정보 수집과 관련하여서는 지속적인 정보 제공 요구와 함께 전공이나 입학전형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 수집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을 위한 일관된 메시지 전달, 중학교 및 특성화고 교사 대상 진학·진로지도 연수 강화, 입학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전공 정보 제공 및 지원 방안 모색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s support. Accordingly, in order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igh school preparation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heir paren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considered their career path and aptitude at the stage of deciding to go on to vocational high school, and some were concerned about society's negative views. Second, awareness of the support policy for university admissions to vocational high schools was high, but awareness of other support policies was found to be low. Third, the motivation for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was often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vocational high schools,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decided to enroll because of their grades or college admission. Fourth, in the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and career guidance,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of great help, but satisfaction with middle schools career guidance was relatively low. Fifth, in terms of vocational high school admission information, the need for continuou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the difficulty in collecting specific information for major or admission preparation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rovement methods were presented to communicate a consistent message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vocational high schools, strengthen advancement and career guidance training for middle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provide specific major information for admission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