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매거진 디자인의 재매개적 양식에 관한 연구

        황순재(Hwang, Soonja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3 No.-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와 인터넷 통신의 결합은 기존매체의 환경적, 기술적 요인들을 확장하며 인간지식정보 체계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PC의 등장은 그 활용상의 여러 이점으로 인하여 기존 인쇄매체의 기능성과 역할에 대한 실험적 관점을 더욱 넓히며 디지털 융합이라는 전략 아래 출판시장의 범위를 디지털 콘텐츠 시장으로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디지털 융합이라는 개념이 초래한 매체경계의 불명확성은 새로운 매체가 기존의 매체에 대해 가지는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새로운 매체가 기존의 매체를 수렴, 결합, 확장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공통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가 매체의 개념적 범위와 정체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고 또한 그 존재의미나 지속가능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태블릿 PC의 등장 이래 급격한 시장의 확장을 보이는 전자책, 그 중에서도 기기 특유의 기능적 특성에 의해 그 독자적 양식의 발현이 더욱 용이해 보이는 디지털 매거진의 구성방식을 기존 인쇄 잡지로부터의 재매개적관점에서 문헌 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매체의 계보학적 변이양상을 주도해온 재매개의 논리에 따른 분석의 결과, 디지털 매거진의 공간은 현존하는 거의 모든 매체들을 연계적으로 결합하는 하이퍼 인터페이스의 형식 안에서 인쇄 잡지의 비매개적 기능성과 하이퍼매개적 효력 사이의 의존적 결합을 모색한다. Today’s digital environment has proposed new dimension to the roles and means of printed media. Book and magazine publishers are scrambling to devise strategies to meet the expectations of digital readers while assessing what the new technology means for the future of publishing. Digital magazine has become a active space for remediation of almost every other media as well as a hybridized medium of them. The multiplication of the media is accompanied by a multiplication of interfaces. While user’s experience about the content may achieve a high level of immediacy by reaction fo dual logics immanent in remediation, the intrinsic qualities of hybridization and fluid replacement of diverse media ensure that digital magazine interfaces are inherently hyper-medial.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메타포 양식 변화에 관한 연구

        황순재(Hwang, Soonja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와 인터넷 통신의 결합은 기존매체의 환경적, 기술적 요인들을 확장하며 인간지식정보 체계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제시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모바일 환경의 확장은 그 활용상의 여러 이점으로 인하여 기존 매체의 기능성과 역할에 대한 관점을 더욱 넓히며 디지털 융합이라는 기조 아래 새로운 사용자 경험 창출의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디지털 융합이라는 개념이 초래한 매체경계의 불명확성은 새로운 매체가 기존의 매체에 대해 가지는 관계성에 대한 고찰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새로운 매체가 기존의 매체를 수렴, 결합, 확장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공통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가 매체의 개념적 범위와 정체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고 또한 그 존재의미나 지속가능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모바일 환경의 등장 이래 급격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패러다임을 재매개적 관점에서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매체의 계보학적 변이양상을 주도해온 재매개의 논리에 따른 분석의 결과, 모바일 인터페이스 공간은 현존하는 거의 모든 매체들을 연계적으로 결합하는 하이퍼 인터페이스의 형식 안에서 스큐어몰픽 디자인과 플랫 디자인의 비매개적 의도 효력 사이의 의존적 결합을 모색한다. Today’s digital environment has proposed new dimension to the roles and means of mobile media. Designers are scrambling to devise strategies to meet the expectations of users while assessing what the new technology means for the future of communication and user experience. Mobile media has become a active space for remediation of almost every other media as well as a hybridized medium of them. The multiplication of the media is accompanied by a multiplication of interfaces. While user’s experience about the content may achieve a high level of immediacy by reaction of dual logics immanent in ‘remediation’, the intrinsic qualities of hybridization and fluid replacement of diverse media ensure that mobile interfaces are inherently hyper-medial.

      • KCI등재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를 통한 주민복지 향상에 관한 연구

        황순재 ( Soonjae Hwang ),이은영 ( Eunyoung Lee ),이돈일 ( Donil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시대에 따라 가치소비문화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공유경제는 미래를 이끌어 갈 메가트렌드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나타난 공간 공유는 기존의 유휴공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나타난 새로운 공간 활용법이자 경제적 접근 방법이다. 사용하지 않는 공간 공유를 통해 수요자와 이용자 서로의 이익을 이끌어 냈으며 노후화된 환경, 부족한 시설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다. 도심 내 새로운 시설을 만드는 것은 많은 제약이 따르며, 지속가능성과 재생에 대한 사회적 니즈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에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 유형들을 알아보고 그 특성을 도출하여 평가해 향후 유휴공간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공공건축과 공간 공유 관련 논문 및 문헌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공건축과 공간 공유의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재정립하여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 유형과 특성을 도출한다. 행정공간계와 교육공간계 별로 각각 2곳, 총 4곳의 유휴공간 활용법을 분석하고, 공간에 나타나는 특성들을 평가하여 공간 공유가치 요소들의 순위와 그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가치유형으로 환경, 사회, 경제, 문화가치로 총 4가지가 도출되었으며, 세부 특성으로는 지속가능성, 이용성, 개방성, 공공성, 접근성, 경제성, 다양성, 지역성의 8가지가 도출되었다. 대상지의 사례분석 결과 공간 공유가치유형 중에서 환경가치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사회가치, 경제가치, 문화가치 순으로 측정되었다. 공간 공유가치 특성에서는 지속가능성과 이용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개방성, 공공성, 접근성, 경제성이 뒤를 이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지역성과 다양성의 점수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결론) 합리적 가치 구매 중심의 소비문화 확산으로 현대 사회에 대한 공공의 역할은 더욱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과 목적을 수행하는 공공건축 활용에 대한 사회의 요구 또한 증가했다. 공공건축물은 행정의 본래 기능에서 나아가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공공의 가치를 실현해야 하며 서비스를 통한 지역주민의 복지 향상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를 유형화 및 정의하며 그에 따른 특성 세부요소를 도출하여 공간 공유가치를 발굴하고 평가하며 공간의 잠재력과 가능성에 대한 평가 지침 및 공공건축 공간의 총체적 방향성 제시에 목적을 둔다. 이에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공공건축의 공간 공유가치와 특성을 기초하여 향후 공공건축의 활용 방안과 잠재력을 재평가하며 기존 공공건축물의 활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culture of value consumption has become a trend, the shared economy has emerged as a megatrend to lead the future. Spatial sharing in this trend is a new way of using space and an economic approach that has emerg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idle space. Sharing unused space has brought benefits to consumers and users, and questions of aging environment and inadequate facilities are being resolved in various ways. Creating new facilities in the city center is subject to many restrictions and does not meet social needs for sustainability and regeneration. Therefore, we will explore the types of space sharing values in public buildings, derive and evaluate their characteristics,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unused space in the futur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a prior study was analyzed based on papers and literature related to public architecture and space sharing to discover and redefine the elements of public architecture and space sharing to derive the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haring in public buildings. We will analyze two places for idle space utilization, four places for each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service system, and we will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to rank and determine the importance of shared value factors. (Results) We derived a total of four types of values: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with eight detailed characteristics: sustainability, usability, openness, publicity, accessibility, economics, diversity and geography. The site case analysis showed the highest environmental value among space sharing value types, measured in order of social value, economic value and cultural value. In terms of the value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sustainability and usability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openness, publicity,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overall, the score for regionalism and diversity was the lowest. (Conclusions) The role of the public in modern socie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the spread of consumption culture centered on rational value purchasing, and society's demand for the use of public buildings to fulfill various functions and objectives has also increased. Public buildings must realize the various public values demanded by society, in addition to their original function of administration, and are responsible for improving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with their servi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model and define the value of spatial sharing in public buildings, to derive detailed characteristics, to explore and evaluate the value of spatial sharing, and to assess the potential and potential value of space to the publ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future utilization methods, the potential of public buildings based on space sharing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derived through research in order to enhance the usability of existing public buildings.

      • KCI등재

        랫드에서의 생분해성 매선요법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이창근 ( Chang Gun Lee ),정재윤 ( Jaeyun Jung ),황삼노 ( Samnoh Hwang ),박찬오 ( Chan Oh Park ),황순재 ( Soonjae Hwang ),조민정 ( Minjeong Jo ),신민희 ( Min Hi Sin ),김현호 ( Hyun Ho Kim ),이기종 ( Ki-jong Rhe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8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0 No.3

        매선요법은 다른 시술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인체 내에서 생분해가 일어나는 물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성형수술에서 각광받고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매선의 종류로는 poly-L-lactic acid (PLLA), polycarprolactone (PCL), polydioxanone (PDO) 등이 있으나, 매선으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물질들의 종류에 따른 차이점이나, 콜라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매선의 어떤 부분이 결정적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3가지 생분해성 물질(PLLA, PCL, PDO)로 만들어진 매선을 동물모델에서 그 효과를 비교하고, 매선의 콜라겐생성능에 미치는 영향 인자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매선을 랫드의 등에 삽입하여 2주, 4주, 8주, 12주동안 경과를 관찰하고 특수염색을 통해 콜라겐의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매선에 의한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조직검체는 H&E, Masson’s trichrome, Herovici’s collagen stain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3가지 모두 다 동일한 시기에 비슷한 양의 신생콜라겐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3가지 매선 모두 type 3의 콜라겐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성되는 콜라겐의 양은 매선이 피부조직에 닿는 면적이 크면 클수록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 한 번의 시술만으로도 많은 양의 매선이 들어갈 수 있는 PDO cavern타입의 매선이 가장 많은 콜라겐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read lifting has become popular as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facial rejuvenation. Commercially available threads are composed of poly-L-lactic acid (PLLA), polycaprolactone (PCL), or polydioxanone (PDO). However, the hist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response to implanted threads are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ist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response to implantation with three types of bioresorbable threads (PLLA, PCL, PDO) in rat skin. PLLA, PCL and PDO threads were implanted in the dorsal skin of Sprague Dawley rats and tissue samples were harvested 2, 4, 8 and 12 weeks post-implantation. To evaluate histologic changes induced by bioresorbable face-lifting threads, tissue sampl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 eosin, Masson’s trichrome stain and Herovici’s collagen stain. All three threads induced neocollagenesis of type 3 collagen in the rat skin. The amount of collagen induced by the threads was dependent on the thread surface area. The PDO cavern-type thread was most effective in inducing neocollagenesis due to its extensive surface area. Our results suggest that type 3 collagen induced by bioresorbable threads depends on the thread surface area to uphold the dermis and contributes to facial rejuve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