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론: 75-82문답을 중심으로

        황대우 ( Dae Woo Hw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성찬론이 신학적으로 어디에 분류될 수 있는지 연구한 것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초판은 128개문답으로 작성되었으나, 2판과 3판에 하나가 더 첨가되어 지금의 129문답이 되었다. 첨가된 것은 80문답이며 이것은 하이델베르크 성찬론의 신학적 성격을 분명하게 규정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찬론은 개혁파 교리에 속하는 것으로 모든 개혁파 신앙고백서와 요리문답의 가르침과 거의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 특별히 그것은 칼빈과 불링거가 작성한 취리히 일치신조의 성찬 교리와 일치한다. 하지만 성찬론과 관련하여 칼빈과 불링거는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불링거 성찬 교리에서는 성령의 역할이나 그리스도와의 연합보다는 믿음의 필요와 역할이 더 강조된다. 반면에 칼빈의 성찬 교리에서는 믿음의 역할과 중요성이 인정됨에도 불구하고 믿음의 요소보다 성령의 역할과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훨씬 더 중요하게 취급된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이 기독론에서 ‘엑스트라 칼비니스티쿰’을 가르친다는 점, 성찬론에서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 사이의 연합을 중시한다는 점, 에베소서 5장 30절의 인용을 인용한다는 점, 팔츠의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가 ‘칼빈주의’라 비난 받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성찬론에 칼빈의 성찬론에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칼빈적’이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것은 정당하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he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especially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t is sure that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belongs to the Reformed theology and is in substantial accord with the other Reformed confessions and catechisms. Is it justified for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to be classified as the Reformed theology, especially as the sacramental theology of Calvin? In connection with the sacramental theology, the Heidelberg Catechism is best substantially the same with the Tigurinus Consensus (1549) drafted by Calvin in Geneva and Bullinger in Zurich. But the doctrine of two Reformers is not uniformed in a concrete explanation and stress. Acknowledging the role of the Holy Spririt in the Lord`s Supper, Bullinger accentuates the faith to be necessary for eating the bread. Unlike him, Calvin lay most stress on the union with Christ(unio cum Christo) through the Holy Spirit who is his own Spirit, though he highly regards the role of faith for receiving bread and wine. In this article, I emphasized that it is right to attach a Calvinistic label to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My argument is based on some points, namely Calvin`s opinion “extra Calvinisticum” in christ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emphasis on the union with Christ, quotation of Eph. 5:30, and criticism of Friedrich III`s Calvinist from the Lutheran theologians and politicians.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 나타난 주기도문의 신학적 특성

        황대우(Dae woo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9 No.-

        기도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들 가운데 하나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친히 기도를 가르치시고 명령하셨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학자들은 기도를 무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조직신학자들에게서 그러한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기도라는 주제를 다른 신학 주제에 비해 훨씬 비중 없게 다루거나 아예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오늘날에만 새삼스럽게 나타나는 것이 아닌데, 이유는 16-19세기까지 루터주의 신학 저술들에서나 개혁주의 신학 저술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개혁주의 신학은 기도를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가르친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서도 역시 그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주기도문 해설의 신학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 나타난 기도의 교리를 루터와 칼뱅, 그리고 우르시누스의 기도론과 비교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혁신학이 가르치는 기도의 공통적인 특징이 무엇인지도 밝히고 있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개혁교회가 사용하는 신앙교육서로서 신학적으로 개혁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미국 신학자 비르마(Bierma) 박사는 자신의 책에서 이 신앙교육서의 특징이 루터주의과 개혁주의의 중도라고 주장하면서 이 신앙고백서를 교회 연합적인 문서로 간주한다. 하지만 최소한 주기도문 해설과 관련해서 만큼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은 결코 중도적이거나 교회 연합적인 문서가 아니다. 왜냐하면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주기도문의 내용은 루터보다는 오히려 부처와 칼뱅의 기도론과 훨씬 더 가깝기 때문이다. 주기도문을 7개의 간구로 구분한 루터와 달리,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그것을 부처와 칼뱅처럼 6개의 간구로 구분한다. 또한 죄를 빚으로 간주하고 동의어로 사용하는 것, 이웃의 죄를 용서하는 것이 하나님께 자신의 죄 용서를 구하는 전제가 아니라 결과라고 주장하는 것 등은 확실히 개혁주의 신학, 즉 칼뱅과 우르시누스의 견해와 일치하는 내용이고, 루터의 기도 신학과는 확실히 이질적인 요소들이다. 이런 점에서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내용은 분명 개혁주의 신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Prayer is one of the key Christian doctrines. This is because Jesus Christ Himself taught about prayer and commanded prayer. However, theologians have a tendency to overlook prayer. It seems that this tendency is especially marked among systematic theologians. This is because they do not treat the subject of prayer as much as other subjects, or not at all. This phenomenon is not just a modern one, since this was also the case in the 16th to the 19th centuries in the writings of Lutheran theologians equally as much as Reformed theologians. Yet traditionally Reformed theology teaches that prayer is very important. Indeed, this can also be seen in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position of the Lord’s Prayer in the Heidelberg Catechism. In this essay, the doctrine on prayer as it appear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is compared to those of Luther, Calvin and Ursinus. In this wa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eformed teachings on prayer are presented. Since the Heidelberg Catechism is used by Reformed Churches, it is regarded as having Reformed theological characteristics; yet the modern American theologian Dr. Bierma in his book argues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is theologically midway between Lutheran and Reformed in character, and that this catechism is an ecumenical document. However, at the very least, the Heidelberg Catechism is neither a middle-of-the-road nor an ecumenical document, as far as its exposition of the Lord’s Prayer is concerned. This is because the Heidelberg Catechism’s exposition of the Lord’s Prayer is much closer to the doctrines on prayer of Bucer and Calvin. Unlike Luther, who divided the Lord’s Prayer into 7 petitions, the Heidelberg Catechism, like Bucer and Calvin, divides it into 6 petitions. Also, the fact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considers sin to be a debt (using the two terms synonymously), and the fact that it argues that forgiving the sins of one’s neighbor is not the basis but the result of asking God for forgiveness of one’s own sins, and other characteristics like these, are firmly in line with Reformed theology, i.e. Calvin and Ursinus’ views, and are certainly different to the theology of prayer of Luther. For these reasons the content of the Heidelberg Catechism can clearly be categorized as being Reformed in theology.

      • KCI등재후보

        하나님의 영광과 인생의 위로: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 1-15문답과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 1-22문답 비교 연구

        황대우 ( Dae Woo Hw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29 No.-

        이 논문은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출발점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제2 제네바 신앙교육서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각각 작성의 배경이 다르다. 그리고 두 신앙교육서의 서두를 비교해보면 접근법이나 사용하는 용어, 출발점과 전개 방식에 있어서 확실히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을 아는 것을 인생의 목적으로 말하는 제네바 신앙교육서는 성부 중심의 창조론적이고 종말론적인 반면에, 그리스도께 속해 있다는 것을 인생의 유일한 위로로 말하는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그리스도 중심의 인죄론적이고 구원론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두 신앙교육서의 접근 방법이 형식적으로는 분명 다르지만, 내용적으로는 확실히 일맥상통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을 아는 것과 인생의 유일한 위로는 구원의 양면이기 때문이다. 차이점이라면 제네바 신앙교육서가 구원 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출발하는 반면에,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는 구원받는 인간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이다. 그 둘은 결국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 만나게 된다. 인생의 목적이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은 인생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것이 유일한 구원의 길임을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인생의 유일한 위로가 그리스도께 속해 있는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은 죄인의 비참한 인생의 온갖 문제가 오직 구세주이신 그리스도 안에서만 해결된다는 구원의 복음을 제시한다. This is the article to research the stating points between the Second Genevan Catechism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It was different for Geneva and Heidelberg to make out their own Catechism. It is sur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starting point, used words, and unfolding method between two Catechisms if the one may be compared with the other. For example, the Genevan Catechism starts proclaiming the honor of God in His creation and in eschatology in order to know God, wherea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soteriologically to say the only comfort in life and death by virtue of the works of Christ. The latter is Christ-centered, whereas the former is Father-centered. There are those different points not in contents, but only in form, style, or an approach method. The two Catechisms are in accordance with the substantial doctrines, because the recognition of God and the only comfort of human being are two sides of the human salv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techismsis is only one, that is how to approach. The Genevan Catechism begins to approach from God who redeems the mankind from sin and death, whereas the Heidelberg Catechism begins to approach form human being who should be saved from sin and death. These two ways happen to meet in Christ who was crucified, dead, and rose from the dead. Therefore, the Genevan Catechism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attempt to present only the soteriological way in Christ our Saviour.

      • KCI등재

        칼빈의 『창세기 주석』과 카피토의 『하나님의 6일 사역』에 나타난 하나님의 창조

        황대우 ( Dae Woo Hw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1 No.-

        본 논문은 16세기 제네바 종교개혁가 칼빈과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가 카피토가 창세기 1장에 기록된 6일 간의 창조 사건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설했는지를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이 비교분석에서 하나님의 천지창조에 관하여 칼빈은 당시의 천문학과 같은 과학적 발견을 성경 해석에 적용하여 문법적이고 역사적인 해석을 추구한 반면에 카피토는 당시의 과학적 발견을 무시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문자적인 해석을 넘어서 중세 성경해석방법의 4단계 가운데 마지막 최고 단계인 영적 해석(anagogical interpretation)을 추구했다. 카피토와 칼빈 모두 창조사역을 삼위 하나님의 공역으로 이해함에도 불구하고 카피토는 창조의 목적을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 즉 재창조로 보았기 때문에 창조의 초점이 그리스도인 반면에 칼빈은 창조를 재창조와 연결시키지 않고 단순히 우주 창조로 보았기 때문에 창조의 초점이 성부 하나님이다. 따라서 창조에 대한 카피토의 관점은 그리스도 중심적인(Filio-centric)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그것에 대한 칼빈의 관점은 성부 중심적인(Patro-centric) 것으로 나타난다. 카피토는 하나님의 창조 사역을 하나님의 교회 사역을 위한 준비 단계로 간주하기 때문에 창조된 만물을 끊임없이 재창조된 교회와 유비시킨다. 그 결과 6일간의 창조 사역에 관한 그의 주석은 교회론을 위한 장황한 교리 해설서가 되었다. 하지만 칼빈의 창조 사역에 대한 해석에서는 창조와 교회 사이의 유비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6일 간의 창조 사역을 기술한 창세기 1장에 대한 칼빈의 설명은 그 자신의 첫 번째 로마서 주석(1540) 서문에서 언급한 ``가장 건강한 성경 해설 방법``(optimum enarrandae Scripturae genus)으로 제시한 ``명료한 간결성``(perspicua brevitas)이라는 성경 주석 방법과 일치한다. 칼빈은 카피토가 스트라스부르에서 함께 사역한 동료 개혁자요, 6일간의 창조 사역에 대한 해설서를 자신의 창세기 주석보다 훨씬 일찍 출판한 대선배 종교개혁가였지만 창세기 1장에 대한 해석 방법과 내용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t is sure that the interpretations of both Calvin and Capito, on the story of the creation in Genesis 1, are more literal than today`s commentators of the Bible utilizing various methods of textual criticism. So far as the creation of Genesis 1 is concerned, Capito tried to annotate the text more literally than Calvin. But his literalism became the cause and basis of interpreting the text spiritually, because he sought a spiritual sense in every verse and word from the Bible, It seems that Capito`s method is closely related to the Medieval exegesis, especially to the anagogical interpretation for the church. On the contrary, Calvin did not adhere to the literalistic interpretation. It is not literalism that he pursued, because he sometimes annotated the Scriptural text figuratively. For his Biblical hermeneutics, to some extent Calvin considered positively the results of the contemporary astronomers, while Capito saw it negatively. Both reformers understood creation as co-operation of the triune God. For Calvin, it absolutely relies on the first cause of the creation, i.e. the miraculous power of God, because he thought that the second causes, for example, earth, water, fire, air, and so forth, can do nothing without the first cause. Especially, Calvin related the work of God`s creation closely with the Father as the Creator. Thus, the creation is Patro-centric in the thought of the Genevan reformer. On the contrary, the reformer of Strasbourg attributed everything in creation to the Son as the Word. At this point, Capito`s perspective on the creation is Christo-centric, namely Filio-centric rather than Patro-centric. Finally, his doctrine of creation is ultimately ecclesiological because he related every verse and word regarding creation with the church. Capito`s commentary on Genesis 1 is lengthy and complicated because of his wordy and repetitive explanation of the doctrines. On the contrary, Calvin`s annotation is rather short and simple. This is why he strove to keep his principle of interpreting the Bible, i.e. "perspicua brevitas" as "optimum enarrandae Scripturae genus," which he mentioned in the preface of his first commentary on Romans (1540). The Genevan reformer wanted to separate the commentary on the Bible from Christian doctrines. Therefore, it was unnecessary for Calvin to describe in detail the doctrines in his commentary. He did not try to connect every verse and word of Genesis 1 with the doctrines, especially ecclesiology. As a result, we cannot repeatedly encounter ecclesiological interpretations in his commentary on Genesis 1. It is clear in Calvin`s doctrine creation that he never regarded creation as a former course or a preparation for the ecclesiastical work of God. But Capito connected creation too closely with the church so that it seems that he intended to consider the creation as a preparatory stage for the church.

      • KCI등재

        교회와 정부의 관계에 대한 부써의 견해

        황대우(Dae Woo Hw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8 갱신과 부흥 Vol.21 No.-

        이 논문은 교회와 초기 정부의 관계를 다루는 글이다.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은 교회를 하나님의 나라와 동의어로 본다. 이런 견해는 오늘날 교회가 하나님의 나라와 전혀 다른 것으로 보는 현대 신학자들의 견해와 다르다. 부써도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를 동일시한다. 그런데 부써 신학의 특징적인 요소는 그리스도의 나라 개념이다. 부써에게 교회와 하나님의 나라는 그리스도의 나라로 통한다. 하지만 부써에게 그리스도의 나라는 단순히 교회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스도는 온 우주를 다스리시는 만왕의 왕이시기 때문이다. 지금 이 세상은 사탄과 죄악의 영향아래 놓여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완전한 나라일 수 없다. 그리스도의 완전한 나라는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가지 이 땅에서 결코 실현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께서는 교회의 머리이시기 때문에 자신의 몸인 교회를 통해 그리스도의 나라를 세상에서 확장시키길 원하신다. “하나님의 나라”(regnum Dei)인 교회 안에서 왕이신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백성들을 자신의 말씀과 영으로 다스리신다. 그리스도의 나라는 세상적인 실제이자 동시에 하늘 나라다. 그 나라는 항상 교회를 통해 이 세상에 실현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나라”(regnum Dei)로서 교회와 “세상 나라”(regnum mundi)로서 국가는 서로 혼합될 수도 없고 분리될 수도 없다. 교회와 국가는 종말까지 지상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병존하지만 반드시 상호 협력해야 한다. 교회는 영적인 검인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고서 하나님 나라를 죄인들 앞에서 닫을 수도 있고 열 수도 있다. 반면에 세상 정부는 물리적 검을 가지고서 모든 공개적인 죄들을 처벌한다. 세상 정부는 지상에서 그리스도의 나라를 세우고 확장하고 개혁하기 위해 반드시 교회와 함께 공역해야 한다. 그러므로 기독교 정부는 이 세상에서 최선의 정부 통치 형태로써 “기독교 공화국”(respublica christiana)이라 불릴 수 있다. 교회와 국가는 각자, 무엇보다도 먼저, 유일한 왕이신 그리스도께 복종해야 하고 그 다음에 서로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것이 부써의 독특한 주장이다. 이런 점에서 교회와 정부의 관계에 대한 부써의 견해는 하나님의 도성과 세상의 도성으로 구분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 개념 뿐만 아니라, 두 나라 즉 하나님의 나라와 세상의 나라로 이해하는 루터의 두 나라 개념과도 구분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earthly government. For the reformers in the 16th century, the word ‘ecclesia’ is a synonym for the word ‘regnum Dei’. This view does not seem as that of modern theologians who think those two idea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Strasbourg’s Reformer Martin Bucer is also one of the reformers. He equates the Church with the kingdom of God. The concept of the kingdom of Christ is characteristic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es and the governments in the whole theology of him. First of all, he considers it as the earthly church that is His body. But it does not simply mean the earthly Church, because He is the King of kings who rules the whole world. Though the Christ rules his people in this world through his Words and Spirit, the kingdom of Christ is not perfect on the earth until Christ’s Second Coming to judge everything of the creature. It cannot be completely realized in this world because of the Satan and the sins. Nevertheless, the Christ is here and now ruling his kingdom and enlarging it throughout the world. He rules his kingdom on the earth by his Words and Spirit. It is sure that the kingdom of Christ has an earthly feature. But we do not deny that his kingdom has also the heavenly characters. In this world, there is always a conflict between the Church as the ‘regnum Dei’ and the government as the ‘regnum mundi’. At the same time, the two kingdoms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Church and the State could not be mixed and may not be separated. Those two have to be cooperated in Christ who is the King of kings. With the spiritual sword, the Church could open or close the door of the heavenly kingdom for the sinners, whereas the government punishes the open sinners of society with the material sword as political authority. The worldly government must cooperate with the Church for the kingdom of Christ. For Bucer, the Christian State is the best of the governments which are able to exist in this world, called the ‘respublica christiana’. The Church and the State need first to be reigned by Christ as the one and only King of the universe. And then those two have to submit to each other. This is a distinct characteristic in Bucer’s though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In this point, Bucer’s opinion is distinguished not only from Augustine’s idea of two cities, but also from Luther’s perspective of the two kingdoms.

      • The Church as a Creature of the God`s Word in the Theology of Bucer

        황대우 ( Hwang Dae Woo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7 No.-

        부써는 교회를 철저하게 “하나님 말씀의 피조물”(creatura verbi Dei)로 간주한다. 그에 따르면 내적 말씀이신 성령은 외적 말씀인 성경과 설교와 구분되지만 이 둘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 외적 말씀은 내적 말씀이신 성령의 조명에 의해 계시된다. 교회는 바로 이 내적이고 외적인 말씀으로부터 태어나고 성장한다. 성령과 말씀은 함께 교회를 세운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자신의 영과 말씀으로 다스리시기 때문이다. 부써 신학에서 “말씀과 성령”은 한 쌍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데, 이것은 한편으로 가시적인 것을 죄악시하는 영성주의자들(Spiritualists)의 이 원론적 사상을 거부하고, 다른 한편으로 가시적 교회를 절대시하는 로마 가톨릭주의의 일원론적 사상을 거부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부써의 신학은 이 둘사이의 중도(via media)라고 볼 수 있다. 루터 역시 말씀과 성령으로 이 두사상 모두를 거부하지만 루터가 자신의 강조점을 내적 말씀보다는 외적 말씀에 둔 반면에, 부써는 루터에게 동의하면서도 무게 중심을 외적 말씀보다는 내적 말씀에 둔다. 즉 부써는 내적 말씀인 성령의 효과적인 역사 없이는 외적 말씀이 무익하다고 보는 것이다. 부써에 따르면 하나님의 말씀은 성경이다. 교회와 말씀은 성경이 기록되기 전에도 존재했다. 언제나 하나님의 자녀는 믿음, 즉 “말씀을 들음으로부터 나는” 믿음으로 중생한다. 외적 말씀인 성경에서 우리는 우리의 구원과 관련한 모든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부써는 성경을 신앙의 유일한 법칙으로 규정한다. 이런 점에서 부써는 자신을 로마교회뿐만 아니라, 재세례파와도 구분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몸인 교회의 성장을 위한 규칙일 뿐만 아니라, 또한 교회를 보호하기 위한 하나님의 전쟁 무기이기도 하다. 교회됨를 형성하는 모든 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으로부터 나온다. 성령과 말씀과 믿음은 그리스도 위에 기초 한 몸인 교회됨을 지탱하기 위한 삼중의 기둥이다. 부써의 주장에 의하면 교회는 오직 사자로서만 하나님의 말씀을 소유한다. 따라서 교회는 말씀의 좌지우지하는 운전자가 아니다. 성령과 말씀에 의해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자신의 백성을 부르신 후에 이들에게 믿음을 주신다. 이것이 바로 교회가 신자들의 모임으로 불리는 이유이다. 믿음은 말씀을 들음에서 나는데, 그것은 육신의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귀로도 듣는데, 하나님께서 우리를 오직 말씀으로만 살게 하시기 때문이다. “말씀을 들음으로부터 나는 믿음”(Fides ex auditu verbi)이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물이다. 믿음은 성령의 사회적 은혜와 사랑과 교통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믿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일이지, 교회의 일이 아니다. 구원의 모든 것은 믿음으로부터 나온다. 이 믿음에 의해 교회는 하나님의 비밀인 천상의 것들을 받고 즐기는 것이다. Stephens and Hammann define the church on Bucer as people of the Word, because they are people of the Holy Spirit, seeing the Father, together with the Lord, builds up his dwelling by them who have preserved the Word of the Lord. Only the word of God is the truth. And the one, who leads everyone and all to all truth, is the Holy Spirit. However, the Church is called the pillar of the truth, because the Word is heard only in the Church that is the body of Christ, who is the head of her. At this point, the Church is called the “locum pedum domini”, because God gives his own presence only in the Church. God is present in his own people by his Spirit and his Word. In and through the Church, God reveals his Word under the illumination of the Holy Spirit. Only in the true Church of Christ, we have the true understanding and the true explanation of the Bible, such as the Holy Spirit is promised only to her and leads her. Therefore, the true Church should offer not her own word, but only the Word of God the believe, and that on the command of God Himself.

      • KCI등재

        부써의 예정론

        황대우 ( Hwang Dae Woo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1 No.-

        이 논문은 부써의 예정론을 성부, 성자, 성령의 각 위격에 따른 주요 신학 주제와 연결하여 분석한 것이다. 그런 다음 이 연구는 부써의 예정론 속의 주요 용어들을 분석하고 그가 이중 예정론의 관점을 견지한다는 것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예정이 부써의 교회론 뿐만 아니라, 그의 다른 신학 주제들을 위해서도 신학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재세례파와 신령파 사상과 반대로 부써는 하나님의 예정을 시간적이고 논리적으로 구원서정의 첫 번 자리에 둔다. 부써에게 있어서 예정의 기초가 그리스도의 공로에 의지하는 하나님의 선의 이외의 다른 무엇이 아니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나님의 예정을 위해 인간의 공로나 반응이 차지할 수 있는 자리는 전혀 없다. 하나님의 예지를 논하는 곳 어디에서나 부써는 결코 인간의 반응을 예정의 조건으로 고려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의 생각에는 만물과 만사가 항상 현존하시는 하나님 앞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부써는 이중예정론을 주장한 최초의 종교개혁자다. 하나님의 예정은 하나님의 의지와 결정에 의해 형성된 선험적 사건이다. 선택은 하나님의 사랑에서 발생하고 그리스도께서 그 기초이고 성령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선택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역이다.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을 자신의 말씀과 성령을 통해 그리스도의 한 몸으로 불러 모으신다. 이 몸이 교회다. 부써는 하나님 앞에 있는 불가시적 교회와 사람 앞에 있는 가시적 교회를 구분한다. 이것은 인식론적인 구분이며, 결코 플라톤의 이원론에 근거한 존재론적 구분이 아니다. This article analyzes Bucer`s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relation to the key theological themes according to each person of the Trinity. This study then analyzes the key terms in Bucer`s doctrine of predestination and argues that he holds the view of double predestination. Finally it is argued that Bucer underlines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God`s predestination not only for his ecclesiology but also for the other themes in his theology. Contrary to the Anabaptists or spiritualists` ideas, Bucer places God`s predestination chronologically and logically in the first place in `ordo salutis.` For Bucer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foundation of predestination is nothing but God`s benevolence by virtue of Christ`s merit. There is no place for human merit or response for predestination. Whenever Bucer speaks of `praescientia Dei`, he never thinks of human reaction as a condition of predestination, because all things and events are always in the present of God. Bucer is the first Reformer to assert the doctrine of double predestination. The predestination of God is an event a priori made by God`s will and decision. Election springs from the love of God, is founded upon Christ, and is realized by the Holy Spirit. Therefore it is of the Trinity. God calls his people together into the one body of Christ through his Word and Spirit. This body is the Church. Bucer distinguishes the invisible Church `coram Deo` from the visible `coram hominibus`. This is an epistemological distinction, but is not based upon Platonic dualism.

      • KCI등재

        종교개혁가 부써에게 있어서 교회와 국가의 관계

        황대우 ( Dae Woo Hwang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1 역사신학 논총 Vol.21 No.-

        The relation of chruch and state may be classified with the five models, namely the mutual conflict relation, the mutual mixed relation, the mutual independent relation, the mutual separated relation and the mutual independent coexistencial relation. Bucer`s view on the rel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belongs to the last model, the mutual independent coexistencial relation. For, according to Bucer, church and state are independent to each other, but cooperative mutually. He regards that the church has a spiritual power seperated from the sword power of government. The church can open and close the heavenly Kingdom by the key as the Word of God, while the state governs the people by the physical sword as the political power. In this point Bucer thought that the church as ``regnum Christi`` should not be mixed with the state as ``regnum mundi``, nor seperated from that.

      • KCI등재

        1530년대 독일남부 도시들의 종교개혁을 위한 부써의 역할

        황대우(HWANG Dae-Woo)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2

        부써와 카피토는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의회에 “4개 도시 신앙고백”을 작성하여 제출했다. 이 신앙고백에 서명한 독일남부의 네 도시는 스트라스부르, 콘스탄츠, 린다우, 메밍겐이었다. 이 도시들은 루터와 츠빙글리보다는 부써의 신학적 견해를 신뢰했던 것으로 보인다. 스트라스부르는 뉘른베르크의 평화협약을 이끌어내는데 일조했으며 이 때 부써의 신학적이고 정치적인 판단은 나쁜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다. 독일남부 도시들에서는 1530년대 초반에 부써의 영향력이 두 스위스 종교개혁자의 죽음으로 인해 이전 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는데, 그 증거로는 울름과 아우크스부르크의 종교개혁에 끼친 부써의 영향을 들 수 있다. 1530년대 부써가 스트라스부르의 수많은 재세례파 지도자들과의 논쟁에서 승리했는데, 당시 그의 영향력과 활동은 스트라스부르에 제한되지 않고 독일남부의 몇몇 주요 도시들에로 확대되었다. Bucer and Capito made a confession to present to the Imperial Diet of Augsburg in 1530. It is known as the ‘Confessio Tetrapolitana’ (the Confession of the Four Cities), because it was signed by the four cities in the South Germany: Strasbourg, Constance, Lindau, and Memingen. This is evidence that those cities depended on the theological opinion of Bucer more than that of Luther or Zwingli. Strasbourg contributed to the religious Peace of Nuremberg, because she had signed the Confession of Augsburg. The theological and political judgements of Bucer never resulted badly. In the early 1530s, Bucer’s influence after the death of the two Swiss Reformers, more and more appeared strongly in the cities of southern Germany. Ulm, one of the 14 cities that signed protestation at Speyer in 1529, was not a small city in Germany and became the city of Reformation after the Imperial Diet of Augsburg in 1530. When Ulm asked Bucer for help, he tried his best to help her not only in correspondence, but also by a visiting sojourner. It was an extraordinary event of the Reformation in the early 1530s that Augsburg, the city of the royal palace, changed into reformed city. Augsburg wanted to join in Schmalkaldic League (1531), a political movement of Protestantism, but the Lutherans did not permit it. Because of Bucer as an arbitrator, Augsburg finally could become a member of the Protestant League in January 20, 1536. In the early 1530s, Bucer was a champion of the theological discussion with a lot of Anabaptists’ leaders in Strasbourg. At this time, Bucer’s influence and activities was not localized in Strasbourg, but expanded into some important cities of the southern Germany.

      • KCI등재

        깔뱅의 교회론과 선교

        황대우(Dae Woo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9 선교와 신학 Vol.24 No.-

        이 글은 깔뱅의 교회론과 선교 사상의 관계를 살피는 것이다. 일부 선교학자가 종교개혁자에게서 선교 개념이 발견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린 것은 16세기의 시대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리고 종교개혁자의 글을 전체적으로 살피지 않았다는 점에서 부당한 평가다. 깔뱅은 선교 이론만 제공한 것이 아니라 직접 보내는 선교를 실천했다. 깔뱅의 선교 원리는 창조 원리에 기초되어 있다. 제네바 개혁자는 세상 모든 사람들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았으므로 본래 한 몸이요 한 가족이라는 사실에 초점을 맞춘다. 깔뱅은 죄가 한 몸과 한 가족을 뿔뿔이 흩어 놓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먼저 믿은 자는 그 몸에서 떨어져 나간 형제 즉 불신자를 다시 찾아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혁자에 따르면 이것이 바로 성경이 말하는 이웃 사랑의 실천이다. 이것을 위해 모든 그리스도인은 끊임없이 기도해야 한다고 깔뱅은 요구한다. 그러므로 깔뱅에게 선교 개념이 부족하다거나 이교도 선교에 관심이 없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제네바의 선교 즉 선교사를 파송하여 브라질 원주민에게 복음을 전하려고 한 시도는 결국 실패한 것으로 평가될지 모르지만 이것이 분명 이교도 선교였다는 점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러한 이교도 선교의 실천은 깔뱅의 교회론 즉 하나님 나라 확장이라는 개념과 열방에 복음을 전할 사명이 사도에게 주어졌다는 사도직 개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깔뱅 교회론의 핵심은 교회 건설(aedificatio ecclesiae)이다. 깔뱅에게 있어서 교회 건설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당대 유럽의 허물어진 교회를 복구하는 일 즉종교개혁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개념은 또한 국경을 넘어 복음을 전하는 일 즉 이교도 선교를 통해 신앙의 불모지에 새로운 교회를 건설하는 것까지도 포함한다. 하나님께서는 복음 선포를 통해 이 땅 위에 자신의 교회를 건설하기를 원하신다. 그러므로 복음 선포는 교회 건설과 하나님 나라 확장의 출발점이다. 깔뱅에게 있어서 복음 선포는 동시에 설교와 전도와 선교를 의미한다. 깔뱅은 이웃의 불신자에게 복음을 전하는 전도와 국경을 넘어 이교도에게 복음을 전하는 선교를 구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복음 선포는 교회 안으로는 신앙 교육을 의미하지만 교회 밖으로는 전도이며 선교를 의미한다. 깔뱅에 따르면 복음 선포는 하나님께서 세우시고 보내신 교회 사역자에게 맡기신 사도적인 직분이지만 복음 선포를 통한 교회 건설과 하나님 나라 확장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다. 이것이 깔뱅의 신학과 삶에서 발견되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이다. 깔뱅의 주장대로 교회 성장의 최종 목표가 그리스도이고 이것이 그리스도에 대한 순종을 통해 달성된다면, 복음 선포를 통한 전도와 선교는 하나님을 모르는 불신자들을 그리스도께 인도함으로써 그들의 인생 전부가 총체적으로 변화하도록 돕는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ecclesiology and mission in Calvin’s thought. It is not correct that some missionological scholars concluded Calvin’s theology not to be mission-minded because they did not fully take into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of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and not investigate the whole works of the reformers. Calvin not only provided the theoretical principles for mission field, but also actually sent missionaries especially into France and Brazil. The principles of mission in Calvin’s theology a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God’s creation. For the Geneva’s mission his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fact that all of human beings in the world consisted of one body and one family in origin, because they are created by the image of God. But the members of one body are scattered here and there by the result of sin. And then, Calvin affirms that the believers among them must seek for their brothers and sisters who are not yet joined with the one body of Christ. According to the reformer, this is to put into practice the idea of loving our neighbors. With this point Calvin demands that every Christian should pray continuously for them. Therefore it is not true to be said that Calvin lacks the concept of the mission or has no interest in the mission to the foreign countries. Although the attempt to send the missionaries and evangelize the native people in Brazil is finally evaluated as a failure, it cannot be denied that it was a clear example of his effort to evangelize the foreign countries. This practice of the mission to overseas originated from Calvin’s ecclesiology, that is the concept of expanding the kingdom of God and of the apostolate arguing evangelism for all nations is given as commission to the apostles. The core of Calvin’s ecclesiology is the edification of church (aedificatio ecclesiae). For Calvin “aedificatio ecclesiae” means the restoration of the fallen church in Europe, namely the Reformation. In addition, it implies the idea to build the new churches in foreign countries where the Gospel is not heard. God wants to build his own church on earth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Gospel. Therefore, the preaching of the Gospel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edification of church and the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In Geneva the preaching of the Gospel means both evangelism and mission. Calvin does not distinguish foreign mis-sion from evangelism to the neighbors. So the preaching of Gospel means both promulgation of Christian belief inside the church and evangelism and mission outside the church. According to Calvin, the preaching of Gospel is given to apostolic office committed to the church officials whom God appoints and sends, but the edification of church and the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evangelism i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sovereignty of God. This is the concept of God’s mission in Calvin’s theology and life. Because the primary purpose of church growth is showing Jesus Christ, it can be accomplished by obedience to Jesus Christ. As Calvin says, by means of the preaching of the Gospel mission leads unbelievers to Jesus Christ and brings total change in their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