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대 국어 의서류 연구 -‘언해태산집요’, ‘마경초집언해’, ‘언해두창경험방’의 구어문에 대하여-

        황국정 ( Hwang Guk Jeong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구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33 No.1

        [마경초집언해]는 근대초기 문헌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구에 의하면 근대국어 후반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문헌의 저자는 근대 중후반기 문학인, 산문문장가 서포김만중임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는 당시 문학가로 활약하던 집필 시절 동시대 의서 및 한글 언해서를 섭렵하는 등 한글 문장 발전에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 김만중의 사상적 편력과 박학한 지식에 힘입은 의서류 연구를 통해 당시의 의서 간행 및 편찬 목적은 단순히 질병 예방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혼란한 정국을 바로 잡아 병치료 및 민심 수습을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 차원에서 시행한 의술 대처 및 의서류 간행으로 당시 조선의 백성들의 삶의 질이 나아질 수 있었다. 문헌의 서지적 검토를 통해 전쟁 후 조선의 근대 상황을 이해하며, 당시 의약서의 총체적 지식이 담겨진 저술서의 연구로, 이 책의 편찬 목적인 전후의 역병 예방을 위한 왕실의 역병 정책을 이해함으로써 질병예방에 대한 의술을 배우게 한다는 점에서 의서류 간행의 의미가 있다. Makyungchojipeonhae(馬經抄集諺解) in the early moderan korean times was assumed which was published by the later moderan korean times. Moreover, the author was debated by Kim man jung, was a literary person who was a prosaist. A writer was well-read Hangul annotaion materials, the medical books, in which contributed on advances of the Hangul sentences. Kim man jung was erudite on thoughts, according to the on studys of the medical books, publications on medical materials and compilation were disease prevention method by simple, rectified a chaotic state of affairs, control of public sentiment. Also, medical techniques and medical documents at the national level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the peoples of joseon. Later on documents researches,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understanded modern times circumstances in Joseon, the purpose of compilations the books was up to an epidemiography in the Joseon dynasty, on publication the medical materals of the disease preventions.

      • KCI등재후보

        15세기 국어 이동동사 구문 연구 -기본 문형과 통사적 특징에 대하여-

        황국정 ( Guk Jeong Hwa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15세기 국어 이동동사 구문의 기본 문형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15세기 국어 이동동사 구문의 통사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15세기 국어의 이동동사 구문은 크게 지향점이동동사와 기점이동동사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있다. 지향점이동동사는 지향점 논항의 실현 양상에 따라 ``NP이 NP에 V``, ``NP이NP로 V``, ``NP이 NP를 V``, ``NP이 NP에/로 V``, ``NP이 NP로/를 V, 그리고 ``NP이 NP에/로/를 V``의 여섯 문형으로 실현된다. 기점이동동사는 기점 논항의 실현 양상에 따라 ``NP이 NP에 V``, ``NP이 NP로셔 V``, ``NP이 NP에셔/로셔 V``, ``NP이 NP에/에셔/로셔V``, ``NP이 NP를 V``, ``NP이 NP에/에셔/로셔/를 V``의 여섯 문형으로 파악했다. 15세기 국어 이동동사 구문의 통사적 특징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지향점의``-에`` 논항의 실현 환경이 현대국어보다 넓었다. 또한 ``-에``는 현대국어보다 ``방향성``의 의미가 더 강하게 실현되어, ``-로`` 논항이 실현될 자리에 ``-에``가 실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15세기 국어의 다수의 이동동사들이 지향점의 ``-를`` 논항을 취하지 않았다. 이들은 현대국어로 오면서 ``-를`` 논항을 취하게 된다. 셋째, 기점의 ``-에``와 ``-에셔``, ``-로셔``는 의미적으로 구분되었다. 기점의 ``-에``는 ``일정한 공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다, 없어지다, 사라지다``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에 실현되었다. ``-에셔``는``어떤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위에서 아래로 혹은 안에서 밖으로 이동하다``의 이동에 의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로셔``는 공간의 이동의 의미이나, 특히 이동의``방향``의 의미가 강하게 부각될 때 실현되는 것으로 보았다. This paper aims at the investigation into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yntactic structures of moving verbs in the 15th century`s Korean by considering the basic sentence patterns. The moving verbs in the 15th century`s Korean can be mainly divided into goal moving verbs and source moving verbs. The sentence patterns using the goal moving verbs in the 15th century`s Korean are divided into ``NPi NPe V``, ``NPi NPro V``, ``NPi NPril V``, ``NPi NPe/ro V``, ``NPi NPro/ril V``, and ``NPi NPe/ro/ril V`` with the realized aspect of goal argument. The sentence patterns using the source moving verbs in the 15th century`s Korean are divided into ``NPi NPe V``, ``NPi NPro∫∂ V``, ``NPi NPe∫∂/ro∫∂ V``, ``NP이 NPe/e∫∂/ro∫∂ V``, ``NP이 NPril V``, and ``NPi NPe/e∫∂/ro∫∂/ril V`` with the realized aspect of source argument. The syntactic structures of moving verbs in the 15th century`s Korean have three grammatical peculiarities. First, the ``-e`` argument of goal in the 15th century`s Korean are wider applied than that in contemporary Korean. In addition, the ``-e`` in the 15th century`s Korean was frequently used at the position of the ``-ro`` in contemporary Korean owing to stronger meaning of ``directionality``. Second, a large number of moving verbs in the 15th century`s Korean excluded the ``-ril`` argument of goal. The verbs have gradually included the``-ril``argument up to contemporary Korean. Third, the ``-e``, ``-e∫∂``, and ``-ro∫∂`` of source were semantically divided. The ``-e`` of source was used for the meaning of ``separation or disappearance from any space or region``. The ``-e∫∂`` placed the focus on the meaning of ``movement from any space to different space, from top to bottom, or from inside to outside``. The ``-ro∫∂`` was used for the meaning of space movement, and especially for the cas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was strongly appeared.

      • KCI등재후보

        15세기 국어 동사의 의미변화와 논항구조의 변화

        황국정 ( Guk Jeong Hwa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동사의 어휘적 의미 변화에 따른 논항구조의 변화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동사의 어휘적 의미 변화는 크게 동사의 의미 확장, 의미 축소, 의미 전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동사의 의미가 확장되면 새로운 논항이 형성되어 동사의 논항구조에 변화가 생기는데, 크게 ‘NP이’ 논항이 형성되는 경우와 ‘NP와’ 논항이 형성되는 경우로 살펴볼 수 있다. ‘NP이’ 논항의 의미역은 ‘대상’과 ‘행위주’가 실현되었다. ‘NP와’ 논항이 형성되는 경우는 ‘NP와’가 ‘공동’으로 실현되거나, ‘대상’, ‘행위주’, ‘기준’의 의미역이 실현되었다. 동사의 의미가 축소되면 논항이 소멸하게 된다. 여기에는 ‘NP에’ 논항이 소멸하는 경우와 ‘NP로’ 논항이 소멸하는 경우로 살펴볼 수 있다. 소멸하는 ‘NP에’ 논항의 의미역으로는 ‘방향’, ‘원인’의 의미역이 실현되는 경우이다. ‘NP로’ 논항이 소멸하는 경우는 ‘방향’, ‘기점’, ‘경로’의 의미역이 실현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동사의 의미 전변으로 일어나는 논항구조의 변화로는 논항의 자릿수에는 변화가 없으나 논항의 의미역에 변화가 일어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the description of the change of argument structure and semantic change of verbs in the 15th century. There are formation of ‘NP이’ argument and ‘NP와’ argument by enlargement of meaning of verbs. The thematic role of the ‘NP이’ argument is theme and agent. The thematic role of the ‘NP와’ argument is ‘cooperation’, ‘theme’, ‘agent’, ‘criterion’. There are lost of ‘NP에’ and ‘NP로’ by contraction of meaning of verbs. The thematic role of the ‘NP에’ argument is direction, reason. The thematic role of the ‘NP로’ argument is direction, source, path. Finally, the thematic role of verbs is changed by mutation of meaning verbs.

      • KCI등재

        중세국어 “-에/를” 격 교체 구문에 관한 연구 -처격조사 “-에”와 대격조사 “-를”의 문법적 기능-

        황국정 ( Guk Jeong Hwang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와 정보 사회 Vol.24 No.-

        This paper aims at the investigation into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yntactic structures with the case alternation of “-e” and “-e/ril” in the middle Korean by considering the phenomena of the case alternation with the verb types. This study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lternations phenomena of the “-e/ril” in the middle Korean are shown in more types of verbs as compared with the contemporary Korean. The pheonomena had been found in psych verbs, cognition verbs, thought verbs and perception verbs as well as moving verbs, attitude verbs. Second, the locative case, “-e” in the syntactic structures of psych verbs, cognition verbs, thought verbs, and perception verbs was applied to the “objective” usage in the middle Korean. The objective “-e” has gradually losed the function over time, and it can be applied to some restricted verbs including attitude verbs in the contemporary Korean. Third, for the “-e” and “-e/ril” in the syntactic structure of moving verbs, the phenomena of the case alternation in the middle Korean was shown less than that in the contemporary Korean. Fourth, for the “-e/ril” in the syntactic structure of moving verbs, the meaning of “direction” in the middle Korean was used less than that in the contemporary Korean.

      • KCI등재

        산성일기 연구 - 구어적 성격과 문어체의 실현에 대하여 -

        황국정 ( Hwang Guk-jeong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8 No.-

        「산성일기」는 작품의 저자, 필사 시기, 필사 동기에 대한 재검토 및 자료의 언어학적 분석과 해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고,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산성일기는 청음 김상헌이 전쟁의 폐허 속에서 피폐해져 간 조선 땅의 회복을 위해 처절한 몸부림으로 문학가의 정신을 발휘한 실기류 고발 문학이다. 또한, 전쟁 중의 비참한 심정, 냉혹한 마음 대신 용서의 마음이 드러난 일기체 기록류이다. 이 자료는 근대 초기, 중기의 구어의 실현 양상과 구어 구문의 다양한 유형, 구어문 안에서 실현되는 문어체의 형성 및 그 과정에 대해 알 수 있는 산문기록류이다. 산성일기는 근대 초중반 국어사 자료들과 비교하여 볼 때 구어의 다양한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구어와 구어문안에 실현된 문어체의 예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당시의 구어문 안의 다양한 실현 방식에 대해서도 언어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이로써 근대 초기 국어의 모습을 구어의 모습을 반영한 필사 자료 산성일기를 통해 고찰해 봄으로써 구어문 속의 몇 문어체의 유형과 그 실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았다. The sansung il-gi is manuscripts for the description of Korean modern Language. This materials represents on the spoken language of the modern korean language. The author is presumed Kim, sang hun, is a great writer on the Chosun Dynasty. Sansung ilgi shows the value of the speaking and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