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셀 푸코 “광기론”으로 바라본 Eric Owen Moss 건축에 나타난 조형 특성 연구

        홍지나 ( Ji Na Hong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현대인들은 철저하게 논리와 이성에 입각한 사고를 지향하며, 광기를 포함한 직관과 영감, 무의식 등이 속해 있는 영혼의 영역에 대한 중요성과 가치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본 연구는 현대건축공간에서 용도와 의도에 의해 구조와 형태가 결정져지는 기능주의적인 모더니즘 건축의 시각에서 벗어난 에릭 오웬 모스의 동적이고 비정형적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서 현시대의 획일화되고 일률적인 건축공간에서,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심미적, 실용적 공간으로 환원됨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모스 건축에 표현된 건축적 형태와 사고를 미셀 푸코의 광기론의 관점으로 핵심적 조형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푸코의 비이성적 광기의 핵심적 개념을 연구 분석하여 5가지로 도출하였고 그 유형은 비이성, 비정상, 타자성, 비가시성, 그리고 다양성이다. 핵심적 개념을 모스 건축작품의 사례를 통해 광기의 관점으로 비이성적 투사성, 비정형의 공간성, 타자의 상호간섭성, 내재적 구성의 모호성 그리고 유용적 다양성으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모스 건축의 조형적 특성은 광기를 포함해 직관과 영감, 무의식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게 해 줄수 있었다. 모스의 건축은 풍부한 사고로 새로운 형태와 혁신적인 유용성을 접목시키며 자신의 건축을 만들어나가고 있어 우리에게 폭넓은 시각의 원천이 되고 있다. People living in modern age support the thinking strictly based on logic and reason. They also tend to ignore the importance and value of soul area belonging to intuition, inspiration and unconsciousness.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he dynamic and informal architecture of Eric Owen Moss, who deviated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 modernism architecture, in which the structure and form of architecture is decided by the use and intention in modern architectural space. This study found that the spaces created by Moss are reduced to aesthetic and practical space with more variety and abundance in the standardized and identical modern architectural space.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drawing the core formative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architectural form and thinking expressed in Moss architecture from the viewpoint of Michel Foucault`s ``madness theory``. First, the core concepts of unreasonable madness by Foucault were studied and analyzed. Five core concepts were drawn, which are; unreasonableness, abnormality, other people, invisibility and variet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ss architecture were drawn by the core concepts and actual cases of Moss architecture from the viewpoint of madness. The characteristics are; unreasonable projection, informal spatiality, interference by other people, ambiguity of internal constitution and useful variet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ss architecture enabled the awareness o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madness, intuition, inspiration and unconsciousness. Moss is creating his own architecture while combining new form and innovative usefulness by rich thinking. The architecture of Moss is the source of our wider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애니쉬 카푸어의 작품에 나타난 시지각적 착시 현상에 관한 연구

        홍지나 ( Ji Na Hong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형이상학적인 미술 양식에 뿌리를 둔 카푸어의 후기 작품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어둠, 빛, 그림자, 반사를 다루는 그의 뛰어난 능력에 있었다. 그의 시지각적 착시 기능을 어필하는 그의 작업들은 원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크기의 확장, 색조에 변화가 없는 균질의 광택면, 기울기와 방향성의 표현을 통한 왜곡과 작품의 추상성을 공통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인도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자신의 작업방향을 일관되게 종교적, 철학적 숭고의 의미를 제시하는 작품을 추구하는 애니쉬의 조형적 특징은 현시대의 공간구성에서 무한한 조형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공간에서 그의 작품에 표현되어 나타나는 특성을 연구하여 카푸어의 독창적인 표현방법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시지각적 착시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카푸어는 그의 작품표현에 있어 작품의 크기, 다양한 재료, 형태, 질감, 작품배치 방법과 조각기법으로 무한한 상징성과 신비주의적인 시지각적 착시현상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스틸 재료를 통한 작업은 특정한 지각 관점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실체적이기도 하고 실체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진 시각적 착각 현상을 동시에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카푸어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에 표현된 착시표현 요소와 착시 유형에 따라 다양한 관점으로 표현된 시지각적 표현 특성을 면밀히 연구 분석하여 시지각적 착시현상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결과) 애니쉬 카푸어 작품에 나타난 시지각적 착시현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지각적 환원 착시, 둘째, 앵글에 따른 왜곡 착시, 셋째,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착시 이다. 이렇듯 시지각적 착시 현상에 의해 반영되고 왜곡되는 카푸어의 독특한 형상을 구현해 내면서 무한한 가능성으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고 그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시지각적 착시 현상을 일으키는 다양한 특성의 카푸어 작품이 반영하는 공간은 작품들의 형태와는 상관없는 내용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고 실제로 그 작품이 만들어 내는 공간의 틀 속에서 우리를 이질적인 존재로 만들어 놓기도 하며 만져지지 않는 작품자체의 근원의 공간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즉 현시대의 공간구성에서 무한 조형의 표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success of Anish Kapoor’s late works rooted in art’s metaphysical style can be attributed to his exceptional use of darkness, light, shadow, and reflection. His works create optical illusions in visual perception, with common features such as the expansion of size based on round shapes, homogenous glossy surfaces without changes in tone, distortion through the depiction of inclination and direction, and abstractness. Additionally, Kapoor’s formative features show his preoccupation with the infinite formative possibilities of modern spatial configurations, as he is seeking continuously to convey sublime, religious, or philosophical aspects unique to his identity as an Indian through his works. (Method) Various methods can be employed to create optical illusions. Kapoor maximizes the effects of these mysteries of visual perception with infinite symbolism through the size of the work; variety of materials, shapes, and/or textures; layout methods, and sculpting techniques. His work using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material has been substantive, causing visual and optical illusions that create uncertainty, as these works do not have a fixed visual point of view.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Kapoor’s works based on their expressed characteristics and explore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depending on the type of optical illusion and presentation elements. (Results) The analysis of the optical illusions of visual perception revealed in Kapoor``s works produc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artist’s optical illusions are the result of visual reduction. Large-scale works that are bigger than humans cause the people who view them to experience a sense of sublimity until they seem to disappear. Second, visual perception related to an optical illusion is distorted based on angles. Contrast, the slope, in the form of directional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p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reflect as much as possible the reflection properties of the material. Third, the visual perceptive optical illusion by the border illusion of conscious and unconscious. Yet, the forms shown in Kapoor’s works appear to be geometrically simple. Kapoor produces unique shapes that visually result in illusions and distortions. Essentially, he has been creating a new space with endless possibilities. (Conclusions) Kapoor’s works are situated in a space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produce optical illusions and create a scenario for content unrelated to art form, propelling those who view his art into heterogeneous existences within the frame of created space. In addition, Kapoor’s art creates a source for intangible works; these works indicate infinite sculpturing possibilities for spatial constructions in modern times.

      • KCI등재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현대 주거건축에 나타난 공간의 조형적 특성 연구

        홍지나 ( Hong Ji-na ),김정희 ( Kim Jung-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건축공간에 있어 주거는 인류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공간이자 근본적 공간이며 인간 삶을 위한 생존의 공간으로 건축의 흐름과 역사속에서 혁명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더욱 새로운 다양체들의 건축물로 현대에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세계 건축계에서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건축물을 지속적으로 던져주며 인간 삶의 환경에 기여하며 다른 차원으로 전개하도록 리드하는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의 현대 주거공간의 조형적 공간특성을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분석요소를 추출하여 사례조사 하는 것이다.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 주거공간에 나타난 공간의 조형적 특성은 7가지이다. 첫째, 주변과의 시각적 순환과 대비. 둘째, 기하학적 형태미, 셋째, 역동적 형태, 넷째, 비정형의 조소적 공간, 다섯째, 형태의 중첩과 상호 관입, 여섯째, 모듈 이동과 가변적 공간, 일곱째, 내재적 구성의 모호성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공간의 확장된 의미와 개념을 찾고 조형성간의 유기적 조화 가능성을 알아보았으며 미래 주거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공간영역의 방향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Dwelling in architecture is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space in the course of the evolution of humankind as well as existential space for their lives. It has been developing in a revolutionary way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seeing today a diverse range of buildings with more novel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sought to conduct a case study, drawing factors to be analyzed ba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of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welling space as shown by the winners of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This Prize continues to show remarkable ideas and innovative architectural structures in the global architectural field, contributing to the better environments in our lives and also leading us to another dimension.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there turned out seven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ving space. First, visual rotation with the surroundings, and contrast. Second, geometric beauty of its shape. Third, dynamic appearance. Fourth, irregular sculptural form. Fifth, duplication of forms and interpenetration. Sixth, module mobility and changeable space. Seventh, ambiguity of internal composition. As such, the study identified the extended meanings and concept of space, and examined the potential for systematic harmony between the constituents, hopefully shedding light on new paradigms of future living space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 in the realm of space.

      • KCI등재
      • KCI등재

        전통한옥에 사용된 한지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

        홍지나(Hong Ji Na),류안석(Lyou An Suc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6 한국디자인리서치 Vol.1 No.2

        한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종이로서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우리 민족의 가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전통 한옥에서 창호지, 벽지, 장판지 등으로 사용하였던 지재이다. 제조공정이나 폐기 시에 자연에 미치는 부하가 적은 재료로 실내공간에서도 쾌적성과 건강성을 고려한 친환경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실내공간의 마감재로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한옥에 사용된 지재로서의 한지의 물성과 그 활용 특성을 분석하여 한지의 지속적인 실내 마감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그 결과로서 첫째, 한지의 기능적 특성을 통한 지속가능성이다. 둘째, 한지의 정서적 특성을 통한 지속 가능성이다. 셋째, 한지의 환경적 특성을 통한 지속 가능성이다. 전통한옥의 실내 공간에 나타난 창호지, 벽지, 장판지로 다양하게 쓰였던 한지는 친인간, 친환경 건축의 측면에서 21세기의 건축 재료로서 지속 가능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재료이다. 한지가 가지고 있는 물성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디자인 개발과 한지응용마감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차별화되고 현대화된 실내공간으로 연출할 수 있는 지속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Hanji is Korea s unique paper which is available in natural as the value of our nation s precious cultural heritage used wallpaper, Ondol floors paper, window-paper in the traditional Korean houses. Hanji has attracted attention as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considered the health and comfort in the interior space and satisfied the environmental-friendly requirement with less load on natural ingredien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r upon disposal.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continuous interior finishes to analyze Hanji s properties and Hanji s utilization characteristics used papers in the traditional Korean houses. As a result First, the sustainability through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aper. Second, sustainability through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aper. Third, sustainability throug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aper. Hanji is a material that can be used sustainably by a variety wallpaper, Ondol floors paper, window-paper in the interior space traditional Korean houses as a building material for the 21st century in terms of eco-friendly construction. Hanji has the physical property characteristics that shows sustainability to express for differentiated and modernized interior space where utilized efficiently the design and development finishes.

      • 도심지 철도폐선부지를 활용한 문화전시시설로의 재생방안 연구 - 부산 구(舊) 해운대역을 사례로 -

        홍지나(Hong, Ji-Na)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1

        Railways were an important means of passenger transportation until the 1970s. Over time, the diversification of transportation methods has caused the formation of abandoned railway sites. This phenomenon is likely to be accelerated by the continual and future diversification of transportation methods. With this in mind, we developed a plan for these unused railway sites, while considering their urban centrality as well as their respective surroundings, to make use of the idle site. As the occurrence of these abandoned sites are likely to increase over time, it is our aim to find appropriate uses for them.

      • KCI등재

        해체주의 관점에서 본 잉고 마우러 조명의 조형적 특성 연구

        홍지나 ( Ji Na Hong ),이지연 ( Jee Yeon Lee ),윤재은(교신저자)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현대공간에서 용도와 의도에 의해 구조와 형태가 결정지어지는 모더니즘의 조형적인 시각에서 벗어난 조명작업을 하고 있는 잉고 마우러의 조형 특성이 해체주의 관점에서 나타나는 조명의 조형적 핵심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1960 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작품 중 잉고 마우러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7 점의 조명작품을 토대로 사례 분석한다. 연구의 내용은 잉고 마우러의 작품의 배경과 조명의 특징을 고찰한 후 해체주의의 성립 배경 및 개념과 특성을 토대로 나타나는 디자인적 특성을 분석 정리한다. 또한 도출된 해체주의의 형상적 개념유형인 탈구성, 탈중심, 탈중력, 불연속성, 의미의 불확정성, 분리, 분열, 붕괴 그리고 흔적의 유형을 토대로 결과도출을 위한 분석틀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해체주의의 관점으로 잉고 마우러 조명작품의 표현 및 조형 특성을 분석하여 결론으로 도출한다. 도출된 잉고 마우러 작품의 배경과 조명의 특징은, 첫째, 은유적 형태의 미학, 둘째, 산종(해체)의 재결합, 셋째, 첨가적 개념 변이, 넷째, 조명의 비경계화로 나타나고 있다. 잉고 마우러의 조명 작품은 새롭고 다양한 형태와 풍부한 사고로 자신의 조명 작품을 만들어나가고 있어 우리에게 폭넓은 시각의 원천이 되고 있다. 또한 미학적 탐구뿐만 아니라 기술의 발전에 맞게 선구적인 조명작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기존 사고의 틀을 깨는 파격적인 면을 보여주고 공간의 무한 표현가능성과 활용성을 제시하는 작가이다.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ngo Maurer``s Lighting seen from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ighting shown from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of Ingo Maurer who is known for his lighting work deviating from the formative perspective of modernism in which structure and form are determined according to purpose and intention in modern space. As for the scope of study, case analysis will be conducted based on Ingo Maurer``s iconic seven pieces of lighting work among his works that have been crated since the 1960s. In regards to the contents, background of Ingo Maurer``s 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ghting will be examined. After that designs characteristics shown will be analyz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 foundational backgroun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m. Furthermore, analytical framework for deducing results will be prepared based on the formative concept types of de-constructivism deduced, namely, decomposition, decentralization, de-gravity, discontinuity, uncertainty of meaning, separation, division, disintegration and trace. Lastly, conclusions will be deduced by analyzing the express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ngo Maurer``s lighting works based on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Deduced conclusions are first, metaphorical form of esthetics, second, reunion of dissemination, third, additional concept modification and fourth, de-perimeterization of lighting. As Ingo Maurer``s lighting works are being created in new and various forms with exuberant ideas and thoughts, they become a source of broad views for us. He is an artist who is presenting pioneering lighting works according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addition to aesthetic exploration. Additionally, he presents the possibility infinite expressiveness of space and usefulness while also showing us an unprecedented aspect of breaking the framework of existing thoughts.

      • KCI등재

        현대 주거공간에 나타난 아날로그 감성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건축작품을 중심으로-

        홍지나 ( Hong Ji-na ),김정희 ( Kim Jung-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9 No.-

        디지털 시대에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일상생활은 점점 윤택해졌으며,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세계를 기대하게 되었지만, 정신적, 심리적 안정을 찾고 싶어 하는 많은 사람들의 욕구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디지털시대에는 역기능적인 문제점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는데 이에 발생된 자아상실감, 고독감, 외로움으로 따뜻한 감수성에 대한 인간적인 그리움을 불러일으켰다. 이로 인해 인간의 감성에 부응하고자 아날로그 감성의 회복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최근 아날로그 감성이 사회 전반에 화두가 되었다. 이에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의 현대 주거 사례를 통해 아날로그 감성 표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아날로그 감성표현 특성은 3가지이다. 첫째, 자연으로 회귀본능 표현특성, 둘째, 내면화된 과거지향 표현특성, 셋째, 정서적 힐링의 표현특성을 갖는다. 이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디지털 시대에서는 새로운 것만이 항상 예술의 중요한 원천이 되는 것은 아니다. 기존 것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표현의 시도들, 그리고 기존 것에 대한 재해석 역시 중요하다. 이에 미래 주거 공간 영역의 방향제시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digital ag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aily life has become more and more profitable, and we have come to expect a new future-oriented world. As such, dysfunctional problems began to arise in the digital age, which caused human longing for warm sensibility due to self-loss, loneliness, and loneliness. As a result, in order to respond to human emotions, a recovery movement of analog emotions began to emerge, and analog emotions recently became a hot topic i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 emotional expressions through the case of Pritzker Architecture Award winner's modern housing. There are three analog emotion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Firstly,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regression instinct in nature, second, expressing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past-oriented expression, and third, expressing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healing. What we have learned from this is that in the digital age, new things are not always an important source of art. Trying new interpretations and expressions of the old and reinterpreting the old are also important. Theref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idential space is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