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로코피에프(Sergei Prokofieff)의 <피아노 소나타> No.1, Op.1의 분석 연구

        홍정아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71

        본 논문에서는 신고전주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 있는 프로코피에프의 <피아노 소나타> No.1 ,Op.1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프로코피에프의 고전성과 현대성을 이해하고 이 작품에서 보여지는 음악성을 고찰하였다.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No.,Op.1은 그의 초기 작품으로 원래는 3개의 악장을 지닌 곡이었으나, 후에 2개 악장이 제외된 단악장의 소나타이다.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그리고 종결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제선율의 재현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패턴을 잘 따르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형식에 있어서 고전적인 전통양식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주부는 4마디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전개될 부분을 가장 적절하고 함축성 있게 표현하고 있고, 곡의 전반에 걸쳐 통일성 형성에 큰 역할을 한 4개의 음형을 찾아볼 수 있다. 이어서 제시부는 제1주제와 제2주제를 지니고 있는데 주제선율 A와 B가 등장하여 변화와 반복을 보여주고 있다. 발전부는 제시부에서 제시되었던 음형과 발전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부분으로 크게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현부는 제시부보다 확장된 부분과 축소된 부분을 함께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종결부는 소종결부의 재현을 통해 변화와 확대를 거치면서 흥미있는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반음계적인 수법과 자유로운 리듬의 변형, 박자와 속도의 변화 등은 그의 강렬한 열정을 나타내 주었고, 반복된 음형이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상행하거나 하행하면서 악곡의 역동성을 더하여 주고 있다. 또한 비화성음의 사용, 4도음정의 활용, 조성 및 화성의 모호성, 옥타브의 도약, 단악장 소나타를 택하는 등의 현대적인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고는 하나 결국 전통적인 형식에 바탕을 둔 곡이라고 볼 때 이 곡은 프로코피에프의 진취성과 보수성이 잘 조화된 곡이라 할 수 있다. The following thesis examines the neo-classical No.1, Op.1 piece of Prokofiev's <Piano Sonata> to understand the classicism and modernism in his works, and reflects on the musicality of the piece. One of Prokofiev's early works, <Piano Sonata> No.1, Op.1 was originally with three chapters but was later reduced to a single chapter sonata. It is composed of a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coda, and strictly follows by the traditional pattern in reproducing the main melody; in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piece wholly inherits the traditional style in form. The introduction section is but four bars, yet expresses what is to follow in the most adequate and significant way. It holds the four figures that plays a major role in unifying the entire piece. The following exposition section holds two themes, where the main melodies A and B changes and varies constantly. The development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is composed through an expansion of the figures and development techniques introduced in the exposition. There capitulation section has both extended and contracted parts of the exposition. Finally, the coda brings in an interesting set of change through variations in reproducing the codetta. The chromatic technique and variation of free rhythms, and the change of beats and pace all reflect an intense passion, and the constant use of repetitive figures adds to the dynamics of the piece as it ascends and descends. Furthermore, in that the piece is fundamentally based on tradition yet employs modern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non-harmonic tones, utilization of 4th degrees, a jump of octaves, and the adoption of a single-chapter sonata form, <Piano Sonata> could be said to be a piece where Prokofiev's progressivism and conservatism fall nicely together.

      • 20세기 초 미국 여성의 젠더화된 시민권과 결혼지위 : 맥켄지 사례를 중심으로

        홍정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사회적 제도로서 결혼이 여성의 시민으로서의 지위를 구성하는 핵심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가부장적 결혼지위와 시민권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20세기 초 한 미국 여성의 위헌소송을 통해 여성의 젠더화된 시민권과 결혼지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외국인 남성과 결혼하여 미국 시민권을 박탈당한 에델 맥켄지는 1907년 국적이탈법을 상대로 위헌소송을 제기하였다. 맥켄지는 국제결혼하는 모든 미국 여성의 시민권을 박탈하는 1907년 국적이탈법이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위배된다고 주장하고, 시민적 권리로서 참정권을 요구하였다. 1907년 국적이탈법은 미국 관습법 상 ‘아내의 지위’ 원칙을 바탕으로, 국제결혼하는 미국 여성의 시민권을 박탈하였다. ‘아내의 지위’는 결혼을 통해 아내의 법적 정체성이 남편에게로 흡수되는 가부장적 결혼지위였다. 1907년 국적이탈법은 1855년 귀화법이 확립한 부계혈통주의 원칙과 ‘가족일치’ 원칙을 재확인하고 이를 확대 및 강화하였다. 1907년 국적이탈법은 증가하는 이주자 수를 억제하고 미국 여성과 외국인 남성의 결혼을 통한 2세의 재생산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활용되었다. 1907년 국적이탈법의 위헌성을 주장한 맥켄지는 국제결혼을 통한 시민권 박탈의 무효를 주장하고, 자신의 시민적 권리로서 참정권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맥켄지는 패소하였다. 연방대법원 재판부는 1907년 국적이탈법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맥켄지가 더 이상 미국 시민이 아니라고 판결하였다. 재판부에 따르면 맥켄지는 1907년 국적이탈법이 발효된 이후 법의 적용결과를 인지한 상태로 자발적으로 외국인 남성과 결혼하였으므로 결혼과 동시에 국적을 이탈하였다. 그러나 맥켄지의 위헌소송은 단순히 시민적 권리를 되찾기 위한 개인만의 소송이 아니었다. 맥켄지는 1907년 국적이탈법에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이 법의 근거였던 여성의 결혼지위에 보편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아내의 지위’ 원칙에 근거하여 부계혈통주의 원칙과 ‘가족일치’ 원칙을 재확인하고, 이를 확대 및 강화한 1907년 국적이탈법은 미국 여성의 시민권을 젠더화하는 도구였다. 맥켄지는 젠더화된 여성 시민권의 근거였던 ‘아내의 지위’ 원칙에 문제를 제기하고, 자신의 고유한 태생적 시민권을 주장함으로써 이에 저항하였다. 시민권을 주장하는 방식으로 참정권을 요구했던 맥켄지는 페미니스트 여성 참정권 운동가였다. 당시 주류 여성 참정권 운동진영은 반대세력에 맞서기 위해 방어적으로 ‘아내이자 어머니로서 여성’의 참정권 이념을 수용하는 쪽으로 가고 있었다. 그러나 맥켄지는 ‘아내의 지위’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아내이자 어머니로서가 아닌 개인으로서 참정권을 요구하였다. 이것은 또한 참정권을 핵심으로 하는 여성 시민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이끌었다. ‘아내이자 어머니로서 여성’의 참정권을 거부하고, 개인의 시민권의 핵심으로서 참정권을 요구한 맥켄지는 여성의 결혼지위에 도전하고 개인으로서 여성의 참정권을 요구한 페미니스트 참정권 운동가였다. 더 나아가 맥켄지는 위헌소송을 통해 여성의 젠더화된 시민권에 저항하고, 결혼지위로부터 독립적인 여성의 시민권을 주장하였다. 맥켄지는 1907년 국적이탈법에 의해 남성 시민의 아내이자 남성 시민의 2세를 양육할 어머니로서만 인정받는 여성의 시민적 지위에 저항하였다. 동시에 국가의 정치적⋅경제적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 여성의 시민권을 거부하였다. 맥켄지는 결혼지위로부터 독립적인 참정권을 요구함으로써 결혼지위로부터 독립적인 개인인 여성의 시민권을 주장한 진정한 페미니스트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가였다. Marriage as a social institution has always been critical in shaping female citizens’ entitlements and obligations. Given this history of marriag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women’s marital status within patriarchal marriages and their citizenship.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 between gendered citizenship of women and their marital status through the lens of a U.S. Supreme Court cas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thel Cooper Mackenzie, an American woman who was married to a British man, was deprived of her U.S. citizenship because of her marriage to a foreign man. She filed a lawsuit against the Expatriation Act of 1907, arguing that this act violated the 14th amendment of the U.S. Constitution. She also argued that her right to vote, one of her basic civil rights, should be granted as her U.S. citizenship was valid. The Expatriation Act of 1907 deprived American women of their citizenship because of their marriages to foreign men based on ‘coverture’, a common law principle. This common law principle meant that a married woman’s legal identity was subsumed under her husband’s identity through patriarchal marriage. The Expatriation Act of 1907 extended and reinforced previous principles the Naturalization Act of 1855 had established. The Expatriation Act acknowledged the paternal line only in jus sanguinis and complete ‘family unity’ where a male citizen was the head of family. It also focused on control of reproduction between American women and foreign men. Mackenzie argued deprivation of her citizenship was invalid since the Expatriation Act was unconstitutional and she asserted her right to vote as her civil right. However, she lost her case. The Supreme Court confirmed the legitimacy of the Expatriation Act of 1907 and ruled that Mackenzie was no longer a U.S. citizen. According to the court’s statement, Mackenzie had voluntarily entered marriage to a foreign man after the Expatriation Act of 1907 had taken effect. Since the court ruled the Expatriation Act was constitutional, Mackenzie’s deprivation of U.S. citizenship was valid. Ethel Cooper Mackenzie’s legal action, however, was not just to take back her right to vote. Mackenzie raised a critical question on women’s marital status that was the basis of the Expatriation Act of 1907 by arguing the Act was unconstitutional. The Expatriation Act of 1907 provided legal grounds to construct gendered citizenship for American women. Mackenzie resisted gendered citizenship of women by arguing women’s independent citizenship which was given at birth. Mackenzie was a feminist suffragist who claimed women’s right to vote as a civil right. She claimed women’s right to vote as an individual’s civil right, while the mainstream suffrage movement for women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mbraced the ideology that supported women’s suffrage based on their roles as wives and mothers in marriage in order to stand against the anti-suffrage movement. This also led to a change of understanding on women’s citizenship that included women suffrage. Mackenzie was a feminist women’s suffragist who bravely challenged women’s marital status and claimed a woman’s right to vote as an individual’s civil right. Furthermore, Mackenzie argued for women’s independent citizenship from their marital status by challenging women’s gendered citizenship. She opposed the idea that women’s citizenship was to be utilized to achieve government’s domestic and international goals and women were to be acknowledged only as wives and mothers who are responsible for reproduction of a male citizen’s offspring. Mackenzie was a true feminist women’s suffragist who claimed women’s right to vote and citizenship as individuals’ civil rights independent of their marital status.

      • DNA의 금 박막 표면 고정법 개발과 고정 DNA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유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홍정아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에 DNA microarray 등의 DNA chip에 많이 사용되는 유리 위의 고정 DNA는 표면으로부터 제거되기 쉽고, 비특이적 결합이 쉽게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Au 표면에 티올 기를 이용한 자발적 공유 결합 형성을 기초로 하여 고체 표면에 DNA의 새로운 고정 방법을 개발하고, 이 고정 DNA를 이용한 분자 생물학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Au 표면에 DNA을 화학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oligonucleotide의 5' 끝에 티올 기가 연결된 DNA를 사용하였다. Au 표면을 티올화된 DNA로 처리한 후, 티올화된 oligomer와 mercaptohexanol (MCH)의 혼합 단막층을 만들어주기 위해 다시 MCH로 처리하였다. 고정 DNA는 single- stranded DNA와 결합되고,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nucleotide의 존재하에 Klenow fragment로 중합되었다. 티올화되지 않은 DNA를 Au 표면과 반응시켰을 때와 티올화된 DNA를 반응시켰을 때를 비교해 보았을 때, 티올화된 DNA가 약 15배 정도 더 Au 표면에 잘 고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 고정 DNA를 가장 기본적인 분자 생물학적 실험이라고 할 수 있는 제한효소에 의한 절단반응 (digestion)과 ligation에도 적용시켜 보았다. 이때, 제한효소에 의한 절단반응은 약 50% 정도 효과가 있었고, ligation도 고정 DNA에서 완벽히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티올 기를 이용하여 Au 표면에 DNA를 고정시키는 것은 원하는 DNA만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며, 비특이적 흡착이 적다는 면에서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이 고정 DNA는 더 많은 분자 생물학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Biotechnology has been hard pressed to develop DNA analytical tools to keep up with the demands of ambitious biomedical goals such as sequencing the human genome, DNA diagnostics, and gene expression monitoring. To be cost-effective, these tools should be as automated as possible and be conducive to massive parallel processing. The technology of this goal is DNA array chip. While DNA array-based technologies hold great promise for rapid and accurate sequence determination and diagnosis of genetic diseases, surprisingly little is known about the surface structures of DNA probes bound on the solid surface. Additionally, DNA immobilized on glass may produce a surface that is prone to nonspecific binding. In this study, we tried to apply and develope a new method of immobilization of DNA on a solid surface. In order to chemically attach DNA on the gold surface, the DNA was functionalized at the 5' end with a thiol group connected to oligonucleotide. Gold thin film was treated with thiolated DNA and the surface was treated again with mercaptohexanol, a short alkanethiol with a terminal hydroxy group, to generate mixed monolayer of the thiolated oligomer and mercaptohexanol. Immobilized DNA was annealed with a single stranded DNA and polymerized with Klenow fragment in the presence of radio-labelled nucleotides. Immobilized DNA served as an effeicient primer for DNA elongation, thus, we could observe that about 15 time more radioactivity in the reaction with immobilized DNA compared to control. We also apply the immobilized DNA to restriction digestion and ligation with other DNA fragment that are basic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Both restriction digestion and ligation with other DNA fragment are performed successfully with immobilized DNA. Our data suggest that further molecular biological applications with immobilized DNA will be possible.

      • 유치원에서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홍정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유치원에서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이 연구는 인천지역 국·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 223명을 대상으로 유치원에서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유치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을 위한 방향 모색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제작 활용하였고, 유치원 교사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함께 근무하는 유치원에서의 교육 실태 및 교사교육과 지원방안에 대하여 교사의 자녀 유·무, 근무지 유형, 경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해 통계처리를 실시하였고, 문항별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구하는 빈도분석과 변인별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chi-square)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천지역 국·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치원에서의 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기에는 자아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해야하기 때문에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과 관련하여 관련 연수와 자료의 부족으로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의 목표를 살펴보면 일과 직업에 대한 자신의 흥미 인식하기, 다양한 일과 직업에 대해 경험하기, 근로와 직업생활이 개인적 의미와 긍정적 정서 인식하기, 근로와 직업생활에 필요한 능력의 인식과 유능감 갖기 , 근로와 직업생활의 사회적 의미와 협력의 가치 인식하기 , 마지막으로 근로와 직업의 역할 인식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내용의 중요도는 모든 일이 소중하고, 나와 다른 사람의 생각이 다를 수 있다는 존중, 근면, 유능감, 자기조절, 자기도전, 협력, 자기이해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연간 계획 없이 생활주제와 관련이 있을 때 실시한다고 하였다. 체계적인 교육계획이 미비한 실정이지만 이야기 나누기나 토의, 관련교육프로그램, 현장학습을 통해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지식, 교육방법을 잘 알지 못해서라고 답하였다. 이는 유아 근로정신 함양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이 시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교사 교육을 통해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을 위한 연간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 적용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사의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정보습득 방법을 살펴보면 인터넷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유아 근로정신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자료와 교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연수를 통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유아들에게 자아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 속에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을 계획하고 운영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겠으며, 교사들에게 연수기회와 자료를 보급하여 유아 근로정신함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도록 해야겠다. 주제어 : 근로정신함양교육, 진로인식, 교사의 역할, 유아, 유치원

      • 조원행 작곡 중주곡 <달 그림자> 분석 연구 : 해금선율을 중심으로

        홍정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전통음악은 전통 그대로의 모습을 계승하는 한편, 창작활동에 의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화하며 발전하고 있다. 음악이란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반영하기에 전통음악의 창작활동은 매우 중요하며, 그 방법론에 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조원행 작곡 중주곡 <달 그림자(月影)>의 분석을 통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음악 창작의 한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원행 작곡 중주곡 <달 그림자(月影)>는 단일악장의 곡으로 총 151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악곡을 박자와 tempo, 조성의 변화를 기준으로 4개의 단락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단락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 Ⅰ단락은 Intro(도입)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해금 Solo선율로 되어있고, 전체가 tempo rubato로 해금연주자의 다양한 기교와 감정표현력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악곡은 motive의 제시로 시작하며, 주요음과 리듬의 확대로 motive를 발전시킨다. 또한 동형진행리듬과 지속음의 반복, 섬세한 articulation의 사용으로, 정적이고 역동적인 느낌이 반복되며 드라마틱하게 표현된다. 둘째, 제 Ⅱ단락은 제시, 전개, 발달, 절정, 종지의 부분이다. 제 Ⅱ단락의 시작은 가야금 Solo선율의 화성적 요소로 시작하여 제 Ⅰ단락 해금 Solo선율의 선율적 요소와 대비를 이룬다. 각 각의 소단락은 motive를 중심으로 리듬의 확대와 축소, 선율의 진행방향의 변화를 통해 발전한다. 주요리듬으로는 셋잇단음표 리듬이 사용되는데, 전통음악에서 볼 수 있는 2박과 3박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차용했음을 알 수 있다. 발전된 선율은 가야금의 부피감 있는 화성반주 위에서 절정을 이루고 종지된다. 셋째, 제 Ⅲ단락은 연결구로 제 Ⅱ단락을 정리하고 제 Ⅳ단락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제 Ⅱ단락의 정리는 제 Ⅱ단락의 주요음을 통한 하행진행 선율로 이루어지며, F minor에서 C minor로의 조성변화와 주요음을 통한 동형진행리듬으로 제 Ⅳ단락의 조성, 주요음, 주요리듬을 제시한다. 넷째, 제 Ⅳ단락은 제시, 전개, 발전, 절정, 절정의 재현, 종지의 부분이다. 제 Ⅳ단락은 제 Ⅳ단락-1~제 Ⅳ단락-4에서는 뚜렷한 motive의 제시로 각 각의 소단락이 대비를 이루며 전개, 발전된다. 제 Ⅳ단락-5~제 Ⅳ단락-7은 세분화된 리듬, 모방기법, 화성요소로 악곡을 발전시켜 절정을 이루며, 절정부분에서 해금 cadenza는 고조된 분위기 속에 안정적 변화를 한 선율로 내면의 감정이 승화 된 느낌을 표현한다. 이후 악곡은 절정의 재현을 통해 climax를 강조하며 종지한다. 이와 같이 <달 그림자(月影)>는 선율과 화성으로 대비될 수 있는 해금, 가야금을 통해 전통음악적요소와 서양음악적요소가 조화를 이룬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전통음악적요소는 계면조선법, 삼연음 리듬, 산조와 같은 cadenza를 사용했으며, 서양음악적요소는 F minor, C minor의 조성, 자연단음계와 화성단음계의 교차, 화성요소가 사용되었다. 또한 뚜렷한 motive의 제시와 리듬의 세분화, 다양한 모방기법과 새로운 단락이 시작하기 전에 음악적 요소를 미리 암시하는 연결구의 사용은 조원행작곡가의 특징적 작곡기법으로 보여 진다. 본고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이 곡을 연주할 이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길 바라며, 덧붙여 이 시대의 음악인들이 21세기 창작전통음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연구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와 국사교과서의 미술 작품 삽화 제시 방법 비교 연구

        홍정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있는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와 국사교과서의 삽화 제시 방법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교과서에 등장하는 공통된 미술작품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다양한 시각적 미디어에 익숙해져 있는 학습자들에게 교과서가 외면 받지 않고 흥미 있는 학습교재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한 하나의 점검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한 의식이 고조되어 대중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관심의 지속과 역사의식의 발전을 위해서 우리의 역사적 산물인 미술작품에 대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교육은 기본적으로 학교에서부터 이루어지며 교과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비록 미술교과서와 국사교과서의 교육 목적에 차이는 있다. 그러나 우리 미술이 지니는 가치를 교육함에 있어서 미술작품 삽화의 바른 제시는 두 교과서 모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市場平均換率制度下에서의 換率變動 許容幅에 관한 硏究

        홍정아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1855

        Korea has performed the market average exchange rate system for four years and six months. as a ex-step to accomodate fre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the market average exchange rate system has used to experience the free foreign exchange's supply and demand. Band to prevent exchange rate volitality broadens from 0.4% per 0.2% to 1.5% in November 1994. This paper examines the mean and variance to learn whether the exchange rate would move stable as time passes. The main poi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1% band moves more stable than any other band for the small standard deviation. Also exchange rate exists within 0.3% band and exchange rate beyond 0.3% band exists exceptionally.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Second, monday is expected to have heavy transaction but monday effect shows in volume and not in exchange rate. This preves that exchange rate moves by intrinsic limits.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hird, it is estimated that exchange rate rises in mid month and exchange rate falls in tate month. But exchange rate in early month rises, and it indicates the exchange rate change precedes.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Fourth, in the aspect of exchange rate and volume's stability, variance decreased slowly as time passes. Also the variance in both appreciation and depreciatien decreased slowly.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wo reasons to bring about above result are as follows. If ekchange rate gets to the bounderies of band, people take action previous forecasts and responds. And banks dealing in interbank transaction does not want depreclation. Conclusionally, fluctuations in exchange rate and volume does not increase and specially 1% band moves more safely as band broads. This represents the more wide band does not bring about exchange rate's instability. And exchange rate that moves within 0.3% band hints government's intervention. Hence if a market average exchange rate system as ex-step to accomodate fre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is acomplished, government will adopt the more wide band. And we will cope with the financial freedom proper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