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비 지원 정책의 효과성 분석

        홍정림(Jeongrim Hong)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4

        본 연구는「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중 저출산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정책수립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 자녀 이상의 유배우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보육비 지원 수혜여부가 출산 순위별·남아 존재 여부별·소득 수준별 추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출산 순위별 분석 결과 보육비 지원은 출산 순위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자녀의 추가 출산 및 의향을 포함한 추가 출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는데, 이는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보육비 지원이 출산율 제고에 효과적으로 작동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 자녀 중 남아가 없을때 출산 순위가 높을수록 보육비 지원이 추가 출산 확률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출산 순위별로 출산 의도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저출산 정책 역시 출산 순위별로 상이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소득 수준 및 출산 순위별 분석 결과 보육비 지원은 출산 순위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소득 수준을 제외한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추가 출산 확률을 유의하게 높였고, 특히 저소득층보다는 중산층에서 정책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orea evolved from a high fertility country to a ‘lowest-low fertility’ country. In 2006,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the「1st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to encourage people to have more childr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al child-care subsidies among the various policies designed to increase fertility rates. I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financial incentives lead to additional births for married women with one or more children by looking at the birth parities and the income levels. The results show that the child-care subsidies positively correlate with additional births. Futhermore, the child-care subsidies most strongly affect having additional births in the middle income class. Although the effects of child-care subsidies differ in the birth parities and the income levels, my findings suggest that child-care subsidies play a notable role in having additional births.

      • KCI등재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정책이 의료이용 및 건강성과에 미친 효과

        홍정림 ( Jeongrim Hong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6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2 No.3

        이 논문은 2008년 시행된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정책이 산전 진료 의료이용과 신생아의 건강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임신·출산 관련 상병에만 진료비 지원정책이 적용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에 해당되지 않는 상병을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이중차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산전 진료 의료이용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고, 임신부의 특성에 따른 이중차분 분석을 통해 각 그룹별로 정책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진료비 지원정책으로 인한 의료이용 변화가 신생아의 건강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정책은 산전 진료 의료이용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특히 기존에 적정 수준 미만의 산전관리를 받았거나 상대적으로 덜 받았던 임신부들의 의료이용을 크게 증가시킨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이용의 증가, 혹은 적절한 산전검진을 받은 임신부들의 증가로 인해 신생아의 건강성과도 다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된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expansion for prenatal care on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pregnant women and on the health outcomes of the newborns. I also analyze whether the policy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Because the coverage expansion was not applied uniformly across all diseases, I adopt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to estimate the causal effect. Furthermore, I estimate the effects of the change in prenatal care on the health outcomes of the newborns.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ions suggest that the coverage expansion for prenatal care led to an increase in health care utiliz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s. Crucially, the coverage expansion improved the prenatal care of pregnant women who had previously received less than the adequate level or had received comparatively less than other pregnant women. This increase in prenatal care, in turn, improved the health outcomes of the newborns.

      • KCI등재

        코로나19에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어린이집 교육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강혜원(Hyewon Kang),홍성호(Seongho Hong),강나라(Nara Kang),박지은(Jieun Park),장희정(Heejung Jang),정지인(Jiin Jung),홍정림(Jeongrim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어린이집 교육경험과 체험한 현상 속에 담겨진 본질을 심층적 기술로 이해하며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봄으로써 영유아 교육현장에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방법 서울, 인천, 경기지역 어린이집에서 코로나19 기간 중 어린이집 교육경험이 있는 원장과 교사 1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표적집단면접법(포커스그룹인터뷰)와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질적연구자료 분석절차에 맞추어 해석, 코딩, 분류하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시기에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어린이집 교육경험은 ‘수업방식의 변화와 예상치 못한 문제점’, ‘ZOOM을 통한 운동회, 부모교육’, ‘스마트매체로 현장학습 출발’, ‘스마트매체로 지역사회 연계활동’, ‘교사의 업무편의 고려 필요’, ‘스마트매체사용 부모의 걱정 증가’, ‘상상력과 창의력 수업의 자율성’, ‘가정과의 협력 가능한 기자재 지원 필요’, ‘부모상담도 스마트매체로’로 나타났고, 개선방안 제안으로는 ‘보건복지부 차원의 동일한 기자재 보급과 교사교육’, ‘동일한 재난상황 발생시 사전 부모교육으로 이해 필요’, ‘연령에 맞는 스마트 교육프로그램 개발’, ‘어린이집에 스마트교육 전문가 지원’, ‘스마트 수업 준비 시간과 보조교사 인력확충’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스마트매체를 활용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교육경험에 주목하고 체험한 현상의 본질적 의미를 심층탐구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영유아 교육현장에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스마트매체의 보편적인 활용을 위한 국가차원의 보급과 교육 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support measur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essence contained in the experience and experienced phenomena of daycare center education using smart media in the time of Corona 19 with in-depth technology and finding out ways to improve it. Method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12 principal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aycare during the COVID-19 period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21 to January 2022 through the target group interview method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ividual interviews. Results The experience of daycare education using smart media in the time of Corona 19 is ‘Changes in class methods and unexpected problems’, ‘Sports day through ZOOM, parent education’, ‘Starting field trips with smart media’, ‘Community connection with smart media’ Activities’, ‘Teachers need to consider the convenience of work’, ‘Increasing concerns of parents using smart media’, ‘Autonomy of imagination and creativity classes’, ‘Need support for equipment that can cooperate with families’, ‘Parent counseling as a smart medium’ ‘Same equipment supply and teacher education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case of the same disaster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rents in advance’,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age’, ‘Smart education experts at daycare centers' Support’, smart class preparation time and expansion of assistant teachers' manpower. Conclus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aid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using smart media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in-depth explore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d phenomenon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In the hopes that it will be helpful in preparing effective support measur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 follow-up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education direction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universal use of smart media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