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하 한국 기독교인의 ‘내지=일본’ 개념 수용 과정

        홍이표(Hong Yi-Py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3

        본 논문은 ‘내지(內地)’라는 개념에 집중하여 일제 치하, 특히 무단통치기(1910-1919)의 한국 기독교가 일본을 어떻게 인식해 갔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내지’라는 말은 ‘조선을 의미하는 보통명사’였지만, 강제병합 이후 ‘일본만을 의미하는 고유명사’가 되었다. 즉, ‘내지로서의 일본’을 일제하 기독교가 어떻게 수용하였는지, 동시에 ‘내지’의 반대 개념인 ‘외지(外地)’로 전락한 내지 상실의 자아’를 어떻게 내면화하였는지를 고찰함으로 당시 한국 기독교인들의 ‘일본 인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강제병합 이전 시기에 서구적 근대화를 선교 목적 달성의 중요한 수단과 통로로 인식했던 기독교는, 조선에 만연해 있던 배일 정서와 비교할 때, 메이지유신을 통해 먼저 근대화를 달성하여 서구적 면모를 갖춘 일본에 대해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대상, 혹은 배워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했다. 즉 ‘지일과 학일’의 일본 인식이 경계가 불분명한 채 교차하는 시기였다. 하지만 한국강제병합 이후 전개된 ‘무단통치 시기’(1910~19)는 ‘내지조선’이 자신의 고유한 ‘내지성’을 상실하고, ‘외지’로 전락한 직후의 시기를 의미한다. 동시에 ‘내지일본’이 새로운 ‘내지’로 교체된 자아 상실과 비아 강요의 충격적 상황이었다. 이처럼 안과 밖이 전복된 아노미 상황 하에서 한국 기독교는 항일의 성격을 강화해 갔다. 일본 정부는 일본조합교회의 ‘조선전도론’을 통한 한국 기독교의 ‘내지화’를 도모하였지만 결국 그 시도는 실패하였다. 그 이유는 1919년 2.8 독립선언 및 3.1독립운동을 둘러싼 일본 인식의 변화과정에 한국 기독교가 깊이 관여돼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3.1운동으로 종언을 고한 무단통치기의 한국 기독교는 ‘항일의 고양(高揚)’을 통해 ‘내지상실-외지화’라는 국권 피탈 현실을 극복하려던 시기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러한 한국 기독교인의 항일 의식의 기반에는 새로운 고유명사로서 강요된 ‘내지=일본’이라는 개념에 대한 거부 및 저항 정신이 있었다.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Church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especially during the Military Rule Period of 1910-1919) recognized Japan in terms of the concept of naeji(內地), or "inland." The word naeji was "a common noun for Chosun," yet after the forced annexation of Chosun to Japan, the term became "a proper noun solely referring to Japan." In other words, by contemplating just how did the Korean Church accept "Japan as the inland", while,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how did the church internalize its "ego, which had degenerated from naeji, or inland, to its opposite concept of woeji(外地), or foreign territories," this paper will inquire into the "idea of Japan" by Korean Christians of the time period. First, prior to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Era(1894-1905) the church recognized western modernization as an important means and channel for achieving their missions goals, and, in contrast to the anti-Japanese sentiment widespread in Chosun, viewed Japan, a nation which had accomplished the very image of Westernization from modernization achieved via the Meiji Restoration, as a mandatory target to know and learn from. Thus, this led to a time where the ‘Knowing Japan,’ or ‘知日’(an anti-Japanese ideal which begrudgingly accepted that one must know Japan to protect Chosun’s future) and ‘Learning from Japan,’ or ‘學日’(a pro-Japanese ideal looking to Japan as a role-model/teacher)’ boundaries of awareness towards Japan were uncertain. However,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came about the ‘Military Rule Period’ (1910-1919), the period right after ‘inland Chosun’ had just lost its proper ‘inland-ness(內地性)’ and was degraded to be referred to as a ‘foreign territory(外地).’ At the same time, it was a rather turbulent stage where ‘inland Japan’ emerging as the new ‘inland’ created a loss of self-identity and coerced non-ego. Thus, under such an overturned state of anomie, Korean Christianity strengthened its resistive stance towards Japan.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impose the ‘inland-ification(內地化)’ of Korean Christanity through the Japanese Kumiai(Congregational) Church’s ‘Chosun Mission Doctrine(朝鮮傳道論)’ but that attempt was unsuccessful. The reason lay in the fact that the Korean Church was deeply involved in the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February 8 and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events which greatly changed the idea of Japan for the masses. Therefore, by marking its end with the March 1stMovement, the Military Rule Period can be viewed as an era where the Korean Church sought to overcome the reality of being robbed of its sovereignty (‘loss of inland/foreign territory-fication’) by ‘boosting its resistance against Japan.’(抗日) In the foundation of such anti-Japanese sentiment within the Korean Christian lay an opposing and resisting mentality towards the newly enforced concept of “Naeji=Japan.”

      • 계단형 공동주택 화재시 독성가스 전파 저감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이승철(Lee, Seong-Chul),홍이표(Hong, Yi-Pyo),박영록(Park, Young-Rok)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춘계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를 통해 계단형 공동주택 화재 시 재실자 피난특성 및 연기거동에 관한 연구를 실물실험을 통해 수행한 바 있으나 이때 야기된 문제점들을 적절한 방재설비를 도입함으로써 일부 해소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와 동일한 대상 건물과 조건에서 수치해석을 수행하며 특히 계단실에 방재설비(배연팬 등) 설치 유 무에 따른 독성가스의 전파 특성 및 최상층까지의 도달시간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계단형 공동주택에서 층간에 배연팬이 설치되어 작동되는 경우가 배연팬이 없는 경우보다 약 45%의 CO 방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1층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은 배연팬이 없는 경우가 배연팬이 설치되어 작동되는 경우보다 약 23% 크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제연풍속의 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외부화염에 의한 드라이비트의 소손패턴 연구

        박영주 ( Ju Young Park ),홍이표 ( Yi Pyo Hong ),이해평 ( Hae Pyeong Le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5 한국안전학회지 Vol.30 No.6

        In this study,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fire damage form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flame spreading form and fire probability from ignition sources subject to drivit component materials which is finishing material in architecture. Ignition sources were limited to a gas torch and exterior panel board fire, and the size of the sample was manufacture in 30 cm length × 50 cm height × 5cm thickness size. Marble (inner wall) + 3 mm drivit (outer wall), marble (inner wall) + 4 mm plaster stone (outer wall), sandwich panel + 3 mm driver bit (outer wall), sandwich panel + 3 mm driver bit + insulation (outer wall), and gypsum board (inner wall) + 3 mm drivit (outer wall) were prepared for the sample. As result of the research fo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y each material was shown in 218℃~995℃ at 30 seconds and 501℃~1078℃ at 300 seconds. Especially when the inner wall was a plaster board, lowest temperature of 501℃ was shown at 300 seconds and marble inner wall showed the following lowest temperature of 900℃. Temperature rising over 1000℃ was shown in other materials. Regarding fire damage form, drivit or gypsum board outer wall parts exposed to fire showed combustion and carbonization to show calcination(breaking phenomenon) and influence of heat exposure was higher as calcination became more severe.

      • KCI등재

        LSC를 이용한 생활용품의 발열량 특성에 관한 연구

        박영주 ( Ju Young Park ),백창선 ( Chang Sun Baek ),이해평 ( Hae Pyeong Lee ),홍이표 ( Yi Pyo Hong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5 한국안전학회지 Vol.30 No.3

        For this study, fire tests were performed targeting household items (Sofa, Drawer,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using a large cone calorimeter (Large Scale Cone Calorimeter, LSC). The data were obtained focusing on the fire characteristic of the data when the actual fire occu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mean HRR of the household items; drawer 2843 KW, sofa 2939 KW, washing machine 719 KW, refrigerator 2907 KW, and THR is found in sofa 2202 MJ, drawer 1559 MJ, refrigerator 1193 MJ, washing machine 627 MJ. From the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the sofa can cause significant heat generation when the fire occurs, and the flashover tendency was found relatively high in compartment fire. In addition, a weight of the four our household items was reduced sharply in a similar time (20min before and after) degree after ignition. The drawer and sofa which has a high heat release can be considered to speed up the fire spread as their weight decrease rapidly and showed relatively weak to the fire compared to the refrigerator and washing machine.

      • 일체형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재실자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

        이승철(Lee, Seung-Chul),김소영(Kim, So-Young),홍이표(Hong, Yi-Pyo),박영록(Park, Young-Rok),김양구(Kim, Yang-Goo)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춘계

        본 연구에서는 일체형방화셔터가 설치된 초등학교 재실자의 피난특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먼저 일체형방화셔터를 포함한 방화셔터 전반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 검토하였으며, 초등학교에 설치된 일체형방화셔터 작동 유무에 따른 재실자 피난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 모의실험 결과, 일체형방화셔터 미작동시 최종 대피완료 시간은 130초이며, 일체형 방화셔터 작동시 에는 190초가 소요되었다. 또한 일체형방화셔터 작동시 피난대피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이 셔터내의 출입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 한다면 일체형방화셔터 작동시 최종피난완료시간은 상당히 지연되었을 것이며 대다수의 대피자들이 화재위험에 노출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일체형방화셔터 출입문 개폐력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