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Raw 264.7 cell에서 물레나물(Hypericum asctron)의 Pro-inflammatory 억제 효과

        홍은진 ( Eun-jin Hong ),박혜진 ( Hye-jin Park ),김나현 ( Na-hyun Kim ),조재범 ( Jae-bum Jo ),이재은 ( Jae-eun Lee ),임수빈 ( Su-bin Lim ),안동현 ( Dong-hyun Ahn ),정희영 ( Hee-young Jung ),조영제 ( Young-je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7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0 No.4

        물레나물(Hypericum ascyron)은 예로부터 식·약용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나, 물레나물의 항염증 효과와 mechanism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여 물레나물 추출물의 염증 생성 반응에 관여하는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물레나물은 열수와 9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9.75, 31.82 mg/g으로 높은 phenolic 함량을 나타내었다. 물레나물 추출물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50-200 μg phenolics/mL 농도에서 열수와 90% ethanol 추출물이 각각 0.00-14.81, 15.33-47.49%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레나물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와 9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0-100 μg/mL 농도에서 독성이 관찰되어 열수 추출물의 농도 구간을 10-50 μg/mL, ethanol 추출물은 5-20 μg/mL으로 선정하였다. LPS로 자극한 Raw 264.7 cell에서 iNOS, COX-2와 같은 염증성 매개체뿐만 아니라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생성과 발현은 물레나물의 열수와 90% ethanol 추출물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물레나물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는 iNOS와 COX-2를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에 관련된 물질인 NO, PGE<sub>2</sub>, TNF-α, IL-6, IL-1β 생성을 억제하는 기작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물레나물 추출물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서 매개 물질들의 과발현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물레나물의 기능성 식품 산업화를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Hypericum ascyron has long been used as medicinal plant and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H. ascyron has anti-diabetic,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s. In this study, inhibitory effect from H. ascyron on pro-inflammatory responses has been investigated. H. ascyron was extracted at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Total phenolic contents in water and 90% ethanol were 29.75 and 31.82 mg/g, respectively.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H. ascyron extracts (50-200 μg/mL phenolics) was 0.00-14.81% and 15.33-47.49%, respectively. In cell viability, cell toxicity was shown at concentration of 100 μg/mL and 30 μg/mL of water and 90% ethanol extract. Therefore, 10-50 μg/mL in water extracts and 5-20 μg/mL in ethanol extracts was selected each for further stud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derived nitric oxide (NO) and cyclooxygenase (COX)-2-derived prostaglandin E<sub>2</sub> (PGE<sub>2</sub>) protein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were inhibit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significantly. Also,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hibitory effect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α, nterleukin (IL)-6 and IL-1β were decreased in the dose dependent manner. The results indicate that H. ascyron extracts re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 induced 264.7 cells via the regulation of the iNOS, COX-2, NO, PGE<sub>2</sub>,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refore, H. ascyron extracts have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effect and a source as therapeutic materials.

      • KCI등재

        장ㆍ노년기 지원활동 유형과 생성감과의 관계

        홍은진(Hong, Eun-Jin)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는 장ㆍ노년기의 공식적ㆍ비공식적인 지원활동과 생성감 간에 쌍방적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공식적인 지원활동에는 기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고, 비공식적인 지원활동에는 성인자녀, 친구, 이웃, 친척에 대한 물질적ㆍ정서적 도움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55~74세까지의 장ㆍ노년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62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공식적ㆍ비공식적인 지원활동과 생성감의 쌍방적 관계를 검증하기위해서는 연립방정식모형(simultaneous equation model)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공식적 지원활동의 기부활동과 생성감과의 관계는 일방적인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생변수로서는 소득이 기부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식적 지원활동의 자원봉사활동과 생성감의 모형에서는 쌍방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생변수들의 영향력과 관련해서는 자녀수가 자원봉사활동에 부적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건강 등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공식적 지원활동의 물질적ㆍ정서적 도움과 생성감과의 관계에서는 쌍방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생변수들의 영향력과 관련해서는 자녀수,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성 변수 등이 비공식적 지원활동에 정적으로 나타난 반면 연령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ㆍ노년기의 공식적ㆍ비공식적인 지원활동이 중요한 사회적 활동으로서, 이러한 지원활동이 모두 생성감을 충분히 발달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밝혀냈다는 점에 시사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연구로는 최초로 장ㆍ노년기의 공식적ㆍ비공식적인 지원활동과 생성감 간에 쌍방적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bilateral relationships between formal/informal helping activities of mature and senior age groups and generativity. While the study of formal helping activities focused on donation and volunteering, the study of informal support activities aimed to examine helping for adult children, friends, neighbors and relatives. To meet the study's objectives, we collected 625 questionnaire surveys from mature and senior groups (ages ranging from 55 to 74) in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donations had a unilateral relationship with generativity. Concerning exogenous variables, the study showed that income had positive effects on donations. It revealed that volunteering had bilateral relationships with generativity. The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had negative impacts on volunteering, whereas age and health showed otherwise. Finally, we found that informal helping activities had bilateral relationships with generativity. Concerning exogenous variables, the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social interaction and mor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informal helping, but age had not. The study implies that helping activities of mature and senior groups are important for generativity. As the first domestic study that verifies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helping activities of mature and senior groups and their generativity, the study is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은진(Eun-Jin Hong) 한국비영리학회 2006 한국비영리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볼런티어21의 “2002 한국인의 자원봉사 및 기부현황” 자료를 토대로 이를 분석하여 자원봉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해내고 자원봉사 참여과정에 대한 이해와 자원봉사자를 예측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검토와 실제 조사자료에 의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모형은 먼저 관련이론과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자원봉사 참여에 중요한 변인으로서 연령, 성별, 학력, 결혼, 종교, 소득, 직업, 부모자원봉사경험, 기부참여경험 등을 포함시켰으며 이를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경험요인 등으로 나누어 보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자원봉사 참여 여부를 판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각 요인을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와 관련해서 인구학적 요인들의 영향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경제적 요인에서는 농/임/어업 종사자, 가정주부, 학생들이 참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이 높을수록, 종교를 가진 사람이 자원봉사에 참여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적 요인에서는 부모의 자원봉사활동 경험, 본인의 기부참여 경험이 모두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와 관련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국민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 여부가 종교유무, 부모의 자원봉사활동 경험, 본인의 기부참여 경험 등의 변수와 매우 큰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변수의 구성에 있어서 다소 제한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 크기와,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 경험요인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ata on the 2002 Korean volunteering and donation of Volunteer 21 in an effort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ed volunteering, to figure out how people got to do volunteer work, and to predict who would serve as a volunteer. When the data were examined, it’s found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eople had little impact on their volunteering. As for socioeconomic factors, however, those who were engag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who were homemakers and who were students were highly likely to do volunteer work. In terms of experience, their volunteering was greatly tied into the volunteering experience of their parents and their own donation experience. Overall,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olunteer work among Korean people had much to do with their religion, the volunteering experience of their parents and their own donation experience. The effort by this study to look into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volunteering-related factors an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ce elements by keeping the demographic features of people in control seemed to contribute to ha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volunteer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울릉도 자생식물인 섬괴불나무(Lonicera morrowii A.Gray)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이은호 ( Eun-ho Lee ),박혜진 ( Hye-jin Park ),홍은진 ( Eun-jin Hong ),술타노브아크마존 ( Sultanov Akhmadjon ),김병오 ( Byung-oh Kim ),정희영 ( Hee-young Jung ),강인규 ( In-kyu Kang ),조영제 ( Young-je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0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3 No.4

        본 연구에서는 섬괴불나무 잎으로부터 phenol성 화합물의 생리활성 탐색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인체에 무해한 용매인 열수와 ethanol로 추출 했을 때 열수는 3.53 mg/g, 40% ethanol은 2.82 mg/g의 TPC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xanthine oxidase (XO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α-glucosidase 억제효과 및 항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섬괴불나무 잎의 열수와 ethanol 추출물 50-200 μg/mL TPC에서 농도의존적으로 DPPH 유리라디칼 소거활성 및 PF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50 μg/mL의 저농도에서도 모두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Oase 저해효과에서는 200 μg/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이 각각 76.35, 99.83%의 높은 저해효과 나타냈으며, ACE 저해효과 또한 200 μg/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 각각 79.06, 87.14%의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μg/mL TPC에서 열수와 ethanol 추출물 각각 80.45, 63.58%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생육저해환으로 항균활성을 측정 결과 열수 추출물 200 μg/100 μL TPC에서 H. pylori, P. acne균에 대해 각각 11.5, 18.5 mm의 clear zone을 형성 하였고, ethanol 추출물 200 μg/100 μL 농도에서는 P. acne균에 대해 1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섬괴불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xanthine oxidase (XO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α-glucosidase 억제효과 및 항균 활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otal phenolic contents, anti-oxidant, biological disease-related enzyme inhibitory,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s of Lonicera morrowii leaves prepared with water and 40% ethanol.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were very high even at low phenolic concentration. At phenolic concentrations ranging between 50 and 200 μg/mL,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inhibited 39.34-76.35 and 47.53-99.83% of xanthine oxidase activity, 30.21-79.06, and 59.40-87.14%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y, and 59.81-80.35 and 36.06-63.58% of α-glucosidase activity, respectively. All inhibitory effect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paper disc agar diffusion assay against seven microbes, L. morrowii extracts had anti-bacteria activitie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Propionibacterium acne but no effect against other bacteri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s from L. morrowii leaves have the possibility to be developed as a physiologically functional source for prevention of adult diseases.

      • KCI등재

        한약재 장기 보존을 위해 감마선 조사한 독활(Aralia contin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박혜진(Hye-Jin Park),홍은진(Eun-Jin Hong),홍신협(Shin-Hyub Hong),조영제(Young-J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의 장기보존을 위한 위생처리법으로 잘 알려진 감마선 조사 처리 시 독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천연 약용식물인 독활의 감마선 조사 처리에 따른 조사 판별 marker 확인을 위해 광자극 발광법, 열발광분석법, 전자스핀공명법을 이용하여 확인시험법의 판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광자극발광법에서 비조사구 0 kGy에서 891.00 PCs의 중간시료 수치를 나타내어 광자극발광법 단독으로는 조사 여부 판별 확인이 어려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열발광분석법, 전자스핀 공명법에서는 조사구와 비조사구 간의 차이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한약재인 독활은 3가지 확인 시험법을 모두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에탄올 농도별 추출에서는 50% 에탄올에서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에서 각각 5.98 mg/g, 6.86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해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 μg/mL로 조절하여 DPPH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와 50% 에탄올 추출물의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 50~200 μg/mL phenolic 농도 전 구간에서 84.04~100.00%의 매우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감마선 조사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 열수와 50% 에탄올 추출물의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 200 μg/mL phenolic 농도에서 95% 이상의 높은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 측정 결과 100 μg/mL phenolic 농도 처리 시 열수 추출물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에서 각각 2.51 PF, 2.01 PF, 50% 에탄올 추출물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는 각각 1.38 PF, 1.48 PF를 나타내었다. TBARs 저해 효과는 50~200 μg/mL phenolic 농도 전 구간에서 열수 추출물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에서 65.23~83.10%를 나타냈으며, 50% 에탄올 추출물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에서 70.67~95.81%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감마선 조사 처리에 따른 total 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열수 추출물의 경우 조사 처리 후 함량이 감소하였고,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조사 처리 후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활의 장기저장을 위해 처리한 감마선 조사 전과 후 독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변화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감마선 조사법이 독활을 포함한 한약재의 장기저장을 위한 처리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extracts of gamma-irradiated Aralia continentalis for health and beauty food resources were examined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creasing extraction yield. In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analysis, non-irradiated (0 kGy) sample showed an intermediate result of 891.00 photon counts (PCs), whereas irradiated (5 and 10 kGy) samples showed positive results of 79,956.67 and 282,498.67 PCs, respectively. The thermoluminescence ratio of non-irradiated samples was 0.018, whereas the values of irradiated samples (5 and 10 kGy) were 0.395 and 0.464, respectively. Electron spin resonance (ESR) analysis as a physical technique for irradiation identification of Aralia continentalis showed a pair of peaks on a space of 6.0 mT in the symmetric ESR spectrums. For phenolics of gamma-irradiated Aralia continentalis, water extracts had the highest amounts of 7.61 mg/g at non-irradiated condition (0 kGy) while 50% ethanol extracts had the highest amounts of 6.86 mg/g at 10 kGy irradiation. 2,2-Diphenyl-1-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and 50% ethanol extracts from non-irradiated and irradiated Aralia continentalis were very high (94.99∼100.00%).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inhibitory activity was over 95.00% at 200 μg/mL phenolic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showed a very high level of activity (1.38∼2.51 P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 (70% and 95%, respectively). Thus,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can be used as a method of storage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Oriental medicine.

      • KCI등재후보

        일-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 목회자의 탈진에 미치는 영향

        손의성(Eui-Seong Sohn),홍은진(Eun-Jin H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일-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목회현장에서의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 한편, 동료 및 의미 있는 타자로부터의 사회적 지지가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갖는지 검증함으로써 목회자의 탈진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전 및 충청권 목회자 209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갈등, 사회적 지지, 그리고 탈진에 대한 실태와 영향을 분석한 결과, 탈진과 일-가정 갈등 수준이 남성 목회자에 비해 여성 목회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40대 이하에 비해 50대와 60대 이상이, 그리고 사역기간이 5년 이하에 비해 6년 이상인 목회자가 사회적 지지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의 탈진은 일-가정 갈등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목회자의 일-가정 갈등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력과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목회자의 탈진에 부적인 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가정 갈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 용항을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완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목회자의 건강한 목회사역을 위해서는 가족기능 향상과 사회적 지지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개교회 및 교단 차원의 대책 및 관련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work- family conflict of Korean ministers and social support offered to them on their burnout from ministry and the possible main effect and buffer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and significant others in an effort to help provide an effective solution to pastoral burno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9 pastor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e of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the pastors and the impact of those variables, burnout and work-family conflict were higher among the female ministers than the males.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pastors who were in their 50s and who were in their 60s and up were given less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were in their 40s and down, and the ministers who worked for six years or more were given less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worked for five years or less. The pastoral burnout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work-family conflict, and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social support. W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pastoral burnout and the main effect of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main effect on pastoral burnout. Whe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putting another variable that was interac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every church and religious bodies should take actions to improve the family function of ministers and their social support system to ensure their successful and sound ministry, and the development of necessary programs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노인부양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특성 비교

        임정기(Jeong-Gi Lim),홍은진(Eun-Jin Hong),이주연(Ju-Yeon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가족동거노인가구와 노인단독가구의 차이점, 그리고 수발대상노인에 대한 가족수 발가구와 비가족수발가구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 서울시 복지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개인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분석과 65세 이상 노인을 포함한 가구를 분석대상으로 2차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카이제곱 검증과 이항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부양가족의 경우에는 사별한 여성 노인을 모시고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고, 노인가구인 경우에는 노인부부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수발이 필요한 노인의 경우 대부분 가족이 수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가족이 수발하는 경우 다른 인력이 수발하는 경우보다 수발부담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가족수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특성을 살펴보면, 가구원 수가 많은 경우, 가구소득이 낮은 경우, 수발부담이 높은 경우 동거가족이 수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주가 취업한 경우, 가구주가 장애인인 경우, 여성노인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비동거가족이 수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데이터를 사용했다는 점과 정책적으로 개입이 필요할 수 있는 가구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노인동거가구 및 수발가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senior citizen households living with their families and elderly households (single or couple), and differences between senior citizen households with family and non-family caregiving, so that one could successfully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potential factors affecting such differences. In order to meet the goal, this study used reference data from Seoul Metropolitan Welfare Panel Survey of 2008 and thereby made a primary analysis on each of senior citizen at age 65 and over along with a secondary analysis on households which are living senior citizen at age 65 and over.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adopted chi-square test and binary logit analysi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a relatively high rate of senior citizen households living with their families served and supported elderly widows, and relatively high rate of elderly house-holds consisted of elderly couples. It was found that most of elderly people who need support relied upon their family. Family caregiving households had to shoulder a greater caregiving burden than non-family caregiving households. According to an analysis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affecting family caregiving, it was found that families had a high tendency to provide care and support for their senior parents when they had a large number of family members, low household income and high caregiving burden. When the household owners were employed or disable, and their parents were much advanced in age, non-family members had a high tendency to provide care and support for senior citizen. Conclusively, this study has its own significance in that it uses representative data on statistical basis; focuses on household types requiring governmental intervention via policy; and provides useful reference data for family caregiving households or non-family caregiving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