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선험적 가상의 불가피성과 기만성 ‒경험적 가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우람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0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the transcendental illusion has two essential properties, i.e., inevitability and deceptivity, and thereby elucidate Kant’s claim that the errors of traditional metaphysics criticized in the Dialectic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rise from the nature of reason. For this purpose we will clarify the origin and nature of transcendental illusion by means of the analogy with empirical illusion. Also in this process, we will argue that the transcendental illusion must be understood as a kind of (indeterminate) subjective judgment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determinate) objective judgments, and based on this, we will try to resolve some important misunderstandings found in related studie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n Chapter 2, we start our discussion by briefly reviewing two misunderstandings encountered at the beginning of the Dialectic. Next, Chapter 3 reveals that the empirical illusion, which is introduced as a model for understanding transcendental illusion, is a kind subjective judgments, and Chapter 4 identifi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mpirical illusion and transcendental illusion. Chapter 5 investigates the origin of transcendental illusion as a subjective judgment and exposes inevitability and deceptivity as its essential properties. Finally, Chapter 6 briefly confirms that the transcendental illusion is necessary for the positive as well as the negative end of the Dialectic. 이 논문에서 우리는 ‘선험적 가상’이 불가피성과 기만성이라는 두 가지 본질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이를 통해서 『순수이성비판』의 변증론에서 비판되는 전통 형이상학의 오류가 이성의 본성에서 비롯한다는 칸트의 주장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경험적 가상’과의 유비를 통해 ‘선험적 가상’의 기원과 본성을 분명하게 드러낼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우리는 선험적 가상이 (규정적인) 객관적 판단과 구별되는 (미규정적인) 주관적 판단의 일종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논증하고, 이에 기초해서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는 몇몇 중요한 오해를 해소할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2장에서 우리는 선험적 가상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에서 마주치는 두 가지 오해를 검토한다. 이어서 3장은 선험적 가상을 이해하기 위한 모델로 제시되는 경험적 가상이 주관적 판단의 일종임을 밝히고, 4장은 선험적 가상과 경험적 가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한다. 5장은 주관적 판단으로서 선험적 가상의 기원을 밝히는 동시에, 선험적 가상의 본질적 속성으로 불가피성과 기만성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6장은 선험적 가상이 변증론의 소극적 목적뿐만 아니라 적극적 목적을 위해서도 필수적임을 간략히 확인할 것이다.

      • KCI등재

        브랜덤의 칸트 - 개념의 규범성 -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논집 Vol.50 No.-

        브랜덤은 자신의 추론주의 의미론이 전통적 철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그는 칸트가 추론주의 의미론의 성립에 영향을 미친 철학사의 두 가지 전환, 명제적 전환과 규범적 전환을 주도한 인물이라고 해석한다. 이 논문은 이 중 두 번째, 칸트의 규범적 전환을 검토한다. 브랜덤은 개념은 규칙이라는 칸트 의 주장에 근거하여 칸트가 개념을 판단의 의미를 평가하는 규범으로 파악한 최초 의 인물이라고 단언한다. 이 논문은 브랜덤의 이런 해석이 칸트 철학 체계 내에서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규범적 전환과 관 련된 브랜덤의 해석을 개관하고(2장), 그런 해석이 칸트 철학 체계 내에서 어떻게 수용될 수 있는지 일반적으로 확인한 뒤(3장), 브랜덤의 해석에 걸림돌이 될 수 있 는 특수한 개념인 범주도 경험적 관점에서는 구성적이지만, 선험적 관점에서는 규 범적임을 보인다(4장).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브랜덤의 규범적 해석이 칸트의 현대 적 이해를 위해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간략히 밝힌다(5장).

      • KCI등재

        멘델스존의 유대 계몽주의 –계몽주의와 유대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홍우람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5 No.-

        18세기 독일의 대표적인 철학자였던 멘델스존은 현재 우리에게 그저 칸트에 의해 비판받은 독단주의 철학자 혹은 합리주의를 대중적으로 전파한 통속 철학자로 간과되곤 한다. 그러나 18세기 독일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 멘델스존의 철학은 그 자체로 더 철저히 연구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멘델스존 철학에 대한 연구는 이성의 권위와 관련한 이분법적 대립 구도 속에서 다소 단순하게 파악되던 18세기 독일 철학의 지도를 훨씬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왜냐하면 멘델스존은 합리주의 철학자로서 이성의 권위를 옹호하는 동시에, 유대주의자로서 전통적 신념을 위해 이성의 관용을 요구하는 독특한 철학을 전개했기 때문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 우리는 먼저 계몽주의에 대한 멘델스존의 입장을 칸트의 입장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우리는 멘델스존의 대표적인 저작 중 하나인 『예루살렘』을 통해 멘델스존의 독특한 계몽주의적 입장이 통속적 목표에서 기인하지 않고 멘델스존 자신의 유대교적 입장에서 실존적으로 제기된 것임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는 멘델스존의 유대 계몽주의를 평가하고 멘델스존 철학 연구를 위한 이후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Mendelssohn, who was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Germany in the 18th century, is now neglected merely as a dogmatist philosopher who was criticized by Kant or as a popular philosopher who tried to propagate rationalist philosophy.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18th-century German philosophy, Mendelssohn’s philosophy needs to be studied and evaluated more thoroughly in itself. Above all, the study of Mendelssohn’s philosophy can make the 18th-century German philosophy map much more abundant, which has been somewhat simply grasped according to the dichotomous view with regard to the authority of reason. Mendelssohn elaborated his unique philosophy according to which, on the one hand, he as a rationalistic philosopher defended the authority of reason, and on the other hand, he as a jewish philosopher demanded that reason be tolerant for the traditional belief. In order to confirm this, we will first analyze Mendelssohn's position on the Enlightenment in comparison with Kant's. Furthermore, we will examine Mendelssohn's Jerusalem and show that his unique position on the Enlightenment does not originate from a popularist view, but from an existential view based on his Jewish faith. And finally, we will evaluate Mendelssohn's Jewish Enlightenment and present a future task for the study of Mendelssohn' s philosophy.

      • KCI등재

        진리의 논리학 - 『순수이성비판』의 초월적 분석론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논집 Vol.42 No.-

        이 논문은 『순수이성비판』의 초월적 분석론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을 시도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칸트가 초월적 분석론을 진리의 논리학이라고 명명한 이유 에 주목한다. 우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월적 분석론은 일반 논리학과 달리 어떤 인식이 진리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만족시켜야할 질료적 혹은 내용적 조건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진리의 논리학으로 명명된다. 둘째, 초월적 분석론에서 제시하는 진리의 내용적 필요조건이란 우리 경험의 선험적 인식 요소이자 경험 대상의 가능 조건인 감성의 순수 직관과 지성의 순수 개념들이다. 셋째, 의미론적 해석을 통해 이 두 가지 조건들은 어떤 인식이 진리이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할 ‘의미,’ 즉 ‘대상과의 관계맺음’의 가능 조건들로 이해될 수 있다. 넷째, 이 두 가지 조건들 중 감성적 조건은 개념들이 ‘이론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규정적 의미를 지니기 위한 조건이며, 지성적 조건은 개념들이 이론적이건 실천적이건 규제적이건 어떻게든 사용될 수 있도록 미규정적인 의미를 지니기 위한 조건이다.

      • KCI등재

        인식론적 관점에서 본 칸트의 『인간학』 - 『인간학』에서 재구성된 칸트의 경험적 인식 이론

        홍우람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1 No.-

        Kant’s Anthropolog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has not attracted academic interest since its publication in 1798 because it was treated as a practical book that simply conveys miscellaneous information, rather than an academic book that supports a particular theory and refutes other theories. But recently,many scholars are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Anthropology in order to discover new aspects of Kant's philosophy that have been neglected until now. Although most of these attempts focus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ant's ethics and the Anthropology, some scholars try to clarify its significance in connection with Kant's epistemology rather than his ethic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latter attempts of reinterpreting the Anthropology from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nd clarify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empirical theory of cognition contained in the book. We first look into the origin of Kant's anthropological project in Chapter II, and then deal with the constitution and its guiding idea of the Anthropology in Chapter III. After these preliminary steps to prepar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entire work,we examine attempts to reinterpret the Anthropology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in Chapter IV. These attempts try to reconstruct the Anthropology’s empirical theory of cognition in connection with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and we will examine two representative attempts in detail. In conclusion, in Chapter V, we clarify the limitations of the two attempts previously examined, and at the same time present the significance of the empirical theory of cognition in the Anthropology. 칸트의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은 1798년 초판이 출판된 이래로 오랜기간 학문적 관심을 끌지 못했다. 근본적으로 『인간학』은 다른 견해를 반박하고특정한 주장을 지지하기 위한 이론서가 아니라 단순히 잡다한 정보를 전달하는실용서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많은 학자들은 『인간학』에 특별히주목하면서 지금까지 해명되지 않았거나 소홀히 취급되었던 칸트 철학의 새로운측면을 발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사실 그런 시도들 중 대부분은 주로 칸트 윤리학과 『인간학』의 연관성에 주목하곤 하는데, 그럼에도 몇몇 학자들은 칸트 윤리학이 아닌 칸트 인식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인간학 의 의의를 밝히고자 시도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그렇게 인식론적 관점에서 인간학 을 재해석하려는 시도를 검토하고, 그에 따라『인간학』에 담긴 경험적 인식 이론의 한계 그리고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우선 우리는 II장에서 칸트의 인간학적 기획의 기원을살펴보고, 이어지는 III장에서 인간학 의 구성과 이념에 대해 다룰 것이다. 이를통해 『인간학』이라는 저작 전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마련한 다음 우리는 IV 장에서 인식론적 관점에서 『인간학』을 재조명하려는 시도를 검토할 것이다. 이런시도들은 『인간학』에 담긴 경험적 인식 이론을 『순수이성비판』과의 연관성 속에서 재구성하는데, 우리는 그중 대표적인 두 가지 시도를 자세히 검토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V장에서 우리는 앞서 검토한 두 가지 시도의 한계를 밝히는 동시에 『인간학』에 담긴 경험적 인식 이론의 의의를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사변과 상식 그리고 이성- 멘델스존의 아침시간에 나타난 관용적 합리주의 -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논집 Vol.70 No.-

        Mendelssohn,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Kant's era, has recently been re-evaluated as interest in modern Judaism or aesthetics has grow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Mendelssohn’s rationalism which is the basis of his Judaism or aesthetics. In the history of German rationalist philosophy, Mendelssohn is often evaluated as a philosopher who tried to defend rationalism in the face of increased criticism of rationalist philosophy, but was frustrated by wandering between traditional and popular positions. Against this negative evaluation,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positive aspect of a new rationalist philosophy that he propose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rationalism in his last work, Morning Hours, that is, the rationalist philosophy that pursues the harmony between speculation and common sense. For this purpose, in Ch. II, we analyze two philosophical tasks that Mendelssohn intended to carry out through his Morning Hours. With regard to his first task, in Ch. III, we examine how Mendelssohn defends the rationalist philosophy against the fanatical reaction to it. And with regard to his second task, in the Ch. IV, we elucidate how Mendelssohn criticizes the speculative tendencies of traditional rationalism, and how he proposes a harmony between speculation and common sense as an alternative. On the basis this discussion, finally in the Ch. V, we point out the injustice of the traditional evaluation of Mendelssohn and determine his new rationalism as tolerant rationalism. 칸트 시대의 대표적인 철학자 멘델스존은 근대의 유대주의 혹은 미학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최근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하지만 멘델스존의 유대주의나 미학의 토대가 되는 멘델스존의 합리주의 철학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독일 합리주의 철학의 역사에서 흔히 멘델스존은 합리주의 철학에 대한 비 판적 분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합리주의를 옹호하고자 했지만 전통적인 입장과 통 속적인 입장 사이에서 방황하다 좌절한 철학자로 평가되곤 한다. 이런 부정적 평가 에 맞서서 이 논문은 멘델스존의 후기 저작 아침시간을 중심으로 그가 제안하는 대안적 합리주의 철학, 즉 사변과 상식의 조화를 추구하는 합리주의 철학의 긍정적 면모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II장에서 아침시간을 통해 멘델스존이 수행하고자 한 두 가지 철학적 과제를 분석한다. III장에서는 첫째 과제와 관련하여 멘델스존이 광신주의적 반동에 맞서서 합리주의 철학을 어떻게 옹호하는지 확인한다. IV장에서는 둘째 과제와 관련하여 멘델스존이 어떻게 전통적 합리주의의 사변적 경향을 비판하며, 어떻게 사변과 상식의 조화를 대안으로 제시하는지 해명한다. 마지막 V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멘델스존에 대한 전통적 평가의 문제를 지적하고, 멘델스존의 새로운 합리주의를 관용적 합리주의로 규정한다.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의 신(神) 이념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7 No.-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신 이념을 비롯한 이성의 초월적 이념들이 경험적 인식들에 대해 체계적 통일성을 부여하는 규제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순수이성비판⌋에서 신 이념은 이러한 규제적 기능 이외에 또하나의 특별한 기능, 즉 신학과 관련된 소극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신이념이 가지는 이 소극적인 신학적 기능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신 이념을 포함한 세 가지 초월적 이념들은 원리들의 능력이라는 이성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유래하는 순수 이성의 개념들이며, 각각의 초월적 이념들은 이성의 본성이 발현되는 세 가지 이성추리의 형식들, 즉 정언, 가언 그리고 선언 추리의 형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 둘째, 선언적 이성추리의 형식에 뿌리는 두고 있는 신 이념은 ‘사고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최고 조건’인 ‘최고 실재 존재자’에 대한 개념으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신 이념은 객관적 실재성을 지니지 못하는 ‘문제성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최고 실재 존재자’에 대한 개념으로서 신 이념은 그 자체로 우리에게 신에 대한 아무런 규정적 인식도 제공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이념은, 이성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유래하는 유일한 개념이자 ‘오류에서 자유로운’ 개념인 한에서, 다른 모든 가능한 신학적 주장들이 반드시 그에 합치해야만 하는 ‘검열’ 기준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신 이념은 스스로 신학적 인식을 제공하는 원천으로서 신학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능하지는 못하지만, 다른 원천으로부터 주어지는 모든 가능한 신학적 주장들을 검열하는 기준으로서 신학을 위해 소극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 다양한 출구조건에서의 초음속 흡입구 공력불안정성 수치연구

        홍우람,최요한,김종암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4

        본 논문은 흡입구 버즈라 불리는 초음속 흡입구 공력 불안정 현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흡입구 버즈의 이력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먼저, 유량이 줄어드는 경우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다음으로는 흡입구 버즈의 이력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유량이 다시 증가하는 경우의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유량이 감소하였던 경우의 주진동수를 따라 다시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3차의 모드로 증가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버즈의 거동은 파이프 타입의 악기와 많은 유사성을 공유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음향학적인 관점에서 버즈의 거동을 해석하고 이력적인 특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flow instability around supersonic inlet, called inlet buzz. A set of computations are conducted under varying mass flow rate con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hysteretic character of inlet buzz. An inlet with decreasing mass flow rate is simulated firstly. Secondly, the effect of the increasing mass flow rate on inlet buzz is examined. This case shows another kind of the unreported buzz transition that the buzz frequency becomes higher in the third mode. The newly found hysteretic inlet buzz shares many similarities with the fundamentals of a pipe-type musical instrument.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the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inlet buzz are explained from the instrumental acoustic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