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서양철학 수용과 일본형 오리엔탈리즘 문제

        홍영두(Hong, Young Du)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이 논문에서는 경성제대 철학과를 졸업한 지식인 신남철과 박종홍이 서양철학 수용기라고 할 수 있는 1930년대에 일본형 오리엔탈리즘에 대해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맞서 어떤 담론 또는 대항담론을 전개했으며, 그들의 한계는 무엇이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신남철은 마르크스주의의 역사과학의 방법을 연구 방법론으로 삼은 조선학의 재출발을 제안하는 가운데, 조선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조선 민간학자들의 특수사관과 일제 관학자들의 조선특수사정 이데올로기를 비판했다. 여기서 나는 신남철이 일본 국학의 반동적 국수주의에 대한 비판과 마르크스주의 역사과학의 방법에 입각하여 일본형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대항담론을 전개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또 제국주의 국가 근대 일본은 동양과 서양을 구별하는 역오리엔탈리즘, 아시아를 이중화하여 우등한 일본과 열등한 다른 아시아로 구별한 일본형 오리엔탈리즘을 창안하여 제국주의적 침략전쟁을 정당화하였는데, 이 점에 대한 신남철의 비판적 담론 방식을 고찰하였다. 또 신남철은, 아시아적 정체성론에 빠짐으로써 제국주의 국가 일본의 오리엔탈리즘적 시선을 공유했던 강좌파 마르크스주의자 히라노 요시타로의 문헌을 참고하긴 했지만 맹목적으로 추수하지는 않았음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신남철은 일제 말기 ‘아시아적 정체성론’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와 관련해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함을 논의했다. 또 백남운의 보편사관을 공식주의라고 비판하고 민족문화의 특수성을 중시한 박종홍은, 마르크스주의적 보편사관을 견지함으로써 일본형 오리엔탈리즘의 민족차별이데올로기에 대항하고자 했던 백남운의 의도를 읽어내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with what recognition and attitude Sin Namcheol, Park Jong-Hong counteracted against Japanese Orientalism in 1930’s of ‘Western Philosophy - Reception’. Sin Nam-cheol proposed the restart of “Korean Studies” by Historical Methodology of Marxism. He criticized the chauvinism, idealistic prejudices and distortions of Chosun’s scholars and scholars kept by the japanese government who overstressed the uniqueness of Chosun. Also, his writings showed and criticized the Japanese Counter-Orientalism which is a style of thought based upon an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distinction made between the Orient and the Occident, a Japanese style for dominating, restructuring, and having authority over the Orient. But Sin Nam-cheol accommodated himself to “Asian Staganation” which Japanese Orientalism produced. Furthermore, this paper pointed out a problem of Park Jong-Hong who criticized Baek Namun’s Universal Law Conception of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계몽기의 윤리관과 정통적 지식인

        양일모(Yang Il-Mo),홍영두(Hong Young-Du)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6 No.-

        이 글은 ‘근대 계몽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문화적 토양에서 배양된 한국의 근대와 계몽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한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유럽을 배제하고 생각하기는 어렵지만, 유럽이라는 잣대만으로도 설명될 수 없다, 한국의 근대와 계몽도 유럽과의 연관성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내적 관계라는 이중성을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 이 시기는 일본과 중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지식인들의 활동이 돋보인 시기였다. 그들은 서양을 학습하면서 정치적 개혁에 참여했고, 정치적 주장의 정당성을 찾기 위해 서양의 특정한 학문을 선택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은 정치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학문과 사회, 자연과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수반했다. 그 과정은 천리와 인륜을 구현하고자 했던 구시대의 윤리와 대항하고 갈등하는 과정을 수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근대 한국의 새로운 윤리관은 서양으로부터 온 새로운 가치와 전통적 유교 사이의 상호 견제 속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문명개화를 내세운 조선의 지식인들은 ‘실상개화’를 강조했고, 실용성과 더불어 윤리적 질서와 도덕적 각성을 촉구했다. 문명개화는 분명 새로운 시대를 구상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그 정당성과 실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개명과 화성이(化成), 개물성무(開物成務)와 화민성속(化民成俗) 등 유교적 의미를 끌어왔다. 개화와 문명의 본질을 천착하는 과정 속에서, 역으로 문명개화의 주장은 비판하고자 했던 유교적 문명론과 새로운 대화를 시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는 문명개화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유교적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는 이중적 행위였다. 서양 문명의 수용을 강조하는 자는 유교를 비판하였지만, 사회적 차원에서 문명개화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교 윤리를 비판하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오히려 수신과 윤리를 더 필요로 하였다. 이 시기에 제기된 문명개화의 주장은 표면적으로는 서양화의 기치를 내세웠지만, 내면적으로는 유교 윤리를 통한 재무장의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 meaning of enlightenment in modern Korea, which is cultivated from rhe cultural soil of East Asia. A modernity of East asia can not be simply explained in the context of Europe, even though impossible to exclud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the complexity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modern Korea, not merely its external relations to the west but its internal ties to cultural background. As in the case of modern China and Japan, Korean westernized intellectuals had a important roles in so called the modern enlightened period from 1876 to 1910. They took parr in political reform, choosing the western thought to justify their political strategies. These polideal process made a considerable impact upon traditional viewpoint, followed by the conflict with the old ethical norm which have tried to realize the principal based on the rule of the Heaven and Humanity. This essay argues thar the modern morality of Korea is made by a mutual repercussions between confucian value and western learning. Korean intellectuals under the banner of the enlightened civilization(文明開化) laid emphasis on the fundamental enlightening, pushing for ethics and morality besides social pragmatism, Their cries for the enlightened civilization was to prepare for a new epoch, but can not help to borrowing traditional terms, for example, cultivation of the mind(開明), edification(化成), opening up things and accomplishing the undertakings(開物成務) which was authorized by the cannon of Yijing(易經). To give a definition of the enlightenment more radically, Korean intellectual’s enlightened civilization movement had a chance to make conversations with Confucian civilization. This IS partly to build up a pattern of the enlighten movement theoretically, partly to reestimate Confucian concept. I insist that Korean enlighten movement appeared to consider Confucianism as impractical, but could not criticize it in essence. It is a paradox that they launched the campaign with western value as the slogan, and moved to re arm itself with Confucian ethics.

      • KCI등재후보

        독일 근현대사회철학 원전 번역과 한국의 근대성 : 1950년 이후 맑스와 하버마스의 사회비판이론 수용을 중심으로 Centering around the Reception of Marx' and Habermas' Philosophy since 1950s

        홍영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2

        이 연구는 1950년 이래 한국에서 번역된 독일 근현대의 대표적인 사회철학 원전인 맑스 엥겔스의 원전과 하버마스의 원전의 번역 수용 현황을 조사하는 것이다. 전자는 한국의 80년대를 대표하며, 후자는 한국의 90년대를 대표하는 주요 번역 흐름을 반영한다. 번역은 출발언어와 도착언어의 등가적 대입이 아니다. 모든 지식은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따라서 그러한 맥락 속에서 파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번역은 문화적 전환 과정이다. 이 문화적 전환 과정에는 지배와 피지배라는 권력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식을 생산하는 주체가 분명히 드러나야 하고, 그 과정도 동시에 파악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문명화 과정으로서의 번역은 식민화 과정으로서의 번역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번역 과정에 개입하는 권력관계에 대한 탐구는 번역 실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번역은 그 행위 자체 내에 독자적인 저항과 해결의 공간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번역은 번역물이 수용되는 사회의 속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며 평가할 수 있게 해주는 비평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룬다. 1948년 이래로 한국의 국가보안법은 마르크스주의 문헌을 금압하였다. 1980년 광주항쟁 이후 민주화 운동 세력은 맑스주의를 이념적 대안으로서 수용하기 시작한다. 87년 6월 민주화대투쟁의 승리 직후『자본』이 '공식적 번역 출판'의 의미를 현실적으로 획득하면서 일어났던 원전 번역 붐 현상과 번역담론은 한국 사강의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소련과 동구권의 해체 후 마르크스주의적 지식인은 스탈린주의의 변종으로부터 벗어나서 여러 갈래로 분화되어 가고 있다. 80년대 맑스주의의 우회로였던 하버마스의 이론은 90년대 들어 맑스주의의 재구성을 위한 전략이 되기 시작했고, 독일 유학에서 돌아온 철학박사들은 96년 봄 그의 한국방문을 전후해 그의 텍스트를 본격적으로 번역 수용하였다. 곧 이어 다시 쓰기 시작한 개별 미디어의 공론장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글쓰기들은 미국 유학의 제도화를 보여주는 것이며 한국사회의 지식생산의 장이 처한 식민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필자는 이 팥은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 학문이 식민성을 벗어나 자생적 학문의 길을 개척해아 한다고 주강한다. The National Security Law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in 1948 has prohibited the reading of marxist lliteratures. After Kwangju-Resistance in 1980, Democracy Movement Camp began to accept Marxism as a ideal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victory of struggle for democracy, the translation of Marxist Texts was boomed in korea, and organized the discourse of translation which established the principle, the attitude, the phase of translation, has become the bas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hought. But the dissolution of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differentiated korean Marxism in several divisions. Owing to the dissolution of them, Korean Marxists got out of the bad dream of stalinism, has searched newer thought and movement. Habermasian Theory which was thought as a detour to reach Marxism in 1980s was considered as a reconstruction strategy of Marxism in 1990s. And The visit of Habermas to Korea made academic circles of Korea receive his theory. This is the efforts-result of ph. D. students who returned from study in Germany. After this event, Rewriting which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public sphere in individual medias is to show the institu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the U. S., to reflect the colonialization of the field in production of knowledge in korean society as it is. All knowledge is formed in a concrete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shoud be understood in a such context. At this time, the subject of production in knowledge should be elucidated explict, the course of production in knowledge should be understood simultaneously. For the translation as a civilization-course can be the translation as a colonialization-course.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f power-relations which intervene in translation-course is important in translation-praxi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eeply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production in original language culture and its transmission, its reassignment, its reinterpretation in translational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