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장 상피세포에서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염증 유도 기작 연구

        한기연(Gi Yeon Han),정영현(Young Hyun Jung),장경구(Kyung Ku Jang),최상호(Sang Ho Choi),이세중(Sei-Jung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6

        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은 심각하고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호염성의 식중독균이지만, 숙주세포 내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분자적 기작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비브리오균의 소장 특이적 염증 반응 위치와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7주령의 수컷 마우스에 비브리오균 1x109 CFU)을 16시간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그 결과 비브리오균은 주로 회장(ileum) 부위에서 비브리오균(WT)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공장(Jejunum), 근위부대장(proximal colon), 원위부 대장(distal colon)에도 유의적으로 군집현성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지만, 십이지장(duodenum)과 비장(spleen), 그리고 간(liver) 조직들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비브리오균의 표적기관인 회장상피조직에서는 비브리오균(WT)이 침입 시 융모 안으로 다량의 염증세포들이 유입되었고, 융포의 폭이 넓어지고 길이가 짧아지는 전형적인 조직학적 염증 반응을 보여주었다. 비브리오균이 유도한 조직 특이적 염증반응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비브리오에 감염된 회장상피조직으로부터 단백질과 mRNA를 분리하였다. 비브리오균은 숙주세포의 중추적 신호전달 단백질인 protein kinase C (PKC)의 인산화 및 PKCα의 세포막이동을 촉진시켰고,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중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와 c-Jun N-terminal kinases (JNK)의 인산화를 유도하였지만, p38 MAPK 인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비브리오균은 inhibitory factor-kappa B (I-κB)의 활성을 촉진시킴으로써 nuclear factor-kappa B (NF-κB)의 인산화를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비브리오균(WT)에 감염된 회장의 경우, 정상마우스에 비해 염증성 cytokine인 interleukin (IL)-6, IL-8, tumor necrosis factor (TNF)-?의 mRNA 수준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염증매개 수용체인 toll like receptor (TLR)-4, TLR-5, TLR-9의 mRNA의 발현 또한 비브리오균 처리에 의해 증가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종합적으로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유입되는 비브리오균은 회장상피세포를 표적으로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그 기작은 PKC, ERK1/2, 그리고 JNK의 인산화를 통한 NF-κB 활성의 촉진이며, 이로 인한 다양한 염증 매개 단백질 발현의 증가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the role of V. vulnificus in promoting the inflammation of mouse ileal ephitelium and its related signaling pathways. ICR mice were infected orally with V. vulnificus (1x109 CFU) for 16 h as a representative model of food-borne infection. To find the major portal of entry of V. vulnificus in mouse intestine, we have measured the levels of bacterial colonization in small intestine, colon, spleen, and liver. V. vulnificus appeared to colonize in intestine and colon in the order of ileum >> jejunum> colon, but lack in the duodenum, spleen, and liver. V. vulnificus in ileum caused severe necrotizing enteritis and showed shortened villi heights accompanied by an expanded width and inflamm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mice. V. vulnificus induced ileal epithelium inflammation by activating phosphorylation of PKC and membrane translocation of PKCα. V. vulnificus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JNK, but did not affect p38 MAPK phosphorylation. Notably, V. vulnificus stimulated the I-κB-dependent phosphorylation of NF-κB in mouse ileal epithelium. Finally, the ileal infection of V. vulnificu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oll-like receptor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Coll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that V. vulnificus induces ileal epithelium inflammation by increasing NF-κB phosphorylation via activation of PKC, ERK, and JNK, which is critical for host defense mechanism in food-borne infection by V. vulnificus.

      • KCI등재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탐색 - K교육청의 2차 개선안을 중심으로 -

        김성천 ( Kim Sung-chun ),홍섭근 ( Hong Sub-keun ),정영현 ( Jung Young H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하 초등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임용시험에 관한 규정과 각 시·도교육청의 초등 임용시험 공고문을 분석하여 초등 임용시험 제도의 실태를 살펴보았고, K지역을 중심으로 교대 교수, 신규교사, 장학사, 경력교사, 심층면접위원, 출제위원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K교육청의 2차 심층면접 개편안을 만들게 된 과정과 관련된 이들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임용시험은 현장에서 필요한 역량을 담고 있지 못하다는 관계자들의 인식이 있었다. 교대 교육과정-초등 임용시험-학교현장의 분절적인 시스템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말하고 있었으며, 추후 시스템 연계와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K교육청에서는 2016-2017년 2년간 초등 임용시험 2차를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개편하였다. 2차시험의 개편 과정과 관련된 내부 자료 및 개편 과정에 관계된 관련자의 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그 과정과 성과·한계를 제시하였으며, 초등 임용시험의 중·장기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Exploration of Problem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 Focused on `K` Office of Education`s Improvenment of the Second-round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e search for problem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We inquired into the rules and regulations applied for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and compared the notices published by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eir teacher recruitment. We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is up to 2,400. The survey showed that the teach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The reason is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does not include the capabilities sufficiently to be met the needs of the field where teachers are faced with real problems. Second, it is hard to pass the exam without going to private academy, although the candidates graduate from education universities. Young teachers tend to express more negative perceptions than older teachers. In addition, secondary teacher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 interviewed supervisors, teachers and professors, who have worked in related fields.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has many limitations. Therefore, they suggested that the methods and elements of employment examination should be reformed to meet changing education needs. The case that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made changes in the second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gives the promise of feasible innovation. This study contains innovative process of improving employment examination, performance, and related regulations. We also proposed radical ways to innovate the employment examination.

      • KCI등재

        국가교육회의 숙의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교육정책 형성 과정과 과제

        홍섭근(Hong Sub-Keun),김인엽(Kim In-Yeop),정영현(Jung Yo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교육회의의 두 차례에 걸친 숙의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정책 형성에 있어 숙의과정이 주는 함의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국가교육회의 숙의과정 관련 실행 및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①정책 연구자, ②학계 전문가, ③학교 현장 교원, ④시민단체 대표 등 4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그룹 별 대표성과 균형성을 고려하여 최종 선정한 총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교육회의 숙의과정 각 단계의 적절성 여부 및 정책도출과정과 역할, 차기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대입제도개편과 교원양성체제라는 두 차례의 숙의과정 간 ‘숙의위원 선발 과정’, ‘진행 방식’, ‘결론 도출 방식’, ‘주제 선정’ 및 ‘의견 수렴’의 5가지 측면에서 모두 숙의과정의 적절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숙의과정에서 노출된 한계에도 불구하고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시 적절한 숙의과정이 필요하다는데 다수의 전문가들이 동의하였다. 이때 숙의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① 의제 및 방향 설정의 적절성, ② 진행 방식의 공정성과 신속성, ③ 정보 및 자료의 객관성, ④ 시간적 충분성 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정책 형성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에 따라 발생 가능한 교육정책 형성 상의 문제점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실시하고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교육위원회가 설립되고 숙의과정을 통해 교육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중기 및 장기 과제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있어야 한다. 셋째, 필요에 따라 숙의과정 자체를 공론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숙의과정에 대한 결과가 어떻게 정책에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최종적인 대국민 설득과정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deliberative process in education policies formation by analyzing the two deliber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Education Council. Methods To this end, experts with experience in implementing or researching the National Education Council s deliberative proces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①policy researchers, ②academic experts, ③ teachers, and ④ civic group representatives. The FGI was conducted with total of eight experts considering the group s representation. As a result, the adequacy of each stage of the deliberative process,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direction of the next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were derived.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liberation process was insufficient in all five aspects: the process of selecting deliberators, the method of progressing, the method of drawing conclusions, the selection of topics, and the gathering of opinions. However, despite the limitations exposed during the two deliberative process, experts agreed that an appropriate deliberative process will be needed when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is launched. At this time, it was shown that the prerequisites for the deliberative process included ①the adequacy of agenda and its setting, ②fairness and quickness of the progress, ③ objectivity of information and data, and ④ securing sufficient tim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esents six tasks for the formation of education policie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on potential problems and prepare countermeasures following the launch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in the future. Second, in order for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to be established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education policies through deliberation, a clear range of how far it is mid- to long-term should be present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tting the deliberative process itself up for public debate as necessary. Fourth, a public persuasion process is needed on how the outcome of the deliberative process is reflected in th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