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내소화전설비에서 도너츠형 적재방식의 소방호스 전개형태에 따른 방수준비시간 비교

        홍석환,공하성,Hong, Suk-Hwan,Kong, Ha-Sung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21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23 No.3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wisting in the preparation of waterproofing in the process of unfolded donut-type staking method fire hoses in indoor hydrant system. The central pull-out method caused more twisting than the rolling metho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wists according to the pull-out method in the cas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time it took to untwist and prepare waterproofing was much shorter for male students. The angle valve and hose are connected, and the time to untwist and prepare for waterproofing after withdrawing the fire hose with the hose and nozzle connected was shorter than the unconnected state. In the rolling method, when a hose connected with two 15 m fire hoses was used and the angle valve-hose was connected, but the hose-nozzle was not connected, the least kinking occurred. The time to untwist and prepare for waterproofing was also the shortest. As a result, in the withdrawal method of the donut-type loaded fire hose in the indoor hydrant system, it is a rolling method rather than a central withdrawal method. With the angle valve and hose connected, unfold the fire hose with the hose and nozzle connected, if a large number of people unwind the twisted hose, the time to prepare for waterproofing can be shortened.

      • KCI등재

        한국 온대중부지역 소나무림 군락식재모델 개발 연구

        홍석환,한봉호,곽정인,Hong, Suk-Hwan,Han, Bong-Ho,Kwak, Jeong-I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8 No.3

        본 연구는 한국 온대중부지역 소나무림 군락식재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급의 소나무림을 조사하였다. 유령림부터 장령림까지 총 $10{\times}10m(100m^2)$의 방형구 92개소를 설치하고, 출현개체별 규격을 모두 조사하였으며, 개체간 생육거리 분석을 위해 44개 조사구에 대해서는 1/100 scale로 교목층과 아교목층 수목의 위치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은 양호하게 발달해 있었으나, 아교목층의 흉고단면적이 교목층의 10%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관목층의 경우 일정한 피복율을 보이지 않고 조사구마다 매우 다양하였다. 이에 소나무 군락식재는 교목층과 관목층의 구조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관목층의 경우에는 특정 경향이 없어 식재하려는 인접 지역의 소나무림을 별도로 조사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락식재 모델을 위한 소나무 교목층 흉고직경급별 단위면적당 생육개체수 및 단위면적당 생육개체수와 생육수목간 최단거리와의 회귀식은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suggest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planting model in the central cool temperate zone of Korea and nearby area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various DBH classes of the P. densiflora community in Dangjin-gun, Choongchungnam-do. We surveyed the size of entire individuals in the 92 plots as well as surveyed the location of individuals in each tree layer and sub-tree layer(1/100 scale) of 44 plots using a quadrant method from young to old communiti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ree layer was growing well but the basal areas of the subtree layer were less than 10% compared with the tree-layer. This indicates the subtree layer is not in general growing well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patterns in the shrub layer. A P. densiflora community planting would consist of a tree layer and a shrub layer and the finding of growth patterns of the tree layer is significant. In order to make a model of the shrub layer, an additionally survey of another shrub layer is needed in a nearby planting area. Both regression models, 1) between tree layer DBHs and individuals per unit area, and 2) between individuals per unit area and shortest distances of individuals, can yield much information through study.

      • KCI등재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피복 변화에 관한 연구

        홍석환,한봉호,김홍순,Hong, Suk-Hwan,Han, Bong-Ho,Kim, Hong-Soo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고층 건축물 15개소를 선정하여 토지피복특성과 변화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은 건폐지와 비건폐포장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79.7%로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녹지 및 수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았다. 또한 대부분 지역은 지하개발이 이루어져 조사대상지 평균 생태면적률은 15.90%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준공시기에 따른 피복유형 현황분석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건폐율이 낮아지고 있었으며, 생태면적률이 증가하고 있었다. 반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비건폐포장지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생태적 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포장공간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analyzing the change of land cover pattern in high-rise buildings in Korea. For this study, we selected 15 locations of high-rise buildings. The ratio of average building coverage and paved area was 79.7%, and both green and water area were low, relatively. The biotope area factor of the site showed low percentage by 15.90% due to the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land-cover type, building coverage has been decreased according to the stream of time. However, biotope area factor has been increased And, the paved area has m correlation. It was identified that reducing paved area is effective to enhance the ecological functions of a high-rise building outdoor.

      • KCI등재

        시가화지역 생태적 유형구분을 위한 관련지표 특성 연구 - 서울시 강동구를 사례로 -

        홍석환,이경재,Hong, Suk-Hwan,Lee, Kyong-Jae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2

        도시의 생태적 유형화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가화지역에서 행해지는 생태적 측면의 공간구분은 지금까지 인위적 토지이용 특성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생태계 특성을 대표하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이들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도시생태계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시를 토지이용유형에 의해 구분한 후 공간별 생태적 속성을 조사하였다. 생태적 속성으로는 에너지 이용측면에서 건폐율과 용적율, 지표면온도를, 물순환 측면에서 생태면적율과 불투수포장율을,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야생조류 출현현황과 녹지율을 각각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 지표면온도는 생태면적율에 의해 온도가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 중간인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야생조류 출현개체수는 녹지율을 기준으로 출현개체가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한 생태적 측면에서의 유형화는 생태면적율과 녹지율의 적용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Studies for demarcation of urban areas by ecological type have been developed, but the demarcation of urban areas by ecological perception is thus far dependent on artificial land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urban area ecosystems by surveying a variety of ecosystem factors. By land use type, the urban area of Gangdong District, Seoul was defined. Then ecological factors in each polygon were surveyed. Ecologic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energy use(building coverage ratio, floor area ratio and ground temperature), water circulation(biotope area factors and impermeable pave ratio) and biological diversity(bird appearance index and green area ratio).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as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urban ground temperature is divided into three groups(high, middle and low) by the biotope area factor. The bird population is divided into two groups(abundant and scarce) by the green area ratio. Therefore, demarcating the urban areas by ecological type is applicable to the biotope area factor and green area ratio.

      • KCI우수등재

        문화재로서 경주 계림 내 생육수목 현황 및 공간정보 구축 연구

        홍석환,안미연,강래열,Hong, Suk-Hwan,An, Mi-Yeon,Kang, Rae-Yeol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5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management directions through the provision of tree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of Gyerim(legal historical site), which is located in Gyeongju city, Gyeonsangnam-do, Ko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of the entire forest, there are a total of 25 species and 510 individuals growing trees. Of these species, 14 species are native and 14 are introduced species. Apart from Sophora japonica, Zelkova serrata, Celtis sinensis, most of the introduced species were adopted without historical basis after designation as a historical site. By a ratio of 36% to introduced species(including 3% of naturalized species; Ailanthus altissima), the historical heritage was significantly damaged. Gyerim, which has over 2,000 years of history, has a total 15 individuals(2.9%) large trees(over 100cm DBH). Ten of these are Salix glandulosa, and in the past, most of this area was considered a Salix glandulosa forest. Currently, however, there are many small trees(under 20cm DBH) for the next generation of growth and the Salix glandulosa forest will continue to decline. Furthermore, most small trees were afforested, so the historicity and place features as a mythological forest will quickly fade. 본 연구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경주 계림(사적 제19호)을 대상으로 원형보전의 기본자료 구축을 위한 생육수목의 공간정보 구축과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계림 내 생육하는 전체 수목에 대한 조사결과, 2015년 11월 현재 계림 내에는 총 25종 510개체의 수목이 생육하고 있었고, 이 중 자연적으로 생육하는 종은 14종이었으며, 식재종 또한 14종이었다. 식재종 중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버드나무를 제외한 수종들은 역사적으로 식재근거가 없는 종으로, 원형보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만 하는 문화재로 지정된 이후에 고증 없이 도입된 종이다. 이들 종의 개체수는 전체 계림에서 약 33%를 차지하였으며, 귀화종인 가죽나무까지 포함하면 36%를 넘는 비율로 이미 계림의 역사적 전통성은 상당부분 훼손되었다고 볼 수 있었다. 2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계림은 현재 흉고직경 100cm 이상의 대경목이 총 15주로 전체 수목의 2.9%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 중 10주가 왕버들로 과거 대상지 대부분이 왕버들 군락지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흉고직경 20cm 이하의 후대목은 전무한 상태로 향후 숲의 지속적인 쇠퇴가 예상되었다. 또한, 대부분 소경목은 식재된 수목이 차지하고 있어, 계림이 지닌 자연숲으로써의 역사성과 장소성이 급속히 퇴색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한국산 박새과 조류의 도시림 식생유형별 출현 특성

        홍석환 ( Suk Hwan Hong ),곽정인 ( Jeong In Kwa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5

        서울시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한 한국산 박새류 4종(박새 Parus major minor, 쇠박새 P. palustris hellmayri, 진박새 P. ater amurensis, 곤줄박이 P. varius varius)의 출현위치와 현존식생유형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절대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림에서의 출현개체가 가장 많았다. 면적에 따른 출현개체의 증가를 보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생유형이 동일면적으로 분포함을 가정하였을 때는 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물오리나무림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소나무림-상수리나무림-밤나무림의 순서이었다. 도시림에서의 박새류 출현은 숲의 자생성 보다는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analyzed between actual vegetation type and 4 Paridaes of Korea (Great tit Parus major minor, Marsh tit P. palustris hellmayri, Coal tit P. ater amurensis, Varied tit P. varius varius) in the urban forests in Seoul. The population size of total Paridaes was highest in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When supposed the same area for revision of the difference of each type, the population size was highest in Alnus hirsuta community. The next orders of total observed population was Alnus hirsuta - Pinus desniflora - Quercus acutissima - Castanea crenata. In the urban forest, Paridaes are looks not affected by the naturality of vegetation but other key figure.

      • KCI등재

        에너지 소모량에 기초한 탐방로 난이도 표준화 연구

        홍석환 ( Suk Hwan Hong ),권태호 ( Tae Ho Kwon ),최송현 ( Song Hyun Choi ),김경태 ( Kyung Tae Kim ),김동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4

        Recently, the number of trail users in Korea has risen tremendously. Consequently, the cost of safety measures related to hiking is sharply increasing. Despite the safety cost input, the number of heart-related adverse events has been not decreasing.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the use of objective and quantitative trail use information in terms of course difficulty. The study site is Jirisan Dullegil (Jirisan Forest Trail). The currently available trail difficulty information either provides the difficulty rating in terms of 3 to 5 levels according to several empirical difficulty factors reported by staff who maintain the forest or simply states the distance of each trail. Thus, many trail visitors feel a great gap between the given information and actual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is study, we tried to assess the degree of difficulty by actual energy consumption. Calculating the volumetric oxygen consumption (VOC) by the distance and gradient not only makes possible an absolute rating but a comparison among the trails as well. Also, it is highly effective to simply describe the exercise intensity of a certain trail. Further, it is easy to check the VOCs`` changes by switching the start-end points of the same trail. Providing the trail information of VOCs by sections and directions, we expect to prevent heart-related accidents.

      • 소나무림의 군락구조와 천이에 따른 산림내부 온도차이 분석

        홍석환 ( Suk-hwan Hong ),강래열 ( Rae-yeol Kang ),안미연 ( Mi-yeon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5차 평가보고서(2013)에 따르면 21세기말 전세계 평균기온이 3.7℃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평균기온이 3.2℃ 상승할 경우 저지대에 분포하는 산림의 53%가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방책으로 활엽 수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소나무림의 경우 낙엽활엽수림에 비해 온도가 약 1.6℃ 높으며 뜨겁고 건조한 날씨일 경우에는 주변 오픈스페이스보다 미세하게 온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도시산림에 대한 온도관련 연구가 산림유형별로 세분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독특한 문화권이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국제사회의 요구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인위적 관리가 수목의 직경생장량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만을 채택하여 목재생산을 주목적으로 하는 산림 관리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 결과 방해극상을 제외한 자연적인 환경의 소나무림에서 참나무류 및 기타 활엽수와 같은 자연림으로의 천이를 방해하고 있다. 이는 숲의 구성인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약하게 만들어 지역및 지구차원에서 생물다양성 감소 및 세계적 환경 문제인기후변화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며 특히 토양건조화 및 표토, 산림 유실로 인한 산사태, 온도상승 등을 촉진시킬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내부 온도는 산림의 건강성에 대한 지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본연구에서는 산림 중 활엽수림으로의 천이 전 단계인 소나무림의 온도를 군락구조 및 천이상태에 따라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유사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산림을 대상으로 군락구조와 천이상태에 따라 자생림인 소나무군락, 조림림+자생림인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 천이 초기단계인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천이 후기단계인 굴참나무-소나무군락, 조림림인 리기다소나무군락으로 구분하여 군집구조, 온도를 조사하였다. 온도는 온습도 데이터로거를 방형구 중앙에 위치한 수목의 지상 2m 높이에 북향으로 설치하여 매 10분마다 2016년 04월 20~28일(봄철), 2016년 06월 05~16일(여름철) 두 차례에 걸쳐 관측하였다. 온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수관체적, 흉고단면적, 표고를 각각 온도와 상관분석 한 결과 각 요소가 봄철과 여름철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수준은 유사하였으며 반비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구조별 온도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시행한 결과 봄철과 여름철모두 천이가 진행되지 않은 소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이, 천이가 진행 중인 소나무-굴참나무군락과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이 각각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소나무-굴참나무군락과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이 평균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리기다소나무군락은 소나무-굴참나무군락과 굴참나무-소나무군락에 비해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소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에 비해 온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표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군락구조별 봄철과 여름철의 평균온도에는 그 차이 값이 존재하지만 전반적인 경향은 일치하였다. 여름철의 군락구조별 평균기온의 상승폭은 리기다소나무-소나무림이 가장 컸으며, 리기다소나무림이 가장 작았다.

      • 경주 계림의 식생 현황 및 보전대책

        홍석환 ( Suk-hwan Hong ),안미연 ( Mi-yeon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1945년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많은 문화재들은 대부분 훼손된 상태였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문화재들의 보존을 위한 수리와 복원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현재까지 문화유산 보존 개념에 대한 인식은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 복원 및 보수에 대한 세부기준과 원칙이 없었기 때문에 올바른 보존을 할 수 없었으며, 이는 복원작업이 2차 훼손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상당수 있어 왔다. 이에 2009년 문화재청에서는 「역사적 건축물과 유적의 수리복원 및 관리에 관한 일반원칙」을 제정하여 국내실정에 맞는 보존 기준을 마련하였다. 현행 보수규정에서 문화재 보수공사의 가장 큰 원칙은 원형유지이나, 원형유지에 대한 내용으로는 원래의 재료, 전통기법, 전통양식이라는 규정만 있을 뿐 세부적인 규정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학술연구 결과 및 수리와 복원의 과정은 기록되고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재 측면에서 전통경관, 특히 역사적으로 보존해야 할 숲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및 복원과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어렵다. 숲의 분포특성과 생성기원의 규명은 궁극적으로 숲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다만, 숲이라는 생명체 집합의 특성상 인공구조물이 지닌 원형이 생태계의 발달에 따라서서히 변화되게 되어 이 원형을 규명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지 않은 문제가 된다. 그러나 이 변화라는 것이 현대의 시대적 관점에서 인위적으로 임의로 변형시키는 것은 분명아닐 것이다. 경주시 교통에 위치한 계림은 1963년 사적 19호로 지정되었고 면적은 23,023㎡이다. 특히 계림의 경우 남산과 함께 신라시조의 근거지로서 신성시되었으며, 계림이라는 숲의 명칭이 국호로 사용될 만큼 나라 전체를 대표하는 경관이었다. 그러나 밀려드는 관광객으로 인한 답압으로 숲이 훼손되었으며, 후계목이 없는 가운데 수목의 고사가 진행되어 기존 숲의 소실이 상당면적 진행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되고 있는 경주 계림의 식생분포현황 및 생육상태, 대경목의 분포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문화재 지정 전 역사적 사료와 비교·고찰을 통해 문화재로서의 식생보호와 지속적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전대책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계림 내 생육하는 개별수목의 생육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계림 내 수목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개별 수목의 생육위치를 디지털좌표로 측정하고 수종명, 규격, 생육상태를 조사하였다. 수목의 규격은 수고, 흉고직경, 수관폭을 조사하였고, 수목생육상태는 양호, 불량으로 판단하였으며, 외과수술의 유무에 대해 조사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수목은 25종 총 510개체로 느티나무, 팽나무, 왕버들 등 대부분 습윤지성 낙엽활엽수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그 밖에 배롱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산수유나무, 회화나무, 잣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계림의 수목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역사기록으로는 1938년 조선의 임수의 기록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느티나무, 회화나무, 팽나무, 왕버들과 약간의 주엽나무가 섞여있는 울창한 노령림으로 본수는 90여그루라고 기록된 바와 같이 기존의 식생 유형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록에 없는 수종이 전체에 40%에 달하며 대부분이 단풍나무, 배롱나무, 산수유나무로 최근식재된, 대상지에 없었던 수종으로 판단되었다. 생육상태의 경우 느티나무는 27주가 생육이 불량했으며 이는 전체 느티나무의 20.9%에 해당한다. 왕버들의 경우 15주의 생육이 불량했으며 전체 왕버들 개체수의 20.0%에 해당하였고 팽나무는 10.7%, 회화나무의 경우 44.4%가 생육이 불량하였다. 경주 계림의 경우 신라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역사적숲으로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기존의 문헌과는 달리 단풍 나무, 산수유나무 등 자연적 유입이 아닌 식재된 수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아울러 기존수목의 전반적 생육이 불량한 상태로 확인되었다. 이는 역사적 숲을 문화재로는 지정하였으나 역사적 전통성을 고려하지 않은 현대적 공원의 관점에서 문화재를 관리한 결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자연문화재는 문화재청에서 지정하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관리방안은 구체적이지 못하며, 계림의 조사사례와 같이 관리로 인해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2차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었다. 이에 문화재 지정 전의 숲의 원형과 해당지역의 지형 및 토양, 생태적 특성분석을 통해 문화재로서의 가치 유지를 위한 노력이 절실하였다.

      • KCI등재

        부산시 가로녹지대 관목의 생육특성 및 뿌리발달 연구

        홍석환 ( Suk Hwan Hong ),양순자 ( Soon Ja Yang ),최송현 ( Song Hyun Choi ),백재봉 ( Jae Bong Baek ),이수동 ( Soo Dong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2

        도심내 가로에 조성하는 녹지대는 폭 확보에 한계가 있다. 현재 가로녹지대 관목림 조성을 위한 수종은 녹지대 환경의 고려보다는 경관적 측면에서 여러 수종이 다양하게 식재되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가로녹지를 대상으로 Photinia glabra (홍가시나무), Euonymus japonicus (사철나무), Camelia sasanqua (애기동백), Nandina domestica (남천), Abelia grandiflora (꽃댕강나무) 5종의 생육상태와 녹지대 조성 특성을 비교하였다. 가로녹지대는 폭 0.5~0.9m로 수종별로 차이는 없었다. 수목의 생육특성 분석결과, 자연지역에서 세근의 발달 폭이 현재 조성된 녹지대 폭보다 좁은 남천과 꽃댕강나무는 생육이 양호하였다. 반면 세근이 폭 2m이상 넓게 발달하는 수종인 홍가시나무, 사철나무, 애기동백은 폭이 좁은 가로녹지대에서는 생육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이에 가로녹지대 조성시 확보할 수 있는 녹지대 폭에 따라 식재하는 수종을 달리할 필요성이 있었다. Securing sufficient planting strip for street shrubs has a limitation. So many different shrubs which have been planted in the streets looks consider its visual aspect rather than growth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compared with the growth condition of planted shrubs and construction condition of its planting strip. Photinia glabra, Euonymus japonicus, Camelia sasanqua, Nandina domestica, Abelia grandiflora were selected in the Busan City, Korea. The planting strips width were 0.5~0.9m which is not relatively different by each species. Species which have narrow growth character of root hair in the natural bed (Nandina domestica, Abelia grandiflora) have a good growth condition in the street planting strip, oppositely shrubs which have wide growth character of root hair (Photinia glabra, Euonymus japonicus, Camelia sasanqua) have a relatively bad growth condition. Hereupon, there have a necessity which should be select the different shrub species for the planting strip of the stre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