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홍광표 ( Kwangpyo Ho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유아교사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척도 구성, 타당화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하여 척도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척도의 초안을 구성하였다. 척도 초안은 3차례에 걸친 전문가 적절성 조사를 통해 타당도 검사를 하고 2차안을 제작하였다. 이후 1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척도를 수정하고 다시 100명의 유아교사에게 문항양호도를 검사하였다. 그리고 5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척도의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유아교사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유아교사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척도의 개념을 탐색하고 관련 척도를 마련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결론 및 제언: 유아교사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척도는 ‘수업준비 역량’(8문항), ‘교육과정 설계 역량’(12문항), ‘인공지능 방법으로 수업운영 역량’(10문항), ‘수업평가 역량’(8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는 유아교사 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역량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볼 수 있다. 향후 이와 유아교사의 인공지능 영역, 그리고 소프트웨어 교육 영역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oftware education competen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stud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scale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is, a draft of the scale was constructed. The draft scale was tested for validity through three expert adequacy surveys, and a second draft was produced. Afterward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0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cale was modified, and 10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tested again for item qualit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ere verified with 500 teachers. Research Results The AI-based software education competen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s ‘class preparation competency’ (8 questions), ‘curriculum design competency’ (12 questions), ‘class management competenc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10 questions), and ‘class evaluation competence’ (8 items). This scale can be seen as a scale that can reliably and reasonably measure the AI-based softwar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tool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field of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커리어앵커를 활용한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촉진 프로그램 개발

        홍광표(Kwangpyo Ho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커리어 앵커를 활용하여 다문화 가정의 초등학생을 위한 진로인식 촉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체적으로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문헌연구, 사례연구, 요구분석 등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도구 등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후 관련분야 전문가들에게 프로그램 초안에 대한 양적, 질적 평가를 받아 프로그램 완성안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이 과연 다문화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을 촉진시키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8차시에 걸쳐 25명의 다문화 초등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커리어앵커를 활용한 진로인식의 하위 7개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향후 다문화 초등학생들을 위한 진로인식 교육에 모종의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ulti-cultual elementary students' career awareness promotion program based on career anchor.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have researched literatures review, case studies and needs analysis related to career anchor and developed a draft of the program. Afterwards, through expert evaluation of the draft, I have developed the final program.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gram, 25 students performed the program during 8 tim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test was conducted as a pretest and a posttest.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cored higher in every factor.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발명역량 증진을 위한 트리즈(TRIZ) 기반 학습모형 개발

        홍광표(Hong, Kwangpyo),정주영(Jung, Ju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명역량 증진을 위하여 트리즈 기반 학습모형을 개발에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의 가치, 활동을 위한 단계 및 절차, 설계 전략, 지원요소 등을 바탕으로 초안을 구안한다. 둘째,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모형의 강점과 개선점을 확인하고 수정모형을 구안한다. 연구과제 구현을 위한 연구방법은 크게 개발연구방법론의 기틀 위 에서 문헌연구, 사례연구, 전문가평가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모형 초안에는 모형의 가치, 모형의 목표, 7단계의 핵심 프로세스, 3영역의 지원요소를 마련하였다. 이후 전문가들은 모형 초안에 대해 3가지 강점과 4가지 수정 사항을 제안하였다. 전문가의 평가에 따라 모형의 핵심 가치 아래 내용적 목표와 방법적 목표를 이중구조 형태로 나타내었고, 핵심 프로세스의 단계명을 일부 수정하였으며 지원요소 내용도 세부적으로 수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결론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생을 위한 발명역량 증진 트리즈 모형은 트리즈와 문제해결의 내용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둘째, 트리즈의 지원요소를 반영하여 발명교육의 일반적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확대와 트리즈 교육의 학교 교육 도입 가능성을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RIZ-based 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inventiv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research projects were set up to realize the purpose of research. First, draft a draft based on the core value of the model, the core activity process, the design strategy, and the supporting factors. Second, we identify the strength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model through expert evaluation and make a modified model based on this. In order to realize the research project, a model draft was prepared by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expert evaluation, and validity measur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raft of the model provided the value of the model, the goal of the model, the core process of the 7 steps, The experts then proposed three strengths and four modifications to the model draft. According to the expert s evaluation, the core objective of the model is expressed as a dual structure with the content goal and the method goal, and the step name of the core process is partially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RIZ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include TRIZ and problem solving. Second, it should include general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reflecting TRIZ support facto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sion of the inven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TRIZ education into school education will be widened.

      • KCI등재

        초등학교 문제기반학습 수업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도구 개발

        홍광표(Kwangpyo H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문제기반학습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컨설팅을 실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실시한 연구방법은 사례연구, 요구분석, 전문가 평가 및 내용타당도 검증이었다. 사례연구는 연구주제와 관련된 분야의 문헌중심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요구분석은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업분석도구 개발에 있어 필요한 사항에 대한 필요를 수집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도구의 최종안 개발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은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도구의 최종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수업분석도구는 크게 수업 전 도구, 수업 중 도구, 수업 후 도구로 구분된다. 수업 전 도구는 수업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확인하기 위한내용을 중심으로 되어 있다. 수업 중 도구는 문제기반학습의 절차별로 교사의 활동, 학생의 활동이 합당하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내용으로 만들어졌다. 수업 후 활동은 전체 활동의 평가와 성찰을 확인할 수 있도록개발되었다. 초등학교 문제기반학습 수업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는 수업의 흐름에 따라 수업 전, 중, 후 활동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각 내용은 학습 흐름에 따라, 학습의 구성요소에 따라, 수업 참여 대상에 따라 만들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업 분석도구는 체계성, 과학성, 객관성을 갖출 수 있도록 구안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analysis tools that can be used when conducting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and conducting instruction consulting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methods carried out for the realization of the research purpose were case study, needs analysis, expert evalu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Case studie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literature-centered cases in field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The needs analysis collected the needs for the item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lass analysis tools, centering on the field teachers. For expert evaluation, opin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nal tool were collected from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inal draft of the tool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struction analysis tools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re largely divided into pre-class tools, in-class tools, and post-class tools. The pre-class tool is centered on the content to check the items to be considered in the class design stage. In class, the tools were created to check whether the teacher's and student's activities are properly organized for each procedure of problem-based learning. The activities after instruction were developed to confirm the evaluation and reflection of the entire activity. Instruction analysis tools for elementary schools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 consulting should be developed as pre-, middle-, and post-clas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instruction. have to lose In addition, instruction analysis tools should be designed to have systematic, scientific and objectivity.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홍광표(Kwangpyo Hong),조준오(Junoh J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을 활용한 교육이 초등학생 고학년의 과학적 태도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그들의 과학적 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신장 정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한 대상은 K도 Y시 C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 91명, 6학년 4개 학급 110명 등 총 201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단일 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학적 태도의 하위 변인, 즉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 동성, 자진성, 끈기성, 창의성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역시 5, 6학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융합인재교육 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업태도 향상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또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초등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이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나아가 연구의 대상이 되는 아동을 확 장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융합인재교육이 유아까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학년, 학교급을 다양하게 하여 적용하고 여타의 다른 역량 함양에도 도움이 되는지 후속연구 도 이어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first, to develop a elementary school STEAM education class, and second to examine the effect in terms of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STEAM education program for 5-6 grades. And, we examine 201 children by two survey tool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positive growth and changes in the two aspects-scientific attitude(curiosity, openness, criticism, collaboration, spontaneity, perseverance,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study suggests more practice of STEAM education to diverse subject, and more developments on other grades.

      • APSTNG 시스템의 신호 처리 IDL 분석 연구

        진경찬(Kyungchan Jin),홍광표(Kwangpyo Hong),심철무(Chulmu Shim),Vyacheslav T. Em,Viacheslav M. Bystritsky 대한전자공학회 200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11

        In this paper, we presented the IDL analysis technique which is intended to detect items containing explosives. The input signal of IDL is produced by the associated particle imageing (API) techniques including neutron methods with neutron generator and secondary radiation detection. The API method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agged neutron beams. Each 14MeV neutron in a beam has a tag, which is a signal from the alpha-detector corresponding to the moment of detection of the alpha particle produced together with the neutron. And the generator type of API is called associated particle sealed-tube neutron generator (APSTNG). As a result, we analyzed the chemical components of explosives substance with IDL, and found that the API methods remained to be the promising ones for explosives detection, but for better detection,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combination of several neutron methods and signal classification methods.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정주영(Jung, Juyoung),홍광표(Hong, Kwa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액션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사례연구, 요구분석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초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전문가에 의한 1차 평가를 2017년 12월 1일부 터 5일간, 현장적용을 통한 2차 평가를 2018년 3월 1부터 4월 4주까지 총 13시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사전활동, 본활동, 사후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사전활동은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와 자원을 확인한다. 본활동은 액션러닝의 활동 순서에 따라 직업기초능력 부재에 따른 문제상황을 인식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안하는 10가지 직업기초능력을 고루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사후활동은 변화된 모습을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직무 현장 및 이를 준비하는 교육 현장에서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대안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tion learning program to improve basic skills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draft of the program was mad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y and needs analysis. Then,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first evaluation by experts and the second evaluation through field application.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pre-activity, this activity, and post-activity. Preliminary activities identify the program and resources for the program. This activity was designed to equip 10 basic job skills proposed by national incompetence standard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solving the problem situation due to absence of job basic ability according to the order of activities of ACTION LEARNING. The post-hoc activities were designed to maintain and manage the changed aspects continuousl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ractical and concrete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job basic ability in the job field and the educational field preparing it can be provided.

      • KCI등재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조준오(Jo Junoh),홍광표(Hong Kwa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탐색하고 자 하였다. 연구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관련 문헌 및 운영 현황 등을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방법, 평가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의 목적은 유아가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컴퓨팅 사고력으로 해결하여 창의융합 인재가 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교육과정의 목표는 10가지로 이루어지며 내용은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에 따라 소프트웨어 교육내용이 각각 대응토록 하였다. 특히 그 가운데서도 생활도구 영역이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이에 따른 상세 내용을 구안할 수 있었다. 교수ㆍ학습방법은 이야기를 포함한 누리과정 활동 유형 11가지 각각에 소프트웨어 교육 방법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특히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서는 유아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언플러그드가 중심이 된 놀이 활동, 알고리즘, 주제중심 통합, 피지컬 컴퓨팅 등이 통합적으로 구현되었다. 끝으로 평가는 학생들의 역량과 변화 과정 정도를 측정하되 컴퓨팅 사고력, 목표 및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rection for developing software curriculum for preschoolers based on Nuri-curriculum.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iteratures, curriculums and current study of software education and Nuri-curriculum. Based on result,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for developing software curriculum for preschoolers based on Nuri-curriculum. First, it needs for four components what are the goal and aims, contents,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to development the curriculum. The goal and aim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interest of software around living, infants form the basis of the convergence talent that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solves everyday problem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Ten goals are set for thi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developed in five areas of the Nuri-curriculm, in particular, five areas of life topic and software education content in each area. Among them, contents of the curriculum can be constituted by considering that the tool of life tool is directly related to the software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deriv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11 activity types of Nuri course including the story and the software education contents. In particular, Unplugged-based play activities, algorithms, subject-centered integration, and physical computing are integrated in the Nuri-curriculum based infant software education. Finally, the evaluation of education should measure students’ competence and degree of change process, focusing on the goals and contents to be achieved in the curriculum focusing on computing thinking.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지도성과 전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준오 ( Jo Junoh ),홍광표 ( Hong Kwangpy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지도성과 전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3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해당 유아교사에게 원장 지도성, 원장 전문성, 그리고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응답하도록 설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원장 지도성과 원장 전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 지도성과 원장 전문성은 조직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원장 지도성의 하위 변인 중 과업 성취, 원장 전문성의 하위 변인 중 비전 및 목표관리, 조직 및 인사관리, 교사전문성 등이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장 지도성과 원장 전문성의 관련 하위 변인들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director's leadership and expertis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It was designed to respond to the director's leadership measurement tool, the director's professionalism measurement tool,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for the relevant early childhood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6.0.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director's leadership and the director's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ask achievement among the sub-variables of director leadership, vision and goal management,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and teacher expertise among the sub-variables of director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ully consider the sub-variables related to the director's leadership and the director's expertise.

      • KCI등재

        유아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

        조준오(Jo, Junoh),홍광표(Hong, Kwa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을 이해하고 그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력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267명의 유아이다. 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유아 자기조절력, 유아 문제 행동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매개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 control on children s addiction and problem behaviors.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set up and verified related research models. We tried to understand the infant 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result. And we tried to understand the role of mediating self - regulation. Th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self - control, and infant behavior in 267 infants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 - regulation plays a partial role in the elationship between infant s smartphone middle and problem behavior.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 regulation has significant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