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8주간의 비대면 홈 필라테스 운동이 출산 후 여성의 신체조성, 복부비만, 골반 기울기 및 근력, 요통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조준용 ( Joon-yong Cho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21 운동과학 Vol.30 No.1

        Purpose: Due to the long duration of the global outbreak of SARS-CoV-2 (the virus that gives rise to the disease known as coronavirus-19 [COVID-19]), the world is in a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os. Unfortunately, COVID-19 has been the foundation of what has been copious amounts of death around the globe. This global crisis has inflicted harm not only physically but mentally on all worldwide. Administrative orders, such as social distancing have led to longer stays at home. At the same time, women’s mental stress has increased from childcare after childbirth. After childbirth, an imbalance of the spine causes back pain and increased adiposity, especially in the abdomen. Additionally, overconsumption of food will lead to weight gain and potentially back pain as well. These problems will continue to escalate even after this current pandemic ceases to exist. In this regard, Pilates exercise is known to reduce back pain and body fat postpartum. However, closure of sports facilities due to COVID-19 eliminated opportunities for women to exercise. Online exercise programs have not been validated and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injury occurring. Thus, an un-tact exercise program that enables real-time communication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effects of at home Pilates exercise, using a real-time web program in postpartum women where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abdominal obesity, pelvic tilt, back pain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will be taken. Methods: Subjects included postpartum women under the age of 45 that were registered at the C Cultural Women’s Center in Bundang, Gyeonggi-do. All subjects were within 1 year of childbirth, had no medical opinion and were not receiving medication. A total of 16 people were enrolled in this experiment, which consisted of a Pilates Exercise group (EX, n=8) and a control group (CON, n=8). Measurements of body composition,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nd circumference, pelvic tilt, pelvic strength, and back pain index were all assessed prior to being exposed to experimental measures. After 8 weeks of un-tact home Pilates exercise, a follow-up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group-specific changes. Results: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un-tact home Pilates exercise showed a decrease in body fat, BMI, and visceral fat postpartum. Abdominal obesity test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ubcutaneous fat thickness, abdominal and hip circumference. The pelvic tilt test showed a reduction in the pelvic slope of the EX-group. Finally, the Oswestry Disabililty Index test showed the total score of the EX-group had decreased, confirming that Pilates exercise in this study was effective for back pain. Conclusions: Thus, un-tact home Pilates exercise using a real time web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can be used to prevent postpartum obesity by reducing abdominal and total body adiposity postpartum, assisting pelvic function, and improving muscle strength while also reducing back pain.

      • KCI등재

        온라인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에 따른 신체적 변화가 COVID-19 중 비만 남, 녀의 심리 영역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최동훈 ( Dong-hun Choi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3

        본 연구는 COVID-19 기간 중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및 심리적 영향에 미치는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45세 미만의 BMI 25 이상에 해당하는 여성 그룹(WOMEM, n=10)과 BMI 28 이상의 남성 그룹(MEN, n=10)으로 구분하였다. 두 그룹 모두 실시간 화상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8주간, 주 2회, 일일 40분 동안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운동 전·후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신체조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신체조성의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내장지방레벨에서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심리 영역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룹 내 변화에서는 WOMEM 그룹과 MEN 그룹 모두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증가하였다. 신체조성과의 심리 영역의 상관도 분석에서는 WOMEM 그룹과 MEN 그룹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에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부적 상관성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COVID-19 시대의 비대면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은 남·녀의 체중 감소 및 심리적 안정에 효과적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obese men and women during COVID-19. To conduct the study, 20 obese under the age of 45 divided into female group (WOMEM, n=10) BMI>25 and male group (MEN, n=10) BMI>28. Both groups conducte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using their own weight for 8 weeks, twice a week, and 40 minutes a day through real-time video program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body composition, physical self-efficac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to verify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body fat mass, BMI, and visceral fat levels. In the change within the group, both groups increased their physical self-efficac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domain with body composition, self-efficac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the WOMEM group and MEN group weight, body fat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As a result, non-face-to-face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in the COVID-19 era is effective in weight los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for men and women.

      • KCI등재

        with COVID-19 시대 공중 보건 시스템을 활용한 임신부 온라인 운동의 신체적, 심리적 효과

        현아현 ( Ah-hyun Hyu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with COVID-19 시대 공중 보건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필라테스가 임신부의 신체적,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 보건소에 등록되어 있는 45세 미만, BMI<25 이하에 해당하는 임신부로, 홈페이지를 통하여 모집공고 후 자발적으로 동의서에 서명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임신 24~29주에 해당하는 총 20명의 임신부를 비교집단(CON, n=10)과 운동집단(PEX, n=10)으로 무작위 구분하였고, 운동그룹은 실시간 웹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8주 동안, 주 2회, 하루 50분의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였다. 운동 중재 전, 후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2번의 체구성, 혈당, 임신스트레스 지수 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체구성의 집단 간 체지방량, BMI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혈당 검사에서는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 내 변화에서 PEX 그룹의 사후 혈당 수치의 변화가 없는 반면, CON 그룹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스트레스 지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룹 내 변화에서 PEX 그룹의 임신스트레스 총점이 감소하고, CON 그룹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비대면 필라테스는 임신부의 체지방 및 혈당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이고, 임신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n-line pilates using a public health system in with COVID-19 era on the physical, psychological factors of pregn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egnant women under age of 45, BMI< 25 at S Health Center in Gyeonggi-do, and were selected through web-site. A total of 20 pregnant women,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a CON group(n=10) and pilates exercise group (PEX, n=10). PEX group participated in pilates exercise twice a week, 50 minutes a day, for 8 weeks using a real-time web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intervention, body composition, blood sugar, and pregnancy stress index tests were performe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fat mass, BMI between groups in body com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blood glucose test, but no change in post-blood glucose levels in the PEX group, while the CON group showed an increase. The pregnancy stress ind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otal score of pregnancy stress in PEX group decreased in the change within the group, and CON group increased. As a result, non-face-to-face pilates is effective in controlling body fat, blood sugar and reduces pregnancy stress.

      • KCI등재

        COVID-19 중 온라인 운동참여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중 온라인 운동참여 여부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과 심리적 영역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45세 미만, BMI>25 이상에 해당하는 비만여성 47명을 비운동그룹(CON, n=24)과 운동그룹(EX, n=23)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운동그룹은 실시간 화상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8주간, 주 2회, 일일 50분 동안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신체조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그룹 간 신체조성 변화에서 체지방량, BMI, 내장지방레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심리 영역인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변화에서는 EX 그룹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CON 그룹은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운동참여는 체지방 감소와 체중 조절에 효과적이고, 자아존중감 증가와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온라인 운동을 적극 활용한다면, COVID-19 시대의 비만과 정서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nline exercise participation during COVID-19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self-effectiven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n obese women. To conduct the study, 47 obese women under the age of 45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n-exercise group (CON, n=24) and exercise group (EX, n=23). Through a real-time video chat program, the EX group conducted complex exercises using their weight for 8 week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a da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body composition, physical self-effectiven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for verification of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fat, BMI, and visceral fat levels among groups. Furthermore, changes within the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physical self-effectiveness and quality of life of EX groups.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online exercise is effective in reducing body fat and weight control, which can increase self-esteem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online exercise conducted in this study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prevent obesity, depression, and emotional diseases in the COVID-19 era.

      • KCI등재

        비대면 SMR 기반의 골반안정화 및 복합운동이 좌식생활 직장여성의 골반각, 비만도, 혈중지질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최동훈 ( Dong-hun Choi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으로 실시한 SMR 기반의 골반안정화 및 복합운동이 좌식생활 직장여성의 골반각, 비만도, 혈중지질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45세 미만의 과체중 및 복부 비만 직장인 여성 16명을 비운동그룹(CON, n=8)과 운동 그룹(EX, n=8)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운동그룹은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 2회, 8주간 SMR 기법의 골반안정화 및 유·무산소성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복합 처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여성의 골반각, 비만도, 혈중지질 및 요통 척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비운동그룹과 운동그룹 간의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그룹의 사후 신체조성 검사에서 체중, 체지방량, BMI, 체지방률, 내장지방레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골반각과 비만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골반 측면각과 복부 피하지방 및 둘레의 정적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중지질 검사에서는 집단 간 인슐린, TC, TG, CRP 수치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요통장애지수 검사에서는 운동집단의 ODI 총점이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비대면 골반안정화 및 복합운동은 좌식으로 유발된 직장인 여성의 골반각을 회복하여 복부비만을 해소하고, 혈중지질 및 요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의 온라인 복합운동을 적극 활용한다면, post COVID-19 시대의 비만 예방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MR-based pelvic stabilization and complex exercise conducted on pelvic angle, abdominal obesity, blood lipids and back pain in sedentary working women using real-time online programs. A total of 16 overweight women under the age of 45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n-exercise groups (CON, n=8) and exercise groups (EX, n=8). Through an application that allows two-way communication, the EX group conducted pelvic stabilization of SMR techniques and combined exercise twice a week and eight weeks. Comparison and analysis of pelvic angle, abdominal obesity, bood Lipids, and back pain in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etween CON groups and EX groups after 8 weeks. Body composition tests of the EX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weight, body fat, BMI, visceral fat levels, In addition, pelvic angle and abdominal obesity tes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Blood lipids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ulin, TC, TG, and CRP between groups, lastly ODI test of the EX group showed reduction. Thus, SMR-based pelvic stabilization and complex exercise using real-time web program are effective in preventing abdominal obesity, blood lipids, back pain on sedentary women. If the online complex exercise of this study is actively utilized, it w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obesity prevention in the post COVID-19 era.

      • KCI등재

        만성 경부통 직장인 여성의 실시간 비대면 경부 안정화 운동과 능동 스트레칭이 경추각, 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및 통증 척도에 미치는 영향 : Post COVID-19 Exercise Program

        현아현 ( Ah-hyun Hyun ),최동훈 ( Dong-hun Choi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실시간 원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성 경부통 직장인 여성의 경부 안정화 운동 및 능동 스트레칭이 경추각, 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보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일상생활에서 목의 가벼운 통증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45세 미만의 직장여성 17명을 대상으로 비운동집단(CON, n=8), 운동집단(EX, n=9)으로 구분하였다. 운동집단은 비대면 원격 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 3회, 4주간 경부 안정화 운동 및 능동 스트레칭을 실시하였다. 운동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경추각, 경추 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및 통증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운동집단과 운동집단의 사후검사에서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운동집단 내 사전과 사후를 비교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비대면 직장인 운동 프로그램은 일상 속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두부전방자세와 관절가동범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경부의 통증을 감소시킴으로써 COVID-19 바이러스로 인한 불안 및 스트레스를 환기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and active stretching on Cranial Vertebral Angle,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and Numerical Rating Scale in women with chronic cervical pain using real-time remote programs. A total of 17 working women under the age of 45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CON groups (CON, n=8) and EX groups (EX, n=9). The exercise group conducted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and active stretching for 3 times a week for 4 weeks. For the results analysis, the scope of Cranial Vertebral Angle,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and Numerical Rating Scale were analyzed.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4 weeks un-tact exercise showed a decrease in women's all variables. CVA and ROM tes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The NDI and NRS test showed a reduce the total score of EX-group, confirming that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and active stretching in this study is effective for neck pain. Thus, un-tact office exercise using real-time web program are effective in preventing head forward posture, neck pain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12주 필라테스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조성, 분만자신감, 경부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Hyun Ah Hyun ),조준용 ( Cho Joon Yong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6 No.2

        본 연구는 12주간의 매트 필라테스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조성, 분만자신감 및 경부장애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분당에 소재한 C 여성병원 문화센터에 등록한 임산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매트 필라테스 운동 후 신체조성 차이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운동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 BMR의 집단 간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반복측정 간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지방률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기간 내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근육량과 BMR은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12주간의 필라테스 운동 후 분만자신감과 경부장애지수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운동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고, 집단과 반복측정 상호작용 효과에서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필라테스 운동은 임산부의 신체조성과 분만자신감 및 경부장애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추후 연구에서는 임산부 필라테스 운동이 산모의 진통시간, 출산 후 회복속도, 태아의 성장과 면역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산전교육으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2-weeks pilates mat exercise for on pregnancy women`s body composition, delivery confidence, and neck disability index. A total of 10 pregnant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followed a standard sedentary regimen) and a pilates group (completed a pilates exercise regimen).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ddition, delivery confidence, and neck disability index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exercise, using a questionnaire. The pilates group workout program lasted 50 min per day, twice a week, for 12 week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after the mat pilates exerc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ater volume, muscle mass, fat content, and the effect of BMR between groups(p<0.05). Moreover, After 12 weeks of pilates exercis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lf-confidence and neck disability index showed parti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control groups. In conclusion, the pilates is an effective exercise to mediate the anxiety of pregnant women to increase delivery confidence, improve muscle function, reduce pain, and increase the basic strength for childbirth. However, exercise guidelines for pregnant women in high-risk groups are needed and additional research on postpartum pilates exercise is needed in a future.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여성 노인의 12주 필라테스가 신체능력, 인지기능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12주 필라테스 참여가 신체능력, 인지기능 및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만 65~75세에 해당하는 여성으로, 간이정신상태 검사(MMSE)에서 경도인지장애로 평가된 총 16명을 대조군(CON, n=8)과 필라테스 운동군(EX, n=8)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EX 그룹은 12주 동안, 주 2회, 일일 50분의 필라테스에 참여하였고, 중재에 따른 사전·사후 효과 검증을 위하여, 총 2번의 신체조성, 균형능력, 인지기능 및 우울증 검사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노인 체력검사의 민첩성과 버그 균형능력 검사 총점에서 그룹 간 차이가 있었고, 우울증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EX 그룹의 사후 체중, 체지방률, 내장지방레벨이 감소하고, 하지 근 기능 및 지구력이 증가하였으며, 인지기능이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필라테스를 이용한 저항 운동은 치매 위험 요소인 비만 및 근 감소를 예방하고, 운동감각 및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pilates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n physical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men aged 65 to 75 years old, and a total of 16 people were evaluated as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CON, n=8) and a pilates exercise group (EX, n=8). The EX group participated in pilates twice a week for 12 weeks, 50 minutes a day, and participated in a total of two body composition, balance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ests to verify the pre and post effects of interven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gility, balance abili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EX group’s post-mortem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visceral fat level decreased, and lower limb muscle function, endurance, and cognitive function were improved. As a result, resistance exercise using pilates is an effective tool to prevent obesity and depression,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prevent cognitive decline.

      • KCI등재

        워밍업 로션 처치가 역도선수의 체온변화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동훈 ( Dong-hun Choi ),현아현 ( Ah-hyun Hyun ),조준용 ( Joon-yong Cho ),염동철 ( Dong-chul Yeom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1

        본 연구는 역도선수를 대상으로 워밍업 로션과 위약 로션을 처치한 뒤 시기 별 피부의 온도와 운동능력검사를 통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역도 선수 7명을 대상으로 위약 로션(Contorl Lotion:CON)을 처치한 뒤 20분간의 준비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준비운동이 끝난 후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였다. 로션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로션을 처치하기 전, 준비운동 중 (5, 10, 15, 20분), 운동 직후, 운동 종료 5분 후에 부위 별 체온을 측정하였다. 2주일이 지난 뒤 동일한 대상과 방법으로 워밍업 로션(Warming-Up Lotion:WU)을 처치하고 측정하였다. 그 결과, 워밍업 로션이 시기 별 신체 부위 온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위약 로션과 비교하였을 때 피부 온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부하검사를 통해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운동시간을 분석한 결과 최대산소섭취량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워밍업 로션은 위약 로션에 비해 역도선수들의 시기별 피부의 온도는 증가시켜 준비운동 효과에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워밍업 로션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human body through temperature and exercise performance of skin by timing after treating warming-up lotion and placebo lotion on weightlifters. To conduct the study, seven weightlifters were treated with placebo lotion (CON), followed by a 20-minute warm-up exercise, and an exercise stress test.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lotion, body temperature was measured during warm-up exercises (5, 10, 15, 20 minutes),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five minutes after the end of exercise. After two weeks, the warming-up lotion (WU) was treated and measured using the same target and method. As a result, warming-up lo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part temperature by time, but compared to placebo lotion, skin temperature increased. Through exercise stress tests, analysis of maximum oxygen intake, maximum heart rate, and exercise ti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maximum oxygen intake. Therefore, warming-up lotion increases temperature of weightlifters' skin and is positive for warm-up effects. However, since there are no studies related to warming-up lotion, more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

        8주 스포츠마사지 처치가 출산 후 여성의 신체조성, 골반정렬, 요통 및 산후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김우태 ( Woo-tae Kim ),이웅배 ( Woong-bae Lee ),현아현 ( Ah-hyun Hyun ),전유정 ( Yoo-joung Jeon ),정종환 ( Jong-hwan Jung ),장용철 ( Yong-chul Jang ),구정훈 ( Jung-hoon Koo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본 연구는 스포츠마사지가 출산 후 여성의 신체조성, 골반정렬, 요통 및 산후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출산 후 36개월 이내 해당하는 만 20~40세 여성으로, 연구 시행 전 에딘버러 산후우울증 검사 총점이 19점 이상인 34명을 선정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스포츠마사지가 적용되는 집단(실험군, n=17)과 스포츠마사지가 적용되지 않는 집단(대조군, n=17)으로 무작위 구분되었고, 실험군은 총 8주 동안 주1회, 매회 40분간 전문 자격증이 있는 마사지사에 의해 처치를 받았다. 중재 측정 변인으로는 신체조성(체지방률), 골반 좌·우 기울기와 앞·뒤 기울기가 포함되며, 요통과 산후우울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설문지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마사지 실험군의 신체조성, 골반정렬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요통 및 산후우울증 지수가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스포츠마사지는 출산과 관련된 여성의 신체적 문제를 완화하여 산후우울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s massage on postpartum’s back pain and depression after childbirth. The subjects were women within 36 months of postpartum, and 34 people with a total score of 19 or more were selected for the Edinburgh postpartum depression test. All subjec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a group to which the sports massage treatment was applied (SMT, n=17) and a group to which the sports massage was not applied (CON, n=17). Sports massage intervention was treated once a week for 40 minutes each time for a total of 8 weeks, and changes in body composition(body fat percentage), pelvic tilt, back pain,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analyzed as pre- and post-mortem measurement variable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pelvic tilt, back pain, and postpartum depression tests in the SMT group,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 group. Therefore, treating postpartum women with continuous sports massages has the effect of reducing back pain and depression, as well as preventing various joint diseases related to childbirth. As a result of this study, sports massage treatment is effective in postpartum body composition and pelvic tilt recovery, and is thought to help prevent back pain and postpartum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