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비쿼터스 기반의 ZigBee 를 통한 POS 활용

        현민 ( Min Hyun ),민성기 ( Sung-gi M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이란 매출을 발생시키는 유통업체 금전출납계에 설치되어 매장에서 발생하는 판매시점의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가공, 처리, 저장하여 각 부문별 정보를 분석, 평가, 종합 할 수 있는 상품의 판매 결과를 기록하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업종에서 POS SYSTEM(주문관리 시스템)의 도입으로 보다 효율적인 업무를 처리하고 있지만 기존의 획일적인 POS 시스템들은 고가의 전용장비를 이용하고 물리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비용, 규모, 구성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ZigBee 를 이용한 시스템은 휴대단말기의 무선제어 기술과 연계를 통해 여타 기술 대비 편리성, 재사용성 및 시스템 구축 비용의 절감을 통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것 이다. 또한 네트워크 단축 경로 검색 기술과 양방향 통합 리모콘 설계와 같은 유비쿼터스 기반의 ZigBee 기술을 통해 시스템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등 산업에 보다 나은 발전을 가져오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19세기말-20세기초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연계성

        현민(Min 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오늘날 샌프란시스코를 포함한 캘리포니아는 환태평양 무역, 인적 교류, 문화 교류의 중심지이다. 이러한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연계성은 20세기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19세기에 이미 그 단초가 형성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연계성의 확장 속에 미국 서부 태평양연안의 정착지가 건설된 것이다. 골드러시를 통해 급조 또는 급부상한 도시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샌프란시스코도 실제로는 골드러시 이전 전세계적 해상교역망이 태평양을 통합함에 따른 결과이다. 샌프란시스코는 미국 동부(또는 대서양)에서 케이프혼을 돌아 미국 서부의 태평양연안에 이르는 경로에서 계획적으로 개척된 도시인 것이다. 이 과정에서 그간의 양상과는 달리 동인도회사로 대표되는 무역독점에 반하는 자유무역을 지지하는 상인계층의 역할이 컸다. 초기 샌프란시스코의 형성에 있어서도 골드러시 기간의 항구건설, 19세기말 태평양철도의 연계를 통한 관문도시로의 공고화 등에 있어 미국동부자본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골드러시 이전 이미 동방으로 향하는 지점으로서의 중요성을 상징하는 골든게이트라는 명칭이 샌프란시스코만 지협에 부여된 것에도 보듯이 샌프란시스코는 정착 초기부터 태평양을 횡단하여 동아시아로 향하는 관문도시를 목적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미국 태평양의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는 태평양 무역연계망에 통합됨으로써 더 나아가 이를 주도함으로써 중국의 변방인 홍콩과 연계되고 이를 통해 중국의 노동력이 유입되었다. 또한 태평양우편증기선의 정기적 운항과 상품무역을 통해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초기적 연계망을 형성하였다.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국내 연구는 대부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관련된 것으로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도시사적 접근 그리고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자하는 환태평양 연계성과 관련해서는 거의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전세계 무역망으로의 태평양 통합과 환태평양 연구에 대한 성과를 바탕으로 골드러시 전후 샌프란시스코에 대한 역사적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초기 관문도시로서의 샌프란시스코의 형성과 그 과정에 있어서의 환태평양의 단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Today, California, including San Francisco, is a center of Trans-Pacific trade, human and cultural exchange. This connectivity of the Trans-Pacific mega-region was not formed in the 20th century, but has already been a major factor since the establishment of settlements along the western Pacific coast of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San Francisco, which has the image of instant city that has risen rapidly through the gold rush, is actually the result of the integration of the Pacific Ocean by the global maritime trade network before Gold Rush. San Francisco is a city that was deliberately pioneered on the route from the eastern coast of U.S(or the Atlantic Ocean) to the Pacific Ocean around Cape Horn. In this process, the marine merchant class played a large role in supporting free trade against the trade monopoly represented by East India companies. In the early formation of San Francisco, New England bourgeois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a port during the Gold Rush and the consolidation of it as a gateway city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Pacific Railroa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efore the Gold Rush, the name Golden Gate, which symbolizes its importance as a point to the east, was given to the San Francisco Bay Channel. This fact shows that San Francisco was formed as a gateway city across the Pacific Ocean to East Asia from the beginning of its settlement. San Francisco, a gateway city of U.S. Pacific, was integrated into the Pacific commercial network and furthermore led it. Through this San Francisco connected to Hong Kong, and through this route China's labor flowed in U.S. In addition through regular operation of Pacific mail stamboats and the trade of goods, the initial network of links in the Trans-Pacific Mega region was formed. Most of researches on San Francisco in Korea are related to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here is little in relation to the urban historical approach to San Francisco and the Trans-Pacific link to be noted in this paper.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formation of San Francisco as an early gateway 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acific by reviewing historical literature on San Francisco before and after the gold rush based on existing resarch results.

      • KCI등재

        아세안의 발전주의적 지역개발협력과 역외의존적 지역개발

        현민 ( Min Hyu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7 No.3

        본 논문은 아세안 지역개발협력의 역외의존성 및 다층성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아세안 지역개발협력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비공식적 논의과정을 통해 의사결정을 도출하는 아세안방식에 근거한 아세안의 지역개발협력은 국가주도의 발전주의적 지역협력을 특성으로 한다. 이를 배경으로 아세안은 사회적 의제에 대해서는 취약한 구조를 지닌 반면 개별국가의 ‘발전주의’와 결합된 지역경제협력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아세안의 발전주의적 지역개발협력은 성장을 통한 개발격차 해소를 주요한 과제로 삼는 한편, 역내 준지역의 물리적 연계를 중심으로 한 발전주의적 공간을 형성하고자 한다. 해양부아세안의 BIMP-EAGA와 대륙부아세안의 GMS로 대표되는 발전주의적 공간은 글로벌가치사슬로의 연계,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한 인프라 구축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개발재원의 필요성, 역외행위자들과의 이해관계, 그리고 아세안 방식의 유연성 등이 결합되어 아세안의 지역개발협력은 다층적이고 역외의존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아세안 지역개발협력의 이러한 특징은 아세안 지역의 개방성과 활력을 보여줌과 동시에 아세안이라는 공간에 대한 역내·외적인 경쟁과 그로 인한 분절가능성을 동시에 내포하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SEAN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causes of external dependence and multilaterality of ASEAN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SEAN’s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the ASEAN way, which makes decisions through informal discussion process, is characterized by state-leading developmental regional cooperation. In this context ASEAN has weakly bounding structure on the social agenda, whil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combined with “developmentalism” in member countries is very dynamic. On the ond hand ASEAN’s developmental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cuses on narrowing the development gap through economic growth, on the other hand pursuing a developmental spaces centered on the physical linkage of regional subregions. The building of developmental spaces represented by BIMP-EAGA of maritime ASEAN and GMS of continental ASEAN appears in the form of linkage to global value chains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centered on border areas. In this process, Combined the need for development financing, interests with external actors, and flexibility of the ASEAN way, ASEAN’s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a multi-layered and external dependent characteristic. This feature of ASEAN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demonstrates the openness and vitality of the ASEAN region, and at the same time implies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ons for the ASEAN spaces and also the possibility of its fragmentation.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통합과 아세안

        현민(Hyun, Mi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2

        Since the 1990s, Southeast Asian region represented by ASEA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region for integration of Asia and the Pacific in the context of the ‘new regionalism’. This paper discuss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Southeast Asian regional integration by examining the history of Southeast Asian integration, the multilayered forms of cooperation that are accelerating since the 2000s, and interests of neighboring countries. From the postcolonial period to the Cold War, Southeast Asia formed a divided regional landscape under the influence of US and Japan as well as colonial heritage. In this period, regional cooperation was achieved with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production network in this area. Since globalizaion, ASEAN, with its external expansion, starts full-fledged economic cooperation by pursuing growth strategies through attracting foreign capital. After AFTA, ASEAN’s economic cooper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have been centered on various forms of free trade agreements ranging from individual members’ FTAs to Mega-FTAs in 2000s, and then ASEAN has a central position in (East-Asian) regional integration at various levels. However, despite the active movement of Southeast Asian regional integration(regionalism), ‘regionalization’ has not been done well. In addition, as shown in TPP and RCEP, the powers of regional integration around Southeast Asia are superimposed at the global level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the regional level represented by China and Japan, and individual countries within the ASEAN.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outheast Asia has a future of fragmented regionalization in the forces of multi - layered hierarchy. In short, ASEAN is relatively vulnerable to creating autonomous space in Southeast Asia and playing a central role in the Asia-Pacific region, although maintaining “ASEAN centrality”, and the future of the regional order surrounding the Asia-Pacific region is still uncertain.

      • KCI등재

        UN 지속가능발전목표의 한국 국제개발협력에의 연계: 지속가능발전목표 17의 이행수단을 중심으로

        현민(Hyun, Mi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9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9 No.3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이행수단의 강화와 글로벌파트너십의 재활성화’(17번 목표)를 명시함으로써 이전 개발의제와 차별성을 갖는다. 본 논문은 UN-SDGs 17번 목표가 K-SDGs에서는 어떻게 반영되고 있으며 이것이 한국의 국제개발협력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K-SDGs 목표 17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SDGs 17번 목표는 개도국의 구조적 역량강화를 제외한다면 개발재원과 개발파트너십이라는 양대 축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K-SDGs 또한 마찬가지이다. 국제개발협력사업의 다양한 지표와 목표를 포괄하고자 하는 K-SDGs는 17번 목표의 세부목표 중 개발재원 확대와 관련하여 GNI 대비 ODA 비율로 간명하게 지표를 설정하였다. 이는 여전히 국제개발협력사업이 공적개발원조 중심이며, 그 비율 또한 낮은 한국에게 있어 현실적 목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재원의 축소, ODA 현대화, TOSSD의 도입 등 개발재원 지형의 변화를 고려한다면 한국에서도 민간재원 동원을 포함한 다양한 개발재원에 대한 논의와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외 파트너십의 경우 국내 시민사회가 정부정책의 파트너가 되기 위한 제도적 개선과 더불어 개발도상국가 시민사회와의 파트너십 형성 및 현지화 등 개발주체로서의 시민사회조직의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초기단계인 개발재원의 다각화를 위한 민관협력파트너십의 개선을 위해 ODA의 책무성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수단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공적개발원조 중심의 국제개발협력을 감안할 때 수원국과의 국별 파트너십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는 국제개발협력의 전략적 구상에 있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은 ODA전략 수립단계부터 수원국 정부와의 정책대화를 강화할 뿐 아니라 다층적 수준의 수원국 개발주체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공여국으로서의 장기적인 국제개발협력 거버넌스와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development agenda by stating "Strengthening the means of implement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ing the global partnership" (goal 17). This paper examines how UN-SDGs 17 is reflected in K-SDGs and how it relates to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DGs 17 can be described as two pillars of development financing and the development partnerships, except for developing countries" structural capacity, and so is K-SDGs. K-SDGs, which intend to cove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have set the indicators as the ratio of ODA to GNI in relation to the expansion of development resources. This is a realistic goal for Korea, wher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centered on ODA, and their proportion is low. Nevertheless, considering changes in the topography of development financing, such as the reduction of development resources, the modernization of ODA, and the introduction of TOSSD,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develop various means of development financing, including mobilization of private resources. In the case of development partnerships, In the case of (global) partnerships,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needed for domestic civil society organization(CSO) to become government policy part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SO capacity as a development subject, such as partnership formation with local CSOs and local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measures to harmonize with the ODA"s accountability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r diversification of development resources. Consider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entered on ODA, how to form partnerships with recipient countries is important in the strategic pla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this end, Korea should not only strengthen policy dialogue with recipient governments from the stage of ODA strategy planning but also strengthen partnerships with multi-layered development subjects in recipient countries. At the same time, long-term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governance and strategy as a donor country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지역학 교육 발전 방향의 모색

        정호윤(Hoyoon Jung),현민(Min 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해외의 우수 지역학 학위과정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 지역학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국내의 지역학 동향이나 향후 과제와 관련된 기존문헌은 주로 지역‘연구’라는 측면에 주로 집중해 왔다. 물론, 지역학 발전의 근간에 연구의 활성화가 필수적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지역학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검토하고, 커리큘럼을 개발하며, 학생들을 교육하여 지역학 관련 사회적 수요에 적절한 인력을 배출함과 동시에 학문후속세대를 양성하는 것과 같은 지역학 관련 ‘교육’의 중요성은 연구만큼이나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학 관련 학문적·교육과정 수월성을 기반으로 환태평양지역의 하와이대학교(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UC 산타바바라(UC Santa Barbara) 및 와세다대학교(Waseda University)의 지역학 학위과정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지역학 교육에의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지역학 학위과정은 특정 대학을 제외하면 제2외국어 관련 수업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제2외국어 커리큘럼의 확충이 요구된다. 지역학을 전공함에 있어 제2외국어 구사력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둘째, 지역학 학위과정 내 주 전문분야와 부 전문분야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일정 학점 이상 수강토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개별 관심 연구주제에 대한 학술적 전문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의 성공적 사회 진출을 위해 보다 양질의 인턴십 제도를 더욱 확충하고, 다양한 희망 진로 수요에 부합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 넷째, 단순히 특정 지역에 대한 내용만을 교육하기보다 해당 지역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국가 간, 지역 간 관계 등을 포괄하는 동태적 접근법에 기반한 지역학 교육이 요구된다. 다섯째, 비록 국내 지역학 대학원 과정에 연구조교 제도를 두고 학생들의 연구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많은 대학원생들의 공동연구 참여가 활발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향후 학생들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내의 지역학 프로그램에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지역학 연구방법 수업을 개설하여 지역학 연구 및 교육의 수월성 달성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development of area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through the case studies of excellent area studies degree program abroad. Currently,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trends and future tasks of area studies in Korea has mainly focused on the aspect of area 'research'. Of course, it is an evident fact that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s essential at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of area studies. However, the importance of 'education' related to area studies is as important as research, such as reviewing social demands for area studies, developing curricula, and educating students to produce the human resources for area studies-related social needs while at the same time training the future academic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benchmarked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UC Santa Barbara, and Waseda University's area studies degree programs based on area studies-related academic and curriculum excellence, suggesting implications for area studies education in Korea.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programs of area studies in Korea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in second language-related courses except for some universities, and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second language curriculum because second language proficiency is essential in studying area stud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academic expertise in research topics of individual interest of students by specifically designating major and minor specialties within the area studies program and allowing them to take more than a certain credit. Third, for students to successfully enter society,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and a higher-quality internship program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to meet various desired career demands. Fourth, rather than simply educating the contents of a specific region, area studies education based on a dynamic approach that encompasses relations between countries and regions is requir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certain region. Fifth, although studen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research with a research assistant system in the graduate school,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strengthen students' research capabilities in the future in that many graduate students are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joint research. Finally, domestic area studies programs should open more systematic and diverse area studies research method classes to achieve excellence in area studies research.

      • KCI등재

        토양세척 후 발생하는 비소오염 탈수미세토의 불용화 및 재활용 평가

        오민아(Minah Oh),문소영(SoYoung Moon),현민(Hyun Min),채희훈(HeeHoon Chae),이재영(Jai-Young Lee)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2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1 No.4

        비소는 음이온적인 거동을 가지고 Eh-pH의 조건에 따라 특성이 변화하여 비소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최근 입경분리 식 토양세척을 통하여 비소를 미세토 내로 농축시켜 반출, 처리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때 발생된 미세토는 지정폐기물로 간주,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세척 후 발생되는 탈수미세토 내 비소를 불용화하고, 이를 매립지 차수재로 재이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비소를 불용화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50% 이상의 함수율과 탈수미세토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8%에 해당하는 FeS가 요구되었고 건조된 탈수미세토 10g 당 0.2ml의 H2O2가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안정적인 반응을 위하여 24시간 이상의 반응시간이 요구되었다. 또한 매립지 차수재로서의 재활용을 위한 실험에서 100% 탈수미세토 기준, 시멘트 3%와 벤토나이트 13%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28일 동안 재령한 공시체가 강도와 투수계수 값이 매립지 차수층의 법적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andardized remediation process for the soil contaminated with arsenic is insufficient due to characteristics of its anionmobility and speciation changed by Eh-pH of soil. One of the well-known efficient remediation processes is the modified soil washing that particle separation process by only water.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treatment plan for the fine soil what was discharged after modified soil washing.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treatment plan that the recycling method using arsenic immobilization by FeS-H<sub>2</sub>O<sub>2</sub>. The batch experiments results for the arsenic immobilization showed that the water content was at least 50%, the injection of FeS and H<sub>2</sub>O<sub>2</sub> (assay-35%) were 8% (w/watdrybase) and 0.2 mL/10 g of fine soil respectively. Arsenic concentration with KSLT was decreased about 95.4%.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xing of FeS-H<sub>2</sub>O<sub>2</sub> was highly efficient on the immobilization of As-contaminated soil. The mixing ratio as 13% of bentonite with 3% of cement (at based on 100% of immobilized fine soil) was satisfied with standard of liner for landfill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