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인인구의 공연예술 향유 확대방안 연구

        현미정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ging society is being replaced by an aged society and the aged society by a super-aged society in Korea,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 Interests in the performing arts are growing as needs of the elderly are increasingly diversifying for one’s declining age because of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is is for study on ways to expand enjoyment of performing arts by the elderly through the survey on the cultural life of them at this point. More active attitude can be expected for cultural activities from new silver generation. Survey shows that they want to use their spare time more effectively through cultural activities as much as possible and have high desire for enjoyment of the performing arts. Expansion of education and participation on culture and arts of the elderly and public support are proposed as ways to expand enjoyment of performing arts to meet the needs of new silver generation. First, statu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vitalization plans for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are reviewed. Most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are ‘lecture type’ ones by social welfare facilities, however, education with ‘commentary type’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conflating commentary is also being made. In addition, municipalities provide ‘show-watching type’ education for the elderly to gain cultural experiences with performances done in their yar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relatively active in various ways like these, and improvements for the program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are as follows. It should be prioritiz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ith improved concentration of the elderly by choosing the right level of curriculum after subdividing classes, and to stir up level of education through sustainable program development and enrichment program. Next is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by developing specialized materials for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enhance professionalism for education. Second, status of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the ways to expand them are reviewed. The more elderly satisfies in the terms of self-reflection by self-development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by performing their own shows in local cultural events and arts events. It forms a virtuous circle as participation of performing arts through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shows the elderly enjoys satisfying cultural activities to meet the purpose of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the best. There should be more ways for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performing arts in order to increase direct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performing arts. More sections of local cultural events and arts events should be made for performance of the elderly and opportunities of performance by the elderly should continuously be expande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performing arts should be provided by encouraging volunteer activities in cultural parts through talent donation and participation for society should be encouraged as members of society, rather than a neglected class of people. Third, art instructor support programs and culture voucher projects for the elderly are checked up, and ways to expand public supports are reviewed. A very small number of art instructors for the elderly are available compared with other beneficiaries so it is determined that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 instructors are urgent issues. And arts instructors insist that specialized arts instructors who understand physical and emotional features of the elderly be needed. Culture voucher projects are policies to support enjoyment of performing arts by the elderly by relieving burdens of costs for watching performances through support for costs in culture card project, and by solving issues about accessibility through offer of transportation in planned voucher project. But there are only few elderly beneficiaries because of a lack of promotion of each institution and features of the elderly vulnerable to acquiring information. Sufficient promotion for vitalization of culture voucher projects is proposed. And it is also proposed to give benefits of public assistance to the elderly as many as possible, not limiting to the particular class or group, by tour service. A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questions are raised for the possibilities for leisurely life likely to exist that 38.2% of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can enjoy when Korean society reached the level of super-aged society in 2050. Because there is concerns about whether social·economic conditions are prepared for the elderly to be just supported in the society two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hould support one old man. Leisure activities after retirement may differ from the expectations people have when issues from imbalance in population structure have not been resolved in super-aged society in the terms of culture and arts affordable to enjoy when time and money are available. Considering these points, effectiveness shall be properly exercised when countermeasures in connection with silver industry of other areas, such as labor·housing·leisure·education, etc. and contents for the elderly are developed and marketing plans to meet their needs are considered in the process silver industry is developed. And cultural policies for the elderly are to support cultural activities in three aspects- for elderly to be trained by cultural programs,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by providing labor through cultural creativity in more mature stage and enjoy free time by watching cross-cultural work- not just staying in the stage to provide simple cultural program for relax. Cares for the elderly are necessary in this welfare-oriented society all people can live with happy and it is the task of this society to provide environment in which the elderly can live with comfort. I expect to live in comfortable circumstances in later life with high-quality performing arts at the time to greet an aging society.

      •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현미정 慶南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행복한 나, 행복한 교사, 행복한 교실 만들기에 주 목적을 두고 Bandura의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고, 교사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향상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한 뒤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참고하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2001), 김창대(2002) 등의 개발 모형의 체계적인 절차에 의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결정된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검증을 위해 제주도 내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초등교사 32명을 선발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뒤 동질성을 확보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6명씩 배정하였다. 확보된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 30분씩, 총 10회기 동안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1개월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양적검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참가자의 자기보고식 소감문과 참가후의 만족도와 추후 지속정도에 대한 자료를 통해 양적검증을 보완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통계 결과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SPSS/Window 19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조사도구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질집단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검증을 위한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한 교사 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이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향상, 자아존중감 향상,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에 나타난 사전-사후-추후의 특성 변화를 반복변량분석(Repeated measure ANOVA)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Bandura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은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하위영역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대인관계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 교과지도 효능감, 행정업무 효능감에서도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가 있었다. 둘째, Bandura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수준의 자아존중감 변화가 있었다. 셋째, Bandura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은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실시한 뒤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수준의 감소가 있었다. 넷째, 교사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뒤, 일정기간이 지난 뒤 프로그램의 효과 지속 정도를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난후, 일정기간이 지나도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Bandura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교사효능감 집단 상담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verify its effect based on Bandura’s theory in order to create happy me, happy teachers and happy classroom.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the program more effectively applied to teachers, the need for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investigated with targets of teachers and its results were used as reference for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atic procedures of development model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1) and Kim, Chang Dae (2002). For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effects of the program determined by above procedures,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introduced to teachers work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in Jeju Island. 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homogeneity was ensured after pre-test was conduct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16 subjec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A researcher conducted the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once a week for two hours and 30 minutes in a total of 10 sessions.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ost-tests were conducted in both groups. Further test was conducted in both groups after 1 month and its results were utilized as the data of quantitative validation. In addition, quantitative validation data were updated through self-report of the subjec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 degree of further lasting. In this study, SPSS/Window 19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 and Cronbach α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tool. T-test for differences in teacher’s sense of efficacy, self-esteem and job stress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before the program was conducted. Changes in characteristics in the pre-, after- and further-tests were compared and verified to examine whether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improving self-esteem and reducing job st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of verification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conducte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in a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ub-areas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s, interpersonal efficacy, life guidance efficacy, subject instruction efficacy and administrative task efficac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esteem. Once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conducted,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was effective for reduction of job stress. Once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conducted,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Fourth, after the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was conducted, the degree of lasting effect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It was shown that the effect las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s sense of efficacy based on Bandura's theory was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elf-esteem and the reduction of job stress.

      • 면세점 쇼핑만족 및 지출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현미정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international tourism, shopping by foreign tourists contributes to the economy greatly by earning foreign currency through an increase shopping expenses. Shopping is already considered a major part of tourism worldwide. For foreign visitors to Korea, shopping is a major activity, and the main locations are duty free shops. In this study, I analyzed which duty free shop sale activities contribute to the satisfaction of foreign tourist buyers, and what motivates the tourist buyer to shop in a duty free shop. To study the subject, I established 6 hypothesis and analyzed by the following analytical tools: factorial analysis,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how test. I found that there are 3 types of shopping motivations among foreign tourist buyers to shop in a duty free shop; a maintaining of one's social status; buying of presents; and buying of travel souvenirs. I also found that a foreign tourist buyer considers that a duty free shop has 4 types of attributes: credibility, convenience, efficiency, and sales ability of salesperson. In the results, I found that a foreign tourist's awareness of a duty free shop's attributes have all positive effects, except for the credibility of spending aspect in a duty free shop which is not positive, but convenience, efficiency, and sales ability of salesperson are also all positive effects. Although there are positiv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of a duty free shop by shopping motivation and visiting purpose, they do not increase the spending in a duty free shop. Therefore, for travel purpose visitors the convenience of a duty free shop, for shopping purpose visitors various discounts or bonus events, for business or relative visit purpose visitors a salesperson's kindness and knowledge of goods, have the most influence in duty free shopping activity. Accordingly, satisfaction of duty free shopping is more closely related to kindness of a salesperson and credibility of a duty free shop rather than an advantage of price. Therefore, to increase the spending of a duty free shop shopper, various discount events, bonus giveaways, and offering of good quality good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Lastly, the most important sales factors to emphasize in a duty free shop categorized by visitor's visiting purposes are; for a travel purpose visitor convenience of duty free shop, for a shopping purpose visitor price advantage of duty free shop, for a business or relative visit visitor kindness of salesperson. The most important sales factors to emphasiz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hopper in a duty free shop in terms of shopping motivation's are; for a person buying presents the ability of salesperson, for a maintaining social status buyer the credibility of a duty free shop. 국제관광에서 쇼핑활동은 관광객들의 쇼핑지출 증가에 따라 외화획득을 통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제관광을 통한 상호 이해의 증진은 국가 간의 산업 교류 증대 및 제조업과의 보완관계 등으로 말미암아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국제관광에서 쇼핑활동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관광에 있어서 가장 대중적인 관광활동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있어서도 쇼핑활동은 중요한 관광활동 중의 하나이며, 쇼핑장소로는 면세점을 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면세점의 어떠한 속성들에 의해 면세점에서의 쇼핑만족과 지출을 결정하는지 그리고 어떤 쇼핑동기로 면세점에서 쇼핑하는지를 주요 연구문제로 제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섯 개의 가설을 수립하고,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Chow 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외국인 관광객들의 면세점 쇼핑동기에 대한 분석에서는 지위유지형, 선물구매형, 여행기념형 등 3가지로 나타났다. 그리고 면세점이 신뢰성, 편의성, 효율성, 판매원 능력 등 4개의 주요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에 따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세점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의 쇼핑만족은 판매원의 능력, 신뢰성, 효용성, 편의성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해외에서 쇼핑할 때 언어에 대한 부담이 크고 또 쇼핑에 대한 불안감 등을 해소하는데 상대적으로 면세점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국인 관광객들은 면세점의 효용성과 판매원 능력이 더 많은 쇼핑지출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면세점의 할인정책이나 증정행사 그리고 직원들의 친절함이 다른 어떤 요인들 보다 더 많은 구매를 자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목적의 경우에는 편의성, 판매원 능력, 신뢰성, 효용성 등의 순으로 쇼핑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목적의 경우에는 효용성, 신뢰성, 판매원 능력의 순으로, 사업 및 친지방문의 경우에는 판매원 능력, 신뢰성, 효용성, 편의성 등의 순으로 각각의 속성들이 쇼핑객의 목적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면세점의 효용성과 판매원 능력, 편의성 등이 향상될수록 지출을 많이 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으며, 방문목적은 쇼핑지출액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선물구매형인 경우에는 판매원의 친절성, 의사소통 능력, 상품지식 등의 판매원 부문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위유지형인 경우에는 면세점으로서 가지는 여러 가지 신뢰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편의성이나 가격메리트와 같은 효용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쇼핑객들의 면세점 속성에 대한 지각이 쇼핑지출액에 미치는 영향은 쇼핑동기와는 아무런 관계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외국인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면세점 속성은 쇼핑만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면세점 지출에는 신뢰성을 제외하고 편의성, 효용성, 판매원 능력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쇼핑동기와 방문목적은 면세점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더 많은 면세점 지출을 유도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광목적인 경우 면세점 이용의 편의성이, 쇼핑목적인 경우에는 각종 할인 및 증정제도가, 사업 및 친지방문의 경우에는 판매원의 친절성과 상품에 대한 풍부한 지식 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었다. 그리고 면세점에서의 쇼핑만족은 가격의 메리트 보다는 직원의 친절성과 면세점의 신뢰성이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각종 할인행사나 판촉행사가 더 유효하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면세점 업계에서 쇼핑객들의 지출을 늘리기 위해서 다양한 할인행사나 경품 또는 증정품의 제공, 가격대비 좋은 품질의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광목적의 관광객에게는 면세점의 편의성을 강조해주고, 쇼핑목적의 관광객에게는 가격 메리트를, 사업이나 친지방문 목적의 관광객에게는 판매원들의 친절함을 강조해 줄 필요가 있다.

      • 주부의 가정관리에 대한 가치의식과 가정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 광주시 주부를 중심으로

        현미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에서는 主婦를 중심으로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과 家庭管理行動水準를 알아보고, 家庭管理行動에 영향을 미치는 諸 變數들의 독립적인 영향을 규명하여 主婦들의 家庭管理를 向上시킴으로써 家庭과 社會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硏究目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硏究問題를 설정하였다. (1)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은 社會人口學的 特性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일것인가? (2) 家庭管理行動은 社會人口學的 特性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일것인가? (3) 家庭管理行動에 영향을 미치는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과 社會人口學的 特性 諸變數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상의 硏究問題를 검증하기 위하여 豫備調査 結果와 先行硏究를 참고로 하여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 尺度, 家庭管理行動 尺度를 작성하고, 광주시에 거주하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이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498부의 자료가 사용되었고,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포, 평균, 백분율,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F-test, scheffe´-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을 적용하였다. 本 硏究에서 얻어진 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本 硏究에서 사용된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 測定道具에 의해서 測定된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과 價値意識은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하위 영역별로 점수를 살펴보면 消費者, 家事勞動, 家庭關係, 計劃的, 統率者 價値意識의 순이었다. (2) 本 硏究에서 사용된 家庭管理行動 測定道具에 의해서 測定된 家庭管理行動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하위영역별로 점수를 살펴보면, 統率者, 消費者, 人間關係, 計劃的, 家事作業 管理行動의 순이었다. (3) 主婦의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은 主婦의 年齡(P<.001), 學力(P<.001), 子女數(P<.001), 結婚持續年數(P<.001), 月平均家計所得(P<.01), 就業有無(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年齡이 적을수록, 學力이 높을수록, 子女數가 적을수록, 結婚持續年數가 짧을수록, 月平均家計所得이 높을수록, 就業을 하고 있는 경우일수록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 점수가 높았다. (4) 主婦의 家庭管理行動은 主婦의 年齡(P<.001), 學力(P<.001), 子女數(P<.001), 結婚持續年數(P<.001), 月平均家計所得(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年齡이 적을수록, 學力이 높을수록, 子女數가 적을수록, 結婚持續年數가 짧을수록, 月平均家計所得이 높은 경우일수록, 우수한 家庭管理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과 社會人口學的 特性중에서 家庭管理行動에 영향을 미치는 變數들의 독립적인 영향력의 크기 순서로 살펴보면, 年齡, 學力, 消費者 價値意識, 家事勞動 價値意識, 計劃的 價値意識의 순이며 이 5개의 변수는 家庭管理行動分散의 29%를 설명해 준다. (6) 年齡, 學力,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은 家庭管理行動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이 家慶管理行動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硏究結果를 볼때 主婦의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과 家庭管理行動간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따라 家庭管理에 대한 價値意識과 家庭管理行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敎育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家庭管理에 대한 硏究는 個人的, 社會的 環境이 복합적으로 고려된 심층적인 硏究가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and the level of home management activities of housewives and to help housewives improve their home management activities by examining various factors which may have the effects on them. Questions set up for the above purposes are as follows; (1) Is the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2) Are home management activities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3) How are the seperative influences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of the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on home management activities? To verify the above questions, set up a scale of the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and that of home management activities with reference to the result of preliminary tests and precedented studies and have made a survey on housewives living in Kwangju. In the last analysis, 498 sheets of query paper were used. As for the analysis methods, distribution of frequency, average, percentage, one-way ANOVA, F-test, Scheffe´-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adapted. The results of these subjects are as follow; (1) The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measured by a scale used in this study shows of high mark as a whole. The consciousness of consumer, of housekeeping, of relationship with family, of planning and of the leader stand consecutively in order of mark. (2) The scores on home management activities shows relatively high mark. The scores of the leader, of a consumer, of human relationship, of planning, of the management activities of planning, of the management activities of housekeeping stand consecutively in order of mark. (3) The consctousness of Value of housewives on home managemen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p<.001), educational level(p<.001), number of children(p<.001), age of marriage(p<.001), monthly average income(p<.01) and employedness(p<.01) The low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fewer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shorter the age of marriage and the larger the monthly average income, the higher the scores of the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And in the case of employed. (4) Home management activities of housewiv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p<.001) educational level(p<.001), age of marriage(p<.001) and monthly average income(p<.001) The result shows that housewives with lower age, higher education, fewer number of children, shorter age of marriage and larger monthly average income do better home management. (5) Age, educational level, the consciousness of a consumer, the consciousness of housekeeping and the consciousness of planning have much influences on home management activities. These 5 factors cover 29% of dispersion of home management activities. (6) Age, educational level,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give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hom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nsciousness of value on home management give effects greatly on home management activities. Thes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consciousness of value of housewives on home managemen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home management activities. So to improve the home management activities desirebly, personal and social educations to housewives on the value clarification are needed.

      •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실효성 연구

        현미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neighbor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he geopolitical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re closely connected. Despite huge differences in political systems, economic development methods and ideolog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bilateral relations have developed rapidly since 1992, depending on national interests and the demand for joint development. China upgraded the relations to South Korea to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in 2008, laying the groundwork and conditions for deeper and a diverse cooperation. China and South Korea agreed on the goals of cooperation through a joint statement, and in fact, Sino-ROK relations had made rapid progress since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promoting regional prosperity, stability and peace. However,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was not as smooth as expected. Therefore, this research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China’s point of view and analyzes the reasons why conflicts still occur despite the fact that the two countries had already pursued and signed the Sino-ROK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Existing studies on partnership have focused on macro-analysis of China’s partnership policy, and detailed analysis on Sino-ROK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was limited to analyzing its meaning and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uth Korea. The difference of this paper is the concrete analysis of Sino-ROK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ased on the comparison of alliance and partnership and the conceptual analysis of China’s partnership diplomacy. Moreo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ino-ROK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China’s strategic interests and the limitations that exist in pract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agreed to cooperate in areas such as politics, security and economy by issuing a joint statement when establishing a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but there is no effective binding mechanism in the event of conflict and unexpected events. So there is a problem that cooperation in important political and security fields are difficult to guarantee by this kind of bilateral relationship.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interests and perceptions affected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e gap in economic interests and disagreement on the North Korean issue are also the causes of conflict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ird, the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seriously affected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s a long-term issue of regional peace and stability. In addition, a conflict between two Koreas on the unification issue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Sino-ROK relationship when the conflict could not be easily resolved. Fourth, South Korea and the U.S. are allies, and South Korea also established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s with China. Thus, in the state of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factors of the U.S.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ino-ROK rel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balance with the ROK-US alliance by upgrading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at China has pursued. Due to the above reasons,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s showing its limitations even as it achieve results. Therefore, China should put more emphasis on South Korea’s strategic status in the economic and security fields in Northeast Asia as well as in the international arena. 중국과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양국은 정치제도, 경제발전 방식, 이념 등 차이가 존재하지만, 국가이익과 공동발전의 수요에 따라 1992년 수교 이래 양국관계는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무엇보다 중국은 한국과 수교 당시의 선린협력관계를 2008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战略合作伙伴关系)로 격상시켜 더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협력을 위한 토대와 여건을 마련했다. 양국은 공동 성명을 통해 협력의 목표와 영역에 합의했고,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맺은 이후 한·중 관계는 진전을 이루었으며 동북아 지역의 번영과 안정, 그리고 평화를 촉진했다. 그러나 양국관계의 발전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양국은 2008년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맺은 이후 양국의 핵심적 이익과 관련하여 갈등도 보여줬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했을 때 동반자 관계외교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중국의 관점에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실효성에 대해 성과와 한계를 중심으로 평가하고 한계로서 나타나는 갈등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의 관점에서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실효성에 대해 평가하고 한·중 양국이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추구하고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갈등과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분석한다. 동반자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중국의 동반자 관계외교 정책에 대한 거시적 분석에 집중되어 있으며,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한국의 관점에서 그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는 데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본 논문의 차이점은 동맹 관계와 동반자 관계의 비교와 중국의 동반자외교에 대한 개념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중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실효성 연구와 관련하여, 주로 중국의 관점에서 전략적 목적, 그리고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한계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실효성을 분석한다. 2008년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수립 이후의 성과와 갈등을 비교하며,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구축의 가장 큰 의미는 양국이 경제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조했을 뿐만 아니라, 군사안보 분야로 협력을 확장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양국은 정치적 상호 신뢰, 경제협력 그리고 안보협력에서 현실적 문제가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포격 사건, 마늘 무역분쟁 그리고 사드 배치를 들 수 있으며, 여기에서 중국이 한국과의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내·외부적 제한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분석의 결과는 우선, 한·중 간 갈등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중국 동반자 관계의 제도적 한계를 보여줬다. 왜냐하면 동반자 관계의 수립과 동시에 공동 성명을 발표하면서 정치·안보·경제·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협력에 합의했지만, 갈등이나 돌발사건이 발생할 때 갈등 해소하는 구속력 있는 기제가 부재하다. 둘째, 중대한 국익에 대한 인식 차이는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한·중 양국이 전략적 교류에서 협력과 동시에 의견 차이가 나타났고, 이러한 구조에 이중성이 내재해 있음을 보여줬다. 셋째, 동북아 지역의 평화정착에 있어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한잔도 문제는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한반도 통일문제에 대한 남북한 간 갈등이 해소되지 못한 상황에서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한·중 관계는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넷째, 미국과 중국은 동북아 지역에서 경쟁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한국은 미국과 동맹 관계를, 중국과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맺었다. 따라서 중국이 동북아 지역에서의 국익추구에 있어 미국의 영향은 불가피하여, 동반자 관계와 동맹 관계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했다. 따라서 이상의 원인으로 인해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는 성과와 동시에 한계를 보였다. 따라서 중국은 동북아 지역은 물론 나아가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의 전략적 가치와 위상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

      • 새로운 비대칭촉매 및 시약의 설계에 의한 광학활성화합물의 합성

        현미정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hapter 1, in order to identified the effect of the stereocontrol at new synthetic methodologies acheieving stereocontrol via catalytic process, diastereoselective conjunction of actived dihydropyran derivatives which have a chirality with aldehydes promoted by Lewis acid catalyst have been studied. New methods for the diastereoselective conjunction of actived dihydropyran derivatives which have a chirality with aldehydes promoted by Lewis acid catalyst are discribed. In the presence of Lewis acid catalyst, reaction of 6-ethylthio-2,2-diethoxy-3-methyl-2H-dihydropyran & 6-ethyl- thio-2,2-diethoxy-4-methyl-2H-dihydropyran with various aldehydes affords highly functionalized aldol products with three stereogenic centers in 50-90% yields. The major component of products was proved to be threo in the range of 4-20 : 1 and the stereochemistry of the methyl group only has a one portions as results of investigations of ^(1)H NMR spectra, COSY spectra and X-ray single crystallography experiment. The efficiency of this transformation and unique mechanistic behavior applied the extension of this protocol to internal chirality transfer strategy using substituted dihydropyran. The availability of efficient synthetic methods for achieving diastereo-selectivity in the production of both diastereomers is of considerable interest. We disclosed that the threo selective synthesis of aldolate from the reaction of dihydropyran with aldehydes promoted by Lewis acid catalyst. In the presence of Lewis acid catalyst, reaction of 6-ethylthio-2,2-diethoxy-methyl-2H-dihydropyran with various aldehydes obtained the erythro products in high levels of diastereoselectivity (4-20:1) through the controlling reaction condition.

      • 제2언어로서의 조선어 사용자의 어휘 능력과 영향 요인 연구

        현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조선족 학생들의 조선어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이들의 조선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청소년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제2언어의 어휘 습득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고, 대부분의 어휘 능력 측정 연구는 자가 평가의 형식으로 되어 객관적이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은 조선어를 제2언어로 하는 한어-조선어 이중언어 학습자이다. 이들은 같은 교육과정에서 교육을 받고 비슷한 언어 환경에서 조선어를 학습하지만 어휘 능력의 발달정도에는 큰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그 차이를 밝히기 위해 이들의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어휘 능력에 어떤 요인이 작용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문제에 대해 규명하고 이중언어 능력과 발달, 조선어 교육의 실태, 어휘 능력의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조선족과 조선어의 교육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중언어 화자와 이중언어 능력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어휘 능력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어휘 능력 측정의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본고에서 사용할 어휘 능력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어휘 능력 영향 요인의 분석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문헌분석을 통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상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어휘 능력 평가는 REVT어휘 능력 측정지의 문항을 연구대상의 연령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One sample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요인분석(Factor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고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한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에 따라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의 표현어휘 능력과 수용어휘 능력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수용어휘 능력이 표현어휘 능력보다 현저히 발달하였다. 둘째, 어종별 어휘 능력과 품사별 어휘 능력에서는 모두 평균의 차이가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한국어와 조선어의 표기법이 다른 어휘의 정답 양상을 볼 때 표기법의 차이로 인해 일부 표현어휘 문항은 다른 문항보다 낮은 정답률을 보였지만 수용어휘 능력의 경우 한국어와 조선어의 표기법의 차이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넷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어휘 능력을 볼 때 성별에 따른 어휘 능력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학년에 따른 어휘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1학년과 3학년의 어휘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고, 1학년과 2학년, 2학년과 3학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끝으로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의 어휘 능력을 측정하고 요인과 관련된 특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어휘 능력에 의미 있는 영향 요인으로 조선어 사용 빈도 요인, 언어학습에 대한 태도와 인식 요인, 제1언어 능력 요인, 언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요인, 미디어를 통한 언어의 입력 요인과 같은 5개의 요인이 확인되었다. 추출된 5개의 요인들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표현어휘 능력과 수용어휘 능력 모두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5개의 요인이 표현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총 50.3%이고, 수용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66.0%이다. 본 연구는 분석을 통해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족 고등학생의 어휘 능력의 특성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헤이룽장 지역의 조선어 교육의 현황에 부합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Korean lexical knowledge of ethnic Koreans in China and to find out factors that effects on it. Adult second language learners’ L2 vocabulary acquisition was less investigated and most of the lexical knowledge was measured by self-assessment, which leads to the limitation of objectivity. This study focused on Chinese-Korean bilingual highschool students, and they learn Korean as their second language. Though they are in similar educational and linguistical background,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ir lexical ability. Thus, their lexical ability was measured and the factors that effect on it was analysed. In chapter 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esented and previous researches on bilingual development, (ethnic)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nd lexical ability assessment was summarized. In chapter II, ethnic Koreans in China and their education and language was further investigat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bilinguals and bilingual ability was also examined to find out the factors on vocabulary acquisition. Also, after reviewing a few standardized tools, REVT was selected as a lexical assessment tool for this study. In Chapter III and IV, a lexical ability assessment as well as a surve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actor analysis was done to ethnic Koreans in Heilongjiang. The assessment tool was a modified version of REVT, which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articipants’ age and. The survey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assessment and survey was statistically anayzed with t-test, ANOVA, factor anaysis and regression by using SPSS software. The result shows 1) highschool students in Heliongjiang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expressive and receptive lexical ability, but their receptive lexical ability was far better then the expressive lexical ability. 2) There were descriptive difference lexical ability by vocabulary type and category,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Items that differs in orthographic system but not in meaning, compared to other items, showed lower correction rate in expressive ability, but not in receptive ability. 4) Gender did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xical ability, but school year did. 5) Five main factors, use of language, attitude and recognition towards language learning, L1 ability,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he language, input from mass/personal media was found out. These 5 factors showed high correlation in between and with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exical ability. These factors counted total 50.3% of the explanatory power of expressive lexical ability and 66.0% of the explanatory power of receptive lexical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