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성 부각을 통한 여성의 주체적 삶에 대한 연구 -<조부인전>의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허희수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growth of the main character Jang Ok-jeong’s consciousnes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masculinity in the subjective life of the heroine of Chobuin-jeon, which was serialized in the Hansungsinbo.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situation of the time when Chobuin-jeon was serialized, and reviewed the elements of conflict and solutions, focusing on individual cases surrounding the heroine in each work. In order to protect herself, the female protagonist of Chobuin-jeon performs roles and tasks that highlight masculinity, not the typical appearance of women of the time. Through this, it presents a stronger female image and heralds the emergence of a new female image. Ok-jeong, the heroine of Chobuin-jeon, who emphasized masculinity and enhanced her independent life, should be viewed as a new woman, not a typical image of women who have lived in a male-centered patriarchal society. After the late Chosun Dynasty, women began to be required to be more subjective, and in response to this, the female protagonist of Chobuin-jeon appears to be transforming into an independent woman.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can be felt in that this transformation is wearing masculine clothes, not women’ sincere appearance.

      • KCI등재

        제 3형 척수소뇌실조 환자의 한방 치험 1례

        허희수,이명화,김경민,김영균,Hur, Hee-soo,Lee, Myeong-hwa,Kim, Kyoung-min,Kim, Young-kyu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7 No.2

        Objective: This study reports on one clinical case of type 3 spinocerebellar ataxia (SCA)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treatments.Methods: A patient with type 3 spinocerebellar ataxia was treated using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ptions such as acupuncture and Hyangsayukgunja-tang. The effects on type 3 spinocerebellar ataxia were measured using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ambulatory status.Results: Improvements in NRS and ambulatory status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Conclusion: According to this stud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y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ype 3 spinocerebellar ataxia.

      • KCI등재

        심층 신경망을 활용한 손상된 음성파일 복원 자동화

        허희수,소병민,양일호,윤성현,유하진,Heo, Hee-Soo,So, Byung-Min,Yang, IL-Ho,Yoon, Sung-Hyun,Yu, Ha-Jin 한국음향학회 2017 韓國音響學會誌 Vol.36 No.2

        본 논문에서는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손상된 음성파일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음성파일 복원은 기존의 파일 카빙(file carving) 기반의 복원과는 다른 개념으로, 기존 기법으로는 복원할 수 없었던 손실된 정보를 복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새로운 복원 기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작업이지만 사람이 직접 수행할 수 없거나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을 심층 신경망을 활용해 자동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관련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심층 신경망을 활용해 음성, 비음성 분류나 음성파일 부호화 방식의 식별이 가능해 기존 파일 카빙 기반 방법이 복원하지 못하는 파일을 복원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audio files using deep neural network. I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ile carving based restoration. The purpose of our method is to infer lost information which can not be restored by existing techniques such as the file carving. We have devised methods that can automate the task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restoring but are inappropriate for huma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damaged files, which the conventional file carving method could not, by using tasks such as speech or nonspeech decision and speech encoder recognizer using a deep neural network.

      • KCI등재

        문답형 가사에 나타난 놀이 양상 비교

        허희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문답형 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놀이의 양상을 비교해 살펴보고 여성들의 의식 성장을 확인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개별 작품으로 화전놀이가 잘 드러난 「조화전가」와 「반조화전가」, 선유놀이가 잘 나타난 「적벽가」와 「답적벽가」의 내용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연구 내용: 여성들의 화전놀이에 대한 성사와 준비과정, 시련 등이 잘 드러난 「조화전가」와 「반조화전가」는 남성과 여성의 문답형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화전놀이를 대하는 남녀 간의 차이 또한 극명하게 드러난다. 반면 여성과 여성의 문답형으로 이루어진 「적벽가」와 「답적벽가」는 선유놀이에 대한 여성들의 생각과 의지가 분명하게 강조되어 있는 작품들로 그들의 의식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문답형 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놀이는 화전놀이와 선유놀이가 대표적이다. 이들 놀이는 여성들에게 단순한 놀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여성들의 의식성장을 엿볼 수 있고, 후대 여성들의 삶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화전가]류 가사에 나타난 화전놀이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그 대응양상

        허희수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Representation of Negative Perspectives and ReactionsAbout Hwajeonnori in the Types of [Hwajeonga] GasaHeesu He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women’s consciousness growth at the late Cho-Sun period based on analyzing the negative perspectives of men regarding the women’s Hwajeonnori and women’s responses in the types of [Hwajeonga] Gasa. As individual works, I examined Johwajeonga, which precisely reveals the negative perspective of men regarding the women’s Hwajeonnori, and Banjohwajeonga, which explicitly illustrates women's responses to these prejudices. Furthermore, I also investigated Dendongeoumihwajeonga, which clearly demonstrates the power of women’s solidarity and associativity by exhibiting women who are confronted with a situation in which their jubilation abruptly decreases in an instant, but who eventually overcome the ordeal at the location where Hwajeonnori takes place. The exultation and exhilaration that Hwajeonnori brings to women can sometimes be on the verge of completely disappearing, externally due to the intolerance of men towards this play and also internally because of the unexpected conflicts that can potentially materialize among women. However, the women in the late Cho-Sun period managed to overcome the prejudices of men, while also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and maintenance of the exultation and excitement the play creates, thanks to their profound solidarity and resilient associativity. Key Words: Hwajeonga, Hwajeonnori, Negative Perspective, Solidarity and Associativity, Play and Exhilaration [화전가]류 가사에 나타난 화전놀이에 대한 부정적 시선과 그 대응양상허 희 수* 연구목적: 이 연구는 화전가류 가사에 나타난 화전놀이를 바라보는 남성들의 부정적 시선과 여성들의 대응양상을 분석하여 당대 여성들의 의식 성장을 확인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개별 작품으로 『조화전가』와 『반조화전가』, 『덴동어미화전가』에 나타난 화전놀이에 대한 남성들과 여성들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내용: 여성들의 화전놀이에 대한 남성들의 부정적 시선이 잘 드러난 『조화전가』와 이에 대응하는 여성들의 의지가 담긴 『반조화전가』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화전놀이에서 뜻하지 않은 돌발변수로 인해 분위기가 한 순간에 급속히 냉각되는 상황에 직면한 여성들이 결속과 연대를 통해 이를 극복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는 『덴동어미화전가』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화전놀이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외적으로는 남성들의 곱지 않은 시선 때문에, 내적으로는 여성들 간의 돌발적 상황으로 인해 화전놀이의 흥과 신명이 추락하는 위기에 봉착하기도 하지만 여성들은 당당함으로 남성들의 편견을 극복하기도 하고, 여성들 간의 끈끈한 연대감으로 화전놀이의 흥과 신명을 살려낸다. 이는 조선후기 여성들의 의식성장을 보여주는 것으로 후대 여성들의 삶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핵심어: 화전가, 화전놀이, 부정적 시선, 결속과 연대, 놀이와 신명 □ 접수일: 2022년 10월 5일, 수정일: 2022년 10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8일* 인하대학교 강사(Lecturer, Inha Univ., Email: heesu.heo@gmail.com)

      • KCI등재

        『덴동어미화전가』의 구조와 그 의미

        허희수 ( Heo Hee-su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덴동어미화전가』의 구조와 그 의미를 작품 실상에 입각하여 다시 고찰한 것이다. 이 작품은 『복선화음가』와 더불어 가장 많이 거론된 규방가사이지만, 구조적 실상에 입각한 작품론은 의외로 드문 편이다. 『복선화음가』가 그 다양한 이본군의 존재로 인하여 규방가사의 변이폭을 극대화한 작품으로 주목받았다면, 『덴동어미화전가』는 덴동어미라는 여성의 기구한 인생역정을 다룬 서사물로서 주목을 받았다. 그 결과 ‘덴동어미의 일생’은 전통시대 여성현실의 리얼리티와 그 함의는 충분히 조명을 받을 수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화전가>로서의 작품성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덴동어미화전가』도 <화전가>의 한 유형으로 하나의 전형성을 구현한 작품으로 보고, 작품의 구조와 인물구도, 서정-서사의 결합 양상, 그 대위법적(對位法的)인 맞섬의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구조론(作品構造論)을 펴 보았다. 『덴동어미화전가』가 여타 <화전가>와 변별되는 지점은 우선 그 인물 구도의 설정에 있다. 여타의 <화전가>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대개 파노라마적인 훑어보기 식으로 다뤄지는데 비해 『덴동어미화전가』에는 ‘덴동어미’와 ‘청춘과부’라는 두 인물이 뚜렷이 부조되어 있고, 그 작품 내적 기능 또한 뚜렷한 대비를 이루며 대위법적인 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는 화전놀이와 <화전가>의 전형성을 특수한 방식으로 극화하기 위한 구조로 볼 수 있는데, 덴동어미가 인생살이 설움의 깊이를 극대화한 것인 반면, 청춘과부는 화전놀이의 신명과 그 흥취의 높이를 구현해 내고 있다. 판소리를 위시한 한국 서사 문학의 특질이 ‘웃음으로 눈물닦기’라면, <화전가>의 경우는 그 역상(逆像)으로 ‘눈물딛고 신명풀기’의 구도를 전형화하고 있다. 『덴동어미화전가』의 경우는 이러한 전형성을 인물구도와 인물의 역할을 통해 좀 더 극적으로 극대화하고 구체화한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동안 덴동어미에 가려 청춘과부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는데, 청춘과부야말로 화전놀이와 <화전가>의 전형성을 구현하기 위한 독특한 설정으로 새롭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덴동어미가 자신의 기구한 인생을 서사적 진술로 풀어내고 있는데 반해, 청춘과 부는 덴동어미의 서사를 디딤돌 삼아 화전놀이의 흥취와 신명을 노래와 춤을 통해 율동적 서정으로 고양시키고 있다. 이러한 독특한 인물구도와 진술방식은 화전놀이의 ‘축제적 성격’과도 부합되는 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a new point of view about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Tendong-Eumi Whajeonga’. ‘Tendong-Eumi Whajeonga’ and ‘Bok-Seon-Hwa-Eum-Ga’ are literary landmarks of Gubang-Gasa that are frequently studied.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hetero works, ‘Bok-Seon-Hwa-Eum-Ga’ is received attention as a literary work maximizing the variation width of Gubang-Gasa. ‘Tendong-Eumi Whajeonga’ is attracted attention as a descriptive epic depicting the Tendong-Eumi’s journey through unfortunate life. As a results, the Tendong-Eumi’s life has fully received the spotlight about the devast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realities of women in the late Cho-Sun period. Relatively, the literary value of ‘Tendong-Eumi Whajeonga’ as ‘Whajeonga’ has not properly been addressed. The aspect of discrimination between ‘Tendong-Eumi Whajeonga’ and other ‘Whajeonga’ is firstly the setting of the composition of the person. In other ‘Whajeonga’, the characters are usually treated with the panoptic ways, whereas the Tendong-Eumi and young widow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the internal functions of work also are implemented with some contrapuntal effects in ‘Tendong-Eumi Whajeonga’. Tendong-Eumi maximizes the depths of sorrow about the living life, whereas young widow implements the Shinmyeong of Whajeonnori and the height of excitem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pic literature including the Pansori are unified with the ‘from wiping tears’, whereas the characteristic of ‘Whajeonga’ is personif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after tears with laughter’ as its negative phase. In particular, the archetypal character of composition of the ‘after tears with laughter’ in ‘Tendong-Eumi Whajeonga’ is more dramatically over-expressed and materialized through the role of character and character composition. Meanwhile, young widow did not receive attention because of mentioning Tendong-Eumi’s story, but young widow is noteworthy new unique setting for implementing the archetypal character of ‘Whajeonga’ and Whajeonnori. Tendong-Eumi has released the her unfortunate life as a narrative statement, whereas young widow is lyrically and rhythmically exalted through song and dance about the Shinmyeong and excitement of Whajeonnori stepping on the Tendong-Eumi’s epic. The meaning which implemented through unique character composition and the way of a statement is likely to be interpreted in implementing aspects of the festival nature described by Baheuchin.

      • KCI등재

        <이졍양가록>과<복선화음록>의 대비적 고찰

        허희수 ( Heo Hee-su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본고는 조선후기 장편 규방가사인 <이정양가록〉과 <복선화음록〉을 대비적으로 살펴 그 공통점과 차서점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두 작품은 그 분량이 방대한 장편이라는 점이 주목되고, 문학 앙식의 측면에서도 잡다한 혼종성을 보이고 있어서 좀 더 섬세한 고찰을 요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정양가록〉은 `부인성행록` 계열의 확장적인 변주라 할 수 있고, <복선 화음록〉은 전기형(傳記型) `복선화음가` 유형의 서사적인 확대가 극대화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서사의 양태, 진술의 시점, 인물의 설정 및 인물 형상의 측면에서 다양한 편차가 있었다 그러나 그 공통의 주제적 관심은 `시집살이의 곤경과 그 극복`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이러한 점을 뚜렷이 하기 위하여 시집살이 대목을 공통적인 본 사 대목으로 설정하여 초점을 분명히 하였으며, 두 작품이 일반 규방가사와 달리 허구적이고 환상적인 설정을 통하여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을 공통의 특징으로 발견하였다. 자전적 진술의 틀을 유지하고 있는 <이정앙가록〉은 가문소설의 일종으로 볼 수 도 있겠으나 `1인칭 자기술회`를 끝까지 유지하고 있다는 점과 서사의 내용이 친정과 시가라는 양쪽 가문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으면서 개인의 소회와 심경을 일관되게 드러내는데 초점을 둔다는 점을 통해 규방가사의 기본적인 틀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복선화음록〉역시 양적 팽창 측면에서는 장편에 가까운 서사다. 그러나 일반적인 규방가사의 틀을 유지하려 하고 있지만 작품 초반부는 이씨 부인의 자기술회로 시작해서 후반부로 넘어갈수록 자기 진술에서 바탕하여 남편의 성공담으로 초점화시켜 가고 있다. 이는 장면의 극대화 통한 장편규방가사의 서사적 확대 양상을 잘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서로 계열이 다른 두 규방가사가 `시집살이 서사`를 바탕으로 공통적으로 서사적 확대를 보인다는 것에 주목하여 두 작품을 상호 대비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조선후기 장편화된 규방가사는 이외에도 <덴동어미화전가〉가 있는데 이 두 작품과 <덴동어미화전가〉사이의 대비적 고찰을 후속과제로 남겼다 This paper explores a contrastive analysis of <Yi-Jeong-Yang-Ga-Rok〉and <Bok―Seon―Hwa―Eum―Rok〉,which are two full length Gubang-Gasa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 Yi-Jeong-Yang-Ga-Rok > is considered the expansive variation of the series of <Buin_SungHang ―Rock〉, whereas <Bok―Seon―Hwa―Eum―Rok〉is considered the maxi mized style of expansion of epic in < Jeongi Type Bok―Seon―Hwa―Ehm -Ga >. In terms of modalities of the narrative, point of view of the stat ement, the setting of characters, and features of the characters, both works have different deviations. However, the common interest of both works is the e question of `get over and the plight of the patrilocality, In order to clarify this theme, I am focused on the story of patrilocality by studying the setting of the common main-story. In contrast to other general Gubang-Gasa, both work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ictional and fantastic setup that deals with this issue. Even though < Yi-Jeong-Yang-Ga-Rok > is considered as part of a family novel as it has the framework of an autobiographical statement, this is also considered as a part of Gubang-Gasa by keeping the two frameworks, in which the first is continuously describing the `epic of self`,as the first-pers on narrator, and the second is focusing on the story about the personal emotions and comments based on both pro-government families. In terms of the maximization of scene, < Bok-Seon-Hwa-Eum-Rok > is also full length Gubang-Gasa. However, this work figures the expansion of the epic towards the `epic of husband` based on the `epic of self.` It is cl ear that the expansion of epic of the full length Gubang-Gasa is through the maximization of scen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rious ways of the expansion of epic in both works, which reveal aspects of adescrip tive expansion based on the epic of patrilocality in the different series of Gubang-Gasa. The other full length Gubang-Gasa, <Tendong-Eumi W hajeonga〉, also existed in the late Cho-Sun period.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works and < Tendong-Eumi Whajeonga >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a further study.

      • KCI등재

        음성 주파수 분포 분석을 통한 편집 의심 지점 검출 방법

        허희수(Heo, Hee-Soo),소병민(So, Byung-Min),양일호(Yang, IL-Ho),유하진(Yu, Ha-Jin)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4

        We propose a speech waveform forgery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flatness of frequency distribution. We devise a new measure of flatness which emphasizes the local change of the frequency distribution. Our measure calculates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nergies of neighboring frequency bands. We compare the proposed measure with conventional flatness measures using a set of a large amount of test sounds. We also compare- the proposed method with conventional detection algorithms based on spectral dista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gives lower equal error rate for the test se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