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영시스템 인증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 ISO 37101:2016을 중심으로

        기호룡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711

        2015년, UN은 2030년까지 전 세계 모든 국가가 달성해야 할 공동의 목표로서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를 채택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국제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한국형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수립하고, 관련법에 근거하여 5년 단위로 ‘지속가능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도시 수준에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은 아직 일부 도시에서만 자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도시를 지속가능발전의 가장 중요한 행위자로 보고 도시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여 국제표준으로 발행하였다. ISO 37101은 그 중 대표적인 표준으로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스템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국내에서는 이 표준을 2019년 12월 국가표준(KS)으로 제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표준의 확산을 위한 인증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현황과 ISO 37101 표준 제정의 취지를 고려하여 국내 도시를 대상으로 ISO 37101 인증제도의 효과적인 도입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래 절차대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로 문헌조사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과 도시경영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및 인증제도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ISO 37101 표준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한 후,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둘째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고, 질적연구방법 중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적용하여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터뷰에는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및 인증제도 전문가 4명과 지속가능한 발전 관련 전문가 3명이 참여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근거이론 분석을 통해 구조화된 모형으로 도출되었고, 모형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도시의 지속가능발전 관리에 대한 국내·외 요구가 증가’하고(인과적 조건), ‘도시 관리의 패러다임도 도시행정에서 도시경영으로 변화’함에 따라(맥락적 조건) 도시의 지속가능발전 경영체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으로 ‘ISO 37101 인증제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중심현상). 그러나 인증제도 도입 시 고려사항으로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관리 인프라 부실’, ‘ISO 인증제도의 부작용’, ‘지방정부 인증제도 도입 시 현실적 한계’, ‘법정 인증제도로 도입 시 고려사항’이 나타났다(중재적 조건). 이에 대한 대안으로 ‘ISO 37101 기반의 법정 인증제도 개발 및 운영체계 정립’,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가 제시되었고(전략), 전략 실행의 기대효과로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관리체계 고도화’, ‘도시경쟁력 강화’가 나타났다(결과). 마지막으로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제인 ISO 37101 인증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해 ISO 37101 기반의 법정 인증제도 신설, ISO 37101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및 인증제도라는 별개의 영역에서 연구되어온 주제를 하나로 연계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경영 인증제도를 도입할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 2015, the UN adopte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SDGs) as a common goal for all countries to achieve by 2030. In keeping with thes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Korea has also established ‘Korean-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and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Plans’ every five years based on related laws. Howeve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DGs and plans at the city level is being done in an autonomous way only in some citie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developed a methodology to support the achievement of the SDGs at the city level and published it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considering cities as the most important ac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O 37101, as a flagship standard among them, presents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In Korea, this standard was adopted as a Korean standard(KS) in December 2019,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adopt a certification system to spread the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way to adopt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for domestic c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situation and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ISO 37101 standard.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below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irst, I summarized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e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for management systems. And after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ISO 37101 standar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view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ond,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relevant expert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ur experts o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for management systems and three exper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interview results were derived as a structured model through grounded theory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As domestic and foreign demands increasing for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management and the paradigm of urban management changes from urban administration to urban management, It has been raised that the need to adopt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However, as considerations when adopting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the local government's poor sustainable development management infrastructure, the side effects of the ISO certification system, practical limitations when adopting certification system for local government, and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the statutory certification system were found. As an alternative to this, developing the ISO 37101-based statutory certification system and setting up the operating system,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suggested. In conclu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effective introduction of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was 'developing ISO 37101-based statutory certification system and setting up the operating system'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hich were presented as strategies i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the structured model of method to adopt the certification system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adopting the urban management certification system targeting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research in the urban field, which is lacking in Korea.

      • Examining the Interplay between Road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itiatives and City Master Planning for Holistic Urban Development : A Case Study of Kigali City

        Nielsen HAKIZAMUNGU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thesis delves into the crucial interplay between road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itiatives and city master planning, foundational to the pursuit of holistic urban development. Focused on Kigali, Rwanda, a city lauded for its concerted efforts towards balanced and sustainable urban growth, the study employs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survey-based approach. By engaging key stakeholders intimately involved in Kigali's urban transformation, including city planners, roads infrastructure engineers, and private professionals, we aim to capture nuanced insights shaping the city's evolving urban landscape. The survey aims to achieve three primary objectives: first, to gather firsthand perspectives on the perceived impacts of road infrastructure projects and city master planning on various urban facets; second, to identif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encountered in their execution and integration in Kigali; and third, to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play between these two vital components of urban development. Respondents selected strategically, represent various experienced professionals, including Kigali City officials and private practitioners. By incorporating the voices of those directly involved in Kigali's urban development, this survey-based analysis provides a grounded and nuanced perspective on the effectiveness of road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itiatives alongside city master planning. It bridges the gap between theoretical urban planning models and lived experiences on the ground. Ultimately,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a more holistic and people-centric approach to urban development, serving as a blueprint not only for Kigali but for cities worldwide facing similar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t aims to offer valuable insights for policymakers, urban planners, and stakeholders committed to shaping cities that are not only functional and efficient, but also sustainable, inclusive, and reflective of the aspirations of their residents. 본 논문은 전체적인 도시 개발을 추구하는 데 기초가 되는 도로 인프라 개발 계획과 도시 기본 계획 간의 주요한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균형 있고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을 위한 공동의 노력으로 찬사를 받고 있는 르완다 키갈리에 초점을 맞춘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설문 조사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시 계획가, 도로 인프라 엔지니어, 민간 전문가 등 키갈리의 도시 변화에 밀접하게 관련된 주요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킴으로써 진화하는 도시 경관을 형성하는 세심한 통찰력을 얻고자 하였다. 이 조사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첫째, 도로 인프라 프로젝트와 도시 종합 계획이 도시의 다양한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접적인 의견을 수집하였다. 둘째, 키갈리의 실행과 통합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도전과 기회를 파악하였다. 셋째, 도시 개발 시 이 두 가지 중요한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전략적으로 선정된 응답자들은 키갈리 시 공무원 및 민간 실무자를 포함하여 경험이 풍부한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되었다. 키갈리의 도시 개발에 직접 관련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통합함으로써 이 설문조사를 기반한 분석은 도시 종합계획과 함께 도로 인프라 개발 계획의 효율성에 대한 근거 있고 세심한 관점을 제공한다. 이는 이론적 도시 계획 모델과 실제 현장경험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키갈리뿐만 아니라 유사한 도전과 기회를 대하는 전 세계 도시를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여 도시 개발에 대한 보다 전체론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접근 방식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능적이고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이며 주민의 열망을 반영하는 도시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정책 입안자, 도시 계획자,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녹지 면적과 기온의 비교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계획의 고찰 :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이초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Evaluation of land use master plan and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of Tbilisi : future improvements and recommendations

        Giorgi Shavliashvili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Both documents play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a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While Land Use Master Plan guides the physical development of a city,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promotes sustainable transportation modes, reduces car dependency, and improves accessibility. For the best mobility pattern, it’s important to develop both documents considering one another. The research uses a mixed method approach. Data for this study i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field work, project documents, spatial databases, and remote sensing. An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is calculated using weighted average method. This research evaluates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of Tbilisi, exposes their connection, and identifies four out of many problematic areas for the further discussion. These area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different factors, including existing and future residential development, street network, existing and planned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and mismatch between Land Use Master Plan and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on these locations. Additionally, research explores major problems of the documents, such as topological errors and principal issues, including defining land use zones without calculating current and future transport demand, and calculates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to evaluate how public transport coverage will improve after implementing public transport modes proposed by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Research concludes with a set of recommendations (e.g., Updating Land Use Master Plan after conducting household survey and traffic count, and avoiding high intensity zones in the peripheral districts) to improve the integration of 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 and Land Use Master Plan, and promot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이 연구의 목표는 조지아 트빌리시의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Sustainable Urban Mobility Plan)’과 ‘토지이용마스터 계획(Land Use Master Plan)’ 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두 문서는 모두 지속 가능한 도시 환경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지이용마스터계획은 도시의 물리적 개발에 대한 지침을 담고 있고,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은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을 장려하고, 자동차 의존도를 낮추며, 접근성을 개선한다. 최적의 이동성 형태를 위해서는 두 문서를 함께 참조해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혼합적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는 인터뷰, 현장 작업, 프로젝트 문서, 공간 데이터베이스, 원격 탐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대중교통 접근성은 가중평균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이 연구는 트빌리시의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과 토지이용마스터플랜을 평가하고, 둘 간의 관계를 드러내고, 추가로 논의해야 할 여러 문제 영역 중 네 가지를 식별한다. 네 영역을 선정하는 데 사용한 요인들은 트빌리시의 현재 및 향후 주거개발, 가로망, 현재 및 계획된 대중교통 접근성, 토지이용마스터계획과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의 불일치 등이다. 또한, 이 연구는 현재 및 미래 교통 수요를 계산하지 않은 토지 사용 구역의 정의 등 이 문서들의 위상적 오류 및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에서 제안한 대중교통 양식을 구현할 경우 대중교통 커버리지가 어떻게 개선되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 접근성을 계산한다. 결론에서는 일련의 권고사항(가구 조사 및 교통량 집계 후 토지이용마스터계획 업데이트하기, 주변 지역의 고밀도 구역을 피하기 등)을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도시이동성계획과 토지이용마스터계획의 통합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촉진하도록 한다.

      • 항만과 도시의 연계성을 고려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방안연구

        이태동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The current many metropolises has the exchange trace of the man of the mankind and goods. And one area is this important role the port. The man and goods flocking due to the function of the port got to build the city. And the port function generated the added-value, that is another additional, and the important intermediary which gets to grow as the metropolis came to the port. The traditional aspects of port continued to 20 century before. But the port attribute showed the aspect of transition as the development of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of the navigation light and transport technique, and etc. after 20 century as 'the cargo-only' and 'the massification / enlarging' and 'the fossil fuel recycling'. And 'the port arou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 local resident indifference', and 'the port around falling behind',that is the harbors environment problem of the port region, got to happen by the factor which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is negative. The discussion on the world greenhouse gas regulation got to proceed with the climate change anger according to the fossil fuel consumption of the mankind in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necessity of this port. And subject of this regulation and correspondence came to the port. The aspect of the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n the city and port dimension and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re revealing the tendency that it is similar. The eco-friendly city in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improvement dimension, environment-friendly port concept including the air quality about the city and port, quality of water, and etc. were drawn in the first stage. And while the demand for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happened after 1,990~2,000`s on a full scale, the green port which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notion of development unites to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 solving was draw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green port is progressing world. And the business related to this with is proceeded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level of association including IMO, IAPH, PIANC, and etc. and the green 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area and port according to the area, nation, and port is hosting the construction project variously. In this study,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which it is among the world progress was investigated prior to against LA / LB port, Rotterdam port, and port of the Singapore etc. identity total 9 places. The major harbors were propelling the various business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n order to conclude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and traditional port problem. And it was focusing much efforts and had ties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ncluding the this effec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air quality, water pollution, in which and etc. and is pushing forward strongly and especially, moreover, was the alternative business of the fossil fuel through the introduction including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etc.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In this way, the greenhouse gas, environmental load, energy / recycling of resource, and scene / green the green port for each port sorted the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e spatial domain with each sectional according to the single business (Z1~Z3) and associated business (R1~R3) and detailed technique. And the technology was classified as H / W and soft ware according to the physical element reflection or not of the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current green port was trying to check whether it was distributed over any place according to the spatial domain. Or not. Through this, Z 3 (the city single) area and R 3 (the port-city link) area where there is the association nature was pushing ahead with the business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isoenergetic / recycling of resource much. And with promote the business including the hydrophile,that is the requirement of the community, security of the green area, and etc. on the laser trabeculoplasty it was analyzed in addition. In this way, it converted again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ustainable port guideline for the port administrator' making the item in PIANC and the public trust was trying to be secured. The survey which the analyzed green port hangs out the construction project on 1,2 rounds was carried out.By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e shipping-port divided into the expert and city-building expert you and the first investigation investigated and analyze the importance which the green port for each detail business is right for the construction. As to the second investigation, the local resident and city-port was trying to appreciate the preference of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of the expert. In the case of the investigation result expert military, and the importance which is high in the energy field which is very relevant to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that is the circle purpose of the green port, revealed the preference. And moreover,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security of the green area in the viewpoint with the c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est which is high in the solution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tha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was displayed. And subsequently,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green area security. Moreover, because of recognize the adaptation problem as the grade of rank like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s, it was analyzed as one in which the change of the awareness is needed for the response efficient of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related regulation which is being strengthened. Accordingly, the new green port concept and detail business which did and has 'joint management system',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the existing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mplication)', and detail section of 'the stability / marketability' was presented. Moreover, after fitting to the concept of the new green port and securing the linkage method of the port and city through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port and city and interchange, the business management according to PDCA cycle according to the laser trabeculoplasty was presented. Keyword : Green port, Eco port, port, port, city, relation 현재의 많은 대도시는 인류의 사람과 재화의 교류흔적이며, 이러한 주요한 역할을 한 영역이 항만이다. 항만의 기능으로 인하여 모여드는 사람과 재화는 도시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항만기능은 또 다른 파생적인 부가가치를 발생시켜 항만은 대도시로서 성장하게 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전통적인 항만의 모습은 20세기 이전까지 지속되었으나, 20세기 이후 항공 등의 교통기술 및 운송기술의 발전 등으로 항만속성은 ‘화물전용화’, ‘대량화/대형화’, 및 ‘화석연료화’의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환경 부정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항만지역의 항만환경문제인 ‘항만주변 환경오염’, ‘지역주민 무관심화’, ‘항만주변 낙후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항만의 환경개선 필요성에 인류의 화석연료소비에 따른 기후변화심화는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규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하게 되었으며, 항만 또한 이러한 규제 및 대응의 대상이 되었다. 도시 및 항만차원에서의 환경문제해결 및 기후변화대응의 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도시 및 항만에 대한 대기질, 수질 등의 환경오염방지 및 개선차원의 친환경 도시, 친환경 항만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1990~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면서 기존의 항만환경 문제해결에 기후변화대응 및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결합한 녹색항만(Green port)이 도출되었다. 녹색항만 구축사업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IMO, IAPH, PIANC 등의 국제기구 및 협회차원에서도 이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국가, 항만별로도 각 지역 및 항만의 특성을 고려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는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을 LA/LB, 로테르담 항, 싱가포르 항 등 총 9곳의 항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통하여 주요 항만들은 온실가스 배출과 전통적인 항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의 도입을 통한 화석연료의 대체사업을 많이 주력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효과가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대기질, 수질 오염 등의 환경오염문제와도 연계가 되어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조사된 항만별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공간적 영역을 기준하여 각 영역별로는 단독사업(Z1~Z3)와 연계사업(R1~R3), 세부기술별로는 온실가스, 환경부하, 에너지/자원순환, 경관/녹지 구분하였으며, 기술의 물리적 요소 반영여부에 따라 H/W, S/W로 기술을 분류하였으며, 현재의 녹색항만 구축사업이 공간적 영역별로 어떠한 곳에 분포가 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시와 연계성이 있는 Z3(배후도시단독)영역과 R3(항만-배후도시연계)영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 에너지/자원 순환과 관련된 사업을 많이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역사회의 요구사항인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 등의 사업을 장기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사항을 PIANC(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에서 만든 ‘항만운영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항만 가이드라인’의 분류체계로 다시 변환하여 공신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1,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계층화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세부사업별 녹색항만 구축에 맞는 중요도를 해운-항만 전문가 및 도시-건축 전문가 군으로 나누어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2차 조사는 지역주민 및 도시-항만 전문가를 대상으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의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전문가 군의 경우 녹색항만의 원 취지인 온실가스 배출과 연관성이 높은 에너지 분야에 높은 중요도 및 선호도를 보였으며, 또한 도시와의 관점에서는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반면 지역주민들의 경우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환경오염문제의 해결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어서 친수, 녹지공간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또한 조사결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 문제를 기존 항만환경문제들과 같은 위계로 인식하고 있었기에 강화되고 있는 기후변화대응관련 규제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을 기반으로 하고 ‘통합관리체계’, ‘환경개선(기존 환경문제 해결 포함)’, ‘안정성/시장성’의 세부부문을 가지는 새로운 녹색항만개념과 세부사업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녹색항만의 개념에 맞추어서 항만과 도시의 네트워크 구성 및 교류를 통하여 항만과 도시의 연계방안을 확보후 장기계획에 따른 PDCA사이클에 따른 사업운영을 제시하였다.

      • The relationships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informal settlement for the case of Yeka subcity in Addis Ababa, Ethiopia

        SHIFERAW, Esayase Teshome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It is known and raising high that urbanization is an unavoidable phenomenon. Urbanization has appears as a result of the natural increase (birth of the population) and an extraordinary amount of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The fast speed of urbanization and unplanned expansion of Settlement have caused in numerous damaging consequences, mainly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is one of them is Ethiopia. Most c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expanding horizontally and the population is moving to unplanned settlements on the River Side, Mountain bed and peripheries at the expense of house holed life, environment , agriculture lands and areas of natural beauty. Some of the Settlement are totally in central (Urban core) areas and others found in the periphery of Addis Ababa city.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study is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cause and trained of informal settlement and advice the possible solution or recommendation. With the Method a community based cross-section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in Addis Ababa city, yeka sub city with the specific area from September 01 to February 31, 2020 on informal settlements.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was the best choice for the population embraces a number of a distinct informal settlement categories for the researcher Stratified sampling method is better because settlers or anyone who is responsible are distributed in a specific area to gather the data that I want. So, I will took 118 respondents for the data collection from the candidate sites of the informal settlement. In the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category informal settlements in the study area are mainly located in the, along the rivers, hilly areas, and city peripheries of the city, where they are various, and irregular in shape. In most cases they are characterized by large plot sizes and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unplanned and rapid horizontal expansion of the built-up area of the city with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services. And I recommend that it is better to keep them and give them an appropriate status to live with serviced land rather than demolishing their homes, Use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available serviced land in the city, follow the instruments to facilitate the release of underutilized land, which was occupied by the individuals, the local government should develop clear and transparent administrative procedures, regulations standards and make awareness what an informal settlement impacts are to the city. Keywords: Urban development, Informal settlement, urban regeneration, urban relocation, relationship 도시화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실제로 심화되고 있다. 도시화는 출산율 증가와 농촌에서 도시로의 폭발적인 인구 유입의 결과로 발생한다. 급속한 도시화와 무계획적인 거주지 확대는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수많은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해 왔으며, 에티오피아도 예외는 아니다. 개발도상국 도시 대부분은 강가, 산기슭 및 경계를 따른 무계획적인 거주지의 수평적 확대와 이를 향한 인구 이동으로 인해 열악한 가정 생활, 환경 피해, 농지 황폐화 및 자연 경관 훼손과 같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의 경우 거주지 일부는 도심에 위치해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도시 경계를 따라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임시 거주지의 분포 및 원인을 식별하여 가능한 해법과 권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법의 일환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2020년 2월 29일까지 아디스아바바 예카(Yeka)의 특정 구역에 위치한 임시 거주지)를 대상으로 지역 공동체 기반 단면 연구법(정성적 및 정량적)을 실시하였다. 다수의 임시 거주지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인구에 대해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층화 표본 추출이 최선의 방법이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임시 거주지의 후보 구역에 거주하는 118명의 응답자를 선정하였다. 조사 대상 임시 거주지는 주로 강가, 언덕 및 도시 외곽 지역에 위치하며, 그 형태도 다양하고 불규칙하다. 대부분의 경우 임시 거주지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인프라 및 서비스의 부족과 함께 도시의 무분별하고 급속한 수평적 확대의 주 원인이 된다. 결론에서는 단순한 철거보다는 정착지를 유지하고 가용 부지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생활 수준을 보장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도시의 가용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개인 소유의 저활용 부지 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을 채택하는 한편, 명확하고 투명한 행정 절차, 규정 및 표준을 수립하고, 임시 거주지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도시 개발, 임시 거주지, 도시 재생, 도시 재배치, 관계

      • 도시민 생활수준 향상을 위한 식물공장 활성화 방안

        정창석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전 세계가 심각한 기후변화와 농촌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고, 도시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농산물의 수요증가와 무농약/ 유기농 등 농산물의 품질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연구자는 도시민 생활수준 향상 방안의 일환으로 ‘어떻게 하면 다량의 안전한 식량을 도시민에게 공급할 수 있을까?’를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고, 그에 대한 해답을 식물공장에서 찾기로 하였다. 식물공장은 농업과 ICT 기술을 접목 또는 융. 복합하여 농산물 품질을 향상시키고 농업생산성을 증대시키는 4차 산업시대를 대비할 미래농업 기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식물공장이 미래 농업의 대안인지에 대한 걱정 섞인 목소리도 있다. 초기 시설투자비용이 높아 시설투자비대비 생산비용의 경제성 저하로 활성 속도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고, 대상작물이 엽채류 중심으로 재배되고 실제 생산되는 농산물의 대부분을 소비하는 도시민들의 식량문제를 해결할 과수와 곡물류는 재배가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가 주요 사유로 조사 되었다. 식물공장이 도시화에 따른 도시민 식량문제를 해결 할 최선의 방안임에도 불구하고 활성화가 되기 어려운 제약요인을 확인하고자 식물공장의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를 면밀하게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외 식물공장, 스마트팜과 연관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카테고리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각 연구별 차별성과 시사점을 분석하였고, 특히, 국내외 식물공장 추진동향을 사례 중심으로 국내 식물공장에 필요한 정책적, 경제적 지원 사항을 파악하였다. 문헌조사, 선행연구, 국내외 식물공장 추진동향에서 도출된 식물공장 활성화 제약요인을 분석, 확인하기 위해 현재 가동 중인 식물공장 전문 경영인을 대상으로 식물공장의 경쟁력, 정책의 필요성, 시장성 및 사회적 이슈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공장 활성화 제약 요인 및 행정적, 재정적 지원 필요 유무 등 설문결과를 도출하였고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제약 요인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높은 초기투자비용과 운영비로 인한 경제성 문제가 있다. 식물공장은 사업의 특성 상 건축, 조명, 양액 등 많은 초기 투자비용에 비해 엽채류로 한정된 현재의 식물공장의 재화의 가치가 매우 낮기 때문에 채산성이 떨어진다. 둘째, 식물공장 사업에 대한 정책 및 지원제도 부족이다. 식물공장의 산업분류가 아직 불명확하고 구체화된 기준이 없는 실정이고, 도시의 지하공간, 폐건물을 이용 시 건축기본법과 소방법에 대한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또한, 식물공장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초기투자비용에 대한 금융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엽채류 등 한정된 품종에 따른 시장의 적합성 문제이다. 상추, 쌈 채소 등 엽채류는 시장에서 형성된 단가가 낮아 경제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고부가 가치 작물을 재배하고 싶어도, 재배 작물의 생육의 최적조건에 대한 기술개발이 부족해 작물선정에 어려움이 있다. 넷째, 환경문제, 기존 농민과의 마찰 등 사회적 이슈화이다. 식물공장은 인공적으로 환경을 제어하기에 에너지를 많이 소요하게 되는데, 이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인 화석연료를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해 지구온난화를 가중 시킬 수 있다는 점과 기존 농민과 동일 종류의 작물 생산 시 기존 영세 농민의 생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는 상기의 연구 분석을 토대로 식물공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높은 경제성을 가져야 하고, 이를 위해 고부가가치 작물을 선정하여 작물을 재배하고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개발로 이어져야 함을 강조하였고, 방안으로는 고부가가치 작물재배 사례로, 무병딸기 종묘 재배, 항암성분을 2배 높인 케일재배, 인삼 사포닌 대량 생산을 예로 삼았다. 그리고 도시형 식물공장의 경쟁력 있는 사업모델로서 의료시설과 함께 운영되고 있는 식물공장 사례, 도시 내 소형 식물공장 비즈니스 모델, 식물공장 렌탈 사업 등 도시의 소규모 공간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특화 사업을 소개 하였다. 식물공장은 초기시설투자비 대비 생산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나, 고부가가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다면 앞으로의 식물공장은 투자가치와 성장 가능성이 높고, 선두기업의 장벽이 높지 않아 혁신기술이나 사업 모델의 다변화로 도시문제 해결과 도시민 생활수준 향상을 위한 경쟁력을 확보할 거라 예측된다. The world suffers from severe climate change, the decline of the rural population and aging. Moreover, demand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need for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 such as non-pesticide/organic are increased with urban population growth.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s a part of efforts to improvement for citizen’s life, “how can a large amount of safe food be supplied to the citizen?” and I found that plant factories can be an answer because plant factories are a futuristic farming technology which combines agriculture and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it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re are mixed concerns about whether plant factories are an alternative for future agriculture. There are two reasons. The one is that the performance rate of activity is lower than expected due to the low economic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compared to facility investment cost. Second is that the technical level of cultivating fruit trees and grains hamper solving the food shortage problems. Although plant factories are thought to be one of the best ways to solve urban food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these factories are not fully activated yet. In this regard, this study carefully examined the precedent researches on the plant factories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respectively.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the people engaged in plant factories to find any administrative on financial reason why the plant factories are not activated. As a result, four constraint factor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high initial investment costs and operating expenses compared to the revenue operation. Plant factories are less profitable because due to the low value of current plant factories concentrating in leafy compared with many initial investment costs such as construction, lighting and nutrient solution. Second, there is a lack of policies and supports for plant factories.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of plant factories has not clearly identified yet. And, there is no detailed standard of industry. The law for building basic structure and fire prevention is necessary to allow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or waste building in the city. In additio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r the initial investment and expenditure is necessary for the expansion of plant factories. Third, the profitability of the market is another problem. Lettuce, sweet potatoes, and other leafy vegetables have a low unit pric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economic efficiency. And, even if someone wants to grow high value crops, there is a difficulty to choose crops because of the lack of technology developed for making optimal growth conditions in cultivating the crops. Fourth, there are social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problems and friction with existing farmers. Plant factories use a lot of energy to control environment artificially, and the main source of energy is fossil fuel. So, the carbon dioxide emissions may deteriorate global warming. Moreover, the plant factories could threaten the livelihood of existing farmers. Based on abov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cultivation of high value crop and introduction of competitive business model as measures to activate urban plant factories. Although plant factories have decreased production cost compared to initial facility investment it is still high. If we build a high value-added business model, the future plant factories will have high value for investment and growth potential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And, it will be predicted that the barriers facing leading companies will be lowered enough to secure competitiveness for solving urban problems and improvement for citizen’s life.

      • 도시재생사업의 갈등유형분류 및 중요도 산정 : 공공사업시행자 입장에서

        한성수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기존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회의와 공공성 회복이라는 사회적 요구를 고려하여 정부는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제정을 통하여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을 위한 새로운 체계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는 지난 40년간 민간 주도의 철거재개발사업을 통해 물리적 환경만을 정비해오던 정책에서 공공중심의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으로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과거의 도시재생사업을 공공의 시각에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공공에서 추진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사례 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사업근간을 둔 도시정비사업 중 재개발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그 이유는 주택재개발사업의 사업범위가 광범위하고 기반시설을 포함하는 등 공공의 성격이 강하고, 이해관계 또한 복잡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주택재개발사업의 갈등사례 200여 건을 갈등원인별로 유형분류 하였다. 갈등주체 및 내용에 따라 이를 사실관계, 이해관계, 구조, 가치의 4가지 범주 28건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갈등사례 선정 및 갈등유형분류에 대한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공공사업시행자 10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4가지 범주에 21건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때 기존 분류와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공공사업시행자가 주택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사업운영의 투명성을 확보로 기존 조합원 간 갈등의 다수가 해결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공사업시행자는 기존 사업시행자인 조합의 미흡한 역할을 보완하여 구조적 갈등이나 사실관계 갈등의 비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최종 갈등유형분류에 대하여 ‘사업계획군’과 ‘사업실행군’ 각 6인을 대상으로 AHP기법을 적용하여 유형별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두 집단 모두 이해관계 갈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특히 보상분쟁을 둘러싼 갈등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넷째,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단계에 따라 갈등양상의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계획 및 준비단계에서는 구역지정을 둘러싼 주민의견 등과 관련한 갈등이, 사업시행단계에서는 보상이나 추가 분담금과 같은 갈등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정책적 제언으로 공공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갈등관리를 위해 ‘갈등영향분석서’의 도입을 통한 사전 갈등인지체계 마련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업초기 구역지정이나 정책을 둘러싼 사실․가치 갈등의 완화를 위해서는 ‘참여적 의사결정’ 방법의 도입과 이해․구조적 갈등에 대해서는 협상을 통한 갈등관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past urban regeneration project with perspective of the public.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ases which are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public,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was targeted for the study. The reasons are that the business scope of the broad and wide, including the infrastructure, stakeholder are also complic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 case 200 cases of existing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were classified by type of conflict causes. Depending on stakeholder, factual informations, and reasons, conflict types are sorted 'data conflict', 'interest conflict', 'structural conflict', 'value conflict'   Second,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types through expert interviews Classification applied the AHP method to evaluate each type of priority through 'business plan group' and 'business practice group'. Both groups were both perceived 'interest conflict' is the most important and evaluated especially important that the conflict over the disputed compensation.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a pre-conflict cognitive system established by the introduction of 'conflict impact analysis document' for conflict manageme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mitigate the 'fact and value conflict' over the initial zoning and policy understanding this study suggested adoption of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method'. Negotiation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tructural and interest conflict' management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lanning Policy and Flood Risk Mitigation in Algeria

        나빌 켈라디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Urban flooding is a persistent issue affecting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Factors such as urbanization, climate change,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 contribute to this problem. Urban planning in Algeria has experienced significant progress due to its primary urban planning tools, namely the Master Plan for Development and Urban Planning (PDAU) and the Land Use Plan (POS). These instruments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facilitating the rapid urbanization of Algerian cities. In Algeria, cities that have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are often subject to greater levels of flood risk due to factors such as poor drainage systems, high impermeable surfaces, and a lack of green space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lanning Policy and Flood Risk Mitigation in Algeria; try to understand how policymakers can integrate nonstructural flood mitigation measures, in their urban planning policies and future urban development plans to move toward resilience. Besides th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his topic, the study employs a comprehensive methodology, including in-depth analysis of written and graphic document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experienced in urbanization and flood vulnerability, this includes Urban planners, policymakers, and who are responsible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Experts and academics in the fields of urbanization, hydrology, and disaster risk reduction. Engineers and hydrologists who provide technical insights into the design and function of urban infrastructure and its impact on flood risk.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outdated drainage systems, challenges associated with implementing and consistently enforcing regulations, especially those pertaining to illegal constructions, the absence of comprehensive flood studies in high-risk areas and limited public awareness about flood risks, the significant impact of land use decisions, particularly the expansion of unplanned housing, ha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heightened flood vulnerability.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environmental factors in urban planning from the outset and proposes measures to address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flooding, human risks, material losses,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However, it acknowledges certain limitation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data collaboration and the need for a cultural shift towards risk managemen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growing body of knowledge on urbanization and flood risk and calls for collaborative efforts among government agencies, urban planners, communities, and researchers to create sustainable and flood-resilient urban environments. It also highlights the necessity of policy and governance analyses,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further interdisciplinary studies to advance flood risk management practices in Algeria and beyond. 도시 홍수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문제이다. 도시화, 기후 변화, 인프라 부족 등의 요인이 이 문제의 원인이다. 알제리의 도시계획은 기본 도시계획 도구인 개발 및 도시 계획 기본플랜(PDAU)과 토지 이용 계획(POS) 덕분에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이러한 도구는 알제리 도시의 급속한 도시화를 촉진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알제리에서는 급속한 도시화와 개발을 경험한 도시는 열악한 배수 시스템, 높은 불투수성 표면, 녹지 공간 부족 등의 요인으로 인해 더 높은 수준의 홍수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제리의 도시 계획 정책과 홍수 위험 완화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책 입안자들이 어떻게 비구조적 홍수 완화 조치를 도시 계획 정책과 향후 도시 개발 계획에 통합하여 복원력을 높이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주제와 관련된 문헌 검토 외에도 이 연구는 문서와 도표에 대한 심층 분석, 도시화 및 홍수 취약성에 경험이 있는 이해관계자와의 반구조적 인터뷰를 포함한 포괄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해관계자에는 도시 계획자, 정책 입안자, 정책 개발 및 시행 담당자, 도시화, 수문학, 재해 위험 감소 분야의 전문가 및 학자, 그리고 도시 기반 시설의 설계 및 기능과 그것이 홍수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술적 이해를 돕는 엔지니어 및 수문학자가 포함된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낙후된 배수 시스템, 특히 불법 건축과 관련된 규제 시행 및 지속적인 시행과 관련된 문제, 고위험 지역에 대한 포괄적인 홍수 연구 부재, 홍수 위험에 대한 제한된 대중 인식, 토지 이용 결정, 특히 계획되지 않은 주택의 확장은 홍수 취약성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처음부터 도시 계획에서 환경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홍수, 인적 위험, 물질적 손실 및 환경 악화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자료에 대한 학제간 협업과 위험 관리를 위한 문화적 변화의 필요성 등으로 인한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는 도시화와 홍수 위험에 대한 지식의 증진에 기여하며, 지속 가능하고 홍수 회복력이 있는 도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정부 기관, 도시 계획자, 지역 사회 및 연구자 간의 협력 노력을 요구하였으며 또한 알제리와 그 외 지역의 홍수 위험 관리 관행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및 거버넌스 분석, 기후 변화 적응, 추가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물리적 요소에 따른 보행만족도 변화 : -서울시내 3개 주요 광장을 중심으로-

        이하정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has firstly started from the simple question in a view of a pedestrian that we want to walk or stay somewhere which is unconsciously and unintentionally perceived and determined. A Gwanghwamun Square, built under the municipal urban environmental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has been used for various cultural events, social/political gatherings by particular interest groups, and sometimes pan-national gathering purpose. Seoul Square and Cheonggye Square, being operated and managed under Seoul municipal government as well as Gwanghwamun Square, have been specially recognized by citizens featured with its location,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recognition and other multiple factors despite it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s our daily place excluding its extraordinary nature of these squares,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question that those squares are where we want to walk and stay and they are places to naturally lead the steps of pedestrians. It was remarkable that these places seem isolated rather than being harmonized as a public space excluding significant events such as peaceful gatherings or world cup cheering. Therefore, I thought its main cause is coming from internal/external physical characteristics featuring Gwanghwamun Square and finally hypothesized that walkability of the pedestrian is influenced by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pen space with a logic of the research as follow. Firstly, advanced research on pedestrian’s walkability will be studied, and key factor securing walkability of urban open space will be comprehended. Secondly, phys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walk space and environment will be comprehended and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be verified by this research will be extracted. Thirdly, numeric value will be surveyed by applying the extrac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n Seoul Square, Cheonggye Square, and Gwanghwamun Square.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by Google Map, Naver Map, and site visiting. Fourthly, walkability on three squares will be verified by question survey and their walkability will be comprehended by analyzing survey result with advanced research cas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erifie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considered for urban planning at the initial stage. Keywords: Open Space, Square Plaza, Walka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lk Space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결정지어지는 ‘이 길을 걷고 싶은가’ 또는 ‘이 곳에 머물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광화문 광장에서는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 이해집단의 사회․정치적 집회의 장소로 쓰이며, 범국민적인 화합의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광화문광장과 함께 서울시 관리 하에 운영되는 서울광장과 청계광장 역시 그 규모와 형태는 다르지만 광장의 위치, 역사적 배경, 기타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요소들로 인하여 서울시민들에게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광장이 지닌 이러한 특수성을 배제하고, 우리의 일상의 장소로 생각하였을 때, 과연 이 광장이 정말 가고 싶은 장소인지 머물고 싶은 장소인지, 보행자의 발걸음을 자연스럽게 이끌게 하는 곳인지 의문이 들었다. 국민적 화합을 도모하는 평화적 시위, 월드컵응원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광화문광장은 ‘화합’보다는 ‘격리’의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이러한 원인을 광화문광장을 구성하는 내외부 물리요소라고 생각하였고, 이에 오픈스페이스는 보행환경의 특정 물리적요소가 보행자의 보행성(wal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보행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는 데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둘째, 보행공간 및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본 연구의 대상에 적용할 물리요소를 선별한다. 셋째, 선별된 물리요소를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조사한다. 조사는 구글맵, 네이버지도,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수행한다. 넷째, 3개 광장을 대상으로 보행자 설문을 통하여 대상지의 보행선호도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선행연구사례와 비교분석하여 보행성 확보여부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여 보행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행공간 물리요소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도시계획 초기단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주제어: 오픈스페이스, 광장, 보행성, 보행공간의 물리적요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