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선 및 선박운항일정계획에 관한 연구 -유조선의 운항일정계획을 중심으로-

        허일,Hugh, Ihl 한국항해항만학회 1990 한국항해학회지 Vol.14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various modes of operations of cargo ships which are liner operations, tramp shipping and industrial operations, and mathematical programming, simulation , and heuristic method that can be used to solve ships routing and scheduling problems for each of these operations. In particular, this paper put emphasis on a crude oil tanker scheduling problem. The problem is to achieve an optimal sequence of cargoes or an optimal schedule for each ship in a given fleet during a given period. Each cargo is characterized by its type, size, loading and discharging ports, loading and discharging dates, cost, and revenue. Our approach is to enumerate all feasible candidate schedate schedules for each ship, where a candidate schedule specifies a set of cargoes that can be feasibly carried by a ship within the planning horizon , together with loading and discharging dates for each cargo in the set. Provided that candidate schedules have been generated for each ship, the problem of choosing from these an optimal schedule for each ship is formulated as a set partitioning problem, a set packing problem, and a integer generalized network problem respectively. We write the PASCAL programs for schedule generator and apply our approach to the crude oil tanker scheduling problem similar to a realistic system.

      • KCI등재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體構成材 ‘누아 ’에 대한 小考

        허일(Ihl Hugh),崔云峯(Yunfeng Cu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7 No.5

        일본의 구법승 엔닌(圓仁)은 견당사선에 동승하여 入唐한 뒤 서기 838년 6월 13일부터 847년 12월 14일까지 당에 머무르면서 9년 반에 걸친 행적을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라는 일기에 남겼다. 이 일기에는 당시 당의 사회, 경제, 종교, 외교, 군사, 지리, 교통 및 행정에 대한 방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이 일기의 초입부분 즉 838년 6월 13일부터 7월 3일의 기록은 마치 항해일지와 같은 방식으로 기록되어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항해 및 조선 관련 용어들은 당시 고대선과 항해기술을 연구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등장하는 ‘槈 ’가 어떤 구성재인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대선박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Ennin was a Japanese buddhist monk who stayed in Tang from Jun. 13, 838 A.D. to Dec. 14, 847 A.D. in luna’s calender and wrote lengthy diary through the travel. This diary contained lots of information on the politics, economy, social culture, religion, diplomatic policies, militaries, geography, transportations and administrations of Tang China. Especially the beginning of his diary dated from Jun. 13 to July 3, 838 A. D. was recorded in the manner of ship’s logbook entries. Many terms of navigation and naval architecture appeared on i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m for studying ancient ship and its navigation skill.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Nu-A, (槈 아)’ obviously referring to some part of hull of the ship as the first step to annotate the terms of navigation and naval architecture which were appeared in the diary.

      • KCI등재

        중국 송대 첨저선의 조선기술 및 그 구조에 관한 연구

        최운봉,허일,Cui Yunfeng,Hugh Ihl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0 No.1

        the splendid Chinese ship-building technology enjoys a long history and has an important place in the world ship building history. Up to present, the study of ship-building technology focuses on the study of western ship-building technology, so the study of Chinese ship-building technology can remedy thi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ship-building technology enjoys a fast development, in Song dynasty (960-1279) the Chinese ship-building technology had developed very much. Its main characteristics are the large size of ships and the rapid increase in number. The Chinese ship-building technology of Song dynasty established basis for thai of Yuan dynasty, thus a study on the Chinese ship-building technology of Song dynasty can help better understand the Chinese ship-building history. 중국의 조선기술은 유구하고 찬란한 발전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 고대 조선기술사에서 아주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선기술사의 연구경향은 서양 조선기술사에 편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중국 조선기술사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결함을 보완 할 것이다, 인류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조선기술도 급속히 발전되었다. 송대(960-1279년)에 이르러 중국의 조선업은 크게 발전되었으며, 그 특징으로는 선박의 대형화, 조선기지와 선박수량의 현저한 증가, 조선기술의 제고와 설비의 발전으로 나타난다. 송대의 조선기술은 원명(元明)시대의 조선기술 발전에 토대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교량역할을 한 송대의 조선기술을 연구함으로써 중국의 조선기술의 발전사를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 선박의 선회권 작성에 관한 고찰

        송강섭,허일,Song, Kang-Sop,Hugh, Ihl 한국항해항만학회 1979 한국항해학회지 Vol.3 No.1

        It is very important for both naval architects and ship's officers to know the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their ships. As the abilities of a rudder which controlls a ship can be determined clearly by analyzing the results of Kempf's zig-zag maneuver and directional stability of a ship also known by Dieudonn spiral maneuver, the importance of turning test which takes much time is recently apt to be neglected. But because the test can be executed comparatively more simply than any other maneuvering tests, it gives some informations on the directional stability, and turning characteristics may be expressed simply by the results of the test, it is still often performed. In this paper several assumptions are made to simplify the turning motion of a ship. The equations of initial transient phase, the radius ofsteady turning circle, and the center of the steady turning point are derived by using the hydrodynamic derivatives. And then the approximate method of drawing the turning circle geometrically is suggested.

      • KCI등재

        중국 송대 해선의 주요유형에 관한 연구

        최운봉,허일,Cui Yunfeng,Hugh Ihl 해양환경안전학회 200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0 No.1

        선박은 물을 떠날 수 없고, 항로의 자연환경에 따라 항행해야 하기 때문에 항행하는 해역환경에 의하여 선박의 특성이 결정된다.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해역은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남방의 해역은 수심이 갚고, 북방의 해역은 수심이 얕다. 중국의 조선기술은 이러한 해역특성에 적응하여 상이한 선형이 발명, 발전되었다. Ship can not sail without water. Ships sail along different routes with different natural conditions. Thus ships sailing at different sea areas have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northern sea area and the southern one of China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is to song, the sea in the northern area is shallow and that in the southern area is deep, Chinese ships developed into different types in order to adapt to this.

      • KCI등재
      • KCI등재

        배의 크기 단위에 관한 역사지리학적 연구

        김성준(Sung-june Kim),허일(Ihl Hugh),崔云峰(Yun-feng Cu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8 No.5

        오늘날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톤(ton)을 사용하고 있다. 톤이란 용어가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일반명사가 되기 이전에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고유한 단위로 배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를테면 서유럽에서는 포도주 통인 ton, 북유럽에서는 곡량 단위인 last, 제노바에서는 cantare, 베네치아에서는 milliaria, 나폴리에서는 carra를 각각 사용했다. 동양권에서는 가장 중요한 화물이 쌀이었기 때문에 한중일 모두 米糧 단위인 石을 사용하여 배의 크기를 나타냈다. 특히 중국인들은 料라는 독특한 단위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각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른 단위를 사용하여 배의 크기를 나타냈으나, 19세기 중반 Moorsom 방식에 의한 톤수 측정법이 도입되고, 이것이 전세계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톤이 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정착하게 되었다. The term ton is widely used as the unit of the ship’s size. Before people used the term ton as the unit of the ship’s size, the various terms had been used for indicating the ship’s size. For examples, the term ton was used in Western Europe, last in Northern Europe, cantara in Geneva, milliaria in Venice, and carra in Naple respectively. In Asia the rice had been the most important cargo for many centuries. So the term SEOK in Korean or SHI in Chinese was used as the unit of the ship’s size. Especially the Chinese used the term LIAO in Chinese or RYO in Korean for indicating the ship’s size. As above seen, the different terms had been used for showing the ship’s size from places to places.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Moorsom’s Tonnage Measurement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and its spread to all over the world, the term ton was become the only unit of ship’s size.

      • 서기 8-9세기 신라와 당과의 해상교통

        선광기(Guangqi Sun),허일(Ihl Hugh) 한국항해항만학회 1996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 No.-

        중국와 한반도와의 해상교통은 기나긴 역사의 물줄기로 흘러온다. 일찍이 서기 8-9세기 당과 신라간에 있었던 우호적인 린방항해는 역사상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 글은 중국, 한반도와 일본의 상관 고대문헌을 고찰한 기초상에서 청해진(오늘의 한국 완도) 장보고(Znang Bao-gao)대사를 대표로한 신라인들이 당나라에 대한 항해활동 및 그 활동이 남겨둔 역사의 자적을 연구함으로서 당시 당과 신라간의 주요한 해상교통선을 논증하였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이 지적하고 있다. 1. 장보고는 서기 8-9세기 신라 항해역사상 아주 큰 영향력을 가진 대표인물로서 그는 이 시기 동북아시아 항해활동에 역사적 공헌하였다. 그가 오늘날 환국완도 및 중국 산동반도 등의 지역에 남긴 유적들은 중국과 한국 및 전체 한반도 교통연구에 고귀한 문화재로서 중시받을 가치를 지닌다. 2. 서기 8-9세기 신라와 당간 해상교통 노선은 쌍방 항해사들이 장기간의 왕래와 합작의 산물이며 이는 구체적으로 북항로. 중항로와 남항로등 세 갈래 주요 항로로 나누어진다. 그 가운데 : --- 중국 요령 연해로부터 신라에 도달하는 북항로는 역사가 영구한 전통성 항로인데 항해가 안전하지만 항로가 비교적 길다. --- 중국 산동반도로부터 신라에 이르는 중항로는 당시 쌍방 해상 왕래에 매우 중요한 항로로써 장보고 등 신라 항해사들이 중국과 왕래하던 주요항로이다. --- 중국 강소와 절강 연해로부터 신라에 이르는 남항로는 기본적으로 중항로가 남쪽으로서의 迎新 혹은 移動된 것으로서 그 왕래하던 시기는 당나라 이후 중국 송나라 시기인데 서기 10세기 이후이다. The marine communications between Korea Peninsula and China enjoyed such a long history that a relatively close marine relationship had been established early in the Qin&Han Dynasties which was around the Christian Era. During the 8th cent.A.D. and the 9th cent.A.D., the marine communications between Silla and Tang had flourished to such a great extent that an all-round setup of marine communications had been formed, namely,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the North, the Middle and the South Routes with the Middle Route in the leading position. (see the Chart attached)

      • KCI등재

        항해 나침반의 사용 시점에 관한 동서양 비교 연구

        김성준(Sung-june Kim),허일(Ihl Hugh),최운봉(Yun-feng Cui)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7 No.4

        이 논문에서 필자들은 유럽과 중국에서 거의 비슷한 시기에 나침반이 항해에 이용되었음을 역사적 기록과 최근까지의 연구성과들을 검토함으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서양 문명권에서 항해자들이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하기까지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즉 표침, 축침, 콤파스 카드 순으로 항해용 나침반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Frode의 사가(saga)를 고려해 볼 때 중국과 유럽에서는 11세기 경에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인들이 세계 최초로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했다는 기존 주장과는 달리, 중국인들과 유럽인들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서로 독자적으로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하였다. Up to now it has been widely conceived that mariner’s compass was introduced to Europe from China via the Arabic people. But the proofs to support the above orthodox dissertation have not been found yet. In general it has been approved hat the Chinese used the compass for navigation in the 11th century and European did in the 12th century. During the above perio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urope and the China was made only by the mediation of the Arabic people. But it is known that the beginning of Arabic people’s compass usage was one century later than that of the European. It may raise a historical question about ‘was mariner’s compass introduced to Europe from China via the Arabic people?’ In this paper the authors tried to prove the simultaneity of the mariner’s compass usage by the European with the Chinese by reviewing historical materials and modern resear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first, there is a strong similarity in the evolving steps of compass appliance of both civilizations, such as from using magnetized and pivoted needle to fixing card thereto. Second, the Chinese and the European started to use the mariner’s compass almost at the same time, and they developed it independ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