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과 학교환경변인의 영향

        허유성 ( Yu Sung Heo ),김민성 ( Min Seong Kim ),박주성 ( Ju Sung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최근 중학교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조절·완화하기 위한 학교환경 내 주요 변인들의 가능성을 탐색한 종단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성취수준이 하위 약 25% 미만에 해당하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포함하는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환경변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 참여한, 저성취 학생 506명을 포함한, 중학교 1, 2학년 학생 2,183명의 종단연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다변량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가정환경변인(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 양육방식)과 개인특성변인(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성별, 학업성취수준)을 통제한 후 학교환경변인의 독자적이고 추가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정도가 일반학생에 비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변인과 개인특성변인을 통제하였을 때, 학교환경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성취 학생의 경우 일반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요인을 보면, 수업참여, 학교에 대한 가치 인식이 정서·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으로 교사·학생 관계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This study analyzed not only the levels of LD at-risk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but also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on them compared with normally achieving students as currently middle school students`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have emerged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issues. To analyze true school environment effects, both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including SES, parent education levels, and parenting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self-resilience, gender, and achievement levels were controll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For this, the 1st and 2n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was used in this study. A total of 2,183 students including 506 LD at-risk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MANOVA was employ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wo types of students in the level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Hierarchical regression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ool environm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t first, revealed that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ere worse than students with normal achievement in the levels of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Second, when variables from family environ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the effect of school enviro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 normal achievement group than LD at-risk group. In detail, class participation, peer relationship, and perception of school value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effect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as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s.

      • KCI등재

        특수교사의 성실실패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허유성(Heo Yu-sung),김정연(Kim Jeong-youn),김나연(Kim Na-ye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성실실패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특수교사 15명을 대상으로 2회의 FGI를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특수교사가 경험한 성공과 실패에 관한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그 과정에서 갖게 된 성실실패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참여자들의 공유된 경험과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룹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21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 주제에 대한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2)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 (3) 특수교사가 경험한 성실실패 사례, (4) 성실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연구 결과에서는 특수교사의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실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감을 느끼고 있는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경험을 고찰하고, 성실실패를 벗어나서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성실’을 갖추고 있는 특수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유능하고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gniz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an honorable-failure. 15 teachers were subjected FGI two time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the cases of successes and failures. Collected data of shared experiences and case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4 ultimate themes and 21 sub themes were drawn. The 4 subjects are as followed: (1) individual variables and (2)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successes and failures, (3) the cases of the honorable-failure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efforts to overcome an honorable-failure. In the conclusion, procedures of becoming a good teacher, after overcoming an honorable-failure, were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faithful, but failed teaching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those experiences. In the discussion, supportive measures for a teacher who have a ‘sincerity’ to become a competent and great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field were suggested.

      • KCI등재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초중고 시기 진로결정 영향 요인 탐색

        허유성(Heo, Yu Sung),김정연(Kim, Jeong Youn)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2

        최근 특수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좋은 예비 특수교사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과 재학생의 전공 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초중고 시기의 진로결정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과 2,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특수교사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이 연구에서 도출된 회귀방정식은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선택 만족도 변량의 약 51%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특수교사의 전공 선택 만족도에는 진로결정 자율성, 가족지지, 직업가치 인식, 취업률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가지 영향 요인 중 진로결정 자율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 자율성과 가족지지에는 직업가치 인식이, 직업가치 인식에는 진로지식 자신감이, 그리고 취업률에는 사회적 인기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 자율성, 가족지지, 취업률, 직업가치 인식, 전공 선택 만족도 간 경로 분석을 통해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의 결과가 주는 교육적 함의점을 다루었다. Currently, it is becoming important to acquire and train goo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major selec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career decision in school age. A total of second and third grade 121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Additional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four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el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regression model of this study explained about 51% of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election. Second, self-directed decision making, family support, job value recognition, and employment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selection of major. Third, addition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four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urth,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among four variabl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cluding total effect were present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저성취 학생의 주관적 행복 수준 및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변인 탐색: 행복한 저성취 학생을 중심으로

        허유성 ( Yu Sung Heo ),최지영 ( Ji Young Choi ),남창우 ( Chang Woo Na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2008년도 초등학교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행복한 저성취 학생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 초등학생 11,37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업성취수준과 행복수준에 따라 4가지 유형의 학생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2유형에 속하는 행복한 저성취 학생을 가능하게 하는 교실수준의 변인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초등학생 중 행복한 저성취 학생의 비율은 약 16%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복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은 1유형 학생이 32.4%로 가장 높았다. 둘째, 행복한 저성취 학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수준의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에 의하면, 수업방법보다는 교사특성과 교실-학습 분위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방법에서는 강의식과 토의식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특성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열의, 교사의 지원, 수준별 수업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교사의 성취압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학습 분위기에서는 협력적 분위기, 경쟁적 분위기, 수업분위기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의 개별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수준 변인은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저성취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실수준에서 성취도 향상을 위한 노력과 함께 그들의 행복수준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assroom variables related with 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in a general education selling. To categorize students into for types, we use KEDI 2008 data including 11,378 elementary students and 11,778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the 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16% of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are happy and about 30% of them are not happy. We employed logistic regressions to analyze which variables are related with happy and unhappy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classroom climate are more influential than teaching methods. Related with teachers` characteristics, teachers` enthusiasm, supports, individualized learning reported positive influences. Collaborative, competitive, and friendly classroom climate are found to influence positively to the students` happiness. In discussion section, we trie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how to make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happy in school.

      • KCI등재

        중학교 저성취 학생의 가정 내 부모자녀 간 대화 분석

        허유성(Heo Yu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중학교 저성취 학생의 가정 내 삶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자녀 간 대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부모-자녀가 매칭 된 20가정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녹음자료는 2013년 9월부터 2014년 7월 사이에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부모- 자녀 간 대화에서 주체별 대화 양(量)의 비율, 형태소별 주요 대화 내용, 긍정·부정정서 구성 비율, 저성취 학생의 행복 수준에 따른 대화 내용 분석 등이다. 대화 내용분석은 방과 후 부모-자녀 간 대화를 녹음한 것을 전사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글자 수’를 기준으로 보면, 대화 양에서 부모의 비율이 자녀에 비해 약 2배 높았다. 둘째, 형태소별 분석을 보면, 명사에서 저성취 학생은 ‘선생님’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고성취 학생은 ‘학원’이 가장 높았다. 셋째, 긍정·부정 정서 간의 비율은 긍정 정서가 43.5%, 부정정서가 56.5%로 나타났다. 저성취 학생은 긍정정서가 58.1%로 부정정서보다 높았다. 고성취 학생은 부정정서가 63.5%로 더 높았다. 마지막으로 행복수준이 높은 저성취 집단의 대화 양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많았다. 그러나 부모와 자녀 간 대화 양의 비율은 행복 수준이 낮은 집단이 행복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더 높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alogues among parents and children to show the daily life of low-achieving children at home. For this, 20 parent-child pai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alogu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3 to July, 2014.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dialogue participation rate of parents and children, the morpheme-based word frequency, the ratio of positive to negative affections, and the low-achieving students’ characteristic of dialogues according to their happiness levels. This study used the transcripts of parents-children dialogues recorded after school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 key results, first, the amount of parents’ spells was 2 times more than those of their children. Second, according to the noun analysis, low-achieving students used ‘teacher’ most, however, the high-achieving students talke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most. Second, the overall ratio of positive to negative affection were 43.5% and 56.5%. In case of low-achieving students, positive affection, 58.1%, was slightly higher than negative affection. The high-achieving students’ results contrasted sharply with low-achieving students’ ones. The negative ratio was 63.5%.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ialogue based on low-achieving students’ happiness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ss-happy students’ ratio of dialogue participation compared with their par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ore-happy students. However, the more-happy students showed more total amount of dialogues.

      • KCI등재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성실․실패형 특수교사의 구성비율 및 특성 분석

        허유성(Yu-Sung Heo),김정연(Jung-Yeon Ki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실․실패형’ 특수교사 간편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이 유형의 특수교사가 교육현장에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그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설문조사에 참여한 현직 특수교사 27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특수교사 중 성실․실패형 특수교사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외에 주요 교사 변인별로 성실․실패에 따른 특수교사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성실과 성공 모두 각각 세 집단으로 분류하는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의 경우, 집단 분류 정확도가 90.5% ~ 91.6%, 성공은 89% ~ 93.7% 수준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성실과 성공을 기준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도출된 세 집단을 두 축으로 집단(3 x 3, 총 9개 집단)을 분류한 결과, 성실․실패형이 25.1%, 성실․성공 균형형이 66.8%, 성실․실패 역유형(비성실․성공)이 8%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주요 교사 변인별로 집단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한 결과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Honorable Failure Typ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their ratio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274 in-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surveys nationwide. We us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method to find out the percentage of the ‘Honorable Failure Typ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we conducted a crosstabs analysi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ers types based on sincerity-failure by teacher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sincerity and success was most appropriate. In the case of sincerity, group classification accuracy was 90.5% ~ 91.6% and success was 89 ~ 93.7%. Sincerity-succe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incerity and failure type (25.1%), sincere and success balanced type (66.8%), and reverse type (8%). As a result of crosstab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 variables between groups.

      • KCI등재

        스마트 기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덧셈 계산 정확도와 과제집중도에 미치는 효과

        정수리 ( Su Ri Jeong ),허유성 ( Yu Sung He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의 수학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덧셈 계산 정확도 및 과제집중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2명과 고등학생 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재효과는 단일대상 연구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다. 5가지 유형의 스마트 기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모든 연구참여 학생에게서 스마트 기기의 수학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이 덧셈 계산 정확도 및 과제 집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효과는 중재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mart device applications on addition accuracy and on-task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intervention effects. 5 types of smart application devices were used. According to results, addition accuracy level and on-task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특수학급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실태와 효과적인 방법 및 운영효과에 관한 인식

        채정화(Jeong-Hwa Chae),허유성(Yu-Sung Heo)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상황에서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운영실태와 전반적인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도 소속 초․중․고 특수학급 소속 특수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결과 첫째, ‘콘텐츠 활용 수업(외부 자료나 영상 연결)’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과적인 방법은 ‘학습 꾸러미 제공(과제 부여하는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한 온라인 학습(예: Zoom 활용)을 미래 원격수업 형태로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 효과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필수사항으로는 ‘개별화 수업과 학생별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한 플랫폼 구축’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격수업에서 특수교사는 콘텐츠 개발 및 자료 제작과 교사와 학생 간 관계 형성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수업집중도 저하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가 인식하는 원격교육의 긍정적 측면으로는 ‘과제해결 기회 제공’이, 부정적 측면으로는 ‘가정 내 돌봄 부족으로 인한 학생 방치’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ways to implement online classes more effectivel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01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for this study who enroll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contents were most widely used during COVID-19.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provision of learning packages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s in online class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ed real-time interactive online classes(e.g., using Zoom) as the most appropriate ways of future online classes. In addition, individualizing class and building platforms that could organize portfolios by students were perceived as essential elements for the effective online classes. Fourth, the difficultie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d during the online classes were content development and data production.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students experienced was class concentration. Fif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online classes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learning. Particularly, they liked various videos and online contents developed during COVID-19. However, the negative effects of the non-face-to-face classes also reported such as ‘lots of students were left alone without enough cares a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