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고탑회귀설’로 살펴본 18~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

        허우범,복기대 한국몽골학회 2022 몽골학 Vol.- No.70

        Joseon thought that if the Qing Dynasty declined, they would return to their original hometown, Ningguta.(寧古塔) At this time, their return route must pass through the northwestern border of Joseon, so they thought about defense against it. This ‘The Rumor of Manchurian return to Ningguta’ continued for over a hundred years from the time of King Sukjong. Joseon’s greatest concern was that the Qing Dynasty returned to Ningguta, attacking private houses on the northwestern border of Joseon and usurping their food.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had to make a thorough defense against it. The traffic route from Beijing, the capital of the Qing Dynasty, to Ningguta is the route through Sanhaiguan, Gaewon, and Jilin. A faster way is to go from Shenyang, passing between the Longgang Mountains(龍崗山脈) and the Huifahe(輝發河) area to reach Ningguta. However, if the present Yalu River is the northwestern border of Joseon, it all passes through a road far from Pyeongan-do of Joseon. In other words, it does not match the records of historical that say, “The direct road from Shenyang to Ningguta is very close to the northwestern part of Joseon.” In another paper, I have reviewed the latitude and longitude recorded in the Cheongbuk region of Pyongan Province in Daedongjiji and argued that the northwestern part of Joseon included the present-day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in China. This northwest boundary of Joseon can be seen more clearly when compared with the Manchurian return to Ningguta. In other words, the northern border issue that Joseon had been contemplating for over a hundred years did not stem from a vague hatred for the barbarian Qing Dynasty, but because it was the northwestern boundary of Joseon including the present-day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in China. Therefore, it was a concern about the very realistic and urgent national task that Joseon faces. 우리는 조선의 국경을 현재의 압록강과 두만강까지로 알고 있고「대동여지도」도 그렇게 표시하였다. 하지만『대동지지』의 평안도 행정구역에 기록된 경위도를 살펴보면「대동여지도」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필자는 이러한 차이에 의문을 가지고 관련 사료와 여러 지도 등을 참고하여 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를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압록강보다 훨씬 위쪽인 중국의 요녕성과 길림성 지역이 포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랑스 지리학자인 당빌이 1737년에 제작한「조선왕국전도」등에 보이는 경계와도 거의 흡사함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러 지도에서 보이는 평안도 행정구역들의 위치는 모두 압록강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이는 조선이 국경지역을 비워두는 공한지 정책에 따라 이 지역의 행정 치소들이 압록강 아래로 이동한 이후에 제작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하지만 행정 치소의 이동이 곧 영토의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선의 국경이 현재의 압록강과 두만강을 잇는 한반도라는 주장은 대일항쟁기에 일본학자들이‘반도사관’을 수립하고 우리의 국경사를 왜곡한 것이다. 19세기 조선의 서북 국경이 현재의 압록강 너머까지 포함하였다는 사실은 고려의 국경은 물론, 18세기 초, 청이 확정한 압록강과 토문강의 위치를 다시 살펴보아야 하는 문제들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 초 朝·明해로사행의 길목 ‘椵島’ 위치 고찰

        허우범(Her, Woo-Bu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17세기 초, 요동지역은 격변의 장소였다. 후금은 1621년 사르후 전투에서 명을 대파하고 그 기세를 몰아 이듬해에는 요동반도를 차지하였다. 그러자 요동지역의 유민(流民)들이 대거 섬으로 피난하거나 산동과 조선으로 이동하였다. 명나라의 요동지역 상실은 명나라 중심의 조공과 책봉체제를 이어오던 조선에게도 커다란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때, 모문룡의 등장은 명나라는 물론 조선도 반가운 것이었다. 모문룡은 요동지역을 수복하기 위하여 조선과 요동사이의 요충지인 가도(椵島)에 주둔하였다. 해로사행의 길목이기도 한 가도는 17세기 초에 명나라와 조선, 후금으로 이어지는 3국의 정치, 군사, 외교 및 상업 활동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다. 필자는 해로사행노정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가도에 대한 기록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재 평안북도 철산군 앞바다에 위치한 가도는 사료의 기록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동지지』에 기록된 평안도 철산군의 위치와 중국 현지의 고고학적 발굴사항 등을 토대로 중국 요녕성 동항시 고산진 대녹도 지역이 모문룡이 주둔한 가도였음을 논증하였다. 철산군과 선천군 등의 위치가 현재의 압록강 위쪽이었다는 것은 조선 초기의 압록강이 현재의 압록강이 아니었음을 알려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 국경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Liaodong area was a place of upheaval. Later Jin(後金) defeated the Ming Dynasty in 1621 in the Battle of Sarhu and took the momentum to occupy the Liaodong Peninsula the following year. Then, the refugees from the Liaodong area fled to the island or moved to Shan dong and Joseon. The loss of the Ming Dynasty to the Liaodong area was a major problem for the Joseon Dynasty, which had continued the tribute and investiture system centered on the Ming Dynasty. At this time, the appearance of MaoWenlong was good for Ming and Joseon. MaoWenlong was stationed in Gado, a strategic point between Joseon and Liaodong to restore the Liaodong area. Gado, an important position of the seaway envoy, is very important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political, military, diplomatic and commercial activities of the three countries leading to the Ming Dynasty and Joseon and Later Jin. This is where it played a role. In the course of reviewing the seaway envoy route, I looked at the records of Gado.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Gado, which is located off the coast of Cheolsan-gun, North Pyongan Province, has many differences from historical records. Accordingly, based on the location of Cheolsan-gun in Pyeongan-do in Daedongjiji and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China recorded,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area of ‘gushanzhen dailudao, Donggang city, Liaoning Province, China’ was a Gado stationed by MaoWenlong. The fact that the location of Cheolsan-gun and Seoncheon-gun was above the current Yalu River also indicates that the Yalu Riv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not the current Yalu River. This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study of Korean border history, and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대동지지』 ‘평안도 청북’의 위치로 살펴본 19세기 조선의 서북계

        허우범(Her, Woo-Bum),복기대(Bok, Gi-Da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9

        우리는 조선의 국경을 현재의 압록강과 두만강까지로 알고 있고 「대동여지도」도 그렇게 표시하였다. 하지만 『대동지지』의 평안도 행정구역에 기록된 경위도를 살펴보면 「대동여지도」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 필자는 이러한 차이에 의문을 가지고 관련 사료와 여러 지도 등을 참고하여 19세기 조선의 서북 경계를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압록강보다 훨씬 위쪽인 중국의 요녕성과 길림성 지역이 포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프랑스 지리학자 당빌이 1737년에 제작한 「조선왕국전도」에 보이는 경계와도 매우 흡사함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제작된 여러 지도에서 보이는 평안도 행정구역들의 위치는 모두 압록강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이는 조선이 국경지역을 비워두는 공한지정책에 따라 평안도의 행정 치소들이 압록강 아래로 이동한 이후에 제작한 것이다. 하지만 행정 치소의 이동이 곧 영토의 축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조선의 국경이 현재의 압록강과 두만강을 잇는 한반도라는 주장은 대일항쟁기에 일본학자들이 ‘반도사관’을 수립하고 우리의 국경사를 모두 왜곡한 것이다. 19세기 조선의 서북 국경이 현재의 압록강 너머까지 포함하였다는 사실은 고려의 국경은 물론, 18세기 초, 청이 확정한 압록강과 토문강의 위치를 다시 살펴보아야 하는 문제들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We know that the border of Joseon is the line connecting the current Yalu River and Tuman River. Daedongyeojido was also marked as such. However, if you look at the Longitude and latitude recorded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Pyeongan-do of Daedongjiji, there are many differences from the Daedongyeojido. I questioned this difference. Therefore, I reviewed the northwest boundary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by referring to related historical records and various map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rthwest border of Joseon included Liaoning and Jilin provinces in China, which is far above the Yalu River as we know it now.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lmost similar to the boundary shown on the Joseon map made in 1737 by D"Anville, a French geographer. The location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on Pyeongan-Do, as seen on various map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marked at under of the Yalu River. This was produced after the government offices moved under the Yalu River in accordance with the Joseon"s policy of leaving the border area empty. However, moving government offices does not mean territorial contraction. The claim that Joseon"s border is the Korean peninsula that connects the current Yalu and Tuman Rivers was made by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uprising against Japan. The fact that the northwestern border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included even beyond the current Yalu River raises many research issues. It is connected not only to the borders of Goryeo, but also to problems that require re-examin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Yalu River and Tomen River that were set by the Qing Dynasty in the early 18th century.

      • KCI등재

        위화도의 위치 재고찰

        허우범(Her, Woo-Bum)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2

        위화도는 중국 단동시 압록강에 있는 하중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러 사서에서 보이는 “압록강을 넘어 위화도에 진을 쳤다(渡鴨綠江屯威化島)”는 기록은 현재의 위화도에 많은 의문을 갖게 만든다. 필자는 이를 풀기 위하기 위화도와 관련 사료들을 수집·분석하였다. 위화도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압록강의 지류와 섬(島)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위화도는 사서에 기록된 위화도와 많은 차이가 있음을 논증하고, 사서의 기록을 토대로 위화도 추정지역을 새롭게 비정하였다. 아울러 현장답사를 통하여 새롭게 비정한 ‘중국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 서점자’ 지역이 이성계가 회군한 위화도임을 다각도로 확인하였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압록강 위화도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들을 바탕으로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편찬한 『조선사』에서 확정한 위화도이다. 일본학자들이 비정한 위화도는 이후 과학적인 검증 없이 1938년부터 오늘날 까지 그대로 인정되어 왔다. 하지만 압록강 가운데 있는 위화도는 사서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하는 것이 없다. 위화도의 위치를 올바르게 비정하는 것은 역사지리의 제자리를 찾는 것임은 물론 우리의 얽히고설킨 역사의 실마리를 푸는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Wihwado has been known to be an island on the middle of Yalu River, Dandong city, China. However, many history books show the record, “Troops passed over Yalu River and encamped in Wihwado (渡鴨綠江屯威化島)” which leads to a lot of doubts on the current location of Wihwado. To solve these questions, the author has collected and studied related literature. Before determining the location of Wihwado, the new understanding of Yalu River’s branches and islands is pre-required. From this inform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current Wihwado’s location is different from the one written in the history books and determines the estimated location of Wihwado based on the history books. Furthermore, by on-site explorations, this paper verifies from various angles that the newly estimated location, Xudianzi, Kuandianzhen xian, Dandung city, is the Wihwado where Lee Sung-gye withdrew his army. The current location of Wihwado, Yalu River was decided in Joseonsa,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e maps produc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fter Japanese researchers determined the Wihwado’s location, it has been a accompli since 1938 without any scientific review. However, the Wihwado located middle in the Yalu River is not matched with the records written in the history books. Determination of the right location of Wihwado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not only in the geology of history but also to find our history.

      • KCI등재

        高麗圖經에 보이는 慶源亭의 위치 고찰

        허우범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2 島嶼文化 Vol.- No.60

        1123년 고려를 다녀간 서긍은 선화봉사고려도경을 편찬하였다. 그는 이 책에서 고려를다녀간 항로와 정박한 정관에 대하여 자세한 기록을 남겼는데, 이는 12세기 고려와 송의 항로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고려의 항로는 물론 군산정과 안흥정 및 경원정에 대한 위치 연구가 진행되었다. 군산정과 안흥정 및 흑산정은 서긍의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 자료를 함께 검토하여 학계에서도그 위치가 비정되었다. 하지만 경원정이 있는 영종도는 신공항 건설과 배후도시 개발로 인하여고고학적 발굴이 어려운 까닭에 아직도 경원정의 위치 비정은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서긍이 기록한 경원정 관련 내용을 검토하는 한편, 군산정과 안흥정, 흑산정이위치한 지역의 특징을 영종도에 접목하는 방법을 통하여 경원정의 위치를 비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유적 발굴이 어려운 상황에서 같은 시기 세 정관의 특징을 비교하여 경원정의위치를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그동안 답보상태에 있던 경원정의 위치비정 연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제물사와 제물포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도 일정부분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제품사용환경을 고려한 시나리오 기반 사용성 평가 체계를 위한 연구 : 가정용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이광일,지용구,최광수,허우범 대한인간공학회 200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분야에서 사용성(Usabilty)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웹이나 각종 가전제품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적용 대상에 따른 사용성 평가 체계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평가요소는 제품의 실제적인 사용환경이 반영되지 못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용성 평가와 더불어 사용자의 실제 사용환경을 고려한 평가 요소를 수집함으로써, 제품 사용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사용성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서 사용성 평가 요소를 수집하였으며 VOC(Voice of Custormer)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실제 제품 사용 환경을 반영한 시나리오 기반 사용성 평가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 결과는 사용자 중심의 제품디자인을 설계함에 있어 실제 사용환경을 고려한 사용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성 평가체계 수립을 위한 판단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니겔라 사티바 오일의 미백 효능에 관한 연구

        이수연 ( Su Yeon Lee ),이새미 ( Sae Mi Lee ),허우범 ( Woo Beom Heo ),김진국 ( Jin Guk Kim ),김영희 ( Young Heui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7 No.4

        니겔라 사티바(Nigella sativa Linn.) 오일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니겔라 사티바 오일 및 오일에서 분리된 유효성분들을 버섯 타이로시네이즈 효소,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저해 활성시험 결과에서 니겔라 사티바 오일은 10 mg/mL의 농도에서 약 86 %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한 멜라닌 생성 기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멜라닌 합성의 주요 단백질인 타이로시네이즈 발현 저해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니겔라 사티바오일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타이로시네이즈, TRP-1, TRP-2)의 발현 저해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니겔라 사티바 오일은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Nigella sativa (N. sativa) oil as an active ingredient for whitening cosmetics, we prepared N. sativa oil. We measured its inhibitory effects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in B16 melanoma cells. N. sativa oil and its components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ushroom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a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ssay using mouse B16-F10 melanoma cell, it reduced melanin production up to 86 %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without cytotoxicity. In the study on the melanogenic protein expressions by using RT-PCR and Western blot, N. sativa oil and its components inhibited expression of tyrosinase protein, which is a well-known key protein on melano-genesis, and tyrosinase expression was gradual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s that N. sativa oil could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whitening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