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농업인의 삶의 질의 인식에서 성차에 관한 연구

        허미영(Mee-Young Huh)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친환경농업인의 농촌 생활의 현실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내서 환경농업을 지속시키고 확산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결과, 환경농가 여성은 남성과 거의 같은 시간동안 농업노동을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가사노동을 하였다. 그렇지만 그에 따른 경제적 보상 및 사회적 지위가 확보되지 못하였고, 건강문제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업인들은 삶의 질을 보통 정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지역사회의 참여와 생활만족요인을 제외하고 특히 경제여건, 교육여건, 근ㆍ골격계 건강요인에서 낮게 평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일의 보상의 적절성’, ‘현재의 건강상태’, ‘부부의 대화량’, ‘농번기의 노동시간’ 등이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society which environmentally-oriented farmer experience.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which factors contribute to sustain and diffuse environmentally-oriented fanning(EOF). Women of EOF were under severe labor burden and health problem such as pains in the muscle skeletal system, especially back pain, finger joint and knee joint pain. Women of EOF showed lower level of quality of life than man of EOF.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of EOF, especially economic condition, education condition and heath problem factors were under the average except for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satisfaction of everyday life. Rewardness of work, health status, quantity of communication at home and labor time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quality of life among environmentally-oriented farmer.

      • KCI등재

        빈곤의 여성화: 빈곤의 계기와 가족의 역할

        허미영(Huh Mee-Young)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4

        이 논문에서는 빈곤의 여성화 문제를 빈곤의 계기와 가족의 존재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즉 가족과 일이 어떻게 빈곤의 여성화와 상호 작용하는지 심층면접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빈곤화 과정의 다양한 지점에서 여성들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남성들보다 상대적으로 빈곤위험에 더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남성들에 비하여 인적자원이 부족하고, 아동양육의 책임수행은 노동시장의 진입 및 연속성을 방해하며, 남성에게 경제적으로 의존되는 경향이 높다. 이와 같은 여성의 개인적ㆍ사회적 조건들이 남성들보다는 여성들을 더 빈곤하게 만드는 것으로 해석된다. 빈곤상황과 가족관계는 복잡하게 얽혀있는데, 빈곤화는 가족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양식으로 전개된다. 빈곤의 여성화 과정에서 가족의 존재는 빈곤화의 원인이면서 빈곤탈출의 계기로 작용하는 이중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빈곤여성의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ntry process and cause of poverty, especially the interaction between feminization of poverty and family roles in society, for example work and caring through depth interview data, in PusanㆍKyungnam, South korea. Women is a weaker than man at poverty risk, both individual aspects and social aspects.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have a vulnerable point at process of poverty: Poverty women have a difficulty in the entry of work market and work continuation, because they is low in a academic background and have to bring up a child and economically depend upon men. However If women have be care child, then women try to work to be care child. And The study discuss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system to support poverty women.

      • KCI등재

        성 평등한 가족문화로의 전환 : 가족경영협약농가를 중심으로

        허미영(Huh Mee-Young)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3

        이 연구에서는 가족경영협약을 체결한 농가부부를 대상으로 협약체결이 가족문화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협약워크북과 협약서를 통하여 부부들의 요구사항 및 협약내용을 분석하고, 심층면접을 통하여 협약이행 및 생활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요구사항은 가사분담, 의사결정 등 가족문화와 관련된 문제와 노동대가 및 자산분배와 같은 경제권 문제들이었다. 협약체결 후 남편의 가사참여가 증가하고, 서로 의논하여 농사와 가사를 결정하는 등 가부장적 문화가 해소되면서 성 평등한 가족문화로의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농업인의 노동 가치를 인정하여 현금, 부인명의 적금, 연금가입 등으로 보상하거나 농지나 주택을 부인명의로 이전하여 주었다. 결과적으로 가족경영협약은 여성농업인의 책임감 및 자부심을 높이고, 여성의 참여증가를 통하여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가족경영협약 확대실시 및 적극 추진을 위한 예산확보, 성인지적 농업정책의 지속적 추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family agreements on Farm management affected the 22 farmer couples who had signed up for the agreement in the area of gender equality within family culture. In order to see the impact of the agreement on family culture, the analysis on the workbook of the agreement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quirements that the couples wanted to ensure were about family-related matters such as sharing chores and daily lives, and those matters were taken shape in the regulations of the agreement through discussion and consent. After the agreement, the couples are more likely to discuss farm work and chores together than before. The agreement gave the couples an opportunity to remedy paternalism and make gender equality in family culture by increasing the extent to which husbands take part in chores and respect their wives' opinions. From the agreement, the farm households received either compensation of cash, installment savings under wife's name, and pension enrollment for woman's work in economic value, or land or house registration in the purpose of boosting confidence and vitality. In conclusion, it is shown that the family agreements on Farm management not only increased responsibilities and self-esteem followed by women' participation in farming but also contributed to improving productivity. With this result, Family agreements on Farm management should be expanded, and I suggest that achieving budget for the active promotion and encouraging gender sensitive agricultural polices be sought continuousl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생명농업운동에 미친 정농회의 영향

        허미영 ( Mee Young Huh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9 담론 201 Vol.12 No.1

        이 연구에서는 유기농업에서 정통성을 지켜온 정농회의 활동을 생명농업운동, 특히 신사회운동의 일환인 문화정체성운동으로 규정하였다. 정농회는 기존의 주류농업방식에 저항하며 성경에 기초한 이웃사랑을 강령으로 채택한 독특한 농민단체이다. 정농회원으로서의 자부심이 높으며, 새로운 농업방식을 추구하고, 다른 농민단체와 추구하는 가치도 다르다. 또한 교육과 출판을 통하여 회원들의 의식교육 및 대안농업의 보급과 확산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농업방식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대안적인 공동체문화를 형성하는데 진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인적자원의 확보를 통한 세대교체 및 정농생협의 정상화를 통한 유통 활성화문제 등 향후 발전적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fines the activities of Right Farming Association(RFA), which has acquainted itself with organic farming-bio agricultural movement. It views those activities of RFA as a cultural identity movement, which is related to New Social Movements(NSM). RFA opposes the existing mainstream farming methods and pursues new farming methods. RFA is a unique, self-generated farmers` association which selected loving neighbors, the teaching from the Bible, as main principles. It`s pursuing values are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farming associations and takes pride in being part of RFA. It also takes advanced views toward not only farming methods but also building up community alternative culture in areas. It tries to raise awareness among the members through the spread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ve farming by publication. However, it is essential that RFA finds solutions to a shift in generations by securing workforce and to activation of distribution by normalization of Jungnong-Coop to improv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환경농가 여성의 삶

        허미영(Huh Mee-Young) 한국여성학회 2004 한국여성학 Vol.20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농업을 지속가능하게 하는데 환경농업이 중요하다고 보고, 환경농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여성농업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한국 환경농가 여성의 지속가능성수용과 애로사항을 알아보았다. 한국 환경 농가 여성은 대안농업 패러다임의 8가지 특정을 잘 수용하고 있었지만 일부 다른 측면도 나타났다. 특히 독립성과 다양성은 아주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환경농가들이 경제적 이윤을 목적으로 시설화, 규모화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환경농업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과중한 노동과 노동력 부족이었으며, 다른 문제는 농산물 판로문제였다. 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농가 여성들의 판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하여 지역에 기반한 지식과 애로점을 나 눌 수 있는 환경농가 여성의 네트워크의 구축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male farmers who have played a key role in environmentally oriented fanning. The focus of this approach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 oriented farming(EOF) in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agricultural industry. Consistent with this 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acceptance of sustainability among female farmers and a variety cases of their difficulty. Female farmers who have practiced the EOF quite well accepted the eight elements in alternative agriculture paradigms. However, they showed low level of independence and diversity. This result may stem from a trend among the EOF household: trying green-house cultivation and driving large scale farming to maximize economic benefit. Over-loaded burden of labor, chronic shortage of labor power, and difficulty to find proper market outlet were the major hassles in practicing the EOF. To reduce the difficulties originated from narrow market outlets, it is recommended that environmentally oriented female farmers share information about their local community. Another strategy to overcome the outlet problem is to implement a women's network to connect environmentally oriented female farmers with female consumers. This network is especially useful to buffer the difficulties of female farmers who have practiced EOF.

      • KCI등재

        생협의 대안적 소비문화의 성격과 그 함의

        허미영(Mee Young Huh) 한국농촌사회학회 2008 農村社會 Vol.18 No.2

        이 연구에서는 최근에 부상하고 있는 먹거리 담론을 통하여 대안적인 먹거리 소비문화의 성격과 그 함의를 민우회생협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먹거리는 웰빙과 건강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급증하며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먹거리 영역에서 대안적인 소비의 주체로서 생협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먹거리 담론에서 대안적인 먹거리 소비는 대안적인 농업생산과 여성참여라는 측면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민우회생협은 여성주의를 토대로 하여 여성중심의 대안적인 소비문화를 창출하고 여성참여를 통한 음식시민을 양성하여 먹거리 정치를 실현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증가에 따른 소비자 분화는 대안생산과 유통에 대한 새로운 문제, 즉 편의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시장원리가 적용되면서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따라서 핵심소비자의 양성과 지역식량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대안소비를 유지 발전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consumption culture and its implication through recently emerging issues of food discourse, focusing on the Minwoo coop. The food discourse has been appearing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resulting from the increasing concerns about well-being and health, and the coop is playing an pivotal role as the subject of the alternative consumption culture around the area of food. The alternative food consumption on the food discourse should be discussed in the aspect of alternativ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participation of women. The Minwoo coop desires to create the female dominated alternative consumption culture and educate food citizens by evolvement of women in order to accomplish food politics. However, classification of customers resulting from the increase of consumption has brought about problems to deal with as the principles of economics pursuing convenience and efficiency are applied, which are considered as new issues on alternativ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sustain the alternative consumption through educating core consumers and implementing local food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