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유아 사회정서발달 선별도구 문항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허계형,송서영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4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tudy to develop items of a social emotional screening instrument that can identify and screen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irth to 78 months old. First, items and areas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developed social-emotional instruments. Then, a Delphi panel consisting of 14 professionals and field expert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medical mental health field provided two times of Delphi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for item clarity and item validity, content validity ratio(CVR), degree of consensus, and degree of convergence were analyzed. As a result, a total of 81 items were derived, consisting of 30 items of social interaction, 14 items of self-regulation, 14 items of independence, 10 items of emotional development, 7 items of self-concept, 6 items of challenging behaviors. Lastly,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presenting a fundamental data for constructing a valid social emotional screening instrument through Delphi analysis.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to conduct standardisation studies including determining cutoff scores, reliability, and validity. 본 연구는 출생-78개월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상의 어려움을 선별하는 도구 문항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고찰 및 선행 도구 분석을 통해 영역 및 문항을도출하였고,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 특수교육, 발달심리, 정신건강의학 등의 학계 및 현장 전문인 14명을 델파이 패널로 구성한 후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 사회정서발달 선별도구 문항의 명확도 및 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내용타당도 비율(CVR), 합의도와 수렴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30문항, 자기조절 14문항, 독립성 14문항, 정서발달 10문항, 자아개념 7문항, 문제행동 6 문항, 총 6개 영역, 81문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델파이 분석을 통해 타당한 사회정서발달 선별도구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도구의 절선 구축, 신뢰도, 타당도 구축을 포함한 심도 있는 표준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 실제, 지원 요구도 분석

        허계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8 No.3

        As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increas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in Korea, there are needs for strategies and supports for the successful inclusion that teachers in the field can u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practices, and support needs on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group differences are analyzed with variables such as the subjects' work places, work experiences in inclusive settings, training hours on inclusion and/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classes taken from pre-service curriculum. Total of 210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urvey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spect of practice only with the variables of subjects' work places, work experiences in inclusive settings, and training hours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ults and discussions on the each research question were included. 장애유아 통합교육은 최근 국내의 유아교육 기관에 점차 증가되어 가고 있으며, 현장의 교사들은 이를 위한 성공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통합교육에 필요한 요인과 변인들을 중심으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 기술, 지원 요구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또한 이들의 근무처, 통합교육 경력, 연수시간, 대학교육과정에서의 관련과목 수강 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분석결과 유아교사들은 높은 신념, 보통이하의 실제, 높은 지원 요구도를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근무처, 통합교육 경력, 통합교육연수시간 변인에 대해서 실제 측면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의 직전교육과정의 교과목 이수 수에 의해서는 신념, 실제, 지원 요구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결론과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회 유아교육 지원환경 평가도구개발 및 타당화

        허계형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nalyzing supportive environments that church schools should build to effectively fulfill the miss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ith established content valid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wo hundred twelve early childhood church ministers and teac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4 factors: establishing worship routine and rules of early childhood church schools; program and curriculum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church schools; establishing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God and people/ between people; establishing physical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church schools. Second, results on correlations among the items,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the item discrimination showed to be appropriate, and the reliability was hig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early childhood church schools were discussed. A follow up action research on establish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he early childhood church schools, and developing home based supportive environments were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가 교회유아교육의 사명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구축되어야 할 지원적 교육환경 분석을 위한 평가도구의 개발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전문인 내용 타당도 과정을 거쳐 교회 유아교육 지원환경 문항을 개발하였다. 교회유치부 사역자와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Pearson 적률상관계수 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한 문항변별도, 그리고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 교회 유아교육 지원환경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은 유치부 예배순서 및 규칙의 기대치, 유치부 프로그램 및 교재교구, 유아-사역자ㆍ교사-하나님 간 긍정적 관계, 예배실의 물리적 환경 요인을 나타냈다. 둘째, 탐색된 요인들의 문항 간 상관관계, 문항 반응분포, 문항변별도는 적절하게 나타났고, 신뢰도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교회 유아교육 실행방안을 논의하였고, 교회유치부의 지원적 환경 구축 실행연구와 가정과 연계한 지원적 환경 구축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유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계획안의 장기목적, 단기목표의 분석

        허계형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연구 Vol.10 No.2

        장애유아 교육의 초석이라고 볼 수 있는 개별화 교육을 위한 가장 결정적 요소는 장기목적 및 단기 목표의 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를 위한 중재자들이 작성한 185개의 목적 및 목표를 분석하여 개별화교육 계획안(IEP)작성을 위한 최근의 실체에 의거하여(기능성, 일반화 가능성 일반 환경과의 통합가능성, 관찰 및 측정 가능성, 목적과 목표간의 적절한 위계관계), 그 적절성을 평가하였고, 또한 변인(작성자의 최종학력, IEP 작성연수. IEP 작성인원)에 따라 목적. 목표의 질적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의 제시와 함께 우리나라 장애유아를 위한 개별화 교육 계획에 주는 관련 현안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185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goals and objectives completed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se are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of recent recommended practice of completing IEP goals and objectives - functionality, generality, instructional context, measurability, hierarchical relationship. Additional studies conducted to see if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quality of IEP goals and objectives depending on the study variables (i.e., interventionist's degree, years of completing IEP, numbers of completing IEP). There were discussions followed regarding to the issue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ning for interven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유아 사회정서교육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허계형,마은희,송서영,임희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ocial emotional curriculum base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Using the preliminary tool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the final items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are 715 young children aged 36 months and older, along with their teache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was established through item fit and difficulty analysis, construction of conten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Secon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ird, cutoffs were determined,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ased on the established cutoffs. Finally, a total of 117 items was developed, representing eight factors: interaction with others, play and social skills, social problem-solving,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routines and rules, autonomy, self-esteem, and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on. The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valuable for assessing the levels of functioning, and developing educational support plans i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교육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된 예비도구를 사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그리고 최종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36개월 이상 유아 715명과 이들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문항적합도 및 난이도 분석, 내용타당도 구축, 상관분석 및 공인타당도 검증으로 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신뢰도는 내적 신뢰도, 재검사 신뢰도, 그리고 부모-교사 검사자간 신뢰도를 통해 검증되었다. 셋째, 절선을 구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 놀이 및 사회적 기술, 사회적 문제해결, 관심 및 활동 참여, 일과 및 규칙, 자기주도, 자존감, 정서인식 및 표현’의 8요인, 총 117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대한 현행 수준을 파악하고, 교육 및 지원 계획을 제시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교육진단 도구개발 예비연구

        허계형,마은희,송서영,임희수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1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ocial-emotional curriculum base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from 36 to 72 months. Areas and items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review of instruments and related literature. Thirteen academic and field expert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were invited as Delphi panels to conduct two Delphi analysis. As a result of the Delphi analysis, preliminary items were constructed by analyzing content validity ratio (CVR), degree of consensus and degree of convergence. Through analyzing item comprehension and clarity, descriptive statistics, difficulty, and reliability were analyzed, factors of the instrument and items for the preliminary study were established. This is a total of 157 questions in 9 factors: 15 questions on interaction with others, 27 questions on play and social skills, 16 questions on problem solving, 20 questions 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17 questions on routine and rules, 9 questions on self-direction, 16 questions on self-help skills, and 22 questions on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andardization studies through a national norm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36개월-72개월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교육진단 도구개발 예비연구이다. 문헌고찰 및 선행 도구 분석을 통해 영역 및 문항을 도출하였고, 유아교육, (유아)특수교육, 발달심리 등의 학계 및 현장 전문인 13명을 델파이 패널로 구성하여 2차에 걸친 델파이 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델파이 분석을 통해, 내용타당도비율(CVR)과 합의도, 수렴도를 분석하여 예비문항을 구축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이해도 및 명확성, 기술통계, 난이도, 신뢰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유아 사회정서교육진단도구의 요인 및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이는 9요인 총 157문항으로 타인과의 상호작용 15문항, 놀이 및 사회적 기술 27문항, 사회적 문제해결 16문항, 관심 및 활동참여 20문항, 일과 및 규칙 17문항, 자기주도 9문항, 자아개념 15문항, 자조기술 16문항, 정서인식 및 표현 22문항이다. 연구의 기여도 및 제한점을 논하였고, 추후 전국단위의 표집을 통한 표준화 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