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입제품으로부터의 소비자안전 확보 방안

        허경옥(Huh, Kyung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09 소비문화연구 Vol.12 No.2

        The recent explosion of imported toys and low-priced stationery goods in Korea threatens the safety of consumer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afety of imported goods and the relevant legislation and search solutions for the problems. it also suggests a benchmarking solution after going through the legislation for safety of imported goods in foreign nations. In order to ensure the consumer safety from buying imported goods, this paper made several policy suggestions like (1) to revise and strengthen the legislation regarding imported goods, (2) to build information systems for imported goods, and their efficient utilization, (3) to build cooperative and coordination systems with foreign nations, (4) to reform in the policy of the acceptances from the director of a customhouse and the ploicy of custom clearance, (5) to regulate importers, (6) to establish and implement consumer-oriented policy, (7) to build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ensuring the safety of imported goods and to generate their network, and (8) to suggest policies and institutions for managing the safety of imported goods. 최근 저가문구 및 장난감의 수입급증 및 급속한 유통 등 수입제품의 범람 속에서 소비자안전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입제품의 안전과 관련한 현행 법제도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외국의 수입제품안전 법제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벤치마킹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수입제품으로부터 소비자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수입제품 관련 법적 규정 재정비 및 강화, 수입제품 정보시스템 구축 및 효율적 활용, 외국 국가와의 협력 및 공조 시스템 구축, 세관장확인·통관제도 개선 및 수입업자 관리, 소비자 지향적 정책수립 및 이행, 수입제품안전 전문기관설립 및 네트워크 구축, 수입제품안전관리 정책 및 제도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 블랙컨슈머 및 감정노동의 개념 및 현황, 주요 이슈, 근절 방안에 대한 소고

        허경옥(Huh, Kyungok)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9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3 No.3

        It is time to prevent and eradicate the problems of black consumer and emotional workers in the situation of over-compensation demand of black consumers and malignant complaints, leading to the deterioration of consumer contact emotional workers and incurring corporate and social costs. This study needs to discuss and study the concept of black consumer, the cause of occurrence, corporate black consumer s countermeasure, eradication of black consumer, emotional worker problem, legal system and solution related to emotional worker protec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black consumer and emotional labor, main issues, and measures of eradication. In this study, the goal of complaints is not to fix the company’s unfair tyranny, defective products, or inappropriate services, but to define consumers’ behavior as black consumers.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in black consumer are distorted consumer rights awareness, high expectations of consumers for compensation, inconsistent compensation or response from companies, consumer complaint programs in the media, active activities of consumer interest groups, internet and telecommunications.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 order to eradicate Black Consumers, the proper response of companies, consumer self-ethics and ethical and responsible behavior, social efforts, media and government efforts are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attention on emotional labor, consideration of emotional workers and the formation of a healthy consumer market, and active resolution of corporate emotional labor.

      • KCI등재

        소비자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동, 자동차안전추구성향이 자동차안전정책강화 요구에 미치는 영향

        허경옥(Huh, Kyungok),이재학(Lee, Jaihak)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소비자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동, 자동차안전추구행동, 소비자의 자동차안전정책 강화요구 간의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면, 먼저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소비자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동, 자동차안전추구행동, 자동차안전정책강화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의여부를 검증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동, 자동차안전추구 행동이 자동차안전정책강화요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때, 소비자의 자동차안전정보 탐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적 결과를 정리하고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자동차안전추구행동 수준은 수도권 거주자, 대학원 졸업이상 고학력 소비자, 50대 이상 고연령층, 가계소득이 가장 높은 월평균 1천만원을 초과하는 고소득층 소비자들의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수도권거주자, 비전문직 종사자, 대학원 졸업자가 아닌 고졸이나 대졸 소비자의 경우, 가장 소득이 낮은 저소득층 소비자들의 자동차안전정책강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안전의식 및 안전실천행동은 자동차안전추구 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의 안전불안감은 자동차안전추구행동과 자동차안전정책강화 요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자동차안전추구 행동은 자동차안전정책강화요구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자동차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동이 적극적인 소비자일수록 자동차안전정책강화에 대한 소비자요구에 적극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소비자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동이 자동차안전추구행동 수준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은 자동차안전정보탐색 수준이 높은 소비자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소비자의 자동차안전추구가 자동차안전정책강화 요구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은 자동차안전정보탐색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safety awareness, safety practice behavior, automobile safety pursuit behavior, and consumers demand for strengthening automobile safety policy. To discus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n detail, first, wheth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safety awareness, safety practice behavior, automobile safety pursuit behavior, and automobile safety policy reinforcement request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sumers safety awareness, safety practice behavior, and automobile safety pursuit behavior on the level of demand for reinforcement of automobile safety policy was verified. At this tim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nsumer s search for vehicle safety information was verified.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onsumer s car safety pursuit behavior was found to be high in the case of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high-educated consumers over graduate school graduation, the elderly in their 50s and older, and high-income consumers with the highest monthly average income exceeding 10 million won. Meanwhile, in the case of non-metropolitan residents, nonprofessional workers, and consumers with high school or college graduates rather than graduate school graduates, low-income consumers with the lowest incomes have a high demand for strengthening automobile safety policies. Second, it was found that consumers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vehicle safety pursuit behavior. However, consumers safety anxiety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automobile safety pursuit behavior and the demand for reinforcement of automobile safety policy. In addition, the behavior to pursue automobile safe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reinforcement of automobile safety policies.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ore active consumers are in car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the more active they are in responding to consumer demand for strengthening car safety polic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consumers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n the level of vehicle safety pursuit behavior was greater in the consumer group with a high level of vehicle safety information search. In addition, the positive influence of consumers pursuit of automobile safety on the demand for reinforcement of automobile safety policies was greater in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automobile safety information search.

      • KCI등재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 및 안전성추구가 수입고급차 구매선호에 미치는 영향 분석

        허경옥(Huh, Kyungok),이재학(Lee, Jaihak)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1

        우리 사회에서 최근 두드러지게 부각되는 소비 현상 중 하나는 소비의 안전성추구이다. 자동차 안전사고 증가속에서 상위계층 주도의 안전한 자동차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과 소비자의 안전성추구가 소비자의 수입고급차 구매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 안전성추구, 국산과 수입차 구매행동 특성이 유사한 소비자들을 집단으로 유형화한 후 이들 집단이 자동차안전추구, 국산과 수입차의 안전에 대한 신뢰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변량구조 분석결과 합리성 추구성향, 상징성추구 성향은 소비자의 안전성 추구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반면, 유명브랜드 추구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행동 특성 중 합리성 추구성향과상징적 구매 추구성향은 수입고급차 구매선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매개변수인 소비자의 안전성 추구 또한 수입고급차 구매선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 안전성추구, 국산과 수입차 구매행동 특성이 유사한 소비자들을 3 개 집단으로 유형화한 후 이들 집단이 자동차안전추구, 국산․수입차 안전 신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검증결과자동차안전추구 성향과 수입차의 안전에 대한 신뢰 수준은 안전한수입차 선호 집단(집단1)에서 가장 적극적이었고, 가격우선국산차선호 집단(집단3)에서 가장 소극적이었다. 반면, 국산차의 안전에 대한 신뢰 수준은 가격우선국산차선호 집단(집단3)에서 가장 높았고, 안전한수입차 선호 집단(집단1)에서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급자동차가 비싸거나 최첨단의 기능을 갖춘 것 만으로 소비자들의 선호를 받는다기 보다안전함을 확보할 수 있어야 소비자들에게 선호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안전성 추구 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이 고급 수입자동차를 선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e of the consumption phenomena that have recently emerged prominently in our society is the pursuit of safety in consumption. Amid the increase in car safety accidents, the number of safe car purchases led by upper classes is on the ris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safety pursuits on consumers purchasing preferences for imported luxury cars were verified and analyzed. In addition, after categorizing consume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safety pursuit, and domestic and imported car purchasing behavior into a group, we investigated what differences exist in these groups in car safety pursuit and trust in the safety of domestic and imported car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variate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propensity to pursue rationality and the propensity to pursue symbolis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er s pursuit of safety, whereas the propensity to pursue rationality did not. In addi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rationality propensity and symbolic purchase-seeking propens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preferences of imported luxury cars. Second, in this study, after categorizing consume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behavior, safety pursuit, and domestic and imported car purchasing behavior into three groups, the differences in vehicle safety pursuit and safety trust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ca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propensity to pursue automobile safety and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safety of Imports were the most active in the safe imported car preference group (Group 1), and the most passive in the price-priority domestic car preference group (Group 3).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safety of domestic cars was highest in the price-first domestic car-preferred group (group 3), and the lowest in the safe imported car-preferred group (group 1).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uxury cars can be favored by consumers only when they are able to secure safety rather than receiving preferences from consumers only with expensive or cutting-edge functions. In other word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with high propensity to pursue safety prefer luxury imported cars.

      • KCI등재

        제품안전관리 정책의 현황, 주요 이슈 및 과제, 향후 개선 방향 모색

        허경옥(Huh, Kyungok)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제품안전관리 법 제도의 현황 주요 이슈, 향후 정책적 과제를 면밀히 파악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사전․사후 제품안전관리정책의 현황을 파악하고, 소비자 입장에서의 제품안전관리 정책의 주요 이슈 및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서술 한 이후, 제품안전관리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품안전관리제도 관련 제언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안전관리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소비자안전 관련 정책이 소비자 지향적으로 전환하고 제품의 원료단계부터 전생애 주기를 포괄하는 정책, 소비자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패러다임이 중요하다. 제품의 원료 성분부터 최종 제품까지 소비자의 안전을확보하는 통합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사전․사후 제품안전관리 제도의 병행을 토대로 집중과 선택이 필요하다. 공급자적합성 의무대상 품목중 다소 위해도가 낮은 품목의 경우 안전기준 준수품목으로 한 후 사후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있다. 제조업자의 추가적이고 과도한 책임을 강요하는 방식보다는 사전관리에서는 다소 자율성을 주되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효율적 활용이 필요하다. 안전 및 위해관리 역량 제고를 위해 제품 사고 원인 조사 및 안전 우려 소비자 민원 자료를 활용하여 안전 및 위해정보 시스템을 개발․지원하는 안전사고 방지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소비자피해구제 강화를 통해 사업자의 자발적 안전제품 생산 및 유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제조물결함책임, 집단피해구제 강화, 징벌적 배상규정의 적극적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어린이 안전 특별법, 제품 안전 기본법 등에 사후규제 수단을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면 사업자들이사전에 안전관리를 자율적으로 철저히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범부처가 적극 공조해야 하고, 시중 유통 비관리 제품 및 신제품 등에대한 공조체계 구축, 유통시장 변화에 신속 대응하는 제품안전관리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품안전관리 법제도 및 정책 실현에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제품소비자안전 확보에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duct safety management law system was closely grasped and improvement points were sought.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y was clearly identified, and major issues and tasks of the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y were discussed, and then the direction of the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y was sought.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ggested to change the paradigm of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y. As a paradigm shift in consumer safety regulation policy, in order to secure consumer safety, there is a lack of an entire security law that only manages final consumer goods, and fundamental measures must be prepared to secure consumer safety from the raw material stage of the product.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must be established to ensure the safety of consumers from the raw material of the product to the final product.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currently, concentrate, and select the pre- and post-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s. Through risk assessment,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 method to strengthen follow-up management after selecting items of low risk among supplier conformity items as KC mark recommended items. Rather than imposing only additional and unnecessary responsibilities on the part of manufacture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giving some autonomy to pre-management but strengthening post-manage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utilize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 To enhance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vent repeated safety accidents by providing product risk assessment, accident cause investig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for safe product produc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volun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afe products by business operators by strengthening consumer damage relief. It is necessary to review product defect liability, strengthen collective damage relief, and actively introduce a punitive compensation system. This is because, if the post-regulatory measures are effectively operated, operators will voluntarily and thoroughly conduct safety management in advance. Fifth,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is important. In order to resolve blind spots in safety management, all ministries should actively cooperate,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unmanaged products and new products distributed in the market, and promptly respond to product safety management policies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distribution market. Finally, due to convergence/new technology products and newly highlighted risk factors, blind spots in product safety management continue to occur, so it is urgent to respond. Risk ver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that fully reflects the consumption environment (by exposure level, time of use, age, gender, etc.) and human effects (sleep hormone effect, visual effect, long-term exposure prevalence, etc.) to lay the foundation for securing the safety of advanced fusion products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system.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duct safety management legal system and policy re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ecuring consumer safety from products.

      • KCI등재후보

        타인과 본인의 비합리적 소비성향 및 소비생활만족도

        허경옥(Huh Kyung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04 소비문화연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본인과 타인의 비합리적 소비성향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타인과 본인의 비합리적 소비성향의 갭에 따라 분류된 소비자 집단을 판별하는 변수가 무엇인가를 조사하였다. 게다가, 소비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자신의 소비자행동에 대해서는 합리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는 것에 반해, 타인은 비합리적 성향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학력이 낮을수록, 미혼 소비자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타인에 대한 비합리적 성향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본인의 비합리적 소비성향 점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미혼 소비자, 고소득, 젊은 층, 부채를 갖고 있는 경우, 본인에 대한 비합리적 성향 점수가 높을수록 타인의 소비자행동이 비합리적이라고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남성 소비자, 학력이 낮은 소비자, 소득수준이 높은 소비자, 연령이 낮은 소비자, 부채가 없는 소비자, 자아 만족감이 높은 소비자의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소비생활의 비합리적 성향은 소비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irrationality between consumers themselves and other consumers, and finding the determining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consumption life. The major results were given below. First, while consumers evaluated their behavior as rational, but evaluated the behavior of other consumers as irrational Low educated, single, high income, young, and having high evaluation of other consumers as irrational were more likely to evaluated their own behavior as irrational. On the other hand, single, high income, young, having debt, and having high evaluation of their own behavior as irrational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the behavior of other consumers as irrational. Second, consumers who are male, are low educated, have high income, are young, do not have debt, and have high self-confidence were more likely to satisfy for consumer life. However, the level of irrationality in consumer behavior did no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consumption life.

      • KCI등재

        소비자의 윤리의식, 짝퉁에 대한 소비자태도가 짝퉁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허경옥 ( Kyungok Huh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 유행추구성향, 소비윤리의식이 소비자의 짝퉁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되 짝퉁에 대한 소비자태도를 매개변수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ㆍ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미혼, 대졸자, 주부, 가계소득이 최저수준이 아닌 경우, 용돈을 100만원이상 가장 많이 쓰는 경우, 의류구입액수가 많은 경우 과시소비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여성, 대졸자, 주부, 가계소득이 많은 경우, 용돈을 많이 쓰는 경우, 의류구입액수가 많은 경우 대체로 과시소비성향과 유행추구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울이나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비자의 소비윤리 의식수준이 낮았고, 의류를 거의 구매하지 않은 집단과 가장 많이 구매하는 집단의 윤리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비취업자, 고졸자, 주부, 비수도권 중소도시거주자, 가계소득이 높은 경우, 의류구입을 가장 적게 하는 집단의 짝퉁에 대한 소비자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성, 기혼, 고졸자, 주부, 비수도권 거주자, 201에서 300만원 가계소득자, 의류구입을 가장 많이 하는 집단에서 짝퉁구매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연령이 높은 경우, 유행추구성향이 강한 경 우 소비윤리 의식수준이 낮은 반면, 남성, 연령이 낮은 경우, 유행추구성향이 약한 경우 소비윤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혼자, 소비윤리 수준이 낮은 경우 짝퉁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들은 짝퉁을 적극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경로분석결과 기혼, 소비윤리수준이 낮은 경우 짝퉁에 대한 소 비자태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짝퉁 구매행동에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짝퉁에 대한 소비자태도는 짝퉁구매행동에 중요한 매개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picuous consumption, fashionoriented behavior, consumer ethics on the purchase behavior of counterfeit products, and the effects of consumer attitude for counterfeit products as a mediate variable on the purchase behavior of counterfeit produc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belows as below. The first, female, unmarried, university educated, housewife, family income not in the lowest group, spending 1,000 thousands Won per month as personal expenditure, and spent more money for clothing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ly conspicuous and fashion-oriented behavior.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lived Seoul, or near Seoul, the lowest and highest group in spending more money for clothing showed the lower level of consumer ethics. Second, male, unemployed, high school educated, housewife, not living in Seoul nor near Seoul, high income family, spending the lowest money for clothing showe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counterfeit products. On the other hands, male, married, high school educated, housewife, not living in Seoul nor near Seoul, having family income between 2,001 and 3,000 Won, spending the highest money for clothing showed the active in purchasing counterfeit products. Third, female, old age, strong tendency for fashion-oriented were lower in consumer ethics, however male, young, lower in fashion-oriented were higher in consumer ethics. On the other hand, married, having lower level of consumer ethics we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 for counterfeit products and also active in purchasing counterfeit products. Finally,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that married, the lower level of consumer ethics effects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counterfeit products directly,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unterfeit products directly, and indirectly. In conclusion, consumers`` attitude toward counterfeit products was founded as a mediate variable in purchasing counterfeit products.

      • KCI등재

        우리나라의 서비스표준 현황 및 주요 이슈 조사

        허경옥(Huh, Kyungok) 표준인증안전학회 2020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서비스표준 관련 문헌, 국내외 관련 사이트,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표준 관련 기초 내용 및 이슈를 정리․종합하였다. 또한 국내 서비스 분야 안전 및 표준 관련 법제도, 논란이 되는 주요 서비스표준 이슈 파악, 우리나라 국가 서비스표준 현황 및 문제점 파악, 서비스표준 활성화 및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지금까지 국내외 서비스표준의 트렌드를 볼 때 향후 서비스표준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표준 제정 과정 및 표준수요 선정에서 소비자안전, 일상생활 밀접 분야, 소비자피해가 많은 소비자 분야, 소비자요구가 많은 서비스 분야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또한,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새로이 출현하는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이와 관련한 서비스 표준정책을 펼쳐야 한다. 둘째, 서비스 표준 정책 및 표준화화 과정에서 소비자복지 지향성이 우선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해외 서비스표준을 벤치 마킹하고 이와 관련한 서비스표준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소자영업 서비스업자, 일반 소비자, 정부 관련 기관이나 학계, 소비자단체 등과의 협력 및 공조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이미 개발되었거나 중요한 서비스표준은 서비스 인증제도와 연계하여 표준의 활성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서비스표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이고 나아가 서비스표준의 확산 및 활용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표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제고, 안전 분야 서비스표준 보급ㆍ확산, 서비스 품질 향상 등 표준화의 효과를 홍보하여야 한다. 끝으로, 취약계층의 복지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분야의 표준이 필요하다. 사회 서비스, 돌봄 서비스, 보육 등 사회복지 서비스, 간병, 간호 등 보건의료 서비스 등 취약계층에 필요한 서비스 표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service standards related documents,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websites, and various information were collected to summarize and summarize the basics and issues related to service standards. In addition, the legal system related to safety and standards in the domestic service sector, the identification of major controversial service standard issu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national service standards in Korea, and the suggestion for the activation and improvement of service standards were suggested. When looking at trends in service standards at home and abroad, the direction of future service standards is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ervice standard and selecting the standard demand, the consumer safety, daily life closely related areas, the consumer areas with many consumer damages, and the service areas with many consumer needs should be selected fir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actively discover newly emerging servic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implement service standard policies in this regard. Second, in the service standard policy and standardization process, consumer welfare orient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valu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benchmark overseas service standards and actively develop service standards related to them. Third,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ith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service providers, general consumers,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s, academia, and consumer organizations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standard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or are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the service certification system. Fourth, it is necessary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service standards and further increase the spread and use of service standards. To this end, the effect of standardization should be promoted, such as raising consumer awareness of service standards, disseminating and spreading service standards in the safety field, and improving service quality. Finally, there is a need for standards in the service sector to promote welfa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vulnerable groups. Social services, care services, social welfare services such as childcare, and health care services such as nursing and nursing are needed to study and study the service standards required for the vulnerabl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