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만금 지역의 바다생태계와 어로작업의 상관관계 연구

        함한희(Hanhee Hahm),정명훈(Myung-Hun Jung),이동창(Dong-Chang Lee)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2

        이 논문에서는 새만금 간척개발사업의 결과 발생한 생태계의 변화가 어민들의 어업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주목해서 바다생태계와 인간문화의 상호작용성에 대해서 분석했다. 특히 새만금지역 어민들의 어로작업이 장기간에 걸쳐서 변화를 해왔으며, 바다생태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을 중시했다. 시기별 변화를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새만금사업이 시행되기 이전 시기와 공사가 진행 중이던 시기 그리고 방조제완공 후로 나누어서 첫째 새만금지역의 생태계의 변화를 조사하여 비교ㆍ검토했다. 둘째, 어로작업도 세 시기별 특징을 살핀 결과 과거의 어로는 자연과 공동체가 상호작용해서 만들어 낸 전통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했다면, 현재에는 극도의 위기 속에서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개별적이고 경쟁적인 어로작업으로 변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세 번째로는 바다공간에서 일어난 물리적 변화와 어족자원, 문화영역에서 일어난 어로기술력과 어민들의 인식변화의 상호관계성에 주목했다. 새만금사업 이전에는 바다와 어족이 공유재로 인식되었고 그것에 대한 소유권도 개방성을 띠었다. 그러나 새만금사업 이후가 되면서 바다는 크게 축소되고 또 오염도 심각해졌다. 해수유통이 원활해지지 않자, 바다자원은 물론이고 어민들의 기술, 의식 등에서도 심각한 변화가 초래되었다. 한정된 자원을 둘러싼 경쟁구조가 나타나고 어로작업의 도덕성이나 윤리의식이 크게 손상되었다. 바다와 인간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관계망은 생태계 균형이 깨질 때 일방적인 관계로 변해갔다. 부정적인 양태의 어업을 중지하지 못하고 있는 새만금지역의 어민들을 통해서 생계양식의 포기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 성찰을 제의했다. 나아가서 개발사업과 관련한 정책적 차원의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We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marin ecology and culture focusing on changes of fishery taking place in the area of Saemangeum. It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sea and coastal areas and administratively extends to three counties, Buan, Gimje and Gunsan. Fishery in the area has kept change in response to the devastated fishing environments including the sea and mudflats as a result of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Since the dam construction project started in 1991, the regional sea and mudflats have been greatly affected by it. The first evidence of deterioration of the sea environment caused by the dam building was the noticeably shrinking in the variety of fish and increasing pollutions of the water. Because of this, the fishermen tried to develop their survival strategies in terms of using high-tech fishing tools and advanced methods. In the traditional period, fishery and its related knowledge including norms and ethics were naturally formed through communal activities and respect for nature. However, in recent years, fishery has evolved into competitive and independent activities of individual fishermen. Some fishermen seem to be irresponsible in use of contaminated materials in order to increase catches of clams. They are unattentive to collect small fish and clams which was avoided in the past. Under this situation the interconnectivity between sea and humanity has vanished and is replaced by the exploitative relations. The sea space and marine products was no longer considered as open and public properties and instead, a competitive and irresponsible fishery is now widely carried out on the afflicted area. In final we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continuity of fishery under a very polluted water using illegal tools and technologies.

      • KCI등재후보

        유네스코 등재 이후 제주 해녀공동체의 도전과 과제 -‘유산화 (heritization)’ 과정을 중심으로-

        함한희(Hahm, Hanhee) 무형유산학회 2017 무형유산학 Vol.2 No.2

        국내에서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는 종목이 점차 증가하면서 관련된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판단아래서 본 논문이 작성되었다.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에 대한 성찰이 국제적인 학술 영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본고에서는 해녀문화가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전후해서 ‘유산화’ 과정을 겪었고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해녀문화의 유산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보았다. 하나는 해녀공동체의 성격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마을단위의 공동체에서 제주도 전체에 산재해 있는 여러 해녀공동체를 하나로 묶은 새로운 상상의 유산공동체가 탄생한 것이다. 유네스코 협약체제의 영향이 국가의 헤게모니를 강화시킨 것은 명백하지만, 개별 공동체 중심의 보호에는 힘을 미치고 있지 못한 점이다. 마을단위 해녀공동체의 실제 운용력, 상군의 지도력 등이 정부의 상명하달식 정책으로 대체될지도 모른다. 자발적이고 자체적인 운용의 힘 대신 정책적 의존도가 높아질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등재 이후 해녀와 공동체에게 새로운 임무와 과제가 부여된다는 점이다. 그것은 ‘유산만들기’에 많은 시간과 힘을 기우려야 해서 과거와는 다른 국면을 경험하게 된다. 해녀문화가 제주도 전체의 문화적 상징과 정체성으로 부상하면서 해녀들은 홍보, 관광, 교육, 공연 등 생업 이외의 대외 활동에 나서야 하는 일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This article is prepared under the judgment that the issue of increasing elements of UNESCO’s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Korea should be addressed. The reflective studie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afeguarding policy of UNESCO which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 international scholarship has affected my study to a great extent. In this article, it is noted that the culture of women divers in Jeju has undergone the heritization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inscription of UNESCO’s representative list in 2016. Two problems are indicated in the process of heritization of the culture of women divers. One is that the character of the women divers’ community has changed. A new imaginative heritage community has been created by tying together various women divers village communities scattered throughout Jeju Island. It is clear that the influence of the UNESCO Convention strengthens the hegemony of the state, but it may not have the policies to protect individual village communities. Actual operating engin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leadership of the superior haenyeo may be replaced by the government"s top-down policy. It is concerned that policy dependence will increase instead of voluntary and self-management power. Secondly, new duties and assignments are given to the women divers in Jeju after the inscription. It has to spend a lot of time and energy in making ‘heritage’, so it experiences a different phase from the past. As the culture of women divers emerged as the cultural symbol and identity of Jeju Island as a whole, it became more and more necessary for them to engage in outside activities other than livelihood, such as publicity, tourism, education and performance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남북한 여성 생활문화의 이해 : 집안일과 육아를 중심으로

        윤택림(Taek-Lim Yoon),함한희(Hanhee Hahm)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2

        이 연구는 남북한 여성들의 구술생애사를 분석해서 일상생활에서 드러나는 집안일과 육아 경험의 다름과 같음을 비교한 것이다. 남북한은 해방이후 현재까지 서로 다른 역사적 과정을 밟아왔기에 남북한 여성들의 일상적 삶도 많은 차이가 나타난다. 그런가하면, 해방 이전 동일한 문화적 뿌리가 서로 다른 정치체제 아래서도 남북한 여성의 삶을 지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남북한 여성들의 집안일과 육아는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같지만, 그 내용과 비중은 다르다. 남한 여성들에게 육아는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비해서, 북한 여성들에게 있어서 육아는 국가와의 분담으로 인해서 그 무게가 줄어든다. 그러나 남북한 여성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가부장제와 자족주의가 산업사회에서도 지속된다는 점이다. 그 결과 여성의 일상생활은 성별분업에 기초하고 있으면서도 전업 취업 주부를 막론하고 공적영역으로 확장된 집안일과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는 문화 속에서 생활한다. This study aims at the comparative research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women's housework and child rearing practices in order to reveal i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ety. For this, oral histories of 16 women from the South and Nort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outh and North have respectively developed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fter liberation from colonialism in 1945. Each political system has consequently structured the culture of everyday life of women. However, the two societies also shared the same cultural traditions before liberation. It means that the traditional culture has run down through the South and North Korean women's everyday life. Women of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had common norms and behaviors under the system of patriarchical family and the ideology of familism. As a result,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have deeply rooted in everyday life of women in both societies. Regardless women with or without jobs, they are expected to work in and out of house in the name of 'housework' so called 'jib an il' and be super-mothers. In the meantim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societies regarding child rearing practices. While women in the South should put their whole efforts into child raising and education following the social norms and discourses, women in the North receive the government's active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housework and child rearing practices imposed on women who live in different political systems at present and share the same cultural traditions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