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STEAM 수업의 연간 적용에 따른 학생들의 경험 분석

        한효정(Han, Hyojeong),김용진(Kim, Yo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STEAM 차시를 중심으로 연간 9개 프로그램(총 56차시)의 STEAM 수업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연간 STEAM 수업을 경험한 초등학생들과의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수업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참여자들은 본인이 인식하지 못하지만 자기 드러내기 향상을 보였으며, 그로 인해 모둠 협의 시간이 길어졌지만, 여전히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경청에는 어려움을 보였다. 그러나 STEAM 수업을 연간 경험하는 과정에서 협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우호적 관계 형성도 나타났다. STEAM 수업의 다양성에 대한 존중으로 인해 자존감이 향상되어 자신만의 방법으로 수업에 몰입하는 모습도 보였다. 학생들은 STEAM 수업에서 새로운 도구 활용이나 이전에 해보지 않았던 다양한 활동에 대한 바람을 가지고 있었으며, 성공의 경험을 맛보기를 원했다. 이는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의 질적 향상 및 긍정적 학교생활을 위한 우호적 관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과학 교과서에 연간 STEAM 차시가 구성되는 현 체제를 유지해야 함에 대한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앞으로 개발될 초등과학 검정 교과용 도서에는 더욱 다양한 수업 활동 및 도구 활용 STEAM 차시가 구성되어야 한다. 나아가 학생들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반영하기 위한 수업 설계 단계에서의 학생 참여형 STEAM 수업에 대한 새로운 구성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pplied STEAM classes of 9 programs(total of 56 classes) during the year, focusing on the STEAM clas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In addition,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annual STEAM classes, we reviewed what experiences they had in the class and what they meant.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main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did not recognize it, but showed improvement in self-disclosure, and as a result, the group discussion time was longer, but it was still difficult to listen to others opinions. However, in the course of annual experience of STEAM classe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as recognized, and a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teachers also appeared. Respect for diversity in STEAM classes improved self-esteem, and he was shown to be immersed in classes in his own way. Students had a desire to use new tools in the STEAM class or to do a variety of activities they had never done before, and wanted to taste the experience of success. This will serve as a evidence for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of constructing annual STEAM classes in science textbooks to help elementary students improv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build friendly relationships for a positive school life. In addition, the STEAM classes, which utilizes more diverse class activities and tools, should be composed in the elementary science test textbook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 new participatory STEAM class in the class design stage to reflect the diversity and autonomy of students.

      • KCI등재

        과학기술과 인문학 융합 내용 및 융합 방법 실태 분석-초등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과제를 중심으로-

        한효정 ( Hyojeong Han ),권순희 ( Soonhee Kw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개발되어 공개된 233개의 초등학교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과 인문학 융합의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의 융합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추후 STEAM 프로그램 개발이나 정책 개발, 기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위한 수정·보완 등에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STEAM 프로그램 내에서 Liberal Arts로 구분된 국어, 사회, 도덕 교과의 융합 빈도 중 도덕 교과의 융합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의 STEAM 교육에 있어 과학기술과 인문학 융합이 구체적 목적 아래 이루어진 내용적 융합보다는 다양한 학문간의 융합만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과학기술과 인문학 융합의 방법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기술적 차원의 인문학 융합에 비해 규범적 차원의 인문학 융합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졌다. 단순히 두 가지 방법의 정량적 비교가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나, 일부 윤리적, 규범적 정향이나 고민이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발견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기술적 인문학 융합만 이루어져 과학기술의 양면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부재가 염려된다. 또한 STEAM 프로그램에서 분석된 과학기술과 규범적 차원의 인문학 융합이 이루어진 경우도 `과학기술의 활용에 있어서의 인문학 보정`과 `과학기술 연구와 발전 그 자체에 대한 인문학 보정` 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STEAM 프로그램 개발이나 정책 개발, 교육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수정·보완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and methodological aspects of converging scientific technology and humanities in 233 elementary school STEAM programs developed and publicized from 2012 to 2015,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nd implications for editing and supplementing the development of future STEAM programs or policies, or on-site applications of developed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mong the Liberal Arts courses of the STEAM program, including Korean, Social Studies, and Ethics, the level of convergence was lowest in Ethic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convergence between scientific technology and humanities tended to emphasize a cross-studies convergence over a content convergence done with a specific purpose. In terms of methodological convergence between scientific technology and humanities, the level of convergence of humanities at a normative level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at a descriptive level. Although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two methods was not significant, it is rather concerning that due to simply converging descriptive humanities, students may not be so aware of the double-sidedness of scientific technology, despite the discovery of some programs that need re-evaluations of their ethical or normative directions.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ses of converging scientific technology and humanities at a normative level that were analyzed in the STEAM program can be divided into `complementation of humanities to utilizing scientific technology` and `complementation of humanities to research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development.`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TEAM programs and policies and directions for editing and supplementing programs on-site.

      • KCI등재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최윤희(Choi, YunHee),김용진(Kim, Yong-Jin),민재식(Min, Jae Sik),이윤형(Lee, Yoonhyeong),한효정 (Han, Hyojeong),김미점(Kim, Mi Jeom),이동엽(Lee, Dong Yup),신영준(Shin, Youngj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학생 능동 수업 유형과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로는 학생 능동수업의 경험을 가진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며, 본 연구를 위해 학생 능동수업 성과 지표를 개발하고, 학생 능동수업 유형별 교육적 효과 차이와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언어적인 활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보다 는 학생들은 조작적이며 수공적인 유형의 수업에서 학생 능동 수업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생보다는 초ㆍ중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학업 성적은 중, 하 수준의 학생보다 상 수준의 학생들이 능동 수업의 모든 유형에서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6개월에서 1년 미만 능동 수업 경험을 가진 경우에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생 능동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적 사고력’, ‘자기 주도 학습 능력’, ‘정보 매체 활용 능력’,‘발표 토론 참여 빈도 증가’ 부분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인식이 많았다. 학교급별 효과 차이는 ‘심미적 감성 역량’, ‘자기 관리 역량’, ‘과학적 참여’, ‘자기 주도 학습 시간의 증가’ 부분에서 중학생들의 효과가 초등, 고등학생들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과학적 사고력’, ‘자기관리’, ‘과학적 참여’ 부분에서는 남학생에게 효과가 있었고, 1년 이상 학생 능동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자기 주도 학습 시간의 증가’ 면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업 성적과 능동 수업의 경험에 따른 학생들의 잠재적인 발달 수준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방안 제시와 학교급별, 성별에 따른 학생 능동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통해 좀 더 심도 깊게 밝히고 구체적인 대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udent active class types and student active cla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to December, 2016. Participants were 460 elementary, mid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active experience in student activities. As a result, first, students active classroom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than active classroom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were more effective in all types of active class than the students with middle and lower grades. In the case of students who have active class experience for 6 months to less than 1 year, the active effect of student active class is high. Second,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 active class was e enly higher in all areas. Howe er, there were many perceptions that scientific thinking ,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ability to use information media , and The effect of school level difference on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e , self-management competency , scientific participation , and increase of self-directed learning time was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 Self-management ,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were effective for male students, and students who received active classes for more than one year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ti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ay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student s potenti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active classroom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chool s grade and gender, It is necessary to clarify more deeply through the analysis and to prepare specific altern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