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정치프로젝트 수업 사례 분석

        한학범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3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eacher competency for democratic citizenship cultivation classes through the case of political projec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o this end, class ca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approaches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irst, in the class scene of cognitive content access, teachers promoted students to specify the problem situation in their lives according to the values of "freedom and competition," "equality," and "sharing and welfare." Second, in the class scene of the participatory content approach, the teacher led the student to reveal his voice in the public sphere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value of the issue. Third, in the class scene of justice-oriented content approach, the teacher provided an experience of critically approaching how to coordinat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 interests and communities in a dilemma situation while collecting student opinions fairly. As such, the implications requested by teachers to cultivate students' citizenship according to the approach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presented in terms of cognitive, participatory, and justice-oriented approaches, respectively. At this time, a transformational approach can be expected through a multi-layered approach to deal with these three approaches in a reciprocal mann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정치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민주시민성 함양 수업을 위한 교사 역량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민주시민교육 접근 방식에 따라 수업사례를 분석하였다. 첫번째, 인지적 내용접근의 수업장면에서 교사는 학생에게‘자유와 경쟁’, ‘평등’, ‘나눔과 복지’가치에 따라 학생이 처한 삶의 문제상황을 구체화하도록 촉진하였다. 두번째, 참여적 내용접근의 수업장면에서 교사는 학생에게 자기 목소리를 공론장에서 드러내도록 이끄는 가운데 쟁점이 갖는 공적 가치에 대해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세번째, 정의지향적 내용접근의 수업장면에서 교사는 학생에게 공평하게 학생 의견을 수렴하는 가운데 딜레마 상황에서 개인의 이해와 공동체 사이의 충돌을 어떻게 조율하며 공존의 가치를 마련한 것인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처럼 교사가 민주시민교육 접근에 따른 학생의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해 요청되는 시사점을 각각 인지적 접근, 참여적 접근, 정의지향적 접근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때 이 세 가지 접근방식을 다룸에 있어서 상호간 호혜적으로 다루려는 다층적 접근을 통해 변혁적 접근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원연구년 특별연수 참여교사의 경험 분석

        한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교원연구년 특별연수 참여교사의 경험 분석을 통해 교원연구년 운영에 요청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원연구년 특별연수 기간 동안에 참여교사들이 경험했던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동과 참여교사들의 연구주제 및 연구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는 결과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참여교사들은 교원연구년 특별연수과정을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같은 구성원이라는 정체성속에서 자율적인 공동기획을 경험하였다. 둘째, 참여교사들의 연구주제 선정 및 연구과정에는 현장연구전문가에 의한 컨설팅과 참여교사간 유형·무형의 네트워킹에 의해 ‘연구적 학습공동체의 실천’을 경험했다. 이러한 두 가지를 바탕으로 참여교사마다 다양한 교사생애주기와 연구 문제의식에 따라 자신들의 교육현장을 ‘객관화’하며 현장기반 교원 전문성을 드러내는 연구결과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두 가지 결과가 앞으로의 교원연구년 운영에 요청되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참여교사가 경험한 측면에 초점을 두어 성찰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insights into the operation of the Teacher Research Ye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special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 Research Year. To achieve this,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participating teachers experienced during the special training period of the Teacher Research Year, as well as the research topics and processes of these teach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experienced autonomous collaborative planning within the identity of being members of an "out-of-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uring the special training program of the Teacher Research Year. Second, in the selection of research topics and the research process, participating teachers experienced the "practice of a research-oriented learning community" through consultation by field research experts and networking, both in tangible and intangible ways, among participating teachers. Based on these two aspects, each participating teacher concluded their research results by "objectifying" their educational field and demonstrating their field-based teaching expertise, considering various teacher career stages and research concerns.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aspects experienced by participating teachers to reflect on the insights required for the future operation of the Teacher Research Year, based on these two main findings.

      • KCI등재

        D 중학교 교육활동 백서에 나타난 학생주도성 분석

        한학범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D중학교 구성원이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그들이 지향해나갔던 학생주도성의 양상 분석이다. 연구대상은 D중학교 실천사례가 등장하는 백서에 담긴 학교구성원의 목소리들이다. 학교구성원들이 8년간의 교육활동을 회고하며 성찰한 내용이 담긴 백서를 통해 그들이 가졌던 교육적 지향을 제 3자 입장에서 객관화하고자 했다. 연구자는 이를 학생주도성 분석틀에 따라 학생주도성의 발현을 지향하며 실천한 교육활동에 대해 I 단계(개인주도성범주)와 II 단계(공동주도성 범주)로 분류했다. 분류를 통해 D중학교 구성원이 학생의 주도성을 지향하며 실천한전체양상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D중학교 구성원간 관계적인 방식의 주도성에 기반하며 공동주도성 내지는 상호호혜적 주도성을보였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점차 학생으로 하여금 학교구성원으로서 참여도를 높혀갔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학생주도성발현 또는 학생주도 교육과정 운영이 되기 위해 요청되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pects of student agency that members of D Middle School were aiming for as they participated in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chool members featured in a white paper regarding practice cases at D Middle School. Through the white paper, containing school members’ reflections on their eight years of educational activities, they tried to objectify their educational orientation from a third-party perspective. The researcher classified this into stages I (individual agency category) and II (co-agency category) for educational activities practiced to express student agency according to the student agency analysis framework. Through classification, the entire pattern practiced by D middle school members while aiming for student agency was deriv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was based on the agency of the relational method among D middle school members and showed joint agency or reciprocal agency. In this process, students gradually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as school member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he emergence of student agency and the implementation of a student-driven curriculum.

      • KCI등재

        학습자주도성 측면에서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 분석

        한학범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학습자주도성 측면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를 분석하여 학습자주도형 초등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첫째, 1단계로 학습활동의 절차로 나눈 다섯 가지 범주에 따라 각 재구성 실천사례를 학습자중심교육과 학습자주도학습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2단계로 1단계에서 분류한 것을 변혁적 역량의 세 가지 요소에 따라 학습자중심교육과 학습자주도학습으로 재분류했다. 분류한 결과, 학습자중심형과 학습자주도형 사이에서 전개된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학습자주도형 초등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교사와 학생, 또는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생과 학생 사이에 어떠한 참여방식이 필요한지를 제시했다.

      • KCI등재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교사아카데미에 참여한 교사들의 실천적 인식 탐색

        한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3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ractical perceptions tha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Teachers Academy have about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scen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raining and narrativ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ns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re are three practical perceptions of teachers revealed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Academy. First, teachers gradually shifted from what they thought was democratic civic education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cond, teachers shared the view that they realize themselves as 'teacher citizens' and grow into 'student citizens' instead of limiting students to be educated. Third, teachers perceive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ffairs is necessary to grow up as critical citizens. Through the above three, teachers welcomed each other as equal citizens, broadening their demands for democratic citizenship. Methodically they shared the experimental orientation of the students by reflecting their situation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three practical perceptions shown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the following two are presented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First, teachers who will participate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ctivities need an attitude that practically embraces the daily life and life context of the student so that the student's citizenship can be expressed on a daily basis. Second, teachers need an emotional attitude to ensure equal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cene of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with students. This inclusive attitude and emotional attitude can be seen as one aspect of the teacher's competence that teachers should show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itizenship in each educational activity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교사 아카데미에 참여한 교사가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갖게 된 실천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연수참여 장면과 내러티브 자료를 민주시민성이라는 렌즈에 따라 분석하였다. 민주시민교육 교사아카데미에 드러난 교사들의 실천적 인식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교사들은 본인이 생각하는 민주시민교육에서 점차 다중이 인식하는 민주시민교육으로 전환해 나갔다. 둘째, 교사들은 자신을 ‘교사시민’으로서 자각하면서 학생을 교육받을 대상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학생시민’으로 성장시켜 나간다는 관점에 공감했다. 셋째, 교사들은 비판적인 시민으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문제에 대한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위 세 가지를 통해 교사들은 서로를 동등한 시민으로서 환대하면서 민주시민성에의 요구를 넓혀갔다. 방법적으로 학생의 처지를 민주시민교육활동에 반영하여 변용해가는 실험적 지향을 공유하였다. 이상 참여교사들이 보여준 세 가지 실천적 인식을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역량 제고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민주시민교육활동에 참여할 교사들은 학생의 시민성이 일상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학생의 일상과 삶의 맥락을 실천적으로 포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는 학생과 함께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장면에서 서로 동등하면서도 민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려는 정서적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포용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는 민주시민교육의 교육활동 마다 학생의 시민성 함양을 촉진시키기 위해 교사가 보여주어야 할 교사 역량의 한 측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재구성수업 비평

        한학범 ( Han Hak-bu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재구성수업 시도 사례에 대해 수업비평을 하였다. 수업사례의 J 초등학교 교사는 재구성수업 기획을 통해 학생이 맥락적 활동에 참여하기를 기대했다. 맥락적 실천을 지향하는 교사의 의도에 대해 학생은 어떠한 활동을 전개했는지 살펴보았다. 재구성수업 사례 가운데 첫째, 학생이 교과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 맥락을 어떻게 재구성해갔는지를 제시했다. 둘째, 재구성수업을 이끌면서 교사와 학생이 활용했던 상황 전략을 제시했다. 수업비평을 통해 이른바 통합적 방식의 교육과정 재구성 운영에 대해 성찰하였다. 첫째, 통합적으로 교과 내용을 연계시키려는 재구성수업은 예비적 차원의 지향이다. 둘째, 재구성수업은 교과 내용을 학생 관심사와 연계시키며 조율하는 활동을 거치는 동안에 구체화하였다. 셋째, 재구성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참여방식을 포착하려면, 교사와 학생의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방법론적으로 재구성수업 사례를 비평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었을 것이라는 전제 없이 교사와 학생의 활동에 천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재구성수업 의도가 성취한 바는 교사와 학생이 참여한 만큼이 재구성수업의 실제를 드러내는 한 측면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criticized the case of reconstruct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J elementary school teacher project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ntextual activities through reconstruction class planning. I examined what kind of activities the students developed about the teacher` intentions for contextual practice. First of all, I presented how the students reconstructed the context in order to embody the curriculum contents. Second, I suggested a situational strategies that teacher and students used while leading reconstruction lessons. Through the criticism of the class, I was able to reflect on the so - called integrated curriculum reconstruction. First, reconstruction lesson to link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s a preliminary dimension. Second, reconstruction lessons were materialized during the activity of coordinating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ith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Third, in order to capture teacher and student participation in reconstruction clas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eacher and student activities. Methodologically, there should be no premise that it would have been developed in an `integrated way` to critique the case of reconstruction. To investigate how students to linked in a certain way in the reconstruction instructions, there is a need to focus on the practical aspects of participating teacher and students.

      • "생명" 프로젝트: 6학년 주제중심 통합학습

        한학범 ( Hak Bum Ha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4 No.1

        시간표에 따라 국어, 사회, 수학, 과학으로 하던 일상적인 수업을 ``생명``이라는 이름을 붙여 34차시를 연속·연계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주제중심 통합학습 실행 경험에 대한 회고이다. 회고를 통해 통합수업에 대한 경험이 시사하는 바, 즉 통합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학습 실행을 통해 갖게 된 네 가지 질문에 대해 성찰하였다. 첫째, 나는 ``생명``프로젝트를 제대로 실행했는가? 둘째, 나는 통합적 교수경험을 했다고 볼 수 있는가? 셋째, 내가 ``생명``을 통해 얻은 통합에 대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넷째, ``생명``프로젝트가 시사하는 통합의 의미는 무엇인가? ``생명``중심의 일련의 학습은 아동에게 생명적 관점에서 교과내용을 통합적인 관점으로 접근하도록 계속적인 계기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이 방식은 아동의 통합적 학습 경험이 발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학습의 맥락을 유지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The class of the study integrating method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science were attempted with a name called ``life project``. The preparation process was gone through execute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and the integration learning was done over the 34th tim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retrospect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the execution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I was tried to look for the meaning of integration suggests through the experience of integrated learning. A reflection was tried about 4 questions after the integration learning operation. First, Did I practice the ``life project`` properly? Second, Did I obtained the integrated instruction experience? Third, What was the meaning of experience about the integration learning through the ``life`` project? Fourth, What was the meaning of the ``integration`` which the ``life project`` gives implications? The integrated learning was finished and then organized the integrated learning modes of the teacher and child, and the structure of the life project. Execution of the integrated learning was provide the continuous turning point to the child through the integrated learning operation in the life point of view. Accordingly, this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approach can maintain the connection of the relevant context of learning so that the experience of the learning moment could be emerged to the child.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의 학생참여 방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시민과 사회정의』, 『시민과 사회참여』, 『학생자치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한학범 ( Han Hakbu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에 나타난 학생참여 방식을 분석하고자 내용요소와 참여방식을 탐색했다. 인정교과서 내용요소와 함께 이를 다루는 접근방식의 특징을 드러냄으로써 학생의 사회참여 실천을 보장하는 교육활동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인정교과서의 내용요소에 학생을 접근시키는 방식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인지적 접근, 참여적 접근, 정의지향적 접근 등 이상 세 가지 민주시민교육의 접근 관점에 따라 분류했다. 분석결과, 민주시민교육 인정교과서는 인지적 접근에서 출발하면서, 주로 참여적 접근을 통해 학생의 사회참여입문 촉진을 지향했다. 이러한 지향은 학생의 사회참여실천이 보다 더 정의지향적 접근으로 이어져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교육활동 수업이 가능하도록 기획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에게 인정교과서를 활용하는 민주시민교육 활동을 실행할 때 학생에게 참여적 접근을 근간으로 하면서 사회참여 실천의 비중을 높여갈 수 있는 촉진자 역할 수행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교사에게는 학생이 민주시민교육 내용을 사회참여 실천의 활동 안에서 학생주도성을 발휘하면서 다루는 동안, 학생과 함께 공동주도성이 발휘되는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역량이 동시에 요청된다. 이를 위해 민주시민교육 장면에서 학생주도성이 교사-학생간 공동주도성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실천적이면서 포용적인 역량을 신장시켜줄 수 있는 교사지원과 교사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o analyze the student participation method presented in the textbook recognized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 elements and participation method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ctivities that guarantee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were explored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roach to dealing with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cognized textbook.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approaching students to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cognized textbook,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hree approach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 cognitive, a participatory, and a justice-oriented approach. The analysis revealed that textbooks for recogni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tarted from a cognitive approach and aimed to promote students' entry into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a participatory approach. This orientation was designed to enable students' practice of social participation to lead to a more justice-oriented approach, enabling critical reflection on educational activity classes. These results suggest teachers should play a role as a facilitator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based on a participatory approach when implemen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using recognized textbooks. Teachers are simultaneously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develop activities in which co-agency is exercised with students while students deal with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le demonstrating student agency within social participation practice. To this end, there is a need for teacher support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enhance practical and inclusive capabilities so that student agency can be expanded to teacher-student co-agency in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t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