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랜드스케이프 개념에서 본 소우 후지모토 건축의 판의 조직에 관한 연구

        한태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소우 후지모토는 타자적인 요인을 허용하는 자연과 같이 열린 체계를 갖춘 공간을 만들고자 다양한 건축적 시도를 해나가고 있다. 그는 이를 ‘미래의 숲’이라고 하고 있는데, 그것의 본질을 파악해보기 위해서는 랜드스케이프 관점에서 그의 건축을 분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그는 판의 조직을 통해 예상치 못한 타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건축을 만들고자 다양한 건축적 실험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판의 조직을 통해 이루어지는 그의 건축적 실험을 랜드스케이프 관점에서 분석해봄으로써 그가 구현하고자 하는 ‘미래의 숲’의 건축적 본질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장에서 랜드스케이프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랜드스케이프 특성을 도출한다. 3장에서는 그의 건축의 판의 조직 유형을 분류한다. 4장에서는 앞서 3장에서 분류한 판의 조작 유형별로 랜드스케이프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2장에서 도출한 요소를 분석틀로 하여 분석함으로써 5장에서 궁극적으로 그가 구현하고자 하는 건축의 모습인 ‘미래의 숲’의 본질이 무엇인지 해석한다. (결과) 판의 공명적 겹침 유형에서는 병치되고 중첩되면서 물리적 경계가 느슨해지고 공간이 그라데이션처럼 혼성되는 혼성적, 유기적 특성이 높게 나타났고, 판의 다층적 분화 유형에서는 나선형 판의 다층적 분화로 주변의 흐름과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맥락적으로 확장되는 확장적, 연속적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판의 집합적 이접 유형에서는 작은 단위의 매스의 불규칙한 이접을 통해 물리적 경계가 사라지고 부분간의 상호작용으로 경계가 인식되는 유기적, 점유적 특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변이적 반복 유형에서는 물리적 경계를 없애고 확정적 프로그램 없이 스케일과 상대적인 관계만으로 이용자의 행위와 장소가 결정되는 불확정적, 유기적, 점유적 특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랜드스케이프의 관점에서 그가 추구하는 ‘미래의 숲’과 같은 건축은 첫째, 중첩을 통한 공명으로 내외부가 침투되어 관계가 전이되고 혼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둘째, 길과 같은 통로의 다층적 분화를 통해 주변의 흐름과 연계되어 그 사이로 풍경을 끌어들여 건축, 도시, 자연의 관계가 맥락적으로 확장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셋째, 부분의 불규칙한 이접을 통해 물리적 경계를 없애고 부분과 전체가 공존하는 집합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최소 단위 판의 요소의 반복을 통해 나타나는 변이적 구조를 통해 지형과 같이 계기와 실마리로 가득찬 불확정적인 공간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유기적 관점에서 본 도요 이토 건축의 생성적 질서에 관한 연구 - 센다이 미디어테크 이후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태권,김주연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6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53

        The study starts from trying to find the architectural solution for homogenized modern society which makes possible to realize the architecture as one organic piece analyzing the concept of 'Generative Order' in the organic point of view from researching the works of the architect Toyo Ito after his masterpiece the Sendai Mediatheque. Through the exhibition and lectures of Architect Toyo Ito, this study analyzes his works after the Sendai Mediatheque in the organic point of view and tries to derive what ‘Generative Order’ means. First, the concept of the organic and its generative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secondly, looking over Toyo Ito’s change of perspective in organic was done. Based on these two, the study analyzes his works after the Sendai Mediatheque, categorizes the organic generative order, and ultimately derives what the essence of ‘Generative Order’ is. Since designing the Sendai Mediatheque, Toyo Ito tried to design the spaces not only giving it the meaning of continuous space that is open to the outer space but also as an organic space - a living organism. From this organic point of view, we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nto 4 big orders - Convergent Order, Emergent Order, Blurring Order, and Epicene order. From this analysis about Toyo Ito's 'Generative Order', it has been analyzed as not just creating the architectural building itself but defining it as an integration of various creating process, and creating a new flow in the relationship which makes its material condition, giving the variety and the organic flow in the order of the process condition.

      • KCI등재

        알고리즘적 디자인에 의한 공간 경계의 유기적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태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any spatial designs using algorithms as a principle of generative form have appeared in modern architecture, and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design has expanded from the genera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to the overall structur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pace.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n algorithm design deals with morphological reproduction but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spatial boundaries in the composition of a space.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w space is organically expan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undary, which is the basis of the algorithm desig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algorithmic spatial design and analyzed the organic relationship of spatial boundaries in the works made by modern architects using algorithmic spatial thinking, and examined it as a design methodology that might solve the problem of spatial diversity of origin in the modern society which seems to be unsettled but is becoming homogenized. (Method) The study firs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gorithm 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lgorithm.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algorithm space desig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patial boundary, was interpreted to derive the organic expansion factor for analysis and analyze the organic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boundary of the algorithmic spatial design case, and to present the possibiliti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non-linearity and non-equilibrium relationships occupy a large proportion of the spatial design type that uses an algorithm to generate spatial form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indeterminate form that cannot be predicted by a simple algorithmic operation of spatial elements, a variational boundary is generated, and the non-linear relationship of the spatial boundary is strongly demonstrated. In the spatial design type, which uses an algorithm to diversify the spatial structure, multilayered, overall, and resonant relationships occupy a large proportion. In the process of organically organizing the spatial structure using the algorithm, the multilayered and overall relationship of the spatial boundary is strongly expressed as the boundary of an inclusive concept in which the boundary is set with the relative relationship. (Conclusions) In spatial design, this study of algorithmic design is considered to be a spatial attempt to control unpredictable parts through an algorithm.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nvestigated the kinds of organic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algorithmic design in terms of spatial boundaries.

      • KCI등재

        A Study on Organic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ed Space

        한태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Perspectives on space design are changing in the wake of the re-emergence of the complex system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If the motives of space design in the 20th century were mainly inspired by physics or machines; a space for organic shapes is now being created, using computers and inspired by biology, under the complex system paradigm. The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nature inherent in the complex system paradigm, as well as the spatial application of such development characteristics has also been highlighted. More specifically, while a plethora of varied space design works emu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sms based on the “self-organization” principle is appearing, the majority of such works are no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self-organization inherent in nature. Rather, these works imitate nature morphologically by simply adopting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process. However, the purpose of space as a living system—which is created through self-organization under the complex system paradigm—is to create an organic space akin to nature; that is, to create an open system through various space designs that places uncertainty under control, rather than simply imitating nature morphologically. As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a self-organizing space can play the role of the open system required to control the unpredictable aspect of modern society. It did so by examining the potential of the space structure and analyzing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space created through self-organization, a phenomenon inherent in nature. (Method)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n organism are interpreted from the systemic perspective, and its 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its interpretation. In Chapter 3,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ation are examin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homogeniz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from the generative position. In Chapter 4,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self-organized space cas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rganic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Chapter 2 and self-organizing types. The spatial potential of controlling unpredictable parts of modern society as a living system a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organic characteristics through self-organizing type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higher totality in self-aggregated organization, higher dynamic open structure in self-amplified organization, and higher nonlinear structure in the self-deformation organization. Overall, analysis revealed that the feedback structure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organic characteristics in self organizing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self-organized space can form the total structure by non-linear interaction through dynamic openings; induce the feedback of human, space, and nature; as well as play a role as a living system in controlling the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through its organ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일본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산일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태권 ( Han Tae K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1960년대 메타볼리즘으로부터 계속되어 온 일본현대건축의 자연과 같은 열린 체계의 공간에 대한 관심은 2000년대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본 연구는 세계가 주목하는 21세기 일본현대건축을 산일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자연과 인간, 공간 간의 무한한 관계적 다양성을 생성할 수 있는 일본현대건축의 열린 체계로서의 공간에 대한 건축적 담론에 대해 해석하고 이것이 구체적으로 공간에서 어떠한 생성 질서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그 특성을 규명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러한 산일 구조적 특성이 공간구성에서 나타나고 있는 도요 이토를 비롯한 SANAA, 소우 후지모토, 아키히사 히라타, 준야 이시가미의 작품과 저서, 및 강연 내용을 주요 분석의 범위로 해서 이러한 열린 체계로서의 산일 구조적 공간 사유가 일본현대건축에서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 사유적 특성에 대해 해석하고, 이런 산일 구조적 특성이 실제로 공간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첫째, 열린 체계로서의 공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산일 구조는 생명 시스템의 관점에서 크게 피드백 구조, 개방적 구조, 비평형적 구조 등 3가지의 특성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런 산일 구조적 유형을 기준으로 실제 사례를 분석해본 결과, 피드백 유형의 공간에서는 변이적 구조와 공명적 구조가, 개방적 유형의 공간에서는 발생적 구조와 점증적 구조가, 비평형적 유형의 공간에서는 다층적 구조와 이완적 구조라는 산일 구조적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례 분석을 종합해보면, 이런 산일 구조적 공간 특성들이 각 작품 사례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나타나고 있지만, 특히, 일본현대건축에서는 피드백이나 개방적 유형보다는 비평형적 유형의 방향으로 산일 구조적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규명해볼 수 있었다. 일본은 자연이라는 특수성을 건축에 접목하여 발전시켜 왔으며,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자연과 같은 살아있는 열린 체계의 생성적 본질인 산일 구조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일본현대건축을 바로 이해하는데 있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줄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e``s interest in open systematic space like living nature has been continued from the 1960s metabolism to th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the architectural discourse about 21st century Japanese architectural space as open system that generates diverse relationships among nature, human and spac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generative orders from the perspective of dissipative structure. The main scopes of this study were works, writings, and lectures of Toyo Ito, SANAA, Sou Fujimoto, Akihisa Hirata, and Junya Ishigami whose projects tended dissipati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 interpreted the background and spatial reasons that brought dissipati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e, and then analyzed how thes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actual projects through case studies.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over the course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dissipative structure which is the core of open systematic space was studied as three characteristics like feedback structural type, open structural type, and non-equilibrium structural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system. Second, analysis of the results done through a real case, based on types of dissipative structure were as follows; Feedback structural type with ‘variational structure``, and ‘resonant structure``. Open structural type with ‘interactive structure``, and ‘gradient structure``. Non-equilibrium structural type with ‘multi-layered structure``, and ‘relaxative structure``. Third, synthesizing case studies, I could identify that these dissipative structural characteristics have appeared more frequently in non-equilibrium structural type than feedback or open structural type. Japanese architecture has been developed by combining the uniqueness of nature with architecture. In that sense,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e from the view of dissipative structure which is the generative essence of open system like living nature.

      • KCI등재

        패시브 디자인을 통한 중동지역 친환경 호텔 계획에 관한 연구

        한태권 ( Taekwon H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계획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동지역 국가들 역시 오일에 의존한 에너지 과소비 공간에서 벗어나 전 세계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슈에 주목하여 친환경 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친환경 인증을 의무화하는 등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친환경적인 공간 디자인에서는 특히 자연의 환경을 활용하여 에너지 부하를 줄이고 동시에 쾌적한 공간 환경을 조성하는 패시브 디자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패시브 디자인을 통해 중동지역의 기후에 순응하는 친환경적인 공간 계획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제 중동지역의 친환경적인 호텔 계획을 통해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첫째, 이론적 고찰로 친환경 패시브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중동지역에서의 패시브 디자인 방향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친환경 패시브 디자인에 대한 계획 방향의 근거를 마련한다. 둘째, 중동 국가 중 하나인 카타르 지역에 대상 부지를 정하고,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디자인 단계별로 어떠한 친환경적인 기술이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고 이를 에코텍(Ecotect)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로는 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2020년 월드컵을 계기로 많은 호텔이 계획되는 중인 카타르 지역을 대상으로 친환경적인 호텔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첫째, 중동지역에서 재실자 쾌적성 및 에너지 사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사량에 대한 분석을 비롯해 온습도 분석과 강수량 분석, 최적향 분석과 음영분석, 그리고 주풍향 분석 등 환경 분석을 통해 친환경적인 호텔을 위한 패시브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했다. 둘째, 열적부하를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더위에 지친 여행객들에게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여 실내외 공간에서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은 특별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플로팅 오아시스`라는 개념을 만들어 패시브 디자인 전략을 세우기 위한 가이드를 만들었다. 셋째, 셀프쉐이딩과 쿨루프에 의한 차양효과로 일사부하를 낮춰 냉방 에너지를 절감하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입면에 나타나도록 계획했다. 또한 자연환기 및 실내 수직 정원을 통해 실내공기질을 향상시켜 재실자 쾌적성을 향상시켜 친환경적인 호텔로 계획했다. (결론) 본 연구는 호텔의 에너지사용량 중 특히 중동지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냉방부하를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패시브 디자인 전략을 통해 카타르 대상 부지에 친환경적인 호텔을 계획함으로써 활발하게 호텔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동지역에서의 친환경 호텔 계획에 대한 하나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해 줄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ustainable space design is currently emphasized worldwide.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are paying attention to issues of sustainability and striving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eco-friendly design, requiring them to comply with sustainable certification. For sustainable space design, passive design is important to reduce the energy load and improve energy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by creating a comfortable milie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stainable space design that conforms to the climate of the Middle East through passive design. To achieve this, we designed an eco-friendly hotel in the Middle East, and present the possibilities for its sustainability. (Method) As a study method, I first establish the basis of sustainable design by describing the concept and outlining the direction of passive design in the Middle East. Second, I propose spatial planning according to the design process. I describe climate analysis, the concept of passive design, application of passive design, and environmental effects. Furthermore, I verify the sustainability of spatial planning through an Ecotect simulation, which is an eco-friendly simulation tool. The scope of the study encompasses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hotel design in Qatar, where many hotels are planned for the 2020 World Cup. (Results) First, I set the direction of passive design for sustainable hotel design through environmental analyses of solar radi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orientation, shading, and prevailing wind. Second, I develop guidelines for a passive design strategy. To this end, I create a “floating oasis,” which will save energy by reducing the thermal load and provide a comfortable space for tired travelers, namely a desert oasis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Third, I plan to reduce the solar radiation load through self-shading and a cool roof to save the energy required for cooling. This was naturally designed in the elevations. In addition, I design a sustainable hotel by planning natural ventilation and indoor vertical gardens to improve the quality of air indoors and occupants` comfort.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s a passive design strategy that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reducing the cooling load, which constitutes a large proportion of hotels` energy usage, especially in the Middle Eas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design direction for sustainable hotel design in the Middle East from a passive design strategy perspective.

      • KCI등재

        일본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살아있는 시스템으로서 공간의 요동에 관한 연구

        한태권(Han, Tae Kw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공간의 살아있는 시스템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기 위해 이러한 살아있는 시스템의 촉매로서의 핵심인 요동이 공간적으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 규명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60년대 메타볼리즘을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살아있는 시스템적인 공간에 대한 다양한 건축적 시도를 해나가고 있는 일본현대건축을 연구의 범위로 했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된 요동의 특성을 기준으로 일본현대건축가의 공간적 사유에서 나타나는 요동의 공간적 요인을 해석해보고,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론을 요약해보면, 첫째, 살아있는 시스템에서의 요동은 유기체적 관점에서 크게 자기응집, 자기증폭, 자기변형 등 3가지의 특성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둘째, 일본현대건축의 살아있는 시스템으로서의 공간적 사유에서 나타나는 요동의 공간적 요인은 자기응집의 관점에서 병치와 이접, 자기중폭의 관점에서 중첩과 확장, 자기변형의 관점에서 탈경계와 다중심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셋째, 이를 토대로 실제 사례를 분석해보면, 자기응집이나 자기증폭 보다는 전반적으로 자기변형적 방향으로 공간적 요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이런 공간적 요동은 탈경계에 의한 동적인 비평형 상태를 만드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fluctuation which is a catalyst for the living system could appear in space by any types. I decided the range of this study as the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e that did various architectural attempts from the ‘Metabolism" in the 1960s for the space as a living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ctuation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tries to interpret the fluctuation factors of the space that appeared in spatial thoughts of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s and to analyze them through practical examples. From this process, I could get conclusions, and they were as follows. First, the fluctuation of a living system could be reviewed as the selfaggregation, the self-amplification, and self-deformation from the organic point of view. Second, the spatial factors of fluctuation was interpreted as follows: self-aggregation type with juxtaposition and disjunction, self-amplification type with superposition and expansion, and self-deformation type with blurring and multi-center.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works, the tendency of such a spatial fluctuation could be analyzed that the self-deformation generally appeared higher than the self-aggregation and the self-amplification. In conclus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spatial fluctuations appearing in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e appeared in the direction of creating a dynamic non-equilibrium state by blurring the spatial bound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