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화물 나노구조물 제작 및 특성 연구 : 알루미나 나노선 그리고 PZT 나노튜브

        한진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나는 이 논문에서 산화물 나노구조물 제작을 위해 다공성 양극산화 알루미나(PAM)의 식각과 PZT졸-겔 용액 증착을 사용하여 알루미나 나노선과 PZT 나노튜브를 제작하였고 그 특성을 연구 하게되었다. 이러한 산화물 나노구조물 제작에 쓰인PAM은 2단계 양극산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잘 정렬되고 균일한 기공을 가지고 있었다. 알루미나 나노선 제작을 위해 doplet 식각 과 immersion식각 방법을 사용했다. Droplet 식각 방법으로 PAM에서 알루미나 나노선이 되는 과정이 세 단계로 이루어졌음을 주사전자현미경(FESEM)을 통하여 직접 관찰 할 수 있었다. 알루미나 나노선은 동축 케이블에서의core-shell 구조와 비슷한 두 개의 산화물 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Immersion 식각 방법을 통하여 식각 용액이 알루미나 나노선 제작에 미치는 영향을 X-선 광전자 분광법을 사용하여 살펴 보았다. 그 결과 H3PO4 용액에서 제작된 알루미나 나노선의 표면에서 Al-O-P 결합 의 존재 때문에 P 원소를 검출 했다. 또한 NaOH 용액에서 제작된 알루미나 나노선은 PAM 과 같은 Al-O 결합을 가지고 있음을 검출했다. PZT 나노튜브 제작은 PAM 을 주형틀로써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졸-겔 방법과 스핀코팅 방법을 접목하여 제작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작된 PZT 나노튜브는 직경이 50 nm, 벽 두께는 5 nm 를 가지고 있었다. 양질의 PZT 나노튜브 제작을 위해 PZT 졸-겔 용액의 몰 수 와 스핀코팅 회전수를 변수로 하여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 빈공간이 없고 균일한 벽을 가진 PZT 나노튜브를 얻었다. 또한, 식각 시간 증가에 따른 PZT 나노튜브의 표면 분석을 수행 함으로써 그 나노튜브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조사하였다. This thesis presents a fabrication of variable oxide nanostrucutres, specifically alumina nanowires (ANWs) and PZT nanotubes (PZTNTs), using an etching process and a deposition of a PZT sol-gel solution on a porous alumina membrane (PAM), respectively. The ANWs were fabricated from PAM employing a simple droplet etching and an immersion etching method. In the droplet etching metho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NWs had three critical steps which were directly observ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fabricated ANWs appeared to have a two-oxide-layer structure. In the immersion etching method, the etching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these ANWs under various etching-solutions was revealed. In the H3PO4 solution, molecules of H3PO4 absorbed, forming Al-O-P bonds at the surface of the ANWs. In the NaOH 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of the ANWs was analogous to the initial PAM, forming Al-O bonds. The PZTNTs were synthesized by a template-directed growth process in conjunction with a sol-gel process and a spin coating technique. FESEM images of these PZT nanotubes show that they have a diameter of 50 nm and a wall thickness of 5 n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PZT nanotubes on the etching time, samples were taken at hours 1, 3, 7 and 15 of the selectively etching process in an H3PO4 solution.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size of the lead aluminate increased, which suggests that the interface interaction was enhanced at the higher annealing temperature.

      • 전략적 자산으로서 물가연동국고채의 가치

        한진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자산으로서 우리나라 물가연동국고채가 가지는 가치에 대해 연구하였다. 물가연동국고채의 발행시점인 2007년 4월부터 2010년 5월까지 6개 자산(주식, CD, 국채, 회사채, 부동산, 물가연동국고채)의 월별 수익률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스패닝 검정을 통해 기준자산의 포트폴리오와 기준자산에 물가연동국고채를 포함한 포트폴리오를 비교하였고, 다양한 포트폴리오 조합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물가연동국고채의 장점인 비과세 효과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물가연동국고채는 무조건부 스패닝 검정에서는 기존의 효율적 투자선을 확장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조건부 스패닝 검정에서 기존의 효율적 투자선을 확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구변수의 변화에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았다. Ferson and Siegel(2001)에 의하면 조건부 모형이 무조건부 모형보다 더 적절한 검정방법이므로 물가연동국고채는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러나 비과세 효과는 본 연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자료의 수집기간인 2007년 4월부터 2010년 5월까지 물가가 안정된 기간이었고, 사용한 자료가 실제 거래할 수 있는 가격이 아니라 실제 거래된 가격을 활용하여 채권평가사가 계산한 가격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단기 매매보다는 보유 목적의 자산으로서 더 가치가 있는 자산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패닝 검정 방법은 다양한 자산과 도구변수를 포함할 수 있는 매우 일반적인 모형으로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원금이 보장되는 물가연동국고채가 새로 발행되면서 예상치 못한 디플레이션이 나타나더라도 투자자는 원금손실에 대한 우려 없이 물가연동국고채 투자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 물가가 해외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적인 관점에서 물가상승에 대비해야하므로 전략적 자산으로서 물가연동국고채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탄소나노튜브 상대전극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arbon Nanotube based Counter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한진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탄소나노튜브는 1991 년 일본 NEC 부설 연구소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전기방전법을 이용하여 흑연 음극상에 형성시킨 탄소 생성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우연히 발견된 탄소 동소체, 탄소나노튜브는 하나의 탄소가 다른 탄소원자와 육각형 벌집 무늬로 결합되어 둥그렇게 말린 튜브 형태를 이루고 있다. 튜브의 직경이 나노미터 수준인 자연계에서 가장 가는 튜브이며, 그 지름이 머리카락의 10 만분의 1 에 달한다. 전기전도도는 은과 비슷하고 열전도율은 다이아몬드와 비슷할 정도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어 각종 장치의 전자 방출원,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백색 광원, 전계발광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2 차 전지 전극, 나노 와이어, SPM(Scanning Probe Microscope)의 탐침(probe), 고기능 복합체 등에서 많은 응용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알루미늄보다 낮은 밀도와 구리보다 높은 전기 전도도 및 다이아몬드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도성 필름, 투명전극재료등 전자소자의 핵심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다른 탄소계 물질과는 달리 전기전도성이 매우 우수하고 전계방출특성이 양호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구조에 따라 탄소의 전자구조가 다르기 때문인데, 즉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흑연 속의 탄소는 sp² 결합구조를 지니고 있고, 절연체인 다이아몬드는 sp³ 결합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탄소나노튜브는 sp²~sp³ 의 중간 상태의 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흑연과 같이 금속과 유사한 만큼의 높은 전기전도도에서 반도체에 해당하는 보다 낮은 전기전도도까지 다양한 전기전도도 특성을 지닌다. 전기전도도가 금속의 수준에 달하고 표면적은 벌크 재료에 1,000 배 이상 높은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를 전도성 필름이나 전극소자에 활용시 보다 우수한 전도성을 이룩하고 촉매기능 등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탄소나노튜브의 개질이 필요하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를 고전도성 필름 및 투명전극에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탄소나노튜브의 개질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WNT 를 산처리를 통해 개질하여 -COOH 를 도입한 산처리된 MWNT 와 TEMPO 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MWNT-TEMPO 그리고 TEMPO 를 사용한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방법(ATRP)를 이용하여 수용성 고분자인 PSS 를 중합하고 합성된 분자량이 조절된 고분자로 MWNT 을 개질한 고전도성 개질 MWNT-PSSNa 를 합성하고자 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물이나 에탄올에 안정적으로 분산된 탄소나노튜브 용액을 만들 수 있었고 이렇게 만들어진 용액을 이용하여 정전스프레이를 통하여 박막의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만들 수 있었다. 기존에 사용된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경우 접착력과 분산도의 향상을 위하여 고분자물질을 섞어서 분산된 용액을 만들었으나 이번 실험을 통해 따로 고분자물질을 혼합하지 않아도 전극으로 사용가능한 우수한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만들게 되었다. 세가지 합성된 용액 중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고분자물질로 개질한 전극이 가장 좋은 전기적 특성 (전도도, 표면저항 등)을 가지고 있었다.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하여 기존 전극에 비해 넓은 비표면적과 탄소나노튜브 자체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이용하기 위하여 사전조사를 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상대전극의 경우 백금촉매와 전도성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해질과 전극계면에서의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촉매작용과 산화/환원 반응의 결과로 생성되는 전자들에 대한 상대전극 표면에서의 전자 전달기능을 하고 있는데, 빠른 전자전달(고전도성) 기능과 산화/환원 촉매 반응 및 안정한 내구성 있는 전극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미 촉매작용에 관한 논문은 발표된바 있고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통해 빠른 전자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전도성 및 기능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 기반 코팅제를 합성하여 이를 소자로서의 적용시켜 상당한 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show the reaction of sp²-hybridized carbons of carbon nanotube with poly(sodium styrene-4-sulfonate) (PSSNa) chains terminated with the 2,2,6,6-tetramethylpiperidinyl-1-oxyl (TEMPO) radical-stabilizing group. Upon heating, polymeric radicals that are reactive towards the surface of carbon nanotube are released. PSSNa radicals were grafted on the surface of carbon nanotube. Modified carbon nanotube showed good dispersion in water. PSSNa modified carbon nanotube (CNT-g-PSSNa) film formed on fluorine-doped tin oxide glass substrate by electrospray method has been investigated as a counter electrode for tri-iodide reduc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The sheet resistance of CNT-coated layer on FTO glass was measured as the value of under 10 Ω/□ by 4-point probe method. The photovoltaic parameters, in particular,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shows a dependency on the film thickness of modified multi-wall CNTs. Under one sun illumination (100mW/㎠, AM 1.5 G), the device shows a maximum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of 7.04%.

      • 충남대 영재교육원 사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삼투압 현상 연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진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ed to describe the theory of osmosis pressure targeting the students in the judges process, and Science Gifted Academy Institute,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osmotic pressure by creating a machine for directly measuring osmotic pressure. The students gathered six students in eighth grade once every two weeks currently in Daejeon and after educat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rst day, there was for students a class on the theory of osmotic pressure that were the process to establish the van't Hoff law by the ideal gas equation PV = nRT and to obtain and to calculate the molar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the moles and mass of solute by using and . The solute were sugar and salt and it was identified that because the calculated value of solute was very small, it could not use and . was the osmotic pressure at the time that it could not be observed any more changes of the osmotic phenomena to reach equilibrium, and was the osmotic pressure at the first time that because the osmotic phenomena started, it could not use both formulas together. In science textbooks, it was referred to a semi-permeable membrane but it could not act as a semipermeable membrane so that in case of the experimental semi-permeable membrane, when the diameter was 24Å and the molecular weight was greater than 10000 ~ 14000, the solute could not pass through a semi-permeable membrane. Therefore, if the molecular weight of solutes were small such as sugar and salt represented in textbooks, it would actually be difficult to get the expected experimental values in real the experiment. This experiment was to make the gifted students understand the theory of osmotic pressure at the level of grade 2 and 3 in the high school, and to clearly explain the semi-permeable membrane and the kinds of solutes, and in order not to make confusion and misconceptions caused by the textbook, we needed to be patient.

      • 초고유동 속경형 CLSM의 개발과 적용

        한진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도시에서는 전기, 상하수도, 가스, 통신 파이프라인 등 다양한 지하시설물이 도로 아래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 지하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도로의 굴착, 복구와 재굴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시공 방법은 뒤채움 재료의 다짐이 매우 어렵거나 아예 불가능한 영역이 존재하기도 한다. 다짐이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원하는 다짐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외에서 다양한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저강도 채움재인 CLSM(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이 개발되었으며, 유동성이 있어 지하시설물의 뒤채움 등에 활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서는 CLSM과 관련된 규제, 현장 적용성 및 CLSM의 품질 문제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SM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이전에 개발된 CLSM보다 크게 높은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재료분리를 방지하고 빠른 경화가 가능한 CLSM을 새로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실내 실험을 통해 CSA 기반 바인더와 플라이애시를 이용한 CLSM의 최적 배합을 도출하였다. 새로 개발된 CLSM의 유동성은 700mm로 ACI 229R-13에서 “high flowable”로 정의한 200mm를 크게 웃돌며, 압축강도와 블리딩은 ACI 229R-13에서 제시된 일반 기준을 만족하였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CLSM과의 성능 비교 결과, 개발된 CLSM의 유동성이 2.5배 이상 높고 안정적인 압축강도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치해석 결과, 기존의 뒤채움 방법이 근접 굴착에 크게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었으며, 반면 CLSM은 근접 굴착으로 인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모형실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된 CLSM의 성능을 확인하고자 도로 하부 공동채움 및 관로 뒤채움 시공을 수행하였으며, 시험 결과 매우 우수한 시공성 및 뒤채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새로 개발된 CLSM은 CLSM의 생산비용이 일반적인 뒤채움용 토사보다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기존 방법에 비해 기존 포장의 폐기물 처리 비용, 신규 포장 비용 및 기타 공사 비용 등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Metropolitan cities, various utilities including electricity, water supply, gas and communication pipelines are buried under road infrastructure. However, the maintenance and installation of these utilities require repetitive excavation and backfilling of the roads. Yet,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s often face difficulties in achieving proper compaction of the backfill material. This challenge becomes particularly pronounced in areas where the nature of the buried utilities makes effective compaction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Even in instances where compaction can be achieved, it frequently demands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effort to attain the desired level of compaction. As a solution to these issues,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CLSMs) have been developed using various byproducts for backfilling or void-filling around pipelines or culvert boxes. However, these CLSMs could not be applied in Korea due to regulations, applicabilities, and quality problems related to CLSM. In this study, a new CLSM is developed to ensure significantly higher flowability, lower segregation, and faster installation compared with previously developed CLSMs. This was achieved through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To enhance flowability and prevent segregation, calcium sulfoaluminate-based binder and fly ash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two types of additives. The measured flowability of the new CLSM is 700 mm, while its compressive strength and bleeding satisfy the general criteria specified by ACI 229R-13.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developed CLSM was compared with that of pre-developed CLSMs. The new CLSM not only exhibited the highest flowability but also satisfied the specified requirements for compressive strength and bleeding.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ditional backfilling method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nearby excavations. In contrast, CLSM showed minimal impact from nearby excavations. This trends aligns well with the findings from scale model test. The performance of the new CLSM was validated through both void filling under the road and utility line backfilling test construction. Overall, it is anticipated that the developed CLSM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s related to the disposal of old pavement, the installation of new pavement, and other construction expenses rather than the costs relat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even though the expenses for backfill material can be increased due to the higher production costs for CLSMs than soil.

      • (The)thermal stability parameter in a nanostructured exchange-coupled trilayer for high density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한진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nalytical/numerical combined method is used to calculate the thermal stability parameter of an exchange-coupled trilayer, Co-Fe-B (2 nm)/Ru (0.6 nm)/Co-Fe-B (2 nm), with lateral dimensions of 160 nm ⅹ 80 nm. Micromagnetic simulation is performed to obtain the equilibrium magnetic configuration, from which the effective magnetostatic fields, which are used as inputs in an analytical equation for the total magnetic energy, are obtained by averaging over the entire magnetic layers. Systematic calculations, even considering the effects of edge rounding during nanofabrication, are performed and the thermal stability parameter is calculated to be in the range 62 ~ 69, which is in agreement with the value (68) reported in the literature from the current induced magnetization switching experiments by using the Slonczewski equation

      • AST를 활용한 SQL injection 취약점 예방 방법에 관한 연구

        한진규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해킹을 비롯한 사이버테러, 정보 유출 등 정보화 시대의 주요 근간을 위협하는 파급력이 큰 침해 사례들이 온라인 세상에서 벌어지고 있다. 과거 컴퓨터 해킹 및 침해 사고의 대부분은 유닉스 등 네트워크가 연결된 전문 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지금은 방화벽, OS 패치 등 외부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강화되면서 웹(Web)을 통해 서비스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대부분이 침해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OWASP(The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는 국제 웹 보안 표준 기구로서, 매년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OWASP TOP 10)을 발표한다. 2004년 이후 5차례 발표되었는데, 2010년 이 후 줄곧 위험도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취약점이 SQL Injection 등 Injection 취약점이다. 정부 또한 정보화사업 중 개발 단계부터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야만 보안이 이루어진다는 판단 하에 「시큐어 코딩 가이드」,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 가이드」등 개발단계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수작업에 의해 진행할 수밖에 없는 약점이 있다. 기존 취약점 점검은 주로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SQL 문장의 특정 패턴을 인식하여 취약점 여부를 판정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이는 많은 오탐을 동반하여 점검자가 소스코드를 수작업으로 추적하여 실제 취약점인지를 판정하는 부수적인 작업들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스코드 외관을 스캔하는 방식을 벗어나 JAVA 소스코드 구문분석기를 활용하여 SQL Injection 취약코드를 식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자바 소스코드의 구문 분석결과를 토대로 취약한 소스코드 형태를 식별하고, 식별된 코드가 실제로 위험한 코드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코드로의 데이터 흐름이 있는지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실제 웹 어플리케이션에 사용가능한 취약점 분석기를 개발하여 전체 시스템 운영환경의 보안수준 향상 및 효과적인 보안활동을 수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