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로의 연대: 이미지로 보는 16세기 독일 루터파 공동체의 이상

        한유나 ( Yu Na Han ) 연세사학연구회 2022 學林 Vol.49 No.-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년)는 개인의 불행과 고통이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및 그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함께 위로해주고 극복해야 하는 공동의 과제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공동체의 이상은 기독교의 전통적 미덕 중 하나인 ‘이웃 사랑(amor proximi)’에 토대를 둔 것이었다. 루터는 성경의 전체 내용이 믿음(fides)과 이웃에 대한 봉사, 이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전자는 오직 후자를 통해서만 진정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주장했을 만큼 ‘이웃 사랑’ 개념에 전에 없이 큰 가치를 부여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16세기 루터파 문화권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들이 이웃 사랑의 실천에 동기를 부여하고 공동체의 연대와 결속을 다지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그림들은 한편으로는 감상자로 하여금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을 지탱해줄 공동체적 안전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감상자 자신도 이러한 안전망의 형성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한다는 책임감을 일깨웠다. 기존 미술사 연구들은 이웃 사랑의 주제를 다룬 16세기 루터파 이미지들 상당수가 중세의 전통적 주제들과 도상을 그대로 차용한다는 이유로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이미지들은 신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논의되었던 ‘이웃 사랑’의 추상적 개념과 공동체적 이상이 일상생활 안에서 사회 구성원들의 실천적 행위로 구체화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들이다. 이미지에서 드러나는 16세기 독일 루터파 공동체의 이상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성을 보여준다. 첫째, 이웃 봉사에 있어 도움의 공여자와 수혜자의 구분이 없는 호혜적 관계의 형성을 강조하였다. 이웃 사랑의 의인화(personification)인 여성이 갓난아이를 수유하면서 동시에 다른 아이들로부터 과일을 받아먹는 모습을 담은 ‘카리타스(caritas)’의 도상, 전도 활동을 위해 먼 길을 떠나기 전 서로를 다정하게 격려하는 사도들을 재현한 ‘사도들의 이별(divisio apostolorum)’과 같은 주제들이 크게 유행하였다. 둘째, 정신적 위안과 물질적 원조에 대한 균형감 있는 관심을 장려하였다. 복음 전파를 구원에 대한 확신과 희망을 전하는 이웃 봉사의 행위로서 시각화한 작품들과 빈민구제를 위한 공동기금(Gemeiner Kasten)의 주제를 다룬 이미지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현실에서 상호 원조를 통해 친밀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이웃들이 곧 기독교 공동체 전체의 구현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였다. 특히 신자들이 함께 모여 전례에 참석하는 교회 공간에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의 집단 초상이 포함된 제단화나 추모화(epitaph)들을 안치함으로써 그 상징성을 극대화시켰다. Martin Luther (1483-1546) urged fellow men to actively help their neighbors in distress, and in the case of their own tribulation, to seek out some company who could assist them. This idea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al Christian concept of neighborly love, to which the reformer attached unprecedented importance: the whole scripture was to be simply encapsulated in two notions, that is, faith and neighborly love, and the former could be fully achieved only by the latter. Luther’s ultimate goal was to establish a network of mutual support and protection within his community. Sixteenth-century Lutherans in Germany actively used images visualizing the reformer’s idea to indeed foster solidarity among themselves. For example, the works presenting the iconographic themes such as Caritas and the Separation of the Apostles highlighted the reciprocity of neighborly service. Meanwhile, those images respectively thematizing preaching of the salvific Word and raising of communal funds propagated that spiritual and material aids were equally important. Group portraits of local congregations also became a crucial part of Lutheran visual culture;they represented the “network of support” in a literal sense. The presence of neighborly love was easily to be buried in oblivion in everyday life. Thus, it was the mission of the pictorial works depicting the Lutheran ideal of solidarity to reassure the viewers that loving hearts ready to assist were available to them whenever needed.

      • KCI등재

        뜻밖의 위로: 서유럽의 흑사병과 14-16세기 신체적·심리적 고통의 시각화

        한유나 ( Yu Na Ha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3 美學·藝術學硏究 Vol.69 No.-

        14세기 흑사병이 서유럽에 상륙하면서 해당 병증을 드러내며 고통스러워하는 환자들의 모습이 동시대 미술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다양한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기존 연구에서 감염되었을 당시의 상태나 병증의 치료와 같은 대처 방식을 기록한 의학사적 사료로서만 관심을 받아 왔다. 최근 근세미술사학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고통 받는 몸’에 대한 일반적 논의를 적용하면, 흑사병의 고통을 시각화한 작품들을 공포감 조성을 통한 윤리적 계도의 수단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당대인들이 전염병을 인간의 죄에 대한 신의 형벌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 그림들이 감상자들에게 비판적 메시지보다는 위안을 전달하는 ‘뜻밖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고찰한다. 이 그림들은 감염된 자들에게는 자신들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비감염자들에게는 자신들에게도 닥쳐올지 모를 고통에 대한 두려움을 가시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는 일레인 스캐리(Elaine Scarry)가 주장했던 것처럼 고통의 표현불가성으로 인한 외부와의 단절을 “대상화된 형태”로 변환하여 그 괴로움을 일부 경감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또한, 문학치료(bibliotherapy)의 핵심 치유 기제인 “너 혼자만이 겪는 고통이 아니다”라는 공감적 체험을 제공했던 것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아비 바르부르크(Aby Warburg)의 논의를 적용할 경우, 불가해한 고통과 공포를 승화시키고 카오스적인 세계 안에서 정위하려는 서유럽인들의 절박한 노력을 담은 일종의 파토스 형식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14-16세기 흑사병 환자들의 고통을 재현한 작품들의 조형 언어와 문화사 및 종교사적 맥락이 실제로 이러한 현대이론의 틀과 서로 공명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이 그림들이 인간의 고통과 치유에 대한 보편적 속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때문에 그 감상에 있어 ‘뜻밖’이지만 또한 친숙한 위로의 기제가 작동함을 밝힌다. After the outbreak of the Black Death,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pain caused by the plague became increasingly popular, the zenith of which was between the late fifteenth and early sixteenth centuries. These images have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 mainly as historical records describing the symptoms of the disease and its medical treatment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however, is to demonstrate that they played an “unexpected” role in comforting contemporary viewers: for those who were already contaminated, the images gave shape to their current pain, while for the noninfected, they materialized the fear of possible infection and the following pain. Here, the images can be understood as “objectified pain” in Elaine Scarry’s term, allowing an otherwise inexpressible inner state to be communicated to the external world, and thereby offering emotional catharsis. In the images of pain, the viewers also discovered the fact that they were not alone in suffering ― a crucial mechanic of consolation particularly emphasized by modern practices of bibliotherapy. Lastly, adopting Aby Warburg’s ideas, these images are to be considered as a kind of Pathosformel embodying Europeans’ efforts in the age of the bubonic plague to sublimate the inexplicable crisis as well as to orient themselves in that chaotic world.

      • KCI등재

        PLS 시행 전후 경기도 유통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 비교 분석

        송서현,김기유,김윤성,유경신,강민성,임정화,유나영,한유,최희정,강충원,김윤호,서정화,최옥경,Song, Seo-Hyeon,Kim, Ki-Yu,Kim, Yun-Sung,Ryu, Kyong-Shin,Kang, Min-Seong,Lim, Jeong-Hwa,Yoo, Na-Young,Han, Yoo-Li,Choi, Hee-Jeong,Kang, Choong-Won,K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2019년 1월 1일부터 전체 농산물에 확대 적용된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경기도 유통 농산물 검사 자료 28,693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였다. 전체 검사 실적 대비 기준 초과 비율은 2018년 1.0%, 2019년 1.2%, 2020년 1.2%로 나타났고, 잔류농약 검출 비율은 2018년 12.9%, 2019년 25.1%, 2020년 37.3%로 증가하였다. 2019년 기준초과 114건 중 55건이 일률기준(0.01 mg/kg) 적용이었고, 2020년 기준초과 115건 중 66건이 일률기준 적용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비의도적 오염,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 부정 농약에 대한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Fluquinconazole은 비의도적 오염이 원인이었고, diazinon, chlorothalonil, methabenzthiazuron은 미등록 작물에 관행적 사용이 원인이었다. Chinomethionat은 과거에 폐기된 농약 성분으로 밀수 농약 사용이 원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와 이후 모니터링 자료는 앞으로 제도 보완 및 현장 관리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confirm the impact of the Positive List System (PLS) being applied to all agricultural products from January 1, 2019, we analyzed 28,693 points of inspection-related data on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ed in Gyeonggi-do from 2018 to 2020. The ratio of cases exceeding the standard for the total inspection performance was 1.0% in 2018, 1.2% in 2019, and 1.2% in 2020. Out of the 114 cases exceeding the standard in 2019, 55 were applied on a Maximum Residue Limit (MRL) of 0.01 mg/kg, and out of the 115 cases exceeding the standard in 2020, 66 were applied on a MRL of 0.01 mg/kg. To improve this, it seems necessary to manage unintentional pollution, conventional use for unregistered crops, and illegal pesticides. Fluquinconazole detection resulted from unintentional contamination, and diazinon, chlorothalonil, and methabenzthiazuron detection resulted from conventional use in unregistered crops. Chinomethionat is a pesticide component that was discarded in the past and its current use has been attributed to the smuggling of pesticides. This study and future monitoring data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ystem supplementation and on-site management reinforcement.

      • KCI등재

        경기 북부 지역 유통 엽경채류의 농약 잔류량 분석

        유나영,김기유,김윤성,김상태,송서현,임정화,한유,최희정,김윤호,서정화,최옥경,Yoo, Na-Young,Kim, Ki-Yu,Kim, Yun-Sung,Kim, Sang-Tae,Song, Seo-Hyeon,Lim, Jeong-Hwa,Han, Yoo-Li,Choi, Hee-Jeong,Kim, Youn-Ho,Seo, Jeong-Hwa,Choi, Ok-Ky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in 160 stalk and stem vegetables marketed in Northern Gyeonggi-do. The QuEChERS method using GC-MS/MS and LC-MS/M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idues of 341 pesticides in the samples. The maximum or lower than the residue limit was recorded in 75 samples (46.9%), while 4 samples (2.5%)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imit (MRL). Thirty-nine kin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cluding fungicides (14), insecticides (22), herbicides (2), and plant growth regulator (1). Carbendazim and pendimethalin were the most frequelntly detected pesticides. Fenitrothion, procymidone, and diazinon exceeded MRL in garlic chives, and Welsh onion. This indicated that these vegetables along with water celery should be constantly monitored.

      • KCI등재

        STRIDE 위협 모델링에 기반한 스마트 TV 보안 요구사항 도출

        오인경(In-Kyung Oh),서재완(Jae-Wan Seo),이민규(Min-Kyu Lee),이태훈(Tae-Hoon Lee),한유나(Yu-Na Han),박의성(Ui-Seong Park),지한별(Han-Byeol Ji ),이종호(Jong-Ho Lee),조규형(Kyu-Hyung Cho),김경곤(Kyounggo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0 No.2

        스마트 TV가 최근 IoT 생태계의 중심으로 떠오름에 따라 그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TV 내 취약점이 발생하는 경우 도청, 도촬로 인한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유출의 측면 뿐만 아니라 금전적 피해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 취약점 분석의 완전성을 높이기 위해 STRIDE 위협 모델링을 통해 위협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공격 대상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Attack Tree와 취약점 점검리스트를 제작하고 실제 취약점 분석을 통하여 점검리스트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안전한 스마트 TV 사용 환경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As smart TVs have recently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IoT ecosystem, their importance is increasing. If a vulnerability occurs within a smart TV,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ill cause financial damage, not just in terms of privacy invasion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due to sniffing and theft. Therefore, in this paper,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smart TV vulnerability analysis, STRIDE threat classification are used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reats. In addition, through the manufacture of the Attack Tree and the actual vulnerability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checklist was verified and security requirements were derived for the safe smart TV us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