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 자기조절 검사지의 다집단 동일성 검증

        한시완 ( Si Wan Han ),유진 ( Jin Yo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4

        무용수들은 연습과 공연의 상황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역동적인 자기조절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선행연구(한시완과 유진, 2008)는 무용 상황의 단계에 따라 발생하는 무용수들의 다양한 인지행동적 자기조절의 요인들을 측정하는 무용 자기조절 검사지(Dance Self-Regulation Test: DSRT)를 개발했다. DSRT는 3단계 하위척도들(계획, 실천, 반응)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DSRT의 하위척도들이 수준(고등학생, 대학생, 직업무용수)과 전공유형(한국, 현대, 발레)에 따라 어느 정도로 동일한 구조적 타당도를 보이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개의 DSRT 하위척도들을 사용하여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된 무용수들(1960명)의 자기조절을 측정하고,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multi-group CFA) 통하여 집단 간의 동일성 수준을 검증했다. 다집단 CFA 결과는 수준과 전공유형 집단 모두에서 DSRT 하위척도의 구조적 동일성(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산동일성)을 확인해 주었다. 이 결과는 DSRT 하위척도들이 고등학생, 대학생, 직업무용수들은 물론 한국, 현대, 발레 무용수들에게도 모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해 주고 있다. 측정오차를 통제한 DSRT 하위요인들의 잠재평균을 무용수준 집단에 따라 비교한 결과 직업무용수가 대학생 및 고등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고 중간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무용수준과 경력이 증가할수록 자기조절의 수준은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용수들의 DSRT 하위요인들의 잠재평균은 전공유형(한국, 현대, 발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었으나 효과크기는 작은수준으로 실제적 의미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이 결과는 DSRT 동일성 검증의 통계적 의미와 무용 특수상황에서 자기조절적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Many dancers use dynamic self-regulations strategies to successfully adapt to the wide ranges of practice and performance situations. Han and Yoo(2008) developed the Dance Self-Regulation Test(DSRT) to measure various cognitive-behavioral self-regulations in dance performance stages. The DSRT consists of the subscales over the three dance performance stages: plan, action, re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ulti-group invariance of the DSRT subscales. 1960 dancers consisting with the three levels (high-school, university, professional) and three majors groups (Koran, modern, ballet) were measured by the DSRT subscales, and a series of the multi-group confirmatory analysis(CFA) were conducted to test the DSRT structural invariance of dance groups.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CFAs statistically accepted feature, meaurement, intercept, factor invariance of the DSRT subscales.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DSRT had invariant construct validity to measure self-regulation of dancers who were in different levels and majors. Furthermore, latent means of DSRT sub-factors revealed that professional dance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high-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However, no DSRT late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dancers among different majors(Korean, modern, balle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statistical meaning of DSRT invariance and dance-specific self-regulation.

      • 딥러닝 기반 실시간 다중 물체 인식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김지예(Jiye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0 No.10

        최근 장면 분할 알고리즘 분야는 물체 분할에 대한 정확도 달성을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실제로 정확도는 일정 수준 확보하였으나 일상 생활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엔 장비의 한계와 속도 등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에서 26개의 기계 부품을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픽셀 단위로 기계부품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주는 것이 목적이며 ShuffleNet V2과 TensorFlow Lite 기반으로 다중 물체 분할 결과를 9fps (Frame Per Second)으로 실시간으로 인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field of semantic segmentation algorithm has been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ccuracy, and the accuracy is actually secured to a certain level.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such as limitations of equipment and spe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y applying them to everyday lif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26 mechanical parts on a mobile and deliver mechanical parts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ShuffleNet V2 and TensorFlow Lite, the multi-object segmentation result is recognized in real time at 9fps (Frame Per Second).

      • KCI등재

        무용수들의 자기조절 변화 추정

        한시완 ( Si Wan Han ),김선진 ( Seon Jin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3

        무용수의 자기조절은 성공적인 무용 수행을 목표로 자신의 인지, 행동, 정서를 조절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선행연구(한시완, 유진, 2008)의 무용 자기조절 검사지(Dance Self-Regulation Test: DSRT)는 일반적인긴 형식의 척도로 자기조절에 대한 다차원적인 평가이다(55문항). 본 연구는 타당성이 검증된 DSRT를 바탕으로 무용 자기조절 검사지-짧은 형식(Dance Self-Regulation Test-Short form: DSRT-S)을 개발하고, 이척도를 사용하여 무용수들의 자기조절 변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기존의 긴 형식에 대한 단축버전으로 짧은 형식의 척도(14문항)를 구성하였고, 무용수 650명을 대상으로 기존 척도와 단축 버전의 척도를 측정하였다. 이 두 가지 척도는 분포도, 신뢰도, 상관관계 등에서 모두 적절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동일성(요인적재값)까지 검증되어 짧은 형식의 척도가 기존 척도의 단축버전으로 사용 할 수 있다는 것이 재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개발된 짧은 형식의 척도를 사용하여 무용수(265명)의 자기조절을 4차 반복측정하였고, 자기조절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다차원적인 구조에 대한 여러 제약들로 기존 척도의 사용이 불가능할 때 단축 척도의 사용이 실제적인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고, 무용 상황에서 자기조절의 변화를 발달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Self-regulation of a dancer is a series of process that controls his/her recognition, behaviors, and emotions targeting successful dance performance. Dance Self-Regulation Test (DSRT) in previous research (Siwan Han & Jin Yoo, 2008) is a general long-form multi-dimensional assessment (55 items) on self-regul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Dance Self-Regulation Test-Short form (DSRT-S) based on the DSRT of which feasibility was validated. It also aims to assess the changes in self-regulation of dancers. Research 1 forms short scales (14 items) as a shortened version of the long-form scale and assesses long scale and short scale on 650 dancers. These two scales were confirmed to be proper in the aspects of distribution, reliability and correlation. Also, it was re-confirmed that short scales can be used as a shortened version of long scales through the validation of measurement invariance (factor loading). Research 2 measured self-regulation of 265 dancers four times repeatedly with short scales and confirmed that the changes in self-regulation increased linearly. The result suggested that when long scales cannot be used due to many restrictions on multi-dimensional structure, use of short scales can be an actual alternative. It discussed the changes in self-regulation in dance situation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 KCI등재

        무용 숙련성에 따른 동작결과예측 능력의 차이

        한시완(Han, Siwan),류제광(Ryu, Je-Kwang),이우종(Yi, Woojong),양종현(Yang, Jonghyun) 한국인지과학회 2018 인지과학 Vol.29 No.2

        무용수의 움직임은 시각적 처리 과정을 통해 관찰자에게 지각되며, 관찰자는 지각된 시각정보를 바탕으로 무용수의 동작에 대한 평가와 감상을 수행한다. 관찰자의 운동수행능력이 정확한 평가와 감상에 필요한 것인지에 관해 많은 논의가 있으나, 일관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동작결과를 예측하는 능력이 관찰자의 운동 숙련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총 27명으로 무용 숙련도에 따라 세 집단(숙련자, 중간숙련자, 초보자)으로 각 9명씩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제시되는 무용 동영상을 본 후 동작의 성공 여부에 대해 판단하였다. 영상의 길이를 달리 편집하여 동작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양을 체계적으로 조작하였으며, 시간차단 기법을 사용하여 영상 길이 조건별 연구참여자의 반응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판단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시각적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조건에서 숙련자들은 중간숙련자와 초보자에 비해 더 높은 정답 반응을 나타냈으며 초보자는 숙련자와 중간숙련자에 비해 더 높은 오답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슷한 수준의 지각 숙련성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동작 숙련성에 따라 무용동작에 대한 결과예측 능력이 차이를 보이며, 높은 운동 숙련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동작결과에 대한 예측 능력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높은 지각 숙련성은 주어진 정보가 불충분한 상황에서 성급한 반응을 유보하여 오답률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동작 숙련성과 지각 숙련성은 관찰된 동작의 결과예측 정확성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ancers’ motions are perceived by observers through visual processes with visual information forming the basis for the observers’ appreciation and evaluation of the dancers’ motions.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s to whether or not observers’ personal athletic capabilities form an essential basis for accurate assessment of the motions of others but, so far, no valid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bility to predict motions of others varies depending on the athletic expertise of the observers.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ballet dancers of varying athletic expertise. Twenty sev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nine in each: beginners, intermediate experts and experts. The participants watched the same dance video and then evaluated whether the motion would be successful or not. The movement related visual information required to evaluate the success of the motion was systematically adjusted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video. Using the temporal occlusion method, this study measured the response accuracy of the participants by category of expertise. Under the circumstance with insufficient visual information to utilize, the experts showed higher rates of correct response than the intermediate experts and the beginners. The beginners showed higher rates of wrong response than the experts and the intermediate exper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bility to predict success or failure of a dance motion varied depending on motion expertise of the observers, although they had similar level of expertise in perception. Participants considered to have high athletic expertise showed high prediction ability on the result of the motion. In addition, high expertise in perception reduced the likelihood that participants would make hasty responses under the circumstance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helped to reduce wrong response rat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tor expertise and perceptual expertise contribute to prediction accuracy of observed motions.

      • KCI등재

        유아체육지도자를 위한 CBT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시완(Han, Si-Wan) 한국체육과학회 202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emotional labor recognized by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esearch 1 was carried out on 10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4 men and 6 women)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by individual. As a result of analysis by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recognition status of emotional labor, helping and hindrance factors to manage the emotional labor, and the factor to make change through the experienc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labor. In Research 2, the structural concept and core ideas of the program were drawn by combining key principles and method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f which effects have been proved for a long time. The program consists of the intake interview, exploration, insight, practice, and assessment, which was carried out for 60 minutes per session every week and 5 times in total. The developed program received validity tests from specialists. Then, after revising the program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a final version was completed. In specific, the 1st session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program and 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The 2nd session aims to recognize one"s own feelings under stressful situations. The 3rd session is to understand one"s automatic thinking. The 4th session is to provide alternative thinking by cognitive restructuring. The 5th session is for the assessment of the program and finalizing. Lastly, this study also explains the meaning and restrictions of the CBT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tasks.

      • KCI등재

        육상선수들의 수준별 탈진 동일성 검증

        한시완 ( Si Wan Han ),김방출 ( Bang Chool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1

        운동선수는 최상의 운동수행을 위한 과다훈련 상황에서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다 소모해버리는 상태를 의미하는 탈진을 경험하게 된다. 탈진이 수행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탈진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Raedeke과 Smith(2001)는 운동 상황에서 발생하는 선수들의 탈진 요인들을 측정하는 운동선수 탈진 질문지(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ABQ)를 개발하였다. ABQ는 3가지 하위요인들(정서적/신체적 소모, 성취감의 저하, 스포츠 참여에 대한 평가절하)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ABQ의 하위요인들이 수준(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에 따라 동일한 구조적 타당도를 보이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BQ 하위요인들을 사용하여 수준 집단으로 구성된 운동선수들(437명)의 탈진을 측정하고,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 통하여 집단 간의 동일성을 검증했다. 다집단 분석 결과, 수준 집단에서 ABQ의 구조 동일성(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산동일성)이 검증되었다. 이 결과는 ABQ를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운동선수들에게도 모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해 주고 있다. 잠재평균 분석 결과, ABQ 하위요인 중 성취감의 저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생, 대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은 수준이었고, 효과크기는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ABQ 동일성 검증의 통계적 의미와 운동 상황에서의 탈진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Athletes are often experiencing burnout from excessive daily practice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athletes` burnout exerts negative influence on their performance. This understanding attracted significant amount of attentions from scholars, which resulted in diverse studies on burnout. Raedeke and Smith (2001) developed 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ABQ) to measure the level of burnout among athletes. ABQ is composed of three sub-constructs of emotional and physical exhaustion,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Devaluation of sport participation.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three sub-constructs of ABQ had construct invariance among three different levels of middle school, highschool, and college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437 athletes. A multi-group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nvariance among the three groups of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ale was invariant among the thee groups in terms of configural invariance, measurement invariance, scalar invariance, and factor variance invariance. This indicates that the scale can be applied to the three groups expecting that the respondents in the three group should react to the items equally for the three sub-constructs of emotional and physical exhaustion,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Devaluation of sport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latent means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ean scores of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The mean score from high scho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e effect size, which was measured with Cohen`s d was medium. A further discussions on the use of ABQ and its invariance among the three groups is presented.

      • KCI등재

        무용탈진의 구조 분석

        한시완(Si Wan Han),박용범(Yong Bum Park)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3

        This study is a primary approach to identifying the conceptual structure and content of burnout as perceived by dancers. It aims to validat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BQ of Raedeke & Smith (2001) for Korean danc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333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majored in dance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 structure of ABQ and then 204 students were surveyed in order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ABQ measurement model.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ith 15 items were shown for burnout due to dance. Three factors consisted of emotional and physical burnout,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devaluation of dance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ABQ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fit overall, of which the TLI was .83 and RMSEA was .09. Also,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research model and competition models,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ment model with these factors (emotional and physical burnout, reduc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devaluation of dance participation) with 10 items were also fit in the dance situation (TLI=.93, RMSEA=.07).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the relation for each factor was static, which means that burnout factors in a dance situation formed an additive relationship. The result was discussed in term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verifying ABQ validity and burnout factors in a dance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Burnout among Female Track and Field Athletes in the Republic of Korea

        Han, Si-Wan(한시완),Kwon, Hyung-Il(권형일),Son, Hwan(손환)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2

        운동선수들의 탈진은 장기간 동안 경쟁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여자코치들이 남자코치들 보다 높은 수준의 탈진을 경험한다고 밝히고 있으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탈진의 성차는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역할 이론을 사용하여 육상선수 탈진에 대한 성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제39회 전국종별육상경기선수권대회에 참여한 350명의 선수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탈진을 Raedeke과 Smith(2001)의 운동선수 탈진 질문지(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ABQ)가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는 M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응답자의 수준(예;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을 공변인으로 통제하였다. 독립변인은 성별(남자/여자) 그리고 ABQ의 세 가지 하위요인(성취감의 저하, 정서적/신체적 소진, 그리고 스포츠 참여에 대한 평가절하)을 종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여자 육상선수들은 ABQ 세 개의 하위요인인 성취감의 저하, 정서적/신체적 소진, 그리고 스포츠 참여에 대한 평가절하에서 남자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성역할이론을 토대로 심층 논의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장운동선수의 인권침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시완 ( Siwan Han ),유현미 ( Hyun Mi Yoo ),허정훈 ( Jung Hoon Huh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3

        [목적] 본 연구는 실업팀 직장운동선수들이 경험하는 인권침해라는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사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방법] 이를 위해 실업팀 직장운동선수 35명(남: 20명, 여: 15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FGI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결과] 연구결과, 5개 범주(categories), 14개의 주제모음(theme clusters), 41개의 주제(theme)로 도출되었다. 본질적 구조로는 ‘실업팀 선수가 되는 첫걸음: 불합리한 선수계약’, ‘피할 수 없는 절대적 권력자: 코치, 감독에게 복종’, ‘강제 합숙소 생활: 자율성 및 사생활 침해’, ‘실업연맹의 구조적인 문제: 힘을 가진 자의 횡포’, ‘남성 중심적 운동환경 속 (성)차별 경험: 성과보다는 성별’로 나타났다.[결론] 본 연구결과는 실업팀 직장운동선수들의 인권침해 경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를 통한 실업팀 직장운동선수에 대한 이해는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논의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nature of human rights violations experienced by semi-professional athletes in semi-professional sports teams and explored the relevant cases. METHODS For this purpose, 35 semi-professional athletes (20 men and 15 women) from the semi-professional sports team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olaizzi (1978). RESULTS The study summarized the results into five categories, 14 theme clusters and 41 themes. Its inherent structures include ‘first step to becoming a semi- professional athlete: disadvantageous contracts for players,’ ‘unavoidable absolute power: obedience to the coach,’ ‘forced training camp: autonomy and privacy infringement,’ ‘structural problems of the semi-professional sports federation: tyrannized power’ and ‘female players who are in male-oriented society: gender- focused than performan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athletes’ human rights violations experienced in semi-professional sports teams. Understanding athletes in semi-professional sports team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discussing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