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의 예이츠 문학 수용 양상 연구

        한세정 한국예이츠학회 2017 한국예이츠 저널 Vol.53 No.-

        이 논문은 김수영의 예이츠 문학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19 혁명을 계기로 김수영은 한국 의 시대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인식 아래 새로운 시 쓰기 방법론에 고심(苦心)하는데, 이러한 시적(詩的) 모색은 이 시기 그가 주시했던 예이츠 문학의 특징과 긴밀하게 연 동된다. 김수영은 시대 현실에 대한 예이츠의 인식과 이를 기저로 한 창작 방법론을 매개로 한국 시단의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한국시가 나가야 할 ‘현대성’의 방향을 타 진하였다. 『巨大한 뿌리‏‎』 에서 김수영은 아일랜드 전통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예이츠 의 시적 특징을 창조적으로 수용하여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Kim Sooyoung has been influenced by Yeats and his work, and makes an attempt to identify the traces of his influence on Kim’s poetry. The April 19 Uprising of Korea has made Kim Sooyoung realize the reality of life in Korea at that time, and he searches for new methods of writing poetry. Kim comes to be interested i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Yeats, which is to influence his outlook. Kim Sooyoung has looked for the direction of ‘modernity’ that Korean poetry should take. On the basis of Yeats’s examples, Kim, being keenly aware of the issues of Korean poetry, develops his own style. In “The Great Root,” Kim Sooyoung is newly aware of his poetic tradition by reading and learning the poetry of Yeats, who had been deeply concerned with Irish tradition.

      • KCI등재

        이상 시의 부정법 연구

        한세정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This study examine the meaning and effect that negation has over Yi Sang's poetry and has goal to ultimately clarify the relation of negation and conscious of poetry. 80% of Yi Sang's poetry used negation. This dominant figure suggests that negation is very essential usage to elucidate Yi Sang's poetry. The negation of Yi Sang' poetry functions in two sides in different discourses. The first aspect is to establish binary opposition and in turn, stipulate this into same meanings. Yi Sang plots overturn of meanings by stipulating the reciprocal meanings into same meaning. The statement method like this inflects and delays the meaning interpretation process. In this process the reader secures the distance with text and receives the meaning of the other side which represents contradicted poetic statement. In the intricacies, the negation can be named <Discourse of Irony> which cause by tense relationship that come from conflict elements coexist with same meaning. The second aspect of Yi Sang's negation is formed with meaning sphere of 'I' on the semantic layer and denying sentential of relevant subjects. Isolation of 'I' which link to self denial and revealing of alienation is generalized through the negation. However, continued interest and introspect is germinated on the other side self denial and revealing of 'I'. Yi Sang's negation functions as a discourse that frankly exposes thorough self inspection on current 'I' and introspect process based on this the negation of Yi Sang's poetry can name <self introspectional discourse>. 이 논문은 부정법이 이상 시에서 어떠한 의미와 효과를 지니는지 고찰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부정법과 시 의식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정법이 쓰인 작품은 이상 시의 5분의 4에 해당한다. 이런 지배적인 수치는 이상의 시를 해명하는데 부정법이 매우 중요한 어법임을 시사한다. 이상 시의 부정법은 두 가지 측면에서 각기 다른 언술로 기능한다. 부정법의 첫 번째 양상은 이항대립을 설정하고 이를 다시 동일한 의미로 규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은 부정법을 통해 상반된 의미를 동일한 의미로 규정함으로써 의미의 전복을 도모한다. 이 같은 진술 방식은 의미 해석 과정을 굴절시키고 지연시킨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텍스트와의 거리를 확보하고 모순된 시적 진술이 의미하는 이면의 뜻을 전달받는다. 이런 맥락에서 부정법은 대립된 요소들이 동일한 의미로 공존하는 긴장 관계에서 야기되는 <아이러니의 언술>로 명명할 수 있다. 이상 시의 부정법의 두 번째 양상은 의미론적 층위에서 ‘나’의 의미 영역과 관련된 대상을 부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자기 부정으로 연계되는 ‘나’의 고립과 소외 등의 폭로는 부정법을 통해 전면화된다. 하지만 ‘나’의 자기 부정과 폭로의 이면에는 ‘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성찰이 배태되어 있다. 이상 시의 부정법은 현재의 ‘나’에 대한 철저한 자기 검열과 자기 성찰의 과정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언술로 기능한다. 이를 토대로 이상 시의 부정법을 <자기 성찰의 연술>로 명명할 수 있다.

      • KCI등재

        시문학파의 아일랜드 시 번역의 특징과 의미 연구

        한세정 한국근대문학회 202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rish poems translated by members in the Si-mun-hak-pa coterie and figure out literary implications connoted in them. The study thus set out to demonstrate that Si-mun-hak-pa's translation of Irish poems was part of a process in their poetic exploration to assess the possibilities of colonial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and also their literary acts to express their colonial emotions about the reality those days. In the process of Si-mun-hak-pa accepting Western poems, mainly the ones in the line of romanticism, Irish poetry attracted attention as a special case of exhibiting the "uniqueness of colonial literature" not found in other Western poems. Recognized in the world literary circles, Irish poetry became an especially important model for Si-mun-hak-pa that explored a direction for Joseon poetry between two literary agenda, "leap toward world literature" and "inquiry into the identity of colonial literature." Si-mun-hak-pa clearly showed their literary route they would try to pursue by taking a dual attitude when translating poems by Yeats and other Irish poets. While Yeats' poems translated by them were lyric poems that did not depict colonial sentiments directly, the ones by Thomas Moore, James Stephens, and Patrick Henry Pearse presented the perceptions of reality in their colonized nation. Their selective translation of Yeats' lyric poems was related to the poetic status of the poet that wrote lyric poems of high aesthetic completion level even in colonial situations and thus had his poems recognized for their universality as part of world literature. Si-mun-hak-pa translated his lyric poems recognized in the world literary circles intensively, thus making the possibilities of "pure poetry" concrete even in the reality of their colonized land and solidifying their literary route toward "lyric poetry." In addition, they translated Irish poems depicting colonial agony, revealing the awareness of the times in a colony. Si-mun-hak-pa's translation of Irish poetry in the 1930s can be discussed for its meanings as a poetic exploration about world literature and expression of colonial poetic emo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history. 이 연구는 시문학파 동인들이 번역한 아일랜드 시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것이 내포한 문학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시문학파의 아일랜드 시 번역이 식민지 문학의 세계문학적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했던 시적 모색의 과정이자, 당대 현실에 대한 식민지적 감정을 표출하는 문학적 행위임을 밝히고자 한다. 서구의 낭만주의 계열 시들이 주류를 이루던 시문학파의 서구시 수용과정에서 아일랜드 시는 여타의 서구시들이 내포하지 못한 ‘식민지 문학의 특수성’을 보여준 특별한 사례로서 주시되었다. 특히 세계문단에서 인정받았던 아일랜드 시는 ‘세계문학으로의 도약’과 ‘식민지 문학의 정체성 탐색’이라는 이중의 문학적 의제 속에 조선 시의 향방을 모색했던 시문학파에게 중요한 전범을 마련하였다. 시문학파는 예이츠 시와 다른 아일랜드 시인들의 시를 번역할 때 이중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이들이 추구했던 문학적 노선을 선명히 보여주었다. 시문학파가 번역한 예이츠 시는 식민지적 정서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서정시류에 속하는 반면, 토마스 무어, 제임스 스티븐스, 패트릭 피어스 등의 작품들은 식민지 조국에 대한 현실 인식이 표출되어 있다. 시문학파의 예이츠의 서정시의 선택적 번역은 식민지 상황에서도 미학적 완성도가 높은 서정시를 창작함으로써 세계문학의 보편성을 인정받았던 예이츠의 시적 위상과 관계되어 있었다. 시문학파는 세계문단에서 인정받은 예이츠의 서정시를 집중적으로 번역함으로써 식민지 현실에서도 ‘순수시’의 가능성을 구체화하고, ‘서정시’를 향한 그들의 문학적 노선을 공고하게 마련할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시문학파는 식민지적 고뇌가 표출된 아일랜드 시를 번역함으로써 식민지의 시대 인식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문학사적 관점에서 1930년대 시문학파의 아일랜드 시 번역은 세계문학에 대한 시적 모색의 일환이자, 식민지적 감정의 표출로서 그 의미를 논할 수 있다.

      • KCI등재

        신동엽 시와 예이츠 시의 비교 연구

        한세정 한국근대문학회 202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3 No.1

        SShin Dong-yeop and Yeats were active poets to explore creative methods based on the reality of the times, going through a turbulent period in history such as democratization in Korea and colonized Ireland, respectively. Despite some gaps in time and space, they share a couple of creative methods.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similar and yet discriminating characteristics between Shin's and Yeats's poems and shed light on their significance in the literary history. In their poems, both Shin and Yeats choose heroic figures demonstrating their ethnic identities as their poetic materials. Their heroes, however, show differences in reproduction patterns. In Shin's poems, heroic figures are embodied as the heroes of the people that lead a new history by combining with historical events exhibiting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ople represented by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April 19th Revolution. Yeats embodies his heroes as transcendent beings by borrowing heroes from the ancient legends and myths of Ireland. In his poems, the heroic figures provide the Irish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their ethnic pride in the reality of a colony. In addition, he offers heroic representations in a broader sense by playing a variation to depict his heroic figures seeking eternal truth. Utopias reproduced both in Shin's and Yeats's poems belong to the time and space of the "past." The "past" that Shin calls a utopia in his poem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ancient era including "Samhan," "Baekje" and "Northern Buyeo" as historical time and space that existed in reality. The ancient era reproduced in his poems is combined with the history of Korea and presented as a present time, showing a future image of the Korean people to overcome the negative reality of the times. In Yeats's poems, a utopia is the time and space of ancient Ireland's myths and legends or is reproduced as a mythical time and space represented by "Byzantium" created in his imagination. While the utopias reproduced in Shin's poems boil down to a historical space reflect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as the subject of the public, those in Yeats's poems show multifaceted variations. In his early poems with nationalistic tendency, a utopia is depicted based on the mythical time and space of Ireland's prosperous ethnic identity. His later poems present a universal utopia to achieve an artistic spirit. Shin created engagement poems that depicted the spiritual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people specifically and showed the historical awareness based on the people by reproducing people's heroes representing their ethnic identity and utopias that boiled down to the ancient era. His poems emphasized that the people, who were suppressed in history, should be the new subject of history, displaying an aspect of independent national literature. His poetic characteristics towar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however, have the risk of chauvinism inherent in them as Kim Soo-young was concerned. Yeats borrowed myths and legends based on the unique ethnicity of Ireland and recreated them anew, securing the universal nature of world literature while embodying national literature beyond the local features of Ireland. Compared with Shin's poems, however, his nationalistic poems have a limitation of providing no practical measures to target the issues of his reality specifically. Shin's and Yeats's poems based on materials showing an ethnic identity reformed the issues of Korea's and Ireland's literary circles, respectively, inclined towards political ideas in the unique historical reality of Korea and Ireland and proposed the classic examples of engagement poetry and nationalistic poetry that secured both literary values and the awareness of the times, thus holding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신동엽과 예이츠는 각각 한국의 민주화와 식민지 아일랜드의 역사적 격변기를 경험하면서 시대 현실에 입각한 창작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던 시인들이다. 시공간의 낙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창작 방법은 공통점이 발견되는데, 이 논문은 신동엽과 예이츠 시의 유사하면서도 변별되는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그것에 내포된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신동엽과 예이츠는 공통적으로 민족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영웅적 인물들을 시의 소재로 채택한다. 하지만 영웅의 재현 양상은 차이점이 발견된다. 신동엽 시에서 영웅적 인물들은 동학농민운동, 3·1 운동, 4·19 혁명 등이 표상하는 한민족의 자주성과 주체성을 보여주는 역사와 결합하여 새로운 역사를 이끌어가는 민중적 영웅으로 구현된다. 이에 반해 예이츠는 아일랜드 고대 전설과 신화 속의 영웅을 차용하여 초월적 존재로서 영웅을 구현한다. 식민지의 현실에서 예이츠 시의 영웅적 인물들은 아일랜드인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예이츠는 영원한 진리를 추구하는 존재로 영웅적 인물을 변주함으로써 보다 확장된 의미의 영웅 표상을 마련한다. 신동엽과 예이츠의 시에 재현된 이상향은 ‘과거’의 시공간에 속해 있다. 신동엽 시에서 이상향으로 차용된 ‘과거’는 실재했던 역사적 시공간으로서 ‘삼한’, ‘백제’, ‘북부여’ 등의 상고시대와 관련된다. 신동엽 시에 재현된 상고시대는 한국의 역사와 결합하여 현재화되면서 부정적인 당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민족의 미래상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 예이츠 시에서 이상향은 고대 아일랜드의 신화와 전설 속의 시공간이거나, ‘비잔티움’으로 표상되는 시인의 상상 속에 창조된 신화적 시공간으로 재현된다. 신동엽 시에 재현된 이상향이 민중이 주체가 되는 한민족의 특수성을 반영한 역사적 공간으로서 수렴되고 있는 것에 반해, 예이츠 시의 이상향은 다면적으로 변주된다. 민족주의적 경향을 보이는 예이츠의 초기시에서 이상향은 아일랜드의 민족적 정체성이 융성했던 신화적 시공간으로, 후기시에서는 예술혼을 성취할 수 있는 보편적인 이상향으로 변모한다. 신동엽은 민족 정체성을 표상하는 민중적 영웅과 상고시대로 귀결되는 이상향의 재현을 통해 한민족의 정신적 표상을 구체화하고 민중을 기반으로 한 역사 인식을 보여주는 참여시를 창작하였다. 특히 역사적으로 억압받았던 민중들이 새로운 역사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 신동엽의 시는 독자적인 민족문학의 일면을 보여준다. 하지만 한민족의 특수성으로 귀결되는 신동엽의 시적 특징은 김수영의 우려처럼 쇼비니즘으로 전개될 위험성이 내재한다. 이에 반해 예이츠는 아일랜드 고유의 민족성을 담보한 신화와 전설 등을 차용하면서도 이를 새롭게 재창조함으로써 아일랜드의 국지성을 넘어선 민족문학의 구현과 더불어 세계문학의 보편성을 확보하였다. 하지만 예이츠의 민족주의 시는 신동엽의 시와 비교할 때, 당대 현실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타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민족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소재를 활용한 신동엽 시와 예이츠 시는 한국과 아일랜드의 특수한 역사적 현실 안에서 정치 이념으로 경도되었던 당대 한국과 아일랜드 문단의 문제점을 쇄신하여, 문학성과 시대 인식이 동시에 확보된 참여시와 민족주 ...

      • KCI등재후보

        「失花」에 나타난 제임스 조이스의 창작방법 수용 양상 연구- ‘의식의 흐름’ 기법과 타 텍스트의 인유 양상을 중심으로

        한세정 이상문학회 2021 이상리뷰 Vol.- No.17

        이 논문은 「失花」에 나타난 제임스 조이스의 창작방법 수용 양상과 그것이 내포한 문학사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30년대 조선 문인들은 식민지 아일랜드의 출신으로서 세계문단에서 인정받은 조이스의 문학적 위상과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대표되는 그의 창작방법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면서 적극적인 관심을 표출하였다. 박태원, 김기림 등 구인회 동인 역시 조이스의 세계문학적 위상과 실험적인 창작방법에 주목했는데, 이상은 조이스의 문학을 주시했던 당대 문단의 경향과 구인회의 각별한 관심을 토대로 조이스의 문학적 특징을 접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문학을 향한 열망 아래 새로운 창작방법을 모색했던 이상에게 식민지의 시대 인식을 현대적인 창작방법으로 실험했던 조이스의 문학적 특징은 중요한 전범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은 「失花」에서 조이스의 ‘의식의 흐름’ 기법을 수용하여 시공간을 넘나드는 분절적인 ‘나’의 내면을 구현하였다. 「失花」에 나타난 ‘의식의 흐름’ 기법은 독자의 몰입을 방해하고 텍스트와 비판적 거리감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연애에 실패하고 동경행을 선택한 식민지 조선인 예술가가 무능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달아가는 자기 인식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 독자들은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단절된 문맥을 재구성하면서 절망적 인식으로 귀착되는 ‘나’의 의식을 내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었다. 이 밖에도 「失花」에 전략적으로 배치된 타 텍스트의 인유 양상 역시 조이스의 창작방법과 관련되어 있었다. 「失花」에 인유된 소설, 영화, 노래 가사, 시 등의 타 텍스트는 본래의 의미를 보존하는 동시에 ‘나’의 상황과 밀접하게 연계되면서 중층적인 의미를 파생하였다. 이상은 「失花」에서 조이스의 ‘의식의 흐름’ 기법과 타 텍스트를 인유하는 창작방법을 토대로 ‘나’의 의식에 투영된 식민지의 시대 인식을 표출하고 있었다. 문학사적 관점에서 이상의 제임스 조이스의 창작방법 수용은 식민지의 시대 인식을 세계문학의 현대적 창작방법으로 구현하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발견된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 문인들의 “The Lake Isle of Innisfree” 수용과 전유—김억, 김영랑, 한흑구, 정인섭을 중심으로

        한세정 한국예이츠학회 2018 한국예이츠 저널 Vol.57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cceptance and appropriation of “The Lake Isle of Innisfree” by literary figures in colonized Joseon, such as Kim Eok, Kim Yeongrang, Han Hukgu, and Jeong Inseop. In the literary circles of colonized Joseon, “The Lake Isle of Innisfree” was put in the spotlight as one of Yeats’s representative poems by dint of the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and ‘uniqueness of colonial literature.’ This particular poem was received and appropriated by literary figures of Joseon as it conformed to the literary strategies set by them. Kim Eok and Kim Yeongrang focused on the poem’s characteristics as a modern poem and as part of world literature as well while Han Hukgu and Jeong Inseop focused on colonial identity inherent in the poem as part of colonial literature. 이 논문은 김억, 김영랑, 한흑구, 정인섭을 중심으로 식민지 조선 문인들의 “The lake isle of innisfree”의 수용과 전유 양상을 고찰하는 목적으로 한다. 식민지 조선 문단에서 “The lake isle of innisfree”는 ‘세계문학의 보편성’과 ‘식민지 문학의 특수성’을 지닌 예이츠의 대표시로 주목받으며 수용 주체의 문학 기획에 따라 다른 함의로 호명된다. 조선 문인들의 “The lake isle of innisfree”의 수용과 전유는 당대 이들이 기획했던 문학적 전략과 긴밀하게 연동되어 나타난다. 김억과 김영랑은 세계문학으로서 “The lake isle of innisfree”를 전유하면서 근대시로서 이 시의 특징에 주목한다. 이에 반해 한흑구와 정인섭은 식민지 문학으로서 “The lake isle of innisfree”를 전유하며 이 시에 내포된 식민지적 정체성에 주목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