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한성심 ( Seong Sim Ha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5 아동복지연구 Vol.3 No.3

        아동발달에 있어서 부모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부모교육에 대한 이론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녀의 문제행동에 역점을 두고 부모에게 자녀양육의 기술적 방법을 교육하는데 초점을 두었고, 이는 아동에 대한 이해와 양육기술로 부모자녀관계를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부모자신의 무의식적 감정이 자녀에게 투사되는 문제점 등의 부정적인 결과도 지적되었다. 부모자신의 자기 이해와 관련되는 무의 식적 감정이 경험되지 않은 통찰은 정서적인 통찰이 아닌 지적인 통찰이 되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지나면 부모 자신의 문제가 자녀에게 투사되어 예전의 양육태도를 답습하게 되는 악순환을 가져오게 된다. 초기 아동기 양육경험에 따른 부모자신의 감정양식으로 인하여 무의식적으로 반복하여 나타나는 부모자신과 아동의 행동을 분석하고 통찰하는 새로운 형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에 대한 요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자신의 자기 이해와 관련되는 무의식적 감정을 다루는 정신분석학 입장에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D. W.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이론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Winnicott 이론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과 선행연구결과를 볼 때,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적 성숙을 가져다주는 모성적 역할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부모자신의 아동기 경험을 회고하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문제 행동과 감정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져 부모-자녀 관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re are recent studies about programs, which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in child development. These studies influenced parents in their child`s understanding, and attitudes and skills of bringing up children. But the exist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lack focus on exploring the child dynamics, insight and emotional pattern of parents. Therefore it is demanded to develop on parent education program to transfer the unconsciously repeated and distorted patterns to the realistic and healthy on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fter analyzing the emotional pattern and object-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performs an effective role based on the emotional maturation of parents through a new program, which applies the psychoanalysis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Object Relation Theory, which applies the emotional maturation of parents and children, and facilitating environment-a good enough mothering- by D. W. Winnicott. Research contents in this study are explorations of a theoretical basis of Object Relation Theory by D. W. Winnicott. This study proves to be an effective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program which applies Object Relation Theory can help to change the automatic and unconscious behavior pattern into a rational and objective counter-plan, to separate a parent`s realistic behavior from their own childhood emotional pattern, to have ``good enough mothering` to their children.

      • KCI등재

        아동복지 관점에서 출산장려를 위한 사교육의 사회문제와 개선방안

        한성심 ( Seong Sim Han ),김현자 ( Hyoun Ja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6 아동복지연구 Vol.4 No.2

        최근 들어 한국 사회의 낮은 출산율과 더불어 빠른 고령화는 미래에 심각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저출산의 주요 요인으로 노동시장의 경직성으로 인한 여성취업 불안정성,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없는 사회적 인식 및 제도 미비, 높은 자녀양육비 및 교육비의 부담, 여성의 만혼 및 미혼율 상승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저출산 사회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함에 있어서 점점 늘어만 가는 자녀교육비, 즉 사교육비의 실태 파악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해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조망해 보았다. 한국의 학교교육 문제로는 학교의 교육력 약화, 교사에 대한 불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부족,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과 조기유학의 증가 등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사교육비의 부담은 출산의 기피현상을 부추기고 있어서 사회적,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방법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과제이다. 아동복지적 관점에서 사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적 측면에서의 방안으로는 학교교육과 아동교육의 본질 회복, 교육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사교육의 범위 제한, 아동의 발달적.교육적 특성을 고려한 방과후 아동지도의 확대 실시 등을 제안할 수 있으며,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방안으로는 대학입시제도의 개선, 학력지상주의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사교육비에 대한 제한된 세금혜택의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사교육의 문제는 아동의 복지적 측면을 고려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계속되는 사교육의 해결방안 및 사교육비의 경감대책안들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지는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중요한 것은 사교육의 수혜대상인 아동의 입장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대안들로 전환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을 수립하고 전달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아동”의 입장이 반영되어야 한다. 저출산의 문제는 한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 특히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사회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저출산의 현상은 사실 어떤 한 가지의 요인이나 해결책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교육은 교육의 대상 즉, 아동에게 적합하여 그들이 흥미를 갖고 자발적인 학습능력과 인성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의 방향으로 가야한다. Private education will become a social and national issue in many northeastern Asian countries if the tendency of low birthrate continues. Korea has recently put a lot of effort into figuring out educational problems. The problems that they are concerned are general disbelief in teachers, relative weakness of public education, deficiency of students` autonomy, educational expenses of private education, and children`s studying abroad in early age. High cost for private education is especially one of the causes of low birthrate, so it must be nationally considered. However, the approach to this issue is not specific enough, overlooking children` wants and needs. Thus, here the issues of private education are dealt with in the perspective of child welfare. It is here presented why increase in number of students who receive private education is problematic and how they can be solved. In searching solutions to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child welfare and interests should be put first. There have been many solution suggested, but some of them do not consider child welfare. Here, some solutions considering child welfare are presented in both educational and socioeconomic aspect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ducational aspects. First of all, essential purposes of public school and preschool should be recovered. Secondly, the scope of private education should be limited based on children`s age. Lastly, proper child welfare policies should be come up with for children to play in secure and protective surroundings after school. 2. Socioeconomic aspects. First, the policy of university entrance should be established and consistent. Second, there should be a change in understanding one`s ability. Third, there should be a limited tax favor for private education based on parents` income in order to lessen parents` financial burden. However, it should be carefully applied not to incite more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한국 아동복지 정책의 유형분석을 통한 과제 연구

        한성심 ( Seong Sim Han ),송주미 ( Ju Mi Song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아동복지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길버트와 스펙트(1993)의 산출분석과 송주미(2005)의 아동복지 유형분석틀을 기초로 하여 가족 및 친족책임주의형(자유방임형), 특정가족기능강화형(국가개입주의형), 가족친화주의형(가족중심주의형)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한국의 아동복지정책을 분석하였다. 정책분석의 대상은 보건복지가족부의 아동복지사업안내(2008)와 기타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틀에 따라 한국의 아동복지 정책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아동복지는 특정가족, 즉 빈곤가족(소년소녀가정 포함 저소득층)과 일부 요보호아동(입양, 학대)을 중심으로 한 특정가족기능강화형(국가개입형)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아동권리사업과 보육사업을 통해 부분적으로 가족친화형(가족중심주의형)이 나타나긴 하나, 아동복지정책의 전체적인 특성상 특정가족기능강화형으로 규정한다. 이에 따라 한국의 아동복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기존의 요보호아동 중심의 선별주의적 아동복지사업은 강화하되, 보편주의에 입각한 아동복지 사업을 확대?도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육사업의 대상과 서비스 수준의 강화 방안, 아동권리와 관련된 일반아동복지사업에의 지원 확대, 사회수당(아동수당)제도의 도입 등 보편주의 아동복지 사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보편주의적 아동복지는 가족친화주의형(가족중심주의형)을 표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데, 한국의 아동복지 정책은 점차 특정가족(요보호아동)을 중심으로 한 아동복지 정책을 포함한 가족중심 주의형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of child welfare policy and it`s tasks in Korea. This study, therefore, aim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model) of child welfare polic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is framework, this study identify 4 major criteria and 3 types of child welfare policy. 4 major criteria included ① allocation ② provision ③ delivery system ④ fiance, and 3 types of child welfare policy included ① laissez-faire, ② state paternalism, ③ pro-family(family-centered policy),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the current child welfare policy in Korea. Fir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ype of child welfare policy was similar to state paternalism based on the rights being cared(rights of child rearing) and the residual welfare policy for children who needed a support. Secondly, this study suggested the child welfare policy for pro-family policy. Thir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rofessional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child welfare administration should be run adequately. And more expansion governmental finance needed to secure the public child care. Child welfare policy must be universal services/benefits and pro-family.

      • KCI등재

        청소년의 활동참여와 자아존중감 및 창의적 성격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구조

        한성심 ( Han Seong-s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20 아동복지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academic engagement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For this, I analyzed the data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subjects were 2,590 first-year middle schools students from across the nation. I analyzed this data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s were: First, participation in activities, self-esteem, and creative personality were all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engagement. Second,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among these three factors was in the order of self-esteem, creative personality, and participation activity. Third, there were four paths that affected the academic engagement in the youth’s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first path was ‘activity participation leads to academic engagement’, the second path was ‘activity participation leads to self-esteem then leads to academic engagement’, the third path was ‘activity participation leads to creative personalit then leads to academic engagement’, the fourth path was ‘activity participation leads to self-esteem then leads to creative personality then leads to academic engagement’. That such a variety of pathways were possible shows that adolescents could have various points of contact in order to increase their academic eng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I made suggestions for youth welfare practice.

      • KCI등재

        0-3세 영유아를 위한 반응적 보육과정의 개념 및 구성요인에 관한 고찰

        한성심 ( Seong Sim Han ),장미경 ( Mi Kyung Jang ),김유진 ( Yu Jin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5 아동복지연구 Vol.3 No.1

        본 논문에서는 영유아보육법의 개정으로 대학에서 ‘보육과정’을 필수과목으로 가르쳐야 하는 상황에 접하여 보육과정의 내용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 그리고 현장에서 교사들이 아동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한 기초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까지 보육교사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 가르쳐야 하는 과목에 대한 합의도 불충분할 뿐 아니라보육과정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이 없다. 기존에 대학에서는 유아교육과정과 보육과정을 혼동하여 사용하였고 보육과정이라는 과목이 개설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의 과목이 학교에 따라 개설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에서는 0-3세에 초점을 맞추어 보육과정의 개념을 무엇으로 할것인가, 보육과정의 모형과 구성요소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등에 대해 논의하므로써 보육과정제작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영유아의 빠른 발달적 변화와 관심사에 반응적으로 대처해야 함여 강조하여 ‘반응적 보육과정’이라는 이름으로 보육과정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논의 하였다. 영유아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이유는 이후의 연령단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유아교육과정이 상대적으로 체계적으로 제정되어 있기 때문에 영유아를 위한 보육과정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이고 두 번째는 최근 영유아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에 근거한 것이다. 사회, 정서적 문제를 진 2-3세 영유아들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유아들이 학습문제, 또래관계문제, 불안정 애착 등의 문제를 보이며 이런 문제들이 연령이 증가해도 없어지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악화되거나 다른 문제로 전이하는 경향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alternative plans for current teachers on what and how to teach young children as well as what to include in child care curriculum since `child care curriculum`` became a required course in university as a result of revised infant and child care law. There is not enough consultation on what courses should be taught in university to educate child care teachers until now and no agreement on how to make child care curriculum. Universities used the concept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child care curriculum as similar ones and there was no opened course for child care curriculum except for some ``programs` provided by some universities. Considering the above situation, this study provides basics for making child care curriculum by discussing the concept of child care curriculum as well as models and construct of child care curriculum focusing on young children from 0 to 3 years old. Especially, it discusses the concept and construct of child care curriculum under the name of ``reactive child care curriculu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active response to fast developmental changes and interests of young children. One of the reasons why this study discusses the matter focusing on young children is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systematic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older children indicating immediate need for early child care curriculum. The other reas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recent increase in recognition on importance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here is an increase in percentage of young children between 2 and 3 years old with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and young children show problems of learning, peer relationship and unstable attachment. These problems tend not to disappear as young children grow older and get even worse as time goes by or transfer to other problems.

      • KCI등재

        양육시설아동의 정신건강과 아동복지적 접근

        김현자 ( Hyun Ja Kim ),한성심 ( Seong Sim Han ),서명원 ( Myung Won Seo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들의 정신건강에 대해서 점검해 보고, 아동의 복지적 측면에서 대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보육원에 입소해 있는 만 4~17세 아동 총 5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정신건강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도구로는 Achenbach(1991)가 개발한 것을 국내에서 오경자 등(1997)이 표준화 한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 중 문제행동증후군 척도만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아동들은 전반적으로 위축, 불안 및 우울과 같은 내재화 문제보다 비행과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문제를 많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아는 남아에 비해 전반적으로 문제행동을 보이지 않고 있지만, 여아나 남아 모두 내재화 문제보다는 외현화문제인 공격성이 다른 문제행동에 비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만4~11세 아동들이 만12~17세 아동들보다 신체증상을 제외한 모든 문제행동 척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비행과 공격성 그리고 위축, 불안 및 우울과 관련된 문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입소기간이 1년 미만인 아동과 9년 이상 된 아동들은 문제행동 영역별로 별다른 문제를 보이고 있지 않은 반면, 입소기간이 2년~8년 사이의 아동들은 전반적인 영역에서 문제행동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심리?사회적 문제를 보이고 있는 시설아동의 정신건강을 위해 아동복지적 접근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예방적 개입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심리적 안녕을 도모할 수 있도록 아동의 심리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의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지원은 시설의 물리적 지원과 인적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인데, 먼저, 물리적 환경으로는 아동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다양환 활동이 가능한 안전한 공간제공, 시설종사자들의 근무환경, 근무조건 및 처우개선 등이 요구되고, 인적 환경으로는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및 지역사회를 통한 인프라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sets up a purpose that examine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who live in child-care institutions and suggest an alternative idea reflected child`s welfare. For this study, it is choosen 51 children whose ages are from 4 to 17. They live in the child-care institutions located in the Gyeonggi -do. In 1991, Achenbach developed ‘The Achenbach System of Empirically Based Assessment (ASEBA)’. It was standardized to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In 1997. its field of behavioral problem symptom is used to study the children`s mental healt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have external problems like misdeed and aggression, rather than internalization problems like atrophy, anxiety and depression, overall. Second, girls have less problem than boys but both girls and boys have external problem like aggression than other problems. Third, 4~11 years old children are difficult from all field of behavioral problem symptom excepts a body condition than 12~ 17 years old children, particularly some problem related misdeed, aggression, atrophy, anxiety and depression. Forth, there are a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whose duration is less 1 year or more 9 years and the children whose duration is from 2 year to 8 year. the former doesn`t show extraordinarily problem in each field but the latter show many problems in general. Like this, many children have a psychological, social problem. For these children`s mental health, we propose following contents with a child welfare`s method. First, there will be considered support from psychological field of the child to devise psychology of the chil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which verifies the effect of preventive intervention. Second, support to psychological difficulty follows the physical support and human support of child nursing institution. In the physical support, it is demanded to service safe rooms where various activity is possible for children`s mental health and to offer working condition and betterment of condition of child nursing institution workers. In the human support, it is demanded to reinforce the professionalism of workers and to build the infrastructure of community.

      • KCI등재후보

        스쿨존 내 문구점의 안전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김현자 ( Hyun Ja Kim ),한성심 ( Seong Sim Han ),신지현 ( Ji Yeon Shin ),김애림 ( Ae Lim K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1 아동복지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어린이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실에서 어린이의 안전한 환경 구축을 위해 어린이의 스쿨존 내 문구점의 사용실태와 사업주의 안전관리 실태 및 안전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스쿨존 내 문구점의 안전환경에 대한 진단을 통해 문구점의 안전관리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스쿨존 내 문구점의 안전관리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어린이 757명과 문구점 사업주 46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들은 준비물의 구입 때문에 문구점을 이용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대체로 혼자서 구입하였다. 구입시 중요한 선택 기준은 ‘모양’이 우세하였으며, 문구점에 대한 불만족의 이유는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불량품이 많다’, ‘가격이 비싸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구점 사업자의 자체 안전환경에 대한 질문에 있어서는 ‘그렇다’는 긍정적인 답변이 가장 많았다. 셋째, 문구점 사업자들은 응답자의 74%가 안전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주된 목적이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어린이 안전사고 위험성의 원천적 관리라는 의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인 어린이와 부모들을 위한 안전 및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스쿨존 내 문구점의 안전관리를 위한 규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확대할 수 있는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어린이용품 공급자로서 문구점 사업주들의 안전의식 향상 및 안전한 환경개선을 위해 어린이의 소비 심리 및 안전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의 안전한 환경구축을 위해 스쿨존내 문구점의 안전관리 방안마련, 안전의식과 환경개선을 위한 범국가적인 노력의 필요성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roblems and system plans of safety management of a stationery store for children`s goods in a School Zone through an overall inspection of the consistent increase in the accidents of children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such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research, a sample survey was performed on 757 primary school children and 466 stationery storekeepers in Seoul and Gyeonggi district for the inspection of the condition of safety management of a stationery store for children`s goods in a School Zone. The results was as follows. Child consumers alone go to stationery stores frequently for buying in general. They have various standards of selection when buying stationery. One of the most important is ``the shape``. The reasons for dissatisfaction with the stationery store is ``not variety``, followed by ``many faulty goods``, and ``higher prices``. The subjects of the stationery store owners answered affirmative to the question that asked whether the system was necessary for a stationery store for children`s goods. They were also questioned about the actual distribution rate of KPS safety certified products within the stationery store for children`s goods.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earch. First, it is needed for consumer rights recognition, consumer and safety education for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Second, legal control actions for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goods in the School Zone need to be established.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models should be set up in the stationery store for children`s goods. Third, to develop a safe environment further, we need education in children`s consumer psychology and safety consciousness for the stationery storekeepers. It is important that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a safety management system plans of the stationery store for children`s goods in the School Zone as well as, international efforts for safety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 improvement to stationary storekeepers.

      • KCI등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정책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정민정 ( Min Jung Chung ),한성심 ( Seong Sim Ha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정책 및 제도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현재까지 행해지고 있는 한국의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보건복지가족부와 여성부 및 정신보건센터의 정책자료, 법률 및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은 2002년부터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정신보건사업을 실행해 오고 있으나, 학령전기 아동에 대한 조기개입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아동?청소년 정신질환 유병율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등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 공공대책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리고 공공치료 인프라와 의료 인프라도 크게 부족하며, 저소득층이 많이 이용하는 사회복지관들도 열악하고 복합적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비행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대책이 사실상 부재한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나라의 현 상황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에 대해 중앙정부가 제 역할을 못하다 보니 의료기관과 복지관, 정신보건센터 등이 제각기 전투를 벌이는 상황이다. 또한 허술한 학교 정신건강 관리 체계, 아동?청소년들의 정신질환을 조기 발견해 도와줄 시스템 부족, 정신질환에 대한 교사들의 지식 부족 등 학교 정신보건 인프라도 열악한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 활성화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안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고, 갈수록 늘어나는 정신질환 아동?청소년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정책 마인드의 전환이 절실하다. 그리고 조기개입을 통한 정신건강 문제의 예방이 시급하며 지역사회 중심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의 전달체계를 마련하여 효율적인 정신건강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정과 학교, 사회의 조기치료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치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research is about current polices and regime analyzed for korean`s Child and adolescent to find out development solution by analysing korean mental health of child and adolescence. The target of the polices and the regime is analyzed almost by Policy Resources, Laws, and references of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Mental Health Center. The result of research is that even though polices for korean child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has been executed from Mental Health Center from 2002, but early intervention for preschooler who hasn`t entered into school is insufficient. Also, the research hasn`t figured out exactly what reasons of metal illness of child and adolescence. It means the research is still on the toddle especially about social solution of child and children`s mental health. Also, it is short of the public treatment infra, medical intra and settlement house which frequently use the low-income bracket is inferior. Besides, social measure don`t exist for adolescent with a complex mental disease. That is,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don`t a role so a mental institution, settlement and a mental health center quarrel with one another about mental health of child and adolescence at present stage of our country. And it is in poor surrounding to a school mental health infra including short of system, the teacher lacking knowledge about mental disease to help mental health of child and adolescence and for loose school mental health manage system. Therefore, the way to activate child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in our country is not only to change paradigm, but also to do earlier intervention for mental illness to prevent. Also, policy switch of effective treatment is necessary because of more and more increasing mental health of child and adolescence. Moreover, it is needed to be ready for executable efficient mental health service by preparing delivering system of mental health service for child and adolescent. Lastly, it must be raise treatment efficiency to build system of early treatment for domestic, school and social.

      • KCI등재후보

        남자대학생을 위한 부모놀이치료를 이용한 예비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김혜욱 ( Hye Uk Kim ),장미경 ( Jang Mi Kyung ),한성심 ( Seong Sim Ha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3 아동복지연구 Vol.11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n fathers` empathy ability through the Filial Therapy preliminary parents`educ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Guerney(1964)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Jang(1998), on mal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the Measurement of Empathy in Adult-Child Interaction(MEACI) was used. This study, based on an ex-ante and ex-post control group design, had as its subjects seven male college students in College A and B and also seven children. The control group also consisted of seven male college students and seven children. A total of eight group sessions were conducted over eight week, one session per month, as well a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nd a post-test after its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ability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liminary parents` educa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for children. Thus, filial therapy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child-rearing technique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was expected to foster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 KCI등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김혜욱 ( Hye Uk Kim ),장미경 ( Jang Mi Kyung ),한성심 ( Seong Sim Ha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3 아동복지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on adolescent sham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8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s, and it was conducted by surve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ed that, firstly,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sham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ent-open communic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olescent shame, whereas parent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olescent shame. Secondly,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ffected adolescent shame: mother-open communication and mother-problem communication affected their children`s shame; however, father-open communication and father-problem communication did not have this effect. Father-problem communication affected only self-punishment in sub-factors of shame. Mother-open communication affected inadequateness, emptiness, and self-punishment in negative ways. Mother-problem communication affected all sub-factors of sha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adolescents acquire psychological stabilization for themselves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