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봉제패션인형의 바디패턴과 의상제작에 관한 연구

        한미란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패션인형은 의상, 신발, 액세서리등 복식의 전반적인 것을 적용한 것으로 인체를 축소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조형적이고 시각적인 공간미술의 범주에 속하며, 복식이라는 시대성을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여성의 이상적인 체형이 패션인형에 적합하게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국내 여성모델의 신체치수로 인형모형을 제작,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이상적인 신체비례를 가진 인형을 제작할 수 있는 바디패턴을 제시하고, 고(古)의상의 패턴을 수정 보완하여 인형의상의 패턴을 제시하였다. 연구 과정으로는 현재 사용 중인 봉제패션인형의 바디패턴을 수집하여 비교분석하여, 여성의 인체를 그대로 드러내는 바디슈트의 패턴으로 신장 168cm의 모델의 사이즈로 제도하였다. 이를 40cm 내외의 인형이 되도록 전체를 1/4로 축소하고, 두 번의 수정을 거쳐 연구인형을 제작하였다. 시대별 복식 5점을 선정하여 문헌에 제시된 착용법과 고의상의 패턴을 기초로 하여 연구인형에 적합한 인형의상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연구인형의 키에 대한 신체 각 부위의 비율을 Size Korea 2004의 표준체형의 키에 대한 주요부위 신체비율과 비교 하였을 때 키에 대한 높이 항목의 비율은 거의 일치하고, 너비항목은 약 80~85%, 허리의 경우 75%, 두께항목은 약 90% 정도로 나타나 시각적으로 이상적인 비율로 표현되었다. 인형의상의 제작은 키톤, 고딕시대의 로브, 와토 가운, 엠파이어드레스와 버슬드레스 5점을 제작하였고 인체의 프로포션과 인형의 프로포션이 다르므로 재현의상 제작 시 문헌에 제시된 착용법과 실제 패턴을 적용시키기는 어려움이 있어 인형의 바디에 맞도록 패턴을 수정하였다. 의상제작 시 실제 당시에 사용된 소재를 인형의상에 적용시켜 제작할 경우에는 의상의 실루엣을 제대로 나타내기 어려우므로 최대한 얇고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여야 하고, 허리부분의 시접분량이 많을수록 굴곡을 나타내지 못하고 허리가 굵어 보이는 요인이 되므로 옷감의 너비분량은 최소화 하여야 한다. 연구바디의 B.P점 위를 1/5로 축도하였기 때문에 의상 패턴제작 시에도 어깨부터 가슴둘레선까지의 길이가 짧아져야 착용시켰을 때 편안하다. 본 연구는 수작업으로 진행된 것으로, 일정한 바디패턴이라 할지라도 충전재의 종류와 넣는 방법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고 인형 제작이 서투른 초보자의 경우 가슴부분의 표현이 어렵다. 또한 의상의 경우에도 패턴을 이용해 제작을 하더라도 착의시켰을 때 인형바디의 내부 충전상태와 바느질 방법이나 시접의 분량에 따라서 맞음새가 달라지기도 하므로 정확한 표준 제작법이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의상 소재도 유사한 색상과 느낌의 얇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섬세한 주름을 표현하여야 하는 의상의 실루엣을 제대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인형에 적용할 소재의 조직, 두께, 소재와 실의 굵기에 따른 드레이핑의 효과 등이 다양하게 논의되어 인형 의상 제작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fashion doll is to apply the general matters of the clothing styles, including the clothes, shoes, accessories, and others that the human body is reduced and expressed in details for formative and visual spatial arts of category and it accompanies the time attribute in clothes. In this study, the ideal human body of adult woman is to express, and the body dimension of the woman model is produced and compared in doll model with the bodily dimension by presenting the body pattern to produce the dolls with the ideal body proportion visually, and present the pattern of doll clothing by amending and supplementing the pattern of ancient clothing. For the research process, by collect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ody pattern of the currently used embroidery fashion doll, the pattern of body suit that displays the body of women is designed with the size of model with the height of 168cm. This is scaled for 1/4 of its entirety to make the doll of around 40cm and produced the research doll with two revisions. By selecting five pieces of clothes for each time, the doll clothes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doll are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pattern for ancient clothes and the method of cloth-making presented in documentation. When compared with the ratio of each part of the body for the height of the produced research doll with the bodily ration of the major ratio of the height of the standard bodily size of Size Korea 2004, the ratio of the category of the height is almost consistent, and the width category is shown approximately 80~85%, waist for 75%, thickness category for approximately 90% as the ideal ratio. Production of doll clothing is produced in five pieces in Chiton, rob of gothic time, Watteau gown, empire dress and bustle dress, and the proportion of human body and the proportion of dolls are different that, when producing the reproduced clothing, there is a difficulty of applying the wearing method presented in the documentary with the actual pattern that the pattern is modified to fit to the doll body. In production of clothing, in the event of producing the materials actually used at the time is applied and produced on the doll clothing, the silhouette of the clothing is difficult to show well that it has to use the thinnest and softest possible materials, and as the margin to sew up volume gets larger in the waist part, it would not show the curves well and shows the waist line thicker that the width volume of fabric has to be minimized. B and P points of the research body was scaled for 1/5 that, when producing the clothe pattern, it would be comfortable if the length from the shoulder to the chest line is shortened.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manual work, and even for the consistent body pattern, the appear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filling substance and method would have the difference in type that in the event of the beginners with different doll production that the expression of the chest part is difficult. In addition, in the event of clothing, the pattern is used that the tailored look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internal filling condition of doll body, embroidering method, volume of the margin to sew up that accurate production method would be arranged. Clothing materials also use the thin material with the feeling and color similar thereto but it has the difficulty in accurate silhouette of clothing that requires the expression of sophisticated wrinkles that the study has to be continued on the doll clothing production by draping and diverse material to apply on dolls.

      • 중등학교의 재즈댄스 실태조사 : 대전ㆍ충북지역을 중심으로

        한미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actual situation of jazz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and did not participate in jazz education, and it tried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jazz education's problems and systematic education in sever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middle school. Add to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jazz dance. Research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and did not participate in jazz education of schools, culture centers and private institutes in Daejeon and Chungbuk. Among questionnaires of total 500 research subjects, questionnaires which were poor or included missing answers were excluded, so that effective number of sample was 460; among 460, the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jazz education was 210 while the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jazz education was 250.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such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jazz dance had higher interest in jazz dance than th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jazz dance. From it, it can be inferred that students who experienced jazz dance had higher interest in jazz dance because they better knew about jazz dance than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jazz dance. Second, the result represented that experience period of jazz dance i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jazz dance was generally less than one month, so that motiv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for doing jazz dance continuously should be incited. Also, the most biggest problem that students felt in learning jazz dance was the burden about school works, which reflects the problem of the entrance centered-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quiring "to whom do you want to learn if you learn jazz dance?", the answer, teachers who majored in jazz dance, was the highest. The result of investigating when and where do you want to learn jazz dance if jazz class is started in the school showed that most students want to learn it in physical education(dance) class of the school.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do you think jazz dance is required to the education of the school", most students answered "it is required more than average". It can be interpre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jazz dance already realized the necessity of jazz education including its value. Finally, in the question about what should be improved for revitalization of the jazz education after it was performed in the school, most students answered interesting teaching contents and diversification of participating programs as the highest answer. If considering such results comprehensively, the government-led active support and management are required in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schools should expand facilities and develop programs for dance education continuing to be interested in jazz dance. If expansion of facilitie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are achieved and jazz dance education put down roots, jazz dance will contribute to form sound leisure culture as one of lifelong education. For it, with more researches and th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dance education, expansion of facilities, reeducation of physical education(dance) teachers, cultivation of specialized teachers in jazz danc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etc should be further active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 시대적 배경에 따른 가발의 변천과 현대의 사용되는 특징 연구

        한미란 남부대학교 산업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have worn the wigs from B.C. 3000 in the ancient Egypt to the Middle Age and the modern age. We live in a more affluent society than the past. People express their characters with the hairstyle. This is a kind of way to express the external beauty of our bodies. The wigs have been used to show off the social positions. The royal family, the nobility and the clergy were fond of wearing them and they satisfied people. We can see here that the wigs had a great import socially and historically. The theoreticalfoundation of the wigs in the West and the East (especially in Korea) was studied. The some features are like below. First. People in the ancient Egypt worethe wigs to protect their head from the blaze of the Sun and also for the decorative effect. They had many wigs to show off their richness and the position. In the Middle age, the Baroque age and the Rococo age, there was also the status system that the wigs have been developed as part of formal suit to distinguish their positions. Second. From the ancient times, the wigs have prevented the danger from the outside and have been considered as a way of the expression of human himself who worships God and is religious and aesthetic. This is natural way to show the beauty by a desire and a need of a human instinct. In Josun dynasty, exactly when the King Youngjo and Jeongjo ruled the country, people indulged in luxurious wigs seriously and the government finally banned the wigs. As this example tells us, the wigs affected a lot to the aesthetic sense of people. In the West, we can see that the wigs have been part of the wear boldly, not just for hiding the baldness. And they were the symbols of the upper classes. In the East -that is in Korea- the chignon in which the girls of thin hair did their hair up to make their hair look thick was the beginning of the wigs. The change of hair became so popular and even promoted spending enormous money on the wigs. Finally they were banned. In modern times, some meanings and functions can be shown. First. The baldness. When you want to hide the thin hair or the scar of the head and when you want to change your hairstyle, the wigs are very useful and functional to change your hair colorand style quickly. Second. The wigs are made to suit everyone’s tasty and they satisfy individual’s desire and help people to express themselves freely. Third. The wigs lead the fashion and express the beauty. We studied the wigs and found their some features. The wigsprotected the bodies and make people beautiful. And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socially and culturally to distinguish the classes. If you reproduced the wigs of the Baroque and Rococo times when the wigs are so common and splendor, we will know that the beauty techniques were remarkable. We expect the wigs to keep playing a role to complement the defect of the body and express the individual’s character fully.

      • 인성교육을 위한 윤동주 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시치료를 중심으로

        한미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잡한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로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끼고 의미 없이 하루하루를 보내는 무기력한 청소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런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고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를 갖게 하는 인성교육이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행히 요즈음 학교에서도 인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국어과에서 새롭게 인성교육을 부각하고 있는데 문학의 목표가 긍정적인 자아형성에 있다는 점에서 문학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았다. 그중 시문학은 짧은 내용으로 정서적 위안을 얻고 자신과 타자에 대한 이해, 그리고 자아 정체성 탐구 등을 하게 된다는 측면에서 청소년기의 불안정한 정서에서 벗어나 정서 순화, 바람직한 자아 형성과 같은 정서적 위안과 충만감이 가득한 인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윤동주는 스스로 자신의 삶을 응시하며 살아간 성장과정을 시로 형상화했고 대부분의 작품이 의지적이고 긍정적인 전망을 보여주기 때문에 청소년기 학생들의 바람직한 인성형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그의 작품 속에는 국어과에서 제시한 인성요소 즉 자기성찰과 타인존중,책임과 참여의식 등이 담겨 있기 때문에 인성교육을 위한 제재로 충분하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윤동주의 삶과 그의 시를 통해 함양할 수 있는 인성요소로 ‘인물의 삶을 통해 긍정적인 의지 다지기’, ‘자아성찰을 통해 나를 이해하기’, ‘만남을 통해 아름다운 관계 형성하기’, ‘현실 극복을 통해 나의 꿈 이루어가기’ 등 네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을 윤동주의 인간적인 삶의 모습을 정리한 내용과 그의 작품인 「자화상」,「별 헤는 밤」, 「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윤동주의 시를 본격적으로 교수학습 하기 전에 청년 윤동주의 삶을 살펴보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그 이유는 암울한 시대 속에서도 의지를 굽히지 않았던 청년 윤동주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면서 그에 대한 공감과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것 자체로도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윤동주는 그의 삶이 곧 시로 형상화된 시인이기 때문에 삶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윤동주의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자화상」에서 자신의 모습을 직면해보고, 「별 헤는 밤」에서 아름다운 언어를 만나는 경험과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열고, 「길」에서 자신의 목표에 대한 의지를 다져보는 기회를 순서대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시를 통해 자신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고 긍정적인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였다. 윤동주 시를 통해 인성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가 내 삶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는 시 교육이 중요하다. 더욱이 고백적이고 자전적인 화자가 등장하는 시에서 독자가 얻을 수 있는 시적경험은 시를 하나의 미적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의 고백과 자신의 삶을 견주면서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며 시의 강렬한 울림을 느낄 수 있는 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시가 자신의 삶과 일치되는 경험을 통해 정서적 감동을 얻고 시를 통해 자신의 삶의 모습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의 내면화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방법이 도입되어야 하는데 다행히 시치료 접근법이 시를 통해 개인의 내면을 직면하게 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본 연구자는 내면화를 위한 시 교수학습 방법을 시치료에서 구하였다. 더욱이 자아성찰의 기회를 강하게 제공하는 윤동주의 시가 학습자의 정서적 성장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시치료 방법을 활용하는 것은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인성교육이 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남을 이해하고 그것이 결국 내 삶을 적극적으로 살아가며 자아실현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은 자기인식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실천함으로써 건전한 자아 형성을 이루어가는 시치료와 연관되기 때문에 인성교육을 위한 시 교수학습 방법으로 시치료를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정서적으로 건강한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시치료와 바람직한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인성교육은 그 지향점이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 교육이 학교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때 청소년기 학생들은 비로소 긍정적으로 성장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행복감에 젖게 될 것이다. 여기에 교육의 진정한 의미가 있는 것이다.

      • 제임스 스마트(James D. Smart)의 교육사상 틀에서 이해한 김기동의 기독교교육사상

        한미란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제임스 스마트(James D. Smart)의 교육사상을 고찰하고, 스마트의 교육사상 틀에서 김기동의 교육사상의 특징을 탐색하여, 성경 안에서기독교교육의 정체성을 찾고, 예수그리스도와 초대교회의 교육의 원형으로 되돌아가야할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신정통주의 신학에 기초하여 교육이론을 펼쳐나간 스마트는 예수 그리스도와 초대교회가 가졌던 교육목적에 근거하여, 복음과 말씀의 증언자가 되는 제자직(discipleship)으로의 참여를 교육목적으로 설정한다. 스마트는 이와 같은 교육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성경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성경교육을 위한 일곱 가지 적용내용을 제시하고,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기초로서 신학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가정과 교회 그리고 공교육을 시행하는 교육기관을 스마트는 기독교교육의 현장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기동은 교회의 교육적 기능을 논증하고, 예수 그리스도와 신약교회에 근거하여 예수의 증인, 영적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설정한다. 그는 교육목적을 구현하기위해 교육내용의 중심은 성경이어야 함을 주장하고, 말씀에의 순종과 말씀의 체험, 그리고 성경이 바탕이 된 신학을 강조하면서 이를 평신도가 겸비해야할 요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김기동은 가정과 교회를 기독교교육의 현장으로 인식하고 있다. 스마트와 김기동의 교육사상을 고찰한 결과, 스마트의 교육사상 체계 안에서 김기동의 기독교교육사상은 충분히 설명되어진다. 스마트와 김기동의 교육사상은 교회와 교육의 유기적 관계를 강조하는 교회중심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스마트가 고안한 교육프로그램의 근거는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사건이며, 이것을 증거하는 성경이다. 김기동의 교육사상도 성 경중심 정신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교육내용뿐만 아니라 교육목적의 설정에 있어서도 성경 특히 신약교회에 준거하고 있다. 스마트와 김기동은 예수그리스도와 신약교회 교육으로의 복귀를 주장하며, 예수의 제자로의 초대 혹은 예수의 증인 양성에 교육목적을 두고 있음이 발견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의 교육사상 체계 안에서 김기동의 교육사상이 충분히 조망될 수 있다는 사실은 김기동을 기독교교육학자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준다. 둘째, 스마트와 김기동은 성경으로 돌아가 성경 안에서 기독교교육의 정체성을 찾아야 된다는 강한 메시지를 제시하고 있다.

      • 소매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조형요인에 관한 연구

        한미란 昌原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매의 조형요인 중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기 위하여 시판 소매패턴을 수집하여 소매의 특성을 파악하고, 소매의 제도 요인인 소매산 높이와 봉제 요인인 봉합 여유량이 소매 외관에 미치는 영향과 소매가 부착되는 부위인 진동둘레의 형태와 소매 외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국내외 시중에서 유통되는 실물패턴 중 ?인 소매 패턴 259개를 수집하여 소매너비, 소매산 높이, 소매산 둘레, 길의 진동둘레, 앞·뒤길 너비를 계측한 결과 소매산 높이는 평균 14.8cm, 소매너비는 평균 36.1cm, 소매산 둘레는 평균 49.5cm이고, 봉합 여유량은 평균 1.40cm이었다. 봉합 여유량은 짧은 소매보다 긴소매가 많았으며, 패턴 제조사별로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봉합 여유량과 소매산 높이, 소매산 너비, 사이즈, 길의 너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매의 봉합 여유량은 소매산높이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가상착의 프로그램 I-Designer를 사용하여 길의 진동둘레, 소매너비 및 소매길이는 동일하게 고정하고, 소매산 높이를 달리하는 실험조건으로 가상착의 실험을 한 결과 소매산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소매산 둘레도 증가하였고, 소매는 좁고 길어 보이며, 소매산의 높이가 낮아질수록 진동둘레의 너비는 넓어지고 길이는 줄어들어 소매산의 높이에 의해 소매의 외관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험자의 신체 진동깊이가 11.5cm일 때 소매산 높이는 14∼15cm, 봉합 여유량은 3∼5cm인 실험복이 적절하였다. 가상착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Optitex를 사용하여 봉합 여유량의 배분과 위치를 달리하는 실험조건을 설정하고, 가상착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 소매를 달지 않은 의복과 진동둘레의 형태와 소매기준선의 위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매를 달지 않은 의복의 진동둘레 형태와 가장 유사한 소매의 형태로 앞은 소매산 높이의 1/3 위쪽에, 뒤는 소매산 높이의 1/2 위쪽에 오그림량을 배분한 것이고, 겨드랑뒤벽점힘점 가까이로 약간의 오그림 분량을 주었을 때 소매 기준선과 젖가슴둘레선이 일치하였으며, 봉제를 용의하게 하기 위해서는 봉합 여유량의 배분 시 최소한 5개 이상의 너치를 두어야 한다. 브래지어 A, B, C, D컵을 착용하는 피험자 4인의 착의 실험 결과, 브래지어 B, C, D컵을 착용하는 피험자는 언더암 다트만을 사용한 것 보다 언더 암다트와 암홀 다트를 병행한 것이 외관이 우수하였다. 또한 언더암 다트와 암홀다트를 병행한 실험복의 진동둘레가 인체의 진동둘레에 잘 피트되었고, 진동너비와 진동깊이가 피험자의 신체치수와 근접하였으며, 소매 부착 전·후의 진동둘레의 형태가 유사하였다. 따라서 소매의 외관은 진동둘레 형태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젖가슴이 큰 체형의 경우 젖가슴둘레와 젖가슴아래둘레의 치수를 적절히 활용하여 앞·뒤길의 너비를 다르게 설정하고, 다트의 위치와 분량을 조절하면 인체에 적합도가 높은 진동둘레의 설계와 소매의 제작이 가능하다.

      •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 서울, 경기 지역 중심으로

        한미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의 예술경험은 유아의 심미적 태도를 길러줌으로써 이후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누리과정에서는 예술경험 영역을 통해 유아들이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경험을 하도록 관련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미술관은 유아들에게 예술작품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시설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현재의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미술관 이용률이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들이 미술관 및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아교육에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미술관 활용 실태와 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사 개인적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 유아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유아들과 함께 미술관 프로그램의 이용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5곳과 유치원 11곳에 종사하는 유아교사 231명을 임의표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는 남미선(1999)과 이윤진 외(2013) 토대로 작성한 후, 유아교육과 교수 3인, 유아교육기관장 5인, 유아교육 현장전문가 6인을 통해 설문지 구성 및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이후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현직 유아교사 6인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한 결과에 따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변인의 특성에 따라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t검정, ANOVA, 교차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에 앞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에서 미술관의 활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른 문화시설에 비해 미술관의 이용률은 가장 낮았다. 지난 1 년간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으로 미술관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는 표본이 49명(21.21%)이였고,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유아교사는 표본의 48명(20.48%)이였다. 유아교사가 현장학습 및 체험활동 장소를 고려할 때는 교과와의 관련성, 기관의 요구, 유아들의 흥미 등을 고려한다고 하였다. 미술관을 이용하지 않은 유아교사들은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거나 미술관까지 이동이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체험활동 및 현장학습 장소로서 미술관의 장점으로는 미술 영역과 관련된 전문적인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단점으로는 적절한 프로그램의 부족과 미술관에 대한 유아교사의 불편감을 지적하였다. 둘째, 유아교사가 개인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이용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관 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의 학력과 전공은 미술관에 대한 인식 수준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미술관 이용이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 중 예술 감상하기 및 가장 유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유아교사로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해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주로 그리기 및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기관의 연간계획이나 기관장의 요구를 통해 습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을 결정할 때에는 프로그램의 내용 및 특성과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교사의 평판을 고려하여 결정한다고 응답했으며 미술관의 접근성도 중요요인으로 나타났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들에게 보다 전문적인 미술경험을 제공해 주고, 새롭고 흥미로운 미술활동을 경험을 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응답하였다. 유아교사로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교사들은 대부분 만족 한다고 응답했으며 유아들은 대체로 흥미로워 한다고 밝혀졌다.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기에 유아의 흥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프로그램의 주제 및 내용과 미술관의 분위기 및 시설이라고 응답하였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아교사들은 추후 다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현재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에서 가장 시급하게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는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프로그램 확보 및 충분한 정보에 대한 부분을 지적하였다. 한편,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은 이유를 조사한 결과, 정보를 얻지 못했거나 마땅한 교육프로그램이 없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이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과반수가 이용하는 편이 좋다고 응답하였다. 추후 이용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가능하다면 이용하는 편이 좋다고 응답하여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할 의향이 있음을 밝혔다.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이 가장 시급하게 보완해야 할 점으로는 프로그램의 적합성과 주제에 맞는 프로그램의 제공을 꼽았다. 이상의 결과는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한 국내의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활용 실태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과 관련있는 유아교사의 개인적 경험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학습 및 체험학습 운영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유아 대상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해주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bout arts and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practical usag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use of the art gallery program in field trip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experiences of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 also analys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could affect on their perception and practical use of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23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45 preschools and 11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The questionnaire for inqui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practical usage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researches such as Nam(1999) and Lee(2013). We confirmed the questionnaire’s adequacy and validity by 9 specialis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other statistical tests using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n the use of art gallery in the field trip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visit art gallery less than other cultural facilities. Second, as a teacher, the personal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linked to the practical use of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as a teacher. Those teachers who had the experiences of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generally satisfied the program. Third, depending on the education level and the maj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was differed. In addition, they expected that the use of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 would be helpful the young children. Forth, the older the age of the children, the more frequent they visited the art galleries. Most of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re drawing and craft class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btained information on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annual plan of the institution or the principles.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e content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putation of the programs as priority. The accessibility of the art galleries was also considered wh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ecide to visi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used the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re willing to take the programs again. The most urgent supplementary point they thought was the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s and sufficient information . We also conducted the survey on the teachers who had not used the art galley education program. They answered the reason of not using the programs as they did not receive any information or there was not adequate educational program. When asked about the necessity of using the educational programs at museums, the majority answered it was needed. The most immediate needs for the educational programs at art gallery should be appropriate developmentally and suitable for the them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spite insufficient data about art gallery education programs, we suggested fundamenta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supplementary elements to vitalize educationa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미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장애인의 대학교 진학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대졸 장애인의 취업 장벽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취업한 대졸 장애인의 고용의 질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또한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직무요인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요인 그리고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나타나는 지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요인을 Herzberg의 동기-위생 이론을 기반으로 직무내적요인(적성부합, 전공일치, 직업능력)과 직무외적요인(월평균 소득, 근무환경, 고용형태)으로 나누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직무요인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교육을 받은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5차 조사(2020년)에 응답한 임금근로장애인 1,534명 중에서 대졸 이상 근로장애인 59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카이제곱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rocess Macro v4.1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근로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직무요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도는 연령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50대 이하’ 집단에 비해 ‘60대 이상’ 집단에서의 직무만족도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혼인상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무내적요인 중 적성부합은 성별, 연령, 혼인상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일치는 ‘50대 이하’ 집단에 비해 ‘60대 이상’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유형에서는 정신적 장애 집단에 비해 신체적 장애 집단의 전공일치 수준이 더 높았다. 직업능력은 ‘30대’ 집단과 ‘40대’ 집단이 ‘60대 이상’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배우자가 없는 집단보다 배우자가 있는 집단, 정신적 장애 집단보다 신체적 장애가 있는 집단, 중증 장애 집단보다 경증 장애 집단의 직업능력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무외적요인 중 월평균 소득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더 높았으며, 연령에 따른 월평균 소득은 ‘40대’와 ‘50대’ 집단이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 집단이 가장 낮았다. 또한 배우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집단, 정신적 장애 집단에 비해 신체적 장애 집단이 높았으며, 중증 장애 집단에 비해 경증 장애 집단의 월평균 소득 수준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안전하고 쾌적하다고 인식하였으나 그 외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용형태는 남성은 정규직이 더 많았으나 여성은 비정규직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50대 이하’ 집단에서는 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높았으나 ‘60대 이상’ 집단에서는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상태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집단과 배우자가 없는 집단 모두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율보다 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은 신체적 장애 집단은 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더 높았으나, 정신적 장애 집단은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장애정도는 중증 장애 집단의 경우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율이 더 높았고, 경증 장애 집단에서는 정규직 근로자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60대 이상’ 집단에 비해 ‘40대 이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있는 집단, 신체적 장애 집단, 경증 장애 집단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내적요인(적성부합, 전공일치, 직업능력)과 직무외적요인(월평균 소득, 근무환경, 고용형태)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내적요인은 대졸 근로장애인의 현재 직무와 적성이 부합할수록, 전공이 일치할수록, 직업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외적요인은 월평균 소득이 높고, 근무환경이 안전하고 쾌적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졸 근로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요인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내적요인 중 적성부합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그리고 직업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외적요인 중에는 월평균 소득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만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요인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직무요인을 직무내적요인과 직무외적요인으로 구분하여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직무요인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대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직무요인과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장애학생의 진학 및 취업과 관련한 상담 및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Despite the steady increase in the college enrollment rat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ver the recent years, it is still considerably more difficult for recent graduates with disabilities to get a job in Korea. There also exists a lack of research literature that looks into the job quality and status of college-educat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college-educat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job factors and self-efficacy. The presented work examined whether job satisfaction, various job factors and self-efficacy differed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graduat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Based on Herzberg(1966)'s motivation-hygiene theory, job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wo sets of internal factors(person-job fit, job-discipline fit, job capacity) and external factors(average monthly income, working environment, employment status); then their rel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job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were examined, in order to seek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college-educat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s second wave of the 5th「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2020)」. Among 1,534 paid-employees with disabilities, 593 people whose final education was a minimum of a college degree were chosen for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hi-squared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SPSS statistics version 21. PROCESS macro version 4.1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job satisfaction, job factors and self-efficacy were examined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graduat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nly job satisfaction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age; job satisfa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60 and above’ age group compared to ‘50 and below’ age group.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reported by gender, marital status, type of disability, and severity of disability. Among internal job factors, the differences of job-person fit by gender, age, marital status, type of disability, severity of disa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job-discipline fit, ‘60 and above’ a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 than the ‘50 and below’ age group. Regarding the type of disability, job-discipline fit was higher for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an those with psychological disabilities. As for job capacity, ‘30s’ and ‘40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60s and above’ group, while married group than the unmarried,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y than psychological disability, and moderate disability rather than severe disability signifi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job capacity. In terms of external job factors, men had average monthly income than women; it was the highest in the ‘30s’ and ‘40s’ age groups while ‘60 and above’ had the lowest.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higher in the married group than the unmarried, physical disabilities than psychological disabilities, and moderate degree of disability than severe degree of disability. Women perceived the working environments to be safer than men, but no other differences were found. Men reported higher rates of permanent employment status while women reported higher rates of temporary employment. As for age, ‘50 and below’ age group indicated higher rates of permanent employment but ‘60 and above’ age group signified higher rates of temporary employment. With regard to marital status, both married and unmarried group indicated higher percentage of temporary employment than permanent employment. Regarding the type of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y type had a higher percentage of permanent employee while psychological disability had a higher percentage of temporary employment. As for the severity of disability, the percentage of temporary workers was higher in the severe disability while the percentage of permanent workers was higher in the moderate disability. When examined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was reported to be higher in the ‘50 and below’ age group than the ‘60 and above’ age group, and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ho were married, had physical disabilities and had moderate degree of disability.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internal job factors (person-job fit, discipline-job fit, job capacity) and external job factors (average monthly income, working environment, employment status)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with disabilities indicated that, for internal factors, job satisfaction were greater when the person-job fit was higher, discipline-job fit was higher, and job capacity was greater. Regarding external job factors, job satisfaction was greater when average monthly income was greater and the working environment safer.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reveale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job satisfaction while revealing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apac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external job factors, self-efficacy was reported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thly average income and job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revealed that job satisfaction, job factors, and self-efficacy of college-educat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differ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is study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job factors a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level, and to further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of job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level.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job factors and self-efficacy in increasing job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educate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and further provided data needed for developing counseling materials and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