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理藪新編』의 내용과 사료적 가치

        한문종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3 중원문화연구 Vol.31 No.-

        『Isusinpyeon』 is a scientific book compiled in an encyclopedia format by LJae Hwang Yun-seok, a Silhak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wang Yun-seok compiled 『Isusinpyeon』 from September 1744(20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when he was 16 years old until 1748, four years later. However, it is unclear exactly when 『Isusinpyeon』 was completed. The manuscript 『Isusinpyeon』, written by Hwang Yun-seok, consists of four books and is currently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contents of 『Isusinpyeon』, Hwang Yun-seok set up his own section, drastically abbreviating the contents of 『Seongri Daejeon』, extracting and inserting relevant content from various documents, and then providing brief annotations and his own opinions. added. In particular, Hwang Yun-seok referred to many Chinese and Korean writings in the process of editing 『Isusinpyeon』. The historical value of 『Isusinpyeon』 can be said to be very useful material for studying Hwang Yun-seok's percept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history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Isusinpyeon』 has valuable historical value in research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astronomy, geography, and mechanics in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전기 한일관계와 對馬

        한문종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1

        對馬 宗氏가 대마도로 들어오기 이전인 1008년경 대마도에는 阿比留氏가 대재부의 재청관이었으며, 이들은 고려와 대마사이에 진봉선무역이 정례화 될 때 대고려 무역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12세기 말부터 惟宗氏의 세력이 점차 성장하였으며, 13세기 중엽 이후에는 惟宗氏가 對馬國地頭代로서 막부계의 현지 최고책임자가 되었다. 그 후 대마도에서는 도주직을 둘러싸고 대마 종씨와 仁位 宗氏가 대립하고 있었지만, 결국 宗貞茂가 도주직을 차지하였다. 대마 종씨는 13세기 후반부터 小二氏의 被官으로, 14세기 중엽부터는 筑前守護代를 겸하고 있었다. 북구주에 나가있던 宗貞茂는 1408년에 동생 宗貞澄에게 筑前州守護代職을 물려주고 대마도에 정착함으로써 宗氏家督과 축전주 수호대직을 실질적으로 분리하고 대마도내의 지배권을 확립할 수 있었다. 조선조정의 다양한 왜구대책의 실시 결과 1409년을 전후로 하여 왜구의 침입은 급격히 감소한 반면에 일본의 ‘통교자’는 점차 증가하였다. 그러나 왜구의 통제에 적극 협력하였던 대마도주 宗貞茂가 죽은 이후부터 다시 왜구의 침입이 증가하자 조선에서는 대마도정벌을 단행하였다. 대마도정벌은 왜구를 근절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이 왜구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대일외교를 주도적으로 정비하거나 운영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짧은 기간이지만 대마도가 경상도의 속주로 편입됨에 따라 이후 조선에서는 ‘對馬藩屛意識’과 ‘對馬屬州意識’이 일반화되었으며, 대마도가 조일외교의 중간세력으로 급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대마도정벌은 조선조정이 주도권을 가지고 대마도와 기미관계의 외교체제를 실시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으며, 대마도가 조선과 일본에 양속되어 외교관계를 전개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조선에서는 통교자의 증가에 따른 치안상의 혼란과 재정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왜인통제책을 실시하였다. 이 왜인통제책은 대마도주를 기미관계의 외교체제에 편입시키는 대신 그에게 여러 가지 통교상의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특히 문인제도와 계해약조는 조선과 대마도간의 외교관계를 정례화 함으로써 이후 대일통교체제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기본이 되었고, 대마도주를 비롯한 일본의 지방호족들을 조선중심의 정치·외교질서인 기미관계의 외교체제 속에 편입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대마도주는 왜인통제책을 기반으로 조선과 일본사이에서 양속관계를 강화할 수 있었으며, 조일외교에서 그의 역할을 더욱 더 증대해 갈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대마도사행은 모두 33회에 이르렀으며, 주로 조선초기인 태조-세종대에 집중되었다. 조선에서 대마도주에게 파견한 사행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중 경차관과 선위사, 체찰사 등은 조선의 대지방관이었다는 사실이 매우 주목된다. 이는 조선이 대마도를 조선의 번병 또는 속주로 인식하고 있었던 반증이며, 대마도의 양속관계가 그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조선조정에서는 대마도주에게 문인 발행권을 주었으며, 관직을 제수하려 하고, 세견선의 정약과 도서의 사급 등 통교상의 특권을 부여한 것은 아닐까?대마지방의 통교는 조선전기 일본지방의 통교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중 대마도주의 통교가 가장 많았으며, 또한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유지 ... As the Sō family (宗氏) were officials of the Shoni family (小貳氏) from the late thirteenth century and held the additional post of Vice Governor of Chikuzen Province (J. Chikuzen shugodai 筑前守護代) from the midfourteenth century, Sō Sadashige (宗貞茂) advanced in to northern Kyushu as Vice Governor of Chikuzen Province. Later, in 1408,Sadashige passed this position to his younger brother Sō Sadazumi (宗貞澄) and settled in Tsushima and established his rule over Tsushima. Due to the Joseon government’s various policies against Japanese pirates and the domestic political stability in Japan, pirate attacks rapidly decreased from around 1409, while the number of people who were qualified to sail to Joseon from Japan increased. However, attacks resumed after Sadashige, who had actively cooperated to control Japanese pirates, died in the fourth lunar month of 1418. The Joseon government thus determined to conquer Tsushima. With this military action, the Joseon government eradicated Japanese pirates. This was significant because the Joseon government had an excellent opportunity to establish an advantageous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sushima. This situation greatly improved diplomacy with Japan. Meanwhile,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and to eliminate the confusion of public peace and order caused by Japanese, the Joseon government implemented several policies. It reduced the ports the Japanese could use; controlled their entrance by requiring specific documents, certificates for trade, or entry permits; and introduced strict limits on trade ships. The control policies of the Joseon government were implemented to place the governor of Tsushima under a system of control, in other words, a Joseon-centered political or diplomatic order,while giving the governor several privileges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Jose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irty-three envoys sent to Tsushima are recorded. Among these, twenty were sent from the reign of King Taejo (r. 1392-1398), who was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reign of King Sejong (r. 1418-1450). Diplomatic relations with Tsushima account for about half of those with Japan in the early Joseon period. Among them, the amicable relations with the governor of Tsushima were the most, at 48.2%, and were maintained continuously and securely. This means that the Joseon government highly valued and respected the governor of Tsushima. Considering the facts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s diplomacy with Japan in the early Joseon are: first, Joseon’s negotiations with Japan were active and progressive; second, the Joseon government thought so much of Tsushima’s geographical location that it made the most of the governor of Tsushima rather than the shogun of Japan’s feudal government; third, differing from its relationship with Japan’s feudal government, the Joseon government could maintain a more controllabl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sushima. In addition, the roles of Tsushim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first, as the southern military base of the Joseon government; second, as the intermediary in trade between Joseon and Japan; third, as the base for spreading the culture of Joseon; and lastly, as the location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not only Tsushima but also the whole of Japan.

      • KCI등재
      • KCI등재

        『頤齋亂藁』(황윤석)의 사료적 가치

        한문종 강원사학회 2023 江原史學 Vol.- No.41

        『이재난고』는 이재 황윤석이 10살 때인 1738년(영조 14)부터 63세 때인 1791년(정조 15)까지 53년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종합적 생활일기’이자 비망기로 총 57책에 달하는 방대한 저작물이다. 『이재난고』에 대한 연구는 황윤석의 생애와 활동, 어학과 문학, 유학과 실학사상, 자연과학과 수학, 경제생활, 음악과 복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그중 어학과 문학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야보다도 매우 활발 하게 이루어졌다. 『이재난고』는 영조말 정조초의 정치상황과 지방행정의 운영, 사회·경제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이재난고』는 어학사와 문학사, 지명의 어원 연구는 물론 서양 과학서의 소개와 전파 경로, 궁중음악, 회화, 서예, 차문화사 등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사료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황윤석의 『이재난고』는 조선후기 정치사, 사회·경제사, 문화사는 물론 생활사, 호남지방사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문화콘텐츠의 보물창고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재난고』의 번역이 전체의 1/8정도밖에 이루어 지지 않아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전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정치관계 기록은 노론의 시각에서 정리한 자료라는 점과 다른 사람한테 빌린 책 중에서 발췌하여 베낀 부분이 많이 있다는 한계점도 있다. Ijaenango is a comprehensive personal journal and a memorandum written by Hwang Yun-seok in the form of a diary for 53 years, starting from an age of 10 in 1738 to 63 in 1791. Ijaenango was studied in various perspectives, each focusing on Hwang Yun-seok's lifetime and activities, linguistics and literature,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natural science and mathematics, economic life, music and fashion. Among them, linguistics and literature research is most prolific. Ijaenango provides valuable 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al situation, oper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social and economic reality in the 18th century. Furthermore, Ijaenango is valuable for studying not only the history of linguistics and literature and the etymology of place names, but also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Western scientific books, court music, painting, calligraphy, and tea culture history. Hwang Yun-seok's Ijaenango becomes a treasure trove of cultural contents that have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for studying the political, socio-economic, and cultural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well as life and local history in Honam region, South Korea. However, only about one eighth of the contents of Ijaenango have been translated so far, deterring the progress of research in a variety of fields. In addition, Ijaenango has limitations in that political affairs have been recorded from the perspective of Noron faction only, and that many parts were excerpted and copied from books the author borrowed from other people.

      • KCI등재

        조선전기 전라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문종 전북사학회 2019 전북사학 Vol.0 No.57

        In this article, I briefly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Jeolla Province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Jeolla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compared to other periods. Rather, there are more studies covering all periods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 Province in the first half of Joseon cannot be properly underst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on Jeolla Province at this time while balancing with other times. Second, even in the same Jeolla Province, the variation was very large depending on where the study area was. In particular, studies on Hyanggyo, Seowon, local system, Sugunjin, and literature were mainly conducted on Jeollanam-do, while very few studies were conducted on Jeollabuk-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store the history of Jeolla Province only by reducing the deviation between these study areas. Third, looking into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research papers, rather than analyzing Jeolla as the main research object, there were many cases describing the history of Jeolla as a part of national history. For this reason, the status and role of Jeolla Provinc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tends to be difficult to gras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Jeolla Province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not national history, and from the local rather than central one. In addition, researchers need to think more deeply about how to balance the universality of Korean history with the specificity of Jeolla. 이 글은 조선전기 전라도 지방에 대한 연구현황을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로 정리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조선전기 전라도 역사에 대한 연구의 특징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전기 전라도에 대한 연구는 다른 시기에 비해서 그리 많지 않았으며, 조선시대 전시기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조선전기 전라도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른 시대와 균형을 맞추면서 조선전기 전라도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같은 전라도 지역이지만 연구대상 지역에 대한 지역적 편차가 매우 컸다. 특히 향교와 서원, 지방제도와 수군진, 문학 등의 연구는 주로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북지방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적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대상 지역의 편차를 줄여야만 온전한 전라도의 역사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구의 내용이 전라도가 중심이라기보다는 국가사 속에서 일부분을 할애하여 서술한 경우가 매우 많았다. 이 때문에 한국사의 전개과정 속에서 전라도지역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국가사 아닌 지방사의 관점에서, 중앙이 아닌 지방의 관점에서 조선전기 전라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더불어서 한국사의 보편성과 전라도의 특수성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지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