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eldenkrais이론에 기반한 신체토닥임(tapping)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명옥(Myoung Og Han),손혜숙(Shon Hye 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펠던크라이스(Feldenkrais) 기법 중 하나인 신체토닥임(tapping)이 유아의 자아자존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I시에 위치한 만4세 유아 60명(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주2회 신 체토닥임을 12주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토닥임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 지능 중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신체토닥임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 및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며 부모교육 정보의 기초적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how tapping one of Feldenkrais’s methods, affects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60 four-year-olds(3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mparison group)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I city,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tapping 2 times a week for 12 weeks(24 times), and the comparison group took routine activities for the sa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apping can improve young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It is possibl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or appli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명옥(Han, Myoung Og),유구종(Yoo, Ku Jo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안전지식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K유치원과 J유치원의 2학급 만5세 유아 40명이며, 이중 4명을 대상으로 안전지식의 변화양상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인 교육목적을 ‘유아가 위험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안전지식과 태도 및 대처능력을 기르고 안전생활을 습관화한다.’로 설정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 안전태도의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안전영역 하위내용 요소인 생활․환경안전, 교통안전, 화재안전, 놀이안전, 대인안전의 점수도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유아 스스로 안전지식을 습득하고 안전의식과 실제 대처능력을 바탕으로 위기상황에 대한 안전문제해결사고를 증진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situation-centere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verify its effects on safety knowledge. Forty children aged five were selected in two classes from Kindergarten K and J located in city S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examined four of them specifically to identify if there are any changing aspects in their safety knowledg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ontext-oriente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has been comprised of its goals and objectives, description of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evaluation. Fostering to build basic safety knowledge, attitude and capability and putting safety into practice in daily life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educational objectives. Second, upon implementation of a program, scores in terms of safety knowledge, finding solutions for safety problems and safety attitude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In addition, scores in life and environment safety, traffic safety, fire safety, play safety and interpersonal safety, which are sub-elements of safety, were also hig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fi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raising safety awareness and promoting safety knowledge and capability under crisis situation among children and in achieving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lass objectives in an effective way.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시안 개발

        유구종(Ku Jong Yoo),한명옥(Myoung Og H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는 것이었는데, 이론적 검토 하에 ADDIE 모형에 기반한 매체활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재직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유 아교사의 안전교육 내용 및 방법에 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이중 19부를 제외한 총 261부가 최종적인 분석을 위한 자료로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프 로그램 시안 개발을 위해서 문헌분석과 설문 분석을 통한 요구도 결과를 반영하였고 적합성 검증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ADDIE 모형 기반 매체활용 상황중심 유아안 전교육 프로그램 시안의 타당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 교사를 위한 유아안전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안전교육 수업모형 개발과 실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raft of a situation-oriente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The study aims to develop a media-utilizing program based on an ADDIE model. By means of a questionnaire, surveys 280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s, asking them about their perception and needs for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Of these 280, 261 are returned and used for final analysis. To develop a draft program, this study reflects the results of needs through literary analysis and questionnaire analysis. It is verified that a situation-oriented safe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for preschoolers based on the ADDIE model is valid by conformity assessment and content validity assess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eachers with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a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and to suggest basic data for class mode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for safety education.

      • KCI등재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수업모형 개발

        유구종(Ku-jong Yoo),한명옥(Myoung-og H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유아-교사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유아교사의 설문을 통한 요구도 분석결과를 반영하였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안전교육의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셋째, 상황중심 유아안전교육의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양상 분석과 안전관련 개념의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안전관련 개념 발현 양상 분석결과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실천의 발현양상 빈도가 점차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반영하여 수업모형 1차 적합성 검증(전문가, 교사 11인 대상), 2차 적합성 검증(원장, 원감, 교사 307명 대상)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유아안전교육 수업모형의 타당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안전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eacher-child interactive aspects according to situation-centered child safety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o develop a situation-centered child safety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upon that basis. For this study, first, analysis results of the needs of child teachers which were found through surveys were reflected. Second, the child-teacher interactive aspects in safety education conducted in child education centers were analyzed. Third, child-teacher interactive aspects in situation-centered child safety education and aspects of safety concepts w1.ere analyzed. With safety concept aspects, the aspect manifestation frequencies of 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s, and safety practices appeared to gradually increase. Reflecting upon such results, validation of a child safety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was conducted through the suitability verification of an instructional model and the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This study not only proposes child safety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ut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bas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safety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QR코드 교육계획안 활용이 유치원 학부모의 수업활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구종(Ku Jong Yoo),한명옥(Myoung Og Han),김명숙(Myeong Sook Kim),최승연(Seung Yeon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학부모의 수업활동 이해를 돕는 구체적인 자료를 수록한 QR코드를 교육계획안에 기록하여 제작한 QR코드 교육계획안을 활용했을 때와 기존의 교육계획안을 각각 활용하였을 때 학부모의 수업활동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A유치원 만 5세 연령 두 학급 학부모 40명(비교집단 20명, 실험집단 20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교육계획안에 대한 만족도 측정을 실시하고, 12주간 실험집단 학급을 대상으로 QR코드 교육계획안을 활용한 후 교육계획안에 대한 만족도 측정을 실시하여 측정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QR코드 교육계획안을 활용하였을 때 교육활동 전반에 관한 만족도, 유아의 발달 이해에 대한 만족도, 유치원과 가정간의 연계교육 수행, 유치원과 가정간의 의사소통, 유아교육관련 정보획득 등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QR코드 교육계획안을 활용하였을 때 학부모의 교사 전문성 인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지속적 활용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교사-학부모간 효율적 의사소통으로 유아의 교육·보육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간의 피드백을 통하여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기대할 뿐 아니라 유치원의 교육계획안 작성 및 활용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study compares the use of a previous teaching plan with that of a QR code teaching plan. A plan made by recording on the teaching plan the QR codes that contain detailed data intended to help parents understand a class activity. The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how parents` class activity satisfaction differs. Also, with this, the study intends to allow teachers and parents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nurturing, realize effective interaction among them through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and find out a developmental direction to make and use a teaching plan for kindergarteners. The study selected 40 parents (20 for the control group and 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two classes of 5-year-olds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study measured satisfaction with the previous teaching plan and analyzed the values of satisfaction about the teaching plan after using (for 12 weeks) the QR code teaching pla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QR code teaching plan was utilized regarding satisfaction with a general educational activity, satisfaction with understanding their children`s development, implementation of connected educ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family, communic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the family, or acquisition of information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QR code teaching plan was used, in the recognition of parents on the teacher`s expertis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recognition on continual utility.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유치원 지도서」의 저탄소 녹색성장관련 활동 분석 및 홀리스틱 관점에서의 방안모색

        유구종(Yoo, ku-Jong),한명옥(Han, Myoung-og)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인간 삶의 터전인 환경의 소중함을 알고 자연을 보존하며, 지구 온난화와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위기에 대처하고자 실제 유치원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교육 관련 활동을 분석하고, 유치원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고, 홀리스틱교육의 관점에서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지도서」 4권의 생활주제 총 530회 교육활동 가운데 저탄소 녹색성장 활동은 175회(33.02%)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경력 10년 초과 교사가 10년 이하의 교사에 비해 저탄소 녹색성장 관련 인식이 높고, 관련 교육활동 또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유치원 교사가 ‘환경, 자연, 에너지, 경제’의 교육활동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와 경제에 관련된 구체적인 교육내용이 부족하여, 유아들과 활동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미래를 살아가야 할 유아들이 녹색환경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적극적으로 실천하기위해 저탄소 녹색성장교육을 위한 유치원 교사들의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의 전문적인 교육훈련과 교재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low carbon green growth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and analyz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in actual kindergartens and suggest the methods in order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that is men's community, preserve nature, and cope with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risks caused by nature disasters. The findings about the above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Even though kindergarten teachers have had many interest in and made hard efforts for education activities such as 'environment, nature, energy, and economy', specific education about energy and economy is still insufficient so it is hard to do activities with children. Therefore, in order for children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green environment and practice actively, the training for professional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 should be urgently made. In addition, all of teachers, organizations, and experts need to strive to make low carbon green growth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from child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