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문화 텍스트로서 도시 소설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도시 텍스트성

        한만수 ( Man Soo Hahn ) 한국비교문학회 2013 比較文學 Vol.0 No.59

        In A Day of the Novelist, Mr. Gu-bo, city (Gyeongseong), if considered as a text reading for the city, the protagonist, readers can be. In this case, the path soon moved his table of contents (content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a hero (Gu-Bo) to readers ``city`` as a metonymy. The protagonist, reading the text, the culture of the city is to be interpreted. In particular, while Gubo, a main character, in A Day of the Novelist, Mr. Gu-bo walks aimlessly among the crowd of people, transportations, and buildings in Kyung Sung, a old name of Seoul, the observation of the crowd works as a thread of the novel that implicates a spiritual aspect of the city, transportations as neural network of the city and buildings as the visual power of instrumental reason represent the exterior features of the city as an urban physical substructure. The city is a text, a composition like a matrix of all kinds of threads. What is important here is to reveal the respective totality of the city in order to show a comprehensive view of the city because the city begins to build its own ideology from the moment of designing the city as space, In other words, derived from the peculiarities of the designed and segmented space, that is, the city, the respective totality work together to make the city function in return.

      • KCI등재

        현대문학 : 최명익 소설의 미적 모더니티 연구 -<비 오는 길>에 나타난 "신경증"의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한만수 ( Man Soo Hahn ) 반교어문학회 2012 泮橋語文硏究 Vol.0 No.32

        이 논문은 최명익의 소설 <비 오는 길>의 주인공이 갖고 있는 이상심리, 즉 신경증의 구조를 파악하여 그것이 미적 모더니티로서 기능함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최명익의 이 소설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가 근대주의자로서 근대에 대한 천착과 비판정신이 치열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작품에 비해 특히 <비 오는 길>에는 근대와 식민지시대와의 갈등이 본격화되었던 1930년대의 시·공간적 은유가 가장 잘 드러나 있고, 주인공이 경험하고 있는 이상심리가 다른 작품의 인물들에 비해 강요된 근대화와 식민통치를 포함한 사회구조적인 요인에 의존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최명익의 소설 <비 오는 길>의 주인공 병일이 가지고 있는 이상심리는 주로 불쾌감과, 우울, 고독 등으로 표현되지만, 이러한 이상심리는 ``신경증``의 다양한 표현들이다. 그는 보증인을 얻지 못한 탓에 공장 주인으로부터 꾸준히 의심을 받으면서 불쾌감을 느끼고, 나아가 불안감을 갖게 된다. 이때, 이 불안감은 신경증의 과정을 지속시킨다. 그러나 병일의 이러한 신경증은 애초에 근대화로 치닫는 도시 구조에 있으며, 반복되는 일상의 토대 위에, 그리고 식민통치의 암울한 현재 위에 서있다. 무엇보다 전통과 근대가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출근길, 그리고 소외된 노동으로 일관되어 있는 ``일상성``은, 병일에게 새로운 이데올로기(근대)를 강요하고 복종케 한다. 신경증은 이로써 가시화되기 시작한다. 병일의 날카로운 신경증은, 사진관 주인 이칠성을 만나 한층 가열된다. 병일은 세속적 사회의 수호자인 이칠성의 호의에도 불구하고,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말조차 함께 나누려 하지 않는다. 또한 그로부터 근대 사회에 복종할 것을 강요받기도 한다. 이런 이칠성의 태도에 병일은 그를 ``청개구리 뱃가죽 같은 놈``이라는 식으로 경멸한다. K. Horney에 따르면 이는 자신의 신경증을 외부로 투사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병일이 근대사회에 살기 위한 방어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이칠성과의 만남 중에, 병일은 마침내 유일한 자기방어의 수단인 독서에 대한 흥미를 잃고 만다. 이때 병일의 독서는 자발적인 것으로, 자존감을 지켜주는 유일한 안식처였다. 또한 독서는 불안감으로 해소시키는 수단으로 기능하며, 자기통제의 수단이고, ``악마적 세계(근대 사회)``를 치료할 유일한 방법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병일은 마침내 독서에 흥미를 잃고 악몽과 공상에 빠져든다. 그러다가 병일은, 이칠성과 함께 생활 수 없음을 깨닫고, 더 이상 사진관을 찾지 않는다. 물론 그러면서도 병일은 신경증 환자 특유의 불안감에 시달린다. 그러나 실상 병일의 불안은 사실, S. Freud의 견해대로라면, 그 자신을 보존하려는 욕망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이칠성이 갑자기 죽음으로써 병일의 갈등은 해소되고, 그는 독서에 매진할 것을 다짐한다. 정신적인 가치의 승리, 본래성의 숭고함이 확인되는 순간이다. 이처럼 이 소설은, 비인간적이고 물화된 인간관계를 지향하며, 도구적 이성이 지배하는 근대에 던져진 한 근대인의 인간성 회복을 위한 치열한 싸움의 과정이며, 그 흔적은 주인공의 이상심리, 곧 신경증으로 표현된다. 신경증이 미적 모더니티로 기능하는 증거는 여기에서 발견된다. Protagonists of modernism novels in 1930 exhibit abnormal psychology. This is an expression of "aesthetic modernity" and the more distorted the external reality is, the more complex aspect their abnormal psychology display. In short, the irrational structure posed on the Korean society of 1930s formed the complex inner psychology of protagonists in the comtemporary modernism novels. The attention drawn on the novels of Choi, Myeong Ik is noteworthy since he holds a keen attitude towards the modern world in his novels. The complex psychology that his protagonists display is the results of the socially unacceptable attitudes towards life. Displeasure, depression and solitude are the major features of the abnormal psychology that Byoung-il, the protagonist of Choi`s <A Rainy Road> shows. This abnormal psychology is one of the many expressions of ``neurosis``. Not having found a guarantor, he feels unpleasant and nervous when he becomes the subject of the factory owner`s suspicion. This nervousness develops the process of neurosis. However, this neurosis can find its ground on the urban structure that speeds to the modern world and our everyday lives. The commuting route which is a locus of fierce competition between the convention and modernity and the "Alltaglichkeit" displayed by consistently alienated labor become the major life pattern that imposes new ideology - modernity - on Byoung il. Byoung il`s neurosis aggravates when he meets Chil sung Lee, the photo studio owner. Despite the hospitality Chil sung shows, Byoung il refuses to share words with him, the gardian of secular society. He is even forced to obey the rules presented by the modern world be Chil sung. He describes Chil sung as ``the belly skin of a frog`` in contempt of him. According to K.Horney, this is a trial of external projection of the neurosis. This is his protective means for Byoung il to survive the modern world. However, Byoung il loses his interest in reading books upon the repeated meeting with Lee. Byoung il`s voluntary reading was the only a refuge where he could protect his self-esteem. Reading was the only means to relieve the nervousness, a way to control oneself and the only remedy that could cure the demonic world - the modern society. However, he loses his interest in reading and falls into nightmare and daydreaming. Only then did he realize that he could not coexist with Lee and stops visiting his photo studio. Along with that he also shows the nervousness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neurosis. According to S. Freud, his nervousness is his desire of self-preservation. Byoung il`s inner conflicts is resolved by the sudden death of Lee and he determines to concentrate on reading through which epiphany is realized. This novel displays the process of fierce struggle through which the humanity is obtained in the modern world that is dominated by instrumental reason and inhumane material relationship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trace of the struggle.

      • KCI등재

        영문학서사 기반의 스토리 창작 지원도구의 모형개발 연구

        신동일(Shin, Dong-il),김은정(Kim, Eun-Jung),한만수(Hahn, Man-Soo),황수경(Hwang, Su-Kyung)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영문학 작품의 서사에서 발견되는 모티프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를 창작할 수 있는 지원도구의 개발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STORY PLAYER’라고 이름을 붙인 영문학 서사 기반의 스토리 창작 지원도구는 온·오프라인 연동이 가능한 3가지 형태, 즉, 보드게임, 모바일 앱, 웹 플랫폼 환경에서 게임처럼 스토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하며 웹 공간에서 자신이 만들고 있는 스토리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편집하도록 돕는다. 자아형성기의 중요한 단계에 진입한 아동 혹은 청소년들이 게임의 환경에서 자기주도적인 서사를 창작하도록 유도하고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마치 서사 창작을 놀이처럼, 또한 놀이를 서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창작의 환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영문학 작품의 서사가 연구자들에 의해 비평과 분석의 대상으로 주로 다뤄지면서 인문콘텐츠로서의 가치가 저평가된 점을 주목했다. 본 연구의 개발모형은 서사양식의 확장과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 위에서 제안된 것이기 때문에 관련 연구자들이 이야기 산업경제의 활성화에 참여할 여지를 찾게 할 것이다. 또한 완성도 높은 양질의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실질적으로 개발해보고자 하는 동기를 학계에 부여하고 디지털 매체의 적극적인 도입을 통해 탈고전적 (생성)서사 담론을 실험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탈학제적 융합 연구의 저변도 확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development model of story-creating tool, in which a motif-based database is constructed on the works of English literature. The ‘STORY PLAYER,’ a tool assisting story creation serves as three interworking forms of board game, mobile application, and web platform environment and encourages users to edit their own stories and share them on and off-line with the other storytellers. It is expected that STORY PLAYER helps children or adolescents who enter the crucial stage of forming their identities practice their self-directed narratives in the game-pursuing environment. The generation familiar with digital media can access the process of story creation as a game entertainment. This research attempts to mak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narrative studies of English literature. The works of English literature have been researched often for literary criticism and analysis, and its potential as digitalized contents has been underestimated. The development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will facilitate the expansion and sharing of storytelling practice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vitalize storytelling-related industry. The academia are then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contents and also to experiment post-classical narratology/creation discourses through digit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